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670Y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670Y1
KR200201670Y1 KR2020000014928U KR20000014928U KR200201670Y1 KR 200201670 Y1 KR200201670 Y1 KR 200201670Y1 KR 2020000014928 U KR2020000014928 U KR 2020000014928U KR 20000014928 U KR20000014928 U KR 20000014928U KR 200201670 Y1 KR200201670 Y1 KR 200201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pump body
bottle cap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김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841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88845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영권 filed Critical 김영권
Priority to KR2020000014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펌프부재를 상하로 작동하여 용기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내용물 속에 존재하는 탄산가스가 용기내부의 빈 공간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탄산음료등이 수용되는 수용용기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음료음용선택장치를 갖춘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음용선택장치는, 상기 수용용기의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외주면의 소정위치로 탄산음료가 분출되는 분출부를 갖춘 병뚜껑(1)과, 이 병뚜껑(1)의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분출부와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통부가 구비된 펌프본체(2)와, 상기 펌프본체(2)의 중앙부로 끼워져 하부로 이동할 때 수용용기의 내부를 가압하고 상부로 이동할 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가압후에 회전시 상기 펌프본체(2)와 함께 회전되어 수용용기의 탄산음료가 연통부와 분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 음료선택취출부와, 상기 병뚜껑의 내주면에 끼워져 수용용기의 개구부로 삽입되면서 중앙으로는 소정직경으로 축경되어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병뚜껑의 내주면과 끼워지는 면에는 압축공기가 수용용기의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갖춘 유체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 {DRINK CASE}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내부의 내용물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용기내부의 내용물속에 존재하는 탄산가스가 용기내부의 빈공간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탄산음료등이 수용되는 음료용기는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트병등으로 이루어진 수용용기(1)에 음료등이 채워진 상태로 상부에 마개(2)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상기 마개(2)를 풀어서 수용용기(1)에 수용된 탄산음료를 음용한 다음, 상기 수용용기(1)에 음료가 남은 경우 마개(2)를 채워서 탄산음료에 녹아 있는 탄산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수용용기(1)에 수용된 탄산음료의 탄산가스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마개(2)를 체결한 경우에, 용기내부의 내용물속에 존재하는 탄산가스가 용기내부의 빈공간으로 나오게 되므로, 또 다시 마개(2)를 열고 음료를 음용하는 경우에 용기내부의 빈공간에 있던 탄산가스가 대부분 외부로 방출되어 점점 탄산음료의 맛이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펌프부재를 상하로 작동하여 용기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내용물속에 존재하는 탄산가스가 용기내부의 빈공간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탄산가스가 탄산음료에 남아 있어 탄산음료의 맛이 변하지 않도록 한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가 탄산음료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가 탄산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병뚜껑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본체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 - B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C - C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펌프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D - D선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F - F선 일부단면도,
도 12는 도 9의 E - E선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안내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G - G선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부재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H - H선 단면도,
도 19는 본 고안의 에어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고안의 스톱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J - J선 단면도,
도 23은 종래 음료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용용기 200 : 음료음용선택장치
210 : 병뚜껑 220 : 펌프본체
230 : 음료선택취출부 240 : 유체안내부재
250 : 연장관 260 : 스톱링
