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562A -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562A
KR20020096562A KR1020010035227A KR20010035227A KR20020096562A KR 20020096562 A KR20020096562 A KR 20020096562A KR 1020010035227 A KR1020010035227 A KR 1020010035227A KR 20010035227 A KR20010035227 A KR 20010035227A KR 20020096562 A KR20020096562 A KR 20020096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tainer
variable
vertical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우
양일석
Original Assignee
(주)코스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만 filed Critical (주)코스만
Priority to KR102001003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562A/ko
Publication of KR2002009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5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컨테이너는 양측으로 한 쌍의 지지대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지지대는 수직지지대와 가변지지대로 이루어지고 가변지지대가 수직지지대로 끼워지거나 빠져나오는 것으로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중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4 내지 도 6 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컨테이너지지대(20)의 가변지지대(24)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수직지지대(22)와 일체를 이루게 되어 고정핀(58)을 빼내어도 가변지지대(24)가 수직지지대(22)로부터 수직하방향으로 급격히 내려오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와, 특히 내려와 있는 가변 지지대(24)를 수직 지지대(22)측으로 끼워 넣고자 할 경우에는 코일스프링(30)의 인장력에 의해 가볍게 들어올릴수 있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container support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하측에 신축가능하도록 컨테이너지지대를 설치하되, 컨테이너지지대 내부에 한 쌍의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자중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수송용의 컨테이너는 지상 또는 해상에서의 물품 이송을 위해 적층이 용이하도록 규격화된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직육면체 형상의 컨테이너는 지상에서 화물차로 적재를 하기 위해서는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가 지상에 위치하면 이러한 컨테이너는 그 자체로 하나의 간이 창고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컨테이너는 단순한 직육면상의 강체이기 때문에 하역작업, 또는 적재작업 마다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이 필수적으로 동원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컨테이너는 그 목적상 하역작업과 적재작업이 빈번하고, 하나의 화물차는 이러한 컨테이너를 교체하여 반복적으로 다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게 된다.
이때 마다 컨테이너의 하역과 적재를 위해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의 장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다수의장비와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하측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지지대로 컨테이너 만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지게차나 크레인 등, 별도의 특수장비가 없어도 컨테이너의 하역작업 또는 적재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컨테이너 지지대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 지지대는 예시도 1 내지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본체(1)의 밑면에 길이방향의 수납프레임(2)과 폭방향의 종프레임(3)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지지프레임(4)과, 수평가변지지대(5)와 수직지지대(6)및 가변지지대(7)로 이루어진 컨테이너지지대(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컨테이너지지프레임(4)의 종프레임(3)에 컨테이너지지대(8)가 삽입되며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지지대(8)는 수평가변지지대(5)와 수직지지대(6)로 구분되어 있으며, 수평가변지지대(5)가 종프레임(3)에 삽입되고, 수직지지대(6)에는 가변지지대(7)가 삽입되어 컨테이너지지대(8)의 높이는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가변지지대(7)는 고정핀(9)으로 수직지지대(6)에 고정되며, 고정핀(9)에 의해 고정되는 가변지지대(7)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홀(10)이 형성되어 수직지지대(6)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지지대(8)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본체(1)의 하역작업과 적재작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시도 1의 (a)(b)(c)에 표현된 바와 같이 차체(11)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12)를 상승시켜서 컨테이너본체(1)를차체(11)로부터 들어 올리고 컨테이너지지대(8)의 가변지지대(7)를 하강시켜서 고정시키면 컨테이너본체(1)는 차체(11)에서 들려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체(11)의 유압실린더(12)를 원상태로 하강시키면 컨테이너본체(1)는 컨테이너지지대(8)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따라서 차체(11)와 컨테이너본체(1)는 분리됨으로 차체(11)는 빠져 나올수 있게 되어 컨테이너본체(1)의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컨테이너본체(1)을 차체(11)에 적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역작업의 역순으로 작업을 하면 적재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컨테이너지지대(8)의 높이를 조정하는 가변지지대(7)는 단순히 수직지지대(6)에 끼워져 고정핀(9)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핀(9)을 빼내게 되면 가변지지대(7)는 자중에 의해 내려오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지면으로 내려와 있는 가변지지대(7)를 수직지지대(6)측으로 넣기 위해서는 강재로 이루어져 중량이 많이 나가는 가변지지대(7)를 들어서 넣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컨테이너지지대 내부에 한 쌍의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자중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코일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간단하게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테이너지지대를 이루고 있는 수직지지대와 가변지지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측걸림구와 하측걸림구를 설치하여 한쌍의 코일스프링을 설치하되,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을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측에 하방걸림홈을 형성하여 상측걸림구의 양단부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부덮개를 끼워 넣어 상측결합보울트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하고, 가변지지대의 하단에는 상방걸림홈을 형성하여 하측걸림구의 양단부가 걸리도록 하며, 힌지결합을 이룬 손잡이를 갖춘 하부덮개를 끼워넣어 하측결합보울트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지지대의 가변지지대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수직지지대와 일체를 이루게 되어 고정핀을 빼내어도 가변지지대가 수직지지대로부터 수직하방향으로 급격히 내려오지 않게 되며, 특히 내려와 있는 가변지지대를 수직지지대측으로 끼워 넣고자 할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가볍게 들어올릴수 있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 의 (a),(b),(c)는 종래 컨테이너의 지지대를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을 나타낸 개요도,
