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705Y1 - 브라운관전면에발생하는고압리플제거회로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전면에발생하는고압리플제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705Y1
KR200201705Y1 KR2019970008412U KR19970008412U KR200201705Y1 KR 200201705 Y1 KR200201705 Y1 KR 200201705Y1 KR 2019970008412 U KR2019970008412 U KR 2019970008412U KR 19970008412 U KR19970008412 U KR 19970008412U KR 200201705 Y1 KR200201705 Y1 KR 200201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rt
flyback
ripple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846U (ko
Inventor
송근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08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705Y1/ko
Priority to US09/023,875 priority patent/US5986406A/en
Priority to MX9801232A priority patent/MX9801232A/es
Priority to BR9800689A priority patent/BR9800689A/pt
Priority to CNB981005349A priority patent/CN1164080C/zh
Priority to GB9803321A priority patent/GB2322270B/en
Priority to IDP980207A priority patent/ID19898A/id
Publication of KR19980063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8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15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leaving the encl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DT 등의 영상표시키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특히 CDT에 유기되어 발생되는 고압리플 전압을 상쇄시켜 TCO규격을 만족시켜 줄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 리플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의 표면저항이 수십MΩ이상으로 되어있고 브라운관의 표면은 콘덴서의 값이 존재하므로 브라운관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불요복사 전계 노이즈에는 AC리플성분을 포함하게 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부펄스만을 이용하게 될때, 불요복사파 전계 노이즈를 완전히 상쇄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플라이백 부펄스를 이용하여 브라운관의 전면 또는 후면, 측면의 불요복사 노이즈를 상쇄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불요 복사 전계노이즈를 상쇄시키기 위한 플라이백 부펄스를 이용하여 고압리플전압과 동일한 진폭을 가진 반전파형의 고압리플 전압의 상쇄를 위한 플라이백 부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고압리플 전압까지도 완전하게 상쇄시킬 수 있는 불요복사전계 노이즈 제거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브라운관 전면에 고압리플 제거회로를 게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브라운관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리플 제거회로
본 고안은 브라운관(CDT)을 드라이브 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특히 믈라이백 부 펄스를 이용하여 브라운관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불요복사 전계노이즈를 상쇄시키도록 함에 있어, 고압리플 성분을 제거하여 효과적인 불요복사 전계노이즈 상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 리플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브라운관(CPT)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 리플 제거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 드라이브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수평 펄스를 고압 발생부(2)에 스위칭 출력하는 수평 펄스 발생부(1)와, 상기 수평펄스 발생부(1)에 의해 발생된 수평 펄스를 2차측에 승압하여 고압을 브라운관(3)의 애노드 갭에 공급하는 고압 발생부(FBT)(2)와, 고압발생부(2)에 유기된 역극성의 편향출력파형을 레벨조정하도록 분압시키는 저항(R1)(R2)과, 상기 저항(R1)(R2)에 의해 레벨 조정되도록 분압된 역극성의 편향출력파힝을 파형보정시키는 저항(R3) 및 콘덴서(C2)와, 상기 저항(R3) 및 콘덴서(C2)에 의해 파형보정된 역극성 편향출력파형의 스파이크성 노이즈를 제거시키는 저항(R4) 및 콘덴서(C3)와, 페회로로 되어있지 않는 상태에서 1회전(1Turn)에 의해 CPT에 감겨지므로서 상기 저항(R1)과 콘덴서(C2)에 의해 스파이크성 노이즈가 제거된 역극성의 편항출력파형중 일정전압만을 CPT에 인가시켜 상기 CPT상의 불요복사파를 제거시키는 와이어(L1)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수평 펄스 발생부(1)는 편향출력파형을 발생시키는 편향코일(DY)과, 상기 편향코일(DY)에서 발생되는 편향 출력파형을 충방전시키는 콘덴서(C1)와, 편향코일(DY)에 의해 발생된 편향출력파형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트랜지스더(Q1)로 구성된다.
