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771A - 블랑켓 매트 - Google Patents

블랑켓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771A
KR20020096771A KR1020010035617A KR20010035617A KR20020096771A KR 20020096771 A KR20020096771 A KR 20020096771A KR 1020010035617 A KR1020010035617 A KR 1020010035617A KR 20010035617 A KR20010035617 A KR 20010035617A KR 20020096771 A KR20020096771 A KR 20020096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et
mat
net
jut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일
Original Assignee
최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일 filed Critical 최원일
Priority to KR102001003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771A/ko
Publication of KR2002009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랑켓 매트(blanket mat)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친자연형 하천 복원과 수변부의 수충부, 인공부도에 설치하여 침식방지 및 식생활착, 토사유출방지 등 다양하게 사용할수 있으며, 블랑켓속에 야자껍질의 섬유 또는 밀짚, 나뭇가지, 흙, 유기질비료, 지룡토, 부숙톱밥, 마사토, 톱밥, 인공토양, 볼(Ball) 등 다양한 성분 을 넣은후 여러형태로 묶어 연결작업이 쉬워지므로 수로, 해안선, 호소, 인공부도 등 호안복원 및 수질개선 공사시 천연 섬유재질이므로 시공시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공법에 적용되므로 그 활용범위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블랑켓 매트는 사용에 있어 시공의 간편성, 자재수급의 용이성, 시공인력 감소, 공사비 절감, 공사기간 단축 등의 효과와 경관적인 면에서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랑켓 매트{Blanket Mat}
본 발명은 블랑켓 매트(blanket ma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하천 복원과 수변부의 수충부, 인공부도 등에 설치하여 침식방지와 식물의 원활한 활착을 돕는 블랑켓 매트(blanket mat)에 관한 구조이다.
종래의 매트는 로프로 만들어진 망에 야자섬유 화이바를 넣어 수충부, 하천, 인공부도 등에 사용되었고, 하천 및 수충부의 경우 경지정리를 하고 시멘트 구조물을 설치하여 하천의 치수개념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하천의 유속이 빠른 지역(장소)에서는 식물이 정착하기가 매우 어렵고 또한 하천 수변부에 식생이 착생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하천의 자연 녹화지를 조성하기 위한 방법은 토목공사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하천 식물을 제거하면서 건설되므로 수서곤충과 어류, 조류 등의 서식처를 파괴하여 생태계를 단순화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설치목적 및 기능, 설치공법에 부합되는 것이 많아서 블랑켓 매트와 같은 다양한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에도 여러 가지 구조가 제시되었으나, 기존에 생산되고 있는 구조체로 공사할 경우 고정방법과 연결방법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로는, 시공성이 떨어지고 자재수급에 있어 불편하고 공사기간의 연장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는 종래의 구조체와는 달리 내부 및 외부에 충진되는 것이 짚류, 나뭇가지, 야자섬유사, 유기물, 황마, 블랑켓, 인공토양, 숯, 볼(ball, 50)등이 있으며 외부망체(40)로 사용되는 것은 야자섬유 로프 또는 PP로프, 블랑켓 등으로 내용물이 빠지지 않도록 둘러싼 후 사용할 경우 친자연형 하천 복원과 수변부의 수충부, 인공부도 등에 적용하므로서 경제적인 면과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랑켓 매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랑켓 매트의 평면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랑켓 매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랑켓 매트의 단면도(로프사용),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랑켓 매트의 평면도(볼 삽입),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예에 대한 단면도(호안공법),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예에 대한 단면도(볼을 삽입한 인공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블랑켓 매트(Blanket Mat) 20 : 블랑켓(Blanket)
