KR200201810Y1 -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810Y1
KR200201810Y1 KR2019980011219U KR19980011219U KR200201810Y1 KR 200201810 Y1 KR200201810 Y1 KR 200201810Y1 KR 2019980011219 U KR2019980011219 U KR 2019980011219U KR 19980011219 U KR19980011219 U KR 19980011219U KR 200201810 Y1 KR200201810 Y1 KR 200201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utton
shaft
coupled
turr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012U (ko
Inventor
김장주
Original Assignee
김장주
금아유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주, 금아유압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장주
Priority to KR2019980011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81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26Fluid-operat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양인의 손에 맞도록 핸들 크기를 컴팩트화시키고 잠금 노브의 오동작을 방지한 포탑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도 조절장치는 턱을 가지는 축이 결합되며 푸싱력에 의해 상기 축을 전/후로 작동시키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일측에 스프링과 핀으로 설치되며 상기 버튼의 푸싱력으로 이동된 축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된 노브와, 상기 버튼의 축에 결합된 제2레버와 핀으로 연결되며 상기 버튼의 푸싱력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레버를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제2레버의 하단부에 결합된 샤프트의 둘레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피스톤을 가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피스튼과 접촉되면서 메인 유압을 상승시키는 경사판과, 상기 포탑 실린더의 유압 호스가 결합되는 체결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압력이 상승된 메인 유압이 상기 유압호스로 유입될 때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
본 고안은 대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포의 포탑 각도를 상/하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포의 포탑(포신)의 각도를 상/하로 조절하는 장치는 대부분이 외국에서 수입(이하 "선행기술"이라 함)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외화 낭비 및 기술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주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사이즈가 너무 크기 때문에 동양인의 손에 맞지 않을뿐만 아니라 잠금 노브의 잠금기술이 복잡하고 부품이 많아 고장 발생률을 상승시켰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스위치 뭉치 및 유압펌프의 구조가 복잡함으로써 기기조작의 어려움을 유발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치 뭉치 및 유압펌프의 구조를 컴팩트화시킨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잠금 노브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한국인의 손에 맞도록 핸들 크기를 최소화시킨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는 턱을 가지는 축이 결합되며 푸싱력에 의해 상기 축을 전/후로 작동시키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일측에 스프링과 괸으로 설치되며 상기 버튼의 푸싱력으로 이동된 축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된 노브와, 상기 버튼의 축에 결합된 제2레버와 핀으로 연결되며 상기 버튼의 푸싱력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레버를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제2레버의 하단부에 결합된 샤프트의 둘레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피스톤을 가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피스톤과 접촉되면서 메인 유압을 상승시키는 경사판과, 상기 포탑 실린더의 유압 호스가 결합되는 체결구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압력이 상승된 메인 유압이 상기 유압호스로 유입될 때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에서 각종 버튼이 내장된 스위치 뭉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에서 유압펌프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토션스프링 26,40 : 스프링
12 : 버튼 14 : 노브
16 : 샤프트 22 : 제1레버
32 : 제2레버 34 : 고정쇠
36 : 경사판 38a,38b : 피스톤
42 : 실린더 44 : 체크밸브
46 : 체결구 100 : 스위치 뭉치
200 : 유압펌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대포의 포탑 각도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조절장치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며, 이는 각종 스위치들이 내장되어 있는 스위치 뭉치(100)와 내부에 메인 유압이 충진되고 포탑 실런더로 상기 유압을 유입시키는 유압펌프(20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위치 뭉치(100)에는 버튼(12)이 외부로 돌출 설치되며, 상기 버튼(12)의 후면 중심에는 축(16)이 결합되며, 상기 축(16)의 좌측(제2도에서) 둘레면에는 턱(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12)과 근접된 위치에는 노브(14)가 핀(54)으로 결합되며, 상기 핀(54)에는 토션스프링(10)이 조립된다. 또한 상기 노브(14)의 일측단에는 라운딩져 형성된 걸림부(14a)가 형성된다. 