미 설명부호 D1은 다이오드,C4는 콘덴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CPT에서의 불요복사파 제거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압 발생부(2)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FBT)의 1차측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1차측에 연결된 수평 트랜지스터(Q1)가 온/오프 스위칭동작을하게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따라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4)가 연결된 편향코일(DY)에서는 편향출력파형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향코일(DY)에서 발생된 편향출력파형은 콘덴서(C1)에 의해 충방전된 후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따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 유기되므로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2차측에 유기된 고압을 브라운관(3)의 애노드 갭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2차측에 유기된 역극성(부 펄스)의 편향출력파형은 수학식1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학식 1]
에서와 같이 일정건압(B+) 및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되면서 레벨조정되며, 상기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되어 레벨조정된 역극성의 편향출력 파형은 저항(R3) 및 콘덴서(C2)에 의해 파형보정된다.
여기서, 상기 저항(R1)(R2)의 설정값에 따라 편향출력 파형의 펄스 및 진폭과 직류(DC)레벨의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항(R3) 및 큰덴서(C2)에 의해 파형보정된 역극성의 편향출력파형은 저항(R4) 및 콘덴서(C3)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저항(R4) 멎 콘덴서(C3)에서는 파형보정된 역극성의 편향출력 파형의 스파이크성 노이즈가 제거된다.
이때, 폐회로로 되어있지 않는 상태(오픈 루프)에서 1회전(1Turn)에 의해 CPT상(예;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감겨진 리드- 와이어(L1)는, 상기 스파이크성 노이즈가 게거된 역극성의 편향출력 파형중 전류의 성분은 인가시키지 않고 일정전압만을 CPT상(예;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인가시키므로서, 상기 CPT상(예;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서 발생되는 불요복사파를 제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브라운관의 표면저항이 수십MΩ이상으로 되어있고 브라운관의 표면은 콘덴서의 값이 존재하므로 브라운관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불요복사 전계 노이즈에는 AC리플성분을 포함하게 되므로, 종래에서와 갈이 부펄스만을 이용하게 될때, 불요복사파 전계 노이즈를 완전히 상쇄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플라이백 부펄스를 이용하여 브라운관에 전면 또는 후면, 측면의 불요복사 전계노이즈를 상쇄시키도록 함에 있어, 불요복사 전계노이즈를 상쇄시키기 위한 플라이백 부펄스를 이용하여 고압리플전압과 동일한 진폭을 가진 반전파형의 고압리플 전압의 상쇄를 위한 플라이백 부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고압리플 전압까지도 완전하게 상쇄시킬 수 있는 불요복사전계 노이즈 제거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브라운관 전면에 고압리플 제거희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영상표시키기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 리플 제거회로를 보인 도면.
도2는 본 고안 브라운관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리플 제거회로의 회로구성도.
도3은 본 고안 브라운관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리플 제거회로의 각부 파형도.