270 : 노즐 280,290 : 누출방지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탄산음료등이 수용되는 수용용기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음료음용선택장치를 갖춘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음용선택장치는, 상기 수용용기의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외주면의 소정위치로 탄산음료가 분출되는 분출부를 갖춘 병뚜껑과, 이 병뚜껑의 내주면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분출부와 선택적으로 연통가능하도록 연통부가 구비된 펌프본체와, 상기 펌프본체의 중앙부로 끼워져 하부로 이동할 때 수용용기의 내부를 가압하고 상부로 이동할 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가압후에 회전시 상기 펌프본체와 함께 회전되어 수용용기의 탄산음료가 연통부와 분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 음료선택취출부와, 상기 병뚜껑의 내주면에 끼워져 수용용기의 개구부로 삽입되면서 중앙으로는 소정직경으로 축경되어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병뚜껑의 내주면과 끼워지는 면에는 압축공기가 수용용기의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갖춘 유체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가 탄산음료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는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가 탄산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탄산음료(D)등이 수용되는 수용용기(100)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음료음용선택장치(200)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음료음용선택장치(200)는, 상기 수용용기(100)의 개구부(110)와 연통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외주면의 소정위치로 탄산음료가 분출되는 분출부(212b)를 갖춘 병뚜껑(210)과, 이 병뚜껑(210)의 내주면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분출부(212b)와 선택적으로 연통가능하도록 연통부(222a)가 구비된 펌프본체(220)와, 상기 펌프본체(220)의 중앙부로 끼워져 하부로 이동할 때 수용용기(100)의 내부를 가압하고 상부로 이동할 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가압후에 회전시 상기 펌프본체(220)와 함께 회전되어 수용용기(100)내부의 탄산음료가 연통부(222a)와 분출부(212b)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 음료선택취출부(230)와, 상기 병뚜껑(210)의 내주면에 끼워져 수용용기(100)의 개구부(110)로 삽입되면서 중앙으로는 소정직경으로 축경되어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병뚜껑(210)의 내주면과 끼워지는 면에는 압축공기가 수용용기(100)의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갖춘 유체안내부재(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음료선택취출부(230)는, 상기 펌프본체(220)의 중앙상부로 하단부가 상하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펌프본체(220)와 맞물려서 동기회전하도록 설치된 펌프부재(231)와, 이 펌프부재(231)의 하부에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끼워짐과 더불어 펌프본체(2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부로 이동할 때 음료용기(100)의 내부로 공기를 가압하고 상부로 이동할 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된 피스톤부재(232)와, 상기 펌프본체(220)의 중앙하단에 끼워져 상기 펌프부재(231)와 피스톤부재(232)가 하부로 이동할 때 펌프본체(220)의 내부공기가 용기내부로 유입되도록 탄성변형되고 상부로 이동할 때 펌프본체(220)의 중앙내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펌프본체(220)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에어밸브(23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유체안내부재(240)의 축경된 하부에는 음료용기(100)의 바닥과 근접한 위치까지 배치되도록 연장관(250)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병뚜껑(210)의 내주면에 끼워진 펌프본체(220)가 병뚜껑(2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병뚜껑(210)의 일측단에 스톱링(260)이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펌프본체(220)의 연통부(222a)를 통해 병뚜껑(210)의 분출부(212b)로 토출되는 음료를 입으로 직접 음료하거나 컵을 사용하여 마실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노즐(2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병뚜껑(210)의 내주면과 펌프본체(220)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곳에는 상기 연통부(222a)를 통해 배출되던 음료가 상기 병뚜껑(210)의 내주면과 펌프본체(220)의 외주면 사이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통부(222a)의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펌프본체(220)의 외주면에 누출방지부재(28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누출방지부재(280)는 일반적으로 오링(O-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용용기(100)의 개구부(110)가 형성된 상면에도 상기 병뚜껑(210)과 체결된 부위로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링과 같은 누출방지부재(290)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병뚜껑(21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용용기(100)와 체결되도록 내부에 나사부(211a)가 형성된 체결부(211)와, 상기 펌프본체(220)가 끼워져 안착되도록 내부에 걸림턱(212a)과 음료를 분출할 수 있도록 관통된 분출부(212b)를 갖춘 펌프본체안착부(212)를 포함한다.
또 펌프본체안착부(212)의 상측 외주면에는 상기 스톱링(260)이 결합되는 결합홈(21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11)의 외주면에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너어링이 되어 있다.