즉, 상기 노브(14)를 누르게 되면 노브는 핀(5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상기 걸림부(14a)는 턱(18)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축(16)의 하측으로는 포탄을 발사시키기 위한 발사버튼(60)이 설치되며 하측으로는 리미트 스위치(50)가 설치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50)에는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는 플레이트(52)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52)는 발사 버튼(60)의 스위칭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50)의 단자와 접촉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50)에는 다수개의 전선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들은 케이블(20)을 통해 메인 콘트롤러(발사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12)의 후면에 부착된 축(16)의 끝에는 제2레버(32)가 결합되며, 이때 상기 제2레버(32)는 아래로 신장되어 있으며 중간부분에는 제1레버(22)가 핀(24)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레버(22)와 제2레버(32) 사이에는 스프링(26)이 위/아래로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제1레버(22)는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22)의 상단면은 상기 축(16)의 끝단과 접촉되며 상기 버튼(12)의 푸싱력에 의해 전/후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2레버(32)의 하측단에는 유압모터(200)가 조립되어 있다. 즉, 상기 유압모터(200)의 내부 중심에는 샤프트(30)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샤프트(30)의 우측단(제2도에서)은 제2레버(32)의 하측단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유압모터(200)의 프레임에 조립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30)에는 경사판(36)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경사판(36)은 고정쇠(34)에 의해 유압모터(200)의 메인 프레임에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판(36)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피스톤(38)을 전/후로 작동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30)의 우측 둘레면에는 실린더(42)가 키이로 조립되며; 상기 실린더(42)에는 다수개의 피스톤(38)이, 바람직하게는 4개의 피스톤(38)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피스톤(38)의 후면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40)이 걸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38)은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밖으로(제2도에서는 좌측으로) 돌출될려고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38)들은 경사판(36)에 항상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압펌프(200)의 상단에는 외부로부터의 메인 유압을 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유입구(48)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48)의 일측으로는 포탑 실린더의 유압호스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구(46)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46)의 내부에는 체크밸브(44)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44)는 유압모터(200)의 작동에 의해 압력이 상승된 메인 유압이 유압호스로 유입된 후 상기 메인 유압이 다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상기 체크밸브(44)가 설치된 체결구(46)에는 포탑 실린더의 유압호스(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 유압호스를 통해 유압모터(200)의 작동에 의해 생성된 메인 유압이 포탑 실린더로 공급되고, 이때 체크밸브(44)는 이 메인 유압이 다시 유압모터(200) 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탑 각도 조절장치의 동작 과정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모터(200)에는 유입구(48)를 통해 항상 메인 유압이 공급되며, 이때 상기 메인 유압은 고압을 유지하고 있다. 이어서 포탄을 발사하기 위하여 포탑(포신)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포수(砲手)는 스위치 뭉치(100)를 잡은 다음 버튼(12)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버튼(12)의 푸싱력에 의해 축(16)은 제1레버(22)의 상부를 후면방향(제2도에서 우측으로)으로 밀게 되며, 이어서 상기 제1레버(22)의 하단부는 핀(24)을 중심으로 전면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유압펌프의 홈(28)에 삽입되어 있던 제1레버(22)의 끝부분이 상기 홈(28)에서 이탈된다. 이때 상기 제1레버(22)와 제2레버(32)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6)은 압축된다.
이와 동시에 노브(14)를 누르게 되면, 상기 노브(14)는 핀(5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어서 상기 노브의 걸림부(14a)는 제3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턱(18)의 뒤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버튼(12)에 가하고 있던 푸싱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제1레버(22)는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려고 하며, 이때 상기 축(16)은 전면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노브의 걸림부(14a)는 턱(18)에 접촉되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노브(14)는 고정된다.
그 후, 포수(砲手)가 스위치 뭉치(100)를 잡고 적당한 회전수로 회전시키면 포탑의 각도는 상/하로 조절된다. 즉, 상기 회전력에 의해 제2레버(32)는 샤프트(30)를 회전시키며 동시에 실린더(42)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피스톤(38)들은 상기 피스톤(42)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전면방향(제2도에서 좌측으로)으로 돌출되어 경사판(36)에 접촉되면서 전/후(삽입,이탈)로 반븍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면 유압펌프(200)에 충진되어 있는 메인 유압의 압력은 상승되며, 이어서 상승된 메인 유압은 체크밸브(44)를 통해 유압호스(체결구(46)에 설치됨)로 배출된다.