본 고안은 고압발생수단과, 고압발생수단으로 인가되는 수평펄스와 역위상을 갖는 반전파형을 갖는 부펄스를 발생시켜, CDT의 전면에 장착된 리드와이어에 공급하어 CDT에서 발생되는 불요복사 전계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영상표시키기의 불요복사 전계 노이즈 제거 장치에 있어서, 고압발생수단으로 부터 유기된 플라이백 부펄스를 편향요크로 공급하여 브라운관의 측면 및 후면에 유기되는 불요븍사파를 제거하도록 하는 플라이백 부펄스 인가수단과, 공급되는 믈라이백 부펄스를 미분하여 브라운과 전면에 발생되는 불요복사파에 포함된 고압리플전압의 역위상 파형울 포함하는 믈라이백 부펄스를 발생시키는 미분회로와, 미분회로를 통해 발생된 플라이백 부펄스를 브라운관의 전면에 장착된 리드와이어에 공급하여 브라운관 진면에시 발생되는 불요복사전계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고압리플상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미분희루에는 인가되는 플라이백 부팰스의 미분 시정수를 하기 위한 시정수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압리플상쇄수단에는 고압리플 전압을 상쇄하기 위해 미분회로로 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부펄스에 포함된 고압리플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고압리플상쇄전압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 CDT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리플 제거회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을 승압하여 브라운관(12)의 애노드에 고압을 인가하며 플라이백 부 펄스 발생하는 고압 발생부(11)와, 상기 고압발생부(11)로 부터 인가되는 플라이백 부펄스를 인가받아 편향요크(DY)에서 발생되는 유기전압을 상쇄시키는 저항(R11)과, 편향요크(DY)로 공급되는 플라이백 부펄스를 미분하여 브라운관(12) 전면에서 발생되는 불요븍사 전계노이즈에 포함되는 고압리플전압에 대한 역위상의 상쇄전압파형을 포함하는 플라이백 부펄스를 발생시키는 미분회로(13)와, 미분회로(13)로 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부펄스를 입력받아 브라운관(12)의 전면에 장착된 리드와 이어에 공급하여 브라운관(12)의 전면에서 발생되는 불요복사 전계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고압리플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리플 상쇄부(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분회로(13)는 인가되는 플라이백 부펄스에 대한 미분 시정수를 조정하기 위한 가빈저항(VR1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압리플 상쇄부(14)는 상쇄시키고자 하는 CDT 전면 불요복사 전계 노이즈에 포함된 고압리플전압에 대한 상쇄 고압리플 전압파형을 조정하기 위한 가변저항(UU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 설명부호 CHV는 고압 콘덴서, C11는 콘덴서, D11,D12는 다이오드이고, 도면에 표시된 각 포인트(A,B,C,D,E)는 도3에 도시된 각 부파형이 나타난 지점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CDT전면에 발생하는 고압 리플 제거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도2 및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압발생부(FBT)(11)에서 발생되는 고압이 브라운관(12)의 애노드단에 인가되면, 브라운관(12)의 후면 편향요크(DY)에는 수평펄스와 같은 도3의 (A)와 같은 유기전압이 브라운관(12) 측면,후면으토 발생하게 된다.
또한, 브라운관(12)전면으로는 고압발생부(l1)의 고압리플 및 브라운관(l2)의 내부 콘덴서 및 저항성분에 의해 도3의 (B)와 같은 고압리플 전압 또는 유기전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의 파형은 AC리플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편향요크(DY)로 플라이백 부펄스롤 인가하여 브라운관(12)의 측면 및 후면에서 발생하는 불요복사 전계노이즈를 상쇄시키고, 브라운관(12)의 전면에 장착된 리드와이어로 고압리플전압에 대한 상쇄파형을 포함하는 플라이백 부필스를 인가하여 전면에서 발생되는 불요복사 전계노이즈를 상쇄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고압발생부(11)로 부터 인가되는 브라운관(12) 전면에서 발생되는 유기 전압과 반전된 파형의 플라이백 부 펄스는 저항(R11)을 통하여 도3의 (C)와 같은 파형으로 편향요크(DY)로 공급되는 바, 이때의 부 펄스는 편향요크(DY)에서 발생되는 도3의 (A)와 같은 유기전압파형과 역위상의 파형으로, 이러한 유기전압을 상쇄시켜 제로전압('0'V)으로 만들어주므로 브라운관(12) 측면으로 유기되는 전압을 완전히 제거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R11)을 통하여 전달되는 플라이백 부펄스는 미분회로(13)에 인가되어 콘덴서(C11) 및 저항(R12)에 의해 미분되어, 브라운관(12) 전면에서 발생되는 고압리플 전압 파형과 모양이 같은 도3의 (D)와 같은 파형으로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미분된 파형은 가변저항(VR11)에 의해 시정수를 변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미분된 파형은 고압리플 상쇄부(14)의 다이오느(D11)(D12) 및 가변저항(VR12)을 통하여 케비넷과 브라운관(12)사이 즉, 브라운관(12)의 전면에 위치한 리드와이어에 도3의 (E)와 같은 파형으로 인가된다.