한편 펌프본체(220)는 도 1과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스톤부재(232)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에어밸브(233)가 바닥면의 하부에서 끼워지도록 된 원통부(221)와, 이 원통부(221)의 상부면 소정위치에 단면 ㄱ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펌프본체안착부(212)로 끼워져 걸림턱(212a)에 안착되도록 한 음료배출부(2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221)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는 막혀 있으나 하부에는 상기 에어밸브(233)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구멍(221a)과, 이 결합구멍(221a)의 주위로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배출구(221b)가 다수개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료배출부(222)는, 상기 분출부(212b)와 연통되는 위치에 연통부(222a)가 형성되고, 이 연통부(222a)의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면서 외주면에 상기 누출방지부재(280)가 끼워지기 위한 원형홈(222b)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다수개의 홈(222c)이 상기 펌프부재(231)와 동기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펌프부재(231)는 도 1과 도 2 및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홈(222c)에 끼워맞춰지는 돌기(231a)가 하부면에 일정각도로 구비된 손잡이부(231b)와, 이 손잡이부(231b)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된 연장부(231c)와, 이 연장부(231c)의 하부에 일체로 팽이 형상으로 연장된 펌핑부(231d)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펌핑부(231d)에는 상부에 도우너츠형상의 원형홈(231e)이 형성되고, 이 원형홈(231e)과 일치하는 위치에 일정각도로 절취홈(231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231c)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는 수축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유체안내부재(240)는 도 1과 도 2 및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펌프본체(220)의 음료배출부(222)에 하부에서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병뚜껑(210)의 걸림턱(212a)에 끼워지는 끼움부(241)와, 이 끼움부(241)에서 연장되어 펌프본체안착부(212)의 내측하부에 끼워짐과 더불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멍(242a)이 형성된 결합부(242)와, 이 결합부(242)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축경되어 상기 연장관(250)이 끼워지도록 일정길이 연장된 안내부(243)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부재(232)는 도 1과 도 2 및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주면에는 상기 펌프본체(220)의 원통부(221)내에 수용되어 펌프부재(231)와 함께 상하로 밀착되어 이동되는 마찰원통부(232a)와, 이 마찰원통부(232a)의 내부에 형성되어 펌핑부재(231)의 펌핑부(231d)를 수용하도록 하부에 경사면(w)을 갖춘 펌핑부수용홈(232b)과, 이 펌핑부수용홈(232b)의 하부에 관통형성된 공기유입구(232c)와, 상기 펌핑부수용홈(232c)의 상부에 관통형성되어 공기유로형성부(232d)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로형성부(232d)는 원형의 구멍에 일정각도로 홈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펌핑부(231d)가 빠지지 않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밸브(233)는 도 1과 도 2 및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결합구멍(221a)에 끼워지는 화살촉 형상의 후크(233a)와, 이 후크(233a)와 연장되어 상기 원통부(221)에 형성된 에어배출구(221b)를 아래쪽에서 막도록 된 밸브변(233b)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스톱링(260)은 도 1과 도 2 및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부에는 펌프본체(220)의 원통부(221)가 병뚜껑(210)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직경의 원형구멍(261)이 형성되고, 내측벽에는 상기 병뚜껑(210)의 결합홈(212c)에 끼워지는 돌기(262)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료용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음료음용선택장치(200)의 음료선택취출부(230)를 조작하게 되면 수용용기(100)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탄산음료(D)에 녹아 있던 탄산가스가 수용용기(100)의 빈 공간으로 나오지 못하게 되므로 음료의 맛이 오래도록 유지되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음료선택취출부(230)의 펌프부재(231)를 잡고 하부로 이동할 때, 상기 펌프부재(231)의 펌핑부(231d)가 피스톤부재(232)의 공기유입구(232c)를 막고서 하부로 이동되므로 상기 펌프본체(220)의 원통부(221)에 있던 공기가 가압되면서 에어배출구(221b)를 통해 에어밸브(233)를 밀어부치면서 가압되게 된다.(도1의 상태)
이후 상기 음료선택취출부(230)의 펌프부재(231)를 잡고 상부로 이동할 때, 상기 펌프부재(231)의 펌핑부(231d)가 막고 있던 피스톤부재(232)의 공기유입구(232c)를 열고서 상부로 이동되는바, 이때 상기 원통부(221)의 하부면에 형성된 에어배출구(221b)를 에어밸브(233)가 막고 있어서, 외부의 공기는 펌프부재(231)의 하부면과 상기 펌프본체(220)의 원통부(221)상부면으로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연장부(231c)→피스톤부재(232)의 공기유로형성부(232d)→원형홈(231e)→절취홈(231f)→공기유입구(232c)를 통해 원통부(221)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가상선의 상태)
이후 재차 상기 음료선택취출부(230)의 펌프부재(231)를 잡고 하부로 이동할 때와 상부로 이동할 때는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1의 상태에서 펌프부재(231)를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펌프부재(231)의 하부로 돌출된 돌기(231a)가 홈(222c)에 끼워져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연통부(222a)가 분출부(212b)와 일치되게 되어(도 2의 상태) 연장관(250)과 유체안내부재(240)를 통해 탄산음료(D)가 상승하면서 연통부(222a)와 분출부(212b) 및 노즐(270)을 통해 토출되게 된다.
이때 계속해서 펌프부재(231)를 상하로 작동하게 되면 지속적으로 탄산음료(D)가 분출되게 된다.