30 : 유기물질 또는 자연소재 40 : 외부망체
50 : 볼(bal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를 이용한 사용예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랑켓 매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랑켓 매트의 평면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랑켓매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랑켓 매트의 단면도(로프사용)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블랑켓 매트의 평면도(볼 삽입)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예에 대한 단면도(호안공법)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예에 대한 단면도(볼을 삽입한 인공부도)이다. 본 발명의 『블랑켓 매트(blanket mat)』는 다양한 구조로서 식물을 매트속에 식재하여 하천 수변부와 제방, 법면, 호안, 인공부도 등에 적용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속에 들어가는 것은 유기질비료, 지룡토, 부숙톱밥, 마사토, 톱밥, 인공토양, 블랑켓(blanket, 20) 등 유기물질(30)과 우드칩, coconut fiber, 밀짚, 나뭇가지, 숯 등 자연소재(30) 및 볼(ball, 50)은 햇빛노출시 1-2년 정도, 침수시에는 3년 이상이 되어야 자연분해가 되어 자연으로 환원되므로 토양과 같은 유기물이 되므로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블랑켓(blanket, 20) 속에는 유기물질(30) 및 자연소재(30)인 유기질비료,지룡토, 부속톱밥, 마사토, 톱밥, 인공토양, 우드칩, coconut fiber, 밀짚, 나뭇가지, 숯, 블랑켓 등을 넣어서 만들수도 있고 야자섬유 로프 또는 PP로프 등을 사용하여 블랑켓(blanket, 20)을 감싸서 스폰지(베개)처럼 만든 구조를 갖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에 식물을 식재하여 설치할 경우 하천의 호안부는 물과 접촉시 발생하는 파랑에 의한 피해로부터 보호하고, 식물이 원활하게 자랄 수 있도록 부영양화의 원인인 영양염류를 흡착 및 제거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토양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토양의 유기질화 작용에 의해 식물의 생육시 자연분해되어 토양을 개량하는 역할을 하고, 입자와 입자사이의 공극율이 높아 대기층과 토양층 사이의 통기성을 원활하게 해 주며, 수분 흡수율이 높으므로서 자체적인 함수작용을 하여 함수율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경관적인 측면과 수질개선 효과를 볼 때 인공부도용 매트로 사용할 수 도 있고 직접 수질정화용 인공부도(볼을 삽입한 경우)로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을 사용하여 하천, 연못, 인공부도, 호소 등에 적용하면 경관창출, 생물서식공간(Biotope), 미생물 접촉여재의 효과도 함께 한다.
또한,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는 그 활용범위가 매우 많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를 사용할 경우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비절감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는 속에 유기질비료, 지룡토, 부숙톱밥, 마사토, 톱밥, 인공토양 등 유기물질(30)과 우드칩, coconut fiber, 밀짚, 나뭇가지, 숯 등 자연소재(30) 및 볼(ball, 50)을 다양하게 섞어서 만들수도 있고, 블랑켓(20)으로만 매트를 만들수도 있고, 블랑켓(20)속에 네트류, 카페트류(황마, 코이어)를 넣어 만들수도 있고, 블랑켓(20) 속에 유기물질(30) 또는 자연소재(30) 중에서 한가지만 넣어서 만들수도 있고, 블랑켓(blanket, 20) 외부에 야자섬유 로프, COIR NET, 황마네트, PP로프 등 외부망체(40)를 사용하여 만든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