이와 같은 파형은 브라운관(12) 전면에서 발생되는 고압리플전압 파형의 정(+), 부(-)펄스의 진폭을 같게하고 위상만 반전시켜 주어 유기전압을 완전히 상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3의 (E)의 파형의 진폭(V1)은 가변저항(VR11)으로 제어하고, 크기(V2)는 가변저항(VR12)으로 제어하게 되므로, 브라운관(12) 표면의 유기전압을 상쇄시켜 주므로 브라운관(12) 표면에 발생하는 전압은 '0'볼트(V)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라운관의 표면저항이 수십MΩ이상으로 되어있고, 또한 브라운관의 표면은 콘덴서 값이 존재함으로 발생되는 AC리플성분 까지 완전하게 상쇄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일정한 규격(TCO)을 만족시켜 줌은 물론 효과적인 불요복사 전계노이즈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고압발생수단으로 인가되는 수평펄스와 역위상을 갖는 반전파형을 가는 부펄스를 발생시켜, CDT의 전면에 장착된 리드와이어에 공급하여 CDT에서 발생되는 불요복사 전계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영상표시기기의 불요복사 전게 노이즈 제거 장치에 있어서, 고압발생수단으로 부터 유기된 플라이백 부펄스를 편향요크로 공급하여 브라운관의 측면 및 후면에 유기되는 불요복사파를 제거하도록 하는 플라이백 부펄스 인가수단과, 공급되는 플라이백 부펄스를 미분하여 브라운과 전면에 발생되는 불요복사파에 포함된 고압리플전압의 역위상 파형을 포함하는 플라이백 부펄스를 발생시키는 미분회로와, 미분회로를 통해 발생된 플라이백 부펄스를 브라운관의 전면에 장착된 리드와이어에 공급하여 브라운관 전면에서 발생되는 불요복사전계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고압리플상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리플 제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미분회로에는 인가되는 플라이백 부펄스의 미분 시정수를 하기 위한 시정수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압리플상쇄수단에는 고압리플 전압을 상쇄하기 위해 미분회로로 부터 출력되는 플라이백 부펄스에 포함된 고압리플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고압리플상쇄전압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쁘라운관 전면에 발생하는 고압리플 제거회로.
KR2019970008412U 1997-02-15 1997-04-22 브라운관전면에발생하는고압리플제거회로 KR200201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412U KR200201705Y1 (ko) 1997-04-22 1997-04-22 브라운관전면에발생하는고압리플제거회로
US09/023,875 US5986406A (en) 1997-02-15 1998-02-13 Electric field noise eliminating circuit in a video display appliance
MX9801232A MX9801232A (es) 1997-02-15 1998-02-13 Circuito para eliminar ruido del campo electrico de radiacion en aparato de video.
BR9800689A BR9800689A (pt) 1997-02-15 1998-02-16 Circuito para eliminar o ruído do campo elétrico irradiado em um aparelho de exibição de vídeo
CNB981005349A CN1164080C (zh) 1997-02-15 1998-02-16 消除视频设备中辐射电场噪声的电路
GB9803321A GB2322270B (en) 1997-02-15 1998-02-16 Circuit for eliminating radiated electric field noise in a video appliance
IDP980207A ID19898A (id) 1997-02-15 1998-02-16 Rangkaian untuk menghilangkan gangguan medan listrik yang diradiasikan dalam peralatan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412U KR200201705Y1 (ko) 1997-04-22 1997-04-22 브라운관전면에발생하는고압리플제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846U KR19980063846U (ko) 1998-11-25
KR200201705Y1 true KR200201705Y1 (ko) 2000-11-01

Family

ID=1949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412U KR200201705Y1 (ko) 1997-02-15 1997-04-22 브라운관전면에발생하는고압리플제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7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846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1705Y1 (ko) 브라운관전면에발생하는고압리플제거회로
KR910019435A (ko) 비디오 장치의 고전압 전원
JPH0561834B2 (ko)
KR940023210A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의 누설전계 상쇄장치
KR100250517B1 (ko) 영상표시기기 전면부의 불요복사 전계노이즈 제거장치
JP3316766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の電源
KR100261444B1 (ko) 브라운관전면부의불요복사전계노이즈제거장치
JP3858435B2 (ja) 水平偏向回路
KR200179722Y1 (ko) 스텝업 방식의 수평화면크기 조정회로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GB2306872A (en) An electromagnetic field shielding circuit for a display
JPH0681259B2 (ja) 水平出力回路
JPH10164387A (ja) Crt表示装置用安定化高圧発生回路
JPH0793687B2 (ja) 垂直偏向回路
US6407517B1 (en) Method of attenuating unwanted electric field radiation and a cathode ray tube display
KR100371379B1 (ko) 영상표시기기의씨알티전면vlf방사전계차폐장치
JP3057509B2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EP0527471B1 (en) High voltage generator
KR0177942B1 (ko) 씨피티에서의 불요복사 제거회로
KR100255774B1 (ko) 영상표시기기의 불요 복사파 제거장치
ES2204379T3 (es) Circuito para estabilizacion de una alta tension.
JP3376936B2 (ja) 電源回路
JP3331994B2 (ja) 電源回路
KR19990027201U (ko) 모니터의 전자파 차단장치
KR19990027211U (ko) 모니터의 고압 발생회로
KR19990015874U (ko) 모니터의 전자파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