이후 재차 상기 펌프부재(231)를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펌프부재(231)의 하부로 돌출된 돌기(231a)가 홈(222c)에 끼워져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연통부(222a)가 분출부(212b)와 어긋나서 (도 1의 상태) 탄산음료(D)가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 상기 펌프부재(231)를 잡고 상하로 작동하게 되면 탄산음료(D)에 압력이 가해져 탄산음료중에 녹아 있는 탄산가스가 수용용기(100)의 빈공간으로 발산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므로 탄산음료의 맛이 변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바에 의하면, 펌프부재를 상하로 작동하여 용기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내용물속에 존재하는 탄산가스가 용기내부의 빈공간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탄산가스가 탄산음료에 남아 있어 탄산음료의 맛이 오래도록 변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탄산음료등이 수용되는 수용용기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음료음용선택장치를 갖춘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음용선택장치는, 상기 수용용기의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외주면의 소정위치로 탄산음료가 분출되는 분출부를 갖춘 병뚜껑과,
    이 병뚜껑의 내주면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분출부와 선택적으로 연통가능하도록 연통부가 구비된 펌프본체와,
    상기 펌프본체의 중앙부로 끼워져 하부로 이동할 때 수용용기의 내부를 가압하고 상부로 이동할 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가압후에 회전시 상기 펌프본체와 함께 회전되어 수용용기의 탄산음료가 연통부와 분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 음료선택취출부와,
    상기 병뚜껑의 내주면에 끼워져 수용용기의 개구부로 삽입되면서 중앙으로는 소정직경으로 축경되어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병뚜껑의 내주면과 끼워지는 면에는 압축공기가 수용용기의 내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갖춘 유체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선택취출부는, 상기 펌프본체의 중앙상부로 하단부가 상하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펌프본체와 맞물려서 동기회전하도록 설치된 펌프부재와, 이 펌프부재의 하부에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끼워짐과 더불어 펌프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하부로 이동할 때 음료용기의 내부로 공기를 가압하고 상부로 이동할 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펌프본체의 중앙하단에 끼워져 상기 펌프부재와 피스톤부재가 하부로 이동할 때 펌프본체의 내부공기가 용기내부로 유입되도록 탄성변형되고 상부로 이동할 때 펌프본체의 중앙내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펌프본체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에어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부재의 축경된 하부에는 연장관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의 내주면에 끼워진 펌프본체가 병뚜껑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톱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2020000014928U 2000-05-25 2000-05-26 음료용기 KR200201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928U KR200201670Y1 (ko) 2000-05-25 2000-05-26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415A KR100388845B1 (ko) 2000-05-25 2000-05-25 음료용기
KR2020000014928U KR200201670Y1 (ko) 2000-05-25 2000-05-26 음료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415A Division KR100388845B1 (ko) 2000-05-25 2000-05-25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670Y1 true KR200201670Y1 (ko) 2000-11-01

Family

ID=2663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928U KR200201670Y1 (ko) 2000-05-25 2000-05-26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6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845B1 (ko) 음료용기
US5862961A (en) Connection device for dispensing fluid from a bottle
RU2652315C2 (ru) Емкость и клапан для емкости
EP1683755B1 (en) Dispensing assembly and container
US8763866B2 (en) Vessel having compressed CO2 gas source
RU2652498C2 (ru) Емкость для напитков и клапан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напитков
US6616067B1 (en) Dispensing apparatus
WO2008045820A2 (en) Rotating collar and locking and venting closure connector for an air foaming pump dispenser
WO2008048098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fluid
US20070164058A1 (en) Pouring apparatus for carbonated beverages in bottles
US4194653A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AU2006254390A1 (en) Vessel having pressurized CO2 gas source
US5826748A (en) Closed isobaric dispenser for carbonated liquid
KR200201670Y1 (ko) 음료용기
US6820774B2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CN214890530U (zh) 一次性管
JP4511856B2 (ja) 噴出装置、および噴出器
KR200173366Y1 (ko) 안전밸브가 장착된 싸이펀 장치 및 휘핑 장치
CN216549575U (zh) 一种灌装龙头以及灌装系统
JP6929092B2 (ja) 炭酸飲料サーバ
US20150121803A1 (en) System for re-pressurization of bottles
JPS5938360Y2 (ja) ビ−ル注出具
KR200341619Y1 (ko) 디스펜서용 노즐
JP2023527303A (ja) 飲料容器用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