  2. 제 1항에 있어서,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속에 식생이 가능한 물질(유기물질과 자연소재인 우드칩 등)을 넣은후 +자형태 또는 ×자형태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박음질을 하여 식생이 가능한 물질이 밖으로 나오지 않게 만들수도 있고, 블랑켓 외부에 PP로프 또는 coir net, 황마네트, 야자섬유 로프 등 다양한 외부망체(40)를 사용하여 식생이 가능한 물질이 빠지지 않도록 할수도 있고, 블랑켓(20) 대신 카페트형(펠트)으로 제작이 가능한 재료인 황마, 부직포, 마대, 보온덮개 등을 이용한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에 식물을 식재하여 사용할경우 하천변, 연못, 저수지, 담수호, 호안부, 법면 등 다양하게 호안공법에 적용할 경우 경관창출과 생물서식공간 등을 제공하고 수질정화 효과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이면서 매트속에 볼(ball, 50)을 한 개 이상을 넣어서 사용할 경우 자체적인 부력과 식생이 가능하므로 경관창출 및 생물서식공간(BIO-TOPE)을 제공하면서 수질개선 효과도 낼 수 있는 인공부도용 블랑켓 매트(blanket mat, 10)
KR1020010035617A 2001-06-21 2001-06-21 블랑켓 매트 KR20020096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617A KR20020096771A (ko) 2001-06-21 2001-06-21 블랑켓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617A KR20020096771A (ko) 2001-06-21 2001-06-21 블랑켓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771A true KR20020096771A (ko) 2002-12-31

Family

ID=2771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617A KR20020096771A (ko) 2001-06-21 2001-06-21 블랑켓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7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03B1 (ko) * 2006-03-23 2007-07-24 김영현 수목의 생육 촉진을 위한 액체 비료가 함유된 숯볼의 제조방법
KR101360092B1 (ko) * 2012-07-02 2014-02-12 (주)영일에이치앤티 코코피트 혼합물이 충진된 부직포 포트 및 그로우 백
CN109792947A (zh) * 2019-03-12 2019-05-24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适用于带水作业的卷毯式沉水植物定植装置及其安装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03B1 (ko) * 2006-03-23 2007-07-24 김영현 수목의 생육 촉진을 위한 액체 비료가 함유된 숯볼의 제조방법
KR101360092B1 (ko) * 2012-07-02 2014-02-12 (주)영일에이치앤티 코코피트 혼합물이 충진된 부직포 포트 및 그로우 백
CN109792947A (zh) * 2019-03-12 2019-05-24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适用于带水作业的卷毯式沉水植物定植装置及其安装方法
CN109792947B (zh) * 2019-03-12 2024-01-02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适用于带水作业的卷毯式沉水植物定植装置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931B1 (ko) 생태환경조성 및 수질 정화용 부도체와 그 제조방법
CN101480147B (zh) 一种红树植物的水上栽培方法
US20060231451A1 (en) Growth medium for sphagnum moss
CN110790386A (zh) 浅水型湖泊底泥受污染湖泊陡立湖滨带生态修复方法
CN104787891A (zh) 一种基于微地形改造的藻类水华生态控制系统、控制藻类水华的生态方法及应用
CN109511422A (zh) 一种经济环保型沉水植物苦草栽培藤毡及栽种方法
CN2773062Y (zh) 生物浮岛框架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CN104488480A (zh) 一种水上花卉的栽培方法
KR100297876B1 (ko) 담수호의수질정화용인공부도
CN215836569U (zh) 一种带种植基床的树型鱼礁装置
CN106922344A (zh) 在潮汐湿地应用短叶茳芏开展生态修复的方法
CN104556387B (zh) 水生植物培育装置及用该装置培育植物及净化水体的方法
CN216600966U (zh) 一种修复光滩的植物纤维毯
KR20020096771A (ko) 블랑켓 매트
CN103214094A (zh) 一种固定式复层网托浮岛
CN207061995U (zh) 一种基于植物与生物膜相结合的生态浮床
CN105084547A (zh) 净水装置
KR100456510B1 (ko) 호소의 경사면 녹화장치
JP2004089139A (ja) ビオトープ観察池
KR101898319B1 (ko) 인공 수초섬을 이용한 호수의 조경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인공 수초섬
CN214457151U (zh) 一种漂浮湿地
CN109440726A (zh) 已建硬质海堤生态架构体系及建造方法
CN218570938U (zh) 一种用于海洋光滩的生态修复装置
KR100443210B1 (ko) 벼과식물을 이용한 하천 및 인공식물섬의 식생복원용식물뗏장 및 그 조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