이후 상기 메인 유압은 유압호스를 거쳐 포탑의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포탑의 각도는 조절된다. 다음 상기 포탑 각도가 조절 완료되면, 제1레버(22)는 홈(28)에 근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레버(22)를 홈(28)으로 이동시킨 다음, 버튼(12)을 푸싱 한다. 그러면 노브(14)는 토션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되며, 상기 제1레버(22)의 하단부는 홈(28)에 삽입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포탑은 고정된다.
그 후, 제3도에 도시한 발사 버튼(60)을 누르게 되면, 플레이트(52)는 푸싱력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50)의 단자와 접촉된다. 이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50)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스위칭 신호는 케이블(20)을 통해 메인 콘트롤러(발사장치)에 입력된다. 이로써 포탄은 발사된다. 이때 상기 포탄은 계속해서 발사 가능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국인의 손에 맞도록 핸들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포수(砲手)들로 하여금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포탑 각도 조절장치의 컴팩트화를 구현시켰다. 그리고 잠금노브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오동작을 최대한 방지하였으며, 또한 포탑 각도 조절장치의 내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성능을 향상 및 불량율을 최대한 방지하였다.

Claims (1)

  1. 대포의 포탑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턱을 가지는 축(16)이 결합되며, 푸싱력에 의해 상기 축(16)을 전/후로 작동시키는 버튼(12)과; 상기 버튼(12)의 일측에 토션스프링(10)과 핀(54)으로 설치되며, 상기 버튼(12)의 푸싱력으로 이동된 축(16)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된 노브(14)와; 상기 버튼(12)의 축(16)에 결합된 제2레버(32)와 핀(24)으로 연결되며, 상기 버튼(12)의 푸싱력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레버(22)와; 상기 제1레버(22)와 제2레버(3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레버(22)를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26)과; 상기 제2레버(32)의 하단부에 결합된 샤프트(30)의 둘레면을 따라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피스톤(38a,38b)을 가지는 실린더(42)와; 상기 실린더(42)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30)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피스톤(38a,38b)과 접촉되면서 메인 유압을 상승시키는 경사판(36)과; 상기 포탑 실린더의 유압 호스가 결합되는 체결구(46)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압력이 상승된 메인 유압이 상기 체결구(46)에 연결된 유압호스로 유입될 때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44)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
KR2019980011219U 1998-06-20 1998-06-20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 KR200201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219U KR200201810Y1 (ko) 1998-06-20 1998-06-20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219U KR200201810Y1 (ko) 1998-06-20 1998-06-20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12U KR19980056012U (ko) 1998-10-07
KR200201810Y1 true KR200201810Y1 (ko) 2000-11-01

Family

ID=1953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219U KR200201810Y1 (ko) 1998-06-20 1998-06-20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8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050B1 (ko) * 2001-07-02 2004-01-16 국방과학연구소 화포의 고각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12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2891A (en) Gun trigger assembly
US5485695A (en) Laser aiming device
US4787288A (en) Rapid fire trigger activator
JP3233366B2 (ja) 銃砲用撃発装置
US20030079731A1 (en) Spring assist for launch from compressed gas gun
US4067131A (en) Firing mechanism for a revolver
US6308448B1 (en) Angled interlocked firing mechanism
ES483176A1 (es) Una disposicion en un arma de fuego.
FR2992717A3 (fr) Pistolet a air comprime a tir en coup-par-coup ou en automatique et commutateur de tir de celui-ci
US5709046A (en) Single trigger dual firing mechanism
KR200201810Y1 (ko) 대포의 포탑 각도 조절장치
IL133308A0 (en) Automatic weapon
US5208406A (en) Thumb safety for exposed hammer firearms
JO2599B1 (ar) تركيب زناد مطرقي مزدوج الفعل لسلاح ناري
US3903631A (en) Firing mechanism in a firearm
US4508006A (en) Device for quickly stopping a remote controlled automatic cannon
US4471551A (en) Safety device for firearms
CN100387404C (zh) 用燃料工作的安装工具
US3903630A (en) Firing mechanism for a cartridge firing device
US4421009A (en) Repeating firearm
US3728810A (en) Firearms, especially sports or target pistol
KR930007264Y1 (ko) 장난감 총 격발장치
US4103587A (en) Autoloading pistol
JP3071474B2 (ja) ドロップ・バレル式銃砲
US5659993A (en) Combination pin for attaching trigger assembly and safing small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