도 2 은 종래 컨테이너 지지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 는 종래 컨테이너 지지대가 종프레임의 측부에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지지대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대의 수축상태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대의 신장상태의 종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컨테이너지지대,22 - 수직지지대,
24 - 가변지지대,26 - 상측걸림구,
28 - 하측걸림구,30 - 코일스프링,
32 - 개구부,34 - 하방걸림홈,
36 - 상부덮개,38 - 상측결합보울트,
40 - 상방걸림홈,42 - 손잡이,
44 - 하부덮개,46 - 하측결합보울트.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대의 수축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대의 신장상태의 종단면도 이다.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테이너지지대(20)를 이루는 수직지지대(22)와 가변지지대(24)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측걸림구(26)와 하측걸림구(28)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한쌍의 코일스프링(30)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상단을 절개하여 개구부(32)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측에 하방걸림홈(34)을 형성하여 상측걸림구(26)의 양단부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개구부(32)에는 상부덮개(36)를 끼워 넣어 상측결합보울트(38)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하고, 가변지지대(24)의 하단에는 상방걸림홈(40)을 형성하여 하측걸림구(28)의 양단부가 걸리도록 하며, 힌지결합을 이룬 손잡이(42)를 설치한 하부덮개(44)를 끼워넣어 하측결합보울트(46)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50은 상측걸림구(26)와 하측걸림구(28)의 중앙부에 형성된 너트홀이고, 52는 상측걸림구(26)와 하측걸림구(28)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상부덮개(36)와 하부덮개(44)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부이고, 54는 수직지지대(22)의 개구부(32)와 가변지지대(24)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상부덮개(36)와 하부덮개(44)에 형성된 끼움부이며, 56은 끼움부(54)에 형성된 관통홀, 58은 수직지지대(22)와 가변지지대(24)를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고정핀, 60은 수직지지대(22)의 하측부에 형성된 고정홀, 62은 가변지지대(24)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가변홀 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예시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22)의 상단부에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2)에 한쌍의 하방걸림홈(34)이 형성되어 중앙부에 너트홀(50)을 갖춘 상측걸림구(26)가 설치되며, 가변지지대(24)의 하단부에 상방걸림홈(40)이 형성되어 하측걸림구(28)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 한쌍의 코일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30)은 양단부가 상측걸림구(36)와 하측걸림구(38)에 걸리는 상태로 설치되며, 그 길이는 수직지지대(22)의 길이와 같거나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지지대(22)의 개구부(32)와 가변지지대(24)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부덮개(36)와 하부덮개(44)가 끼움식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상부덮개(36)와 하부덮개(44)에 형성된 끼움부(54)에 의해 견고하게 끼워지면서,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부(52)에 의해 상측걸림구(26)와 하측걸림구(28)는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특히, 상부덮개(36)와 하부덮개(44)의 끼움부(54)에 형성된 관통홀(56)과 상·하측걸림구(26)(28)의 중앙에 형성된 너트홀(50)에 상·하측결합보울트(38)(46)가 체결되면서 상부덮개(36)와 하부덮개(44)는 수직지지대(22)의 상단과 가변지지대(24)의 하단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또한 하부덮개(44)의 양측으로는 힌지결합을 이루는 손잡이(42)가 설치되어 있어 가변지지대(24)를 수직지지대(22)측으로 끼워 넣는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예시도 5와 예시도 6에 표현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22)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가변지지대(24)는 고정핀(58)에 의해 수직지지대(22)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고정핀(58)의 양측으로 코일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어 코일스프링(30)이 신축되는데 간섭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58)을 고정홀(60)과 가변홀(62)로 부터 이탈시키면 가변지지대(24)는 그 자중에 의해 수직하방향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양단부가 수직지지대(22)의 상단에 설치된 상측걸림구(26)와 가변지지대(24)의 하단에 설치된 하측걸림구(28)에 걸려 있는 코일스프링(30)의 인장력에 의해 일정한도 까지만 내려가게 된다.
즉, 가변지지대(24)의 자중에 의해 코일스프링(30)이 늘어나면서 가변지지대(24)는 수직지지대(22)로 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늘어나는 코일스프링 (30)의 인장력에 의해 빠져나가는 가변지지대()는 일정위치에서 멈추게 됨으로 컨테이너지지대(20)의 길이조정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길이가 조정된 컨테이너지지대(20)의 가변지지대(24)는 필요에 따라 수직지지대(22)로 부터 더 빼내거나 수직지지대(22)측으로 넣을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면 수직지지대(22)의 고정홀(60)에 끼워지는 고정핀(58)을 이탈시킨 상태에서 가변지지대(24)의 하단에 설치된 하부덮개(44)의 손잡이(42)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것으로 컨테이너지지대(20)의 길이는 조정된다.
특히, 빠져나온 가변지지대(24)를 수직지지대(22)측으로 끼워넣을 때 작업자는 코일스프링(30)의 인장력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끼워넣을 수 있어 컨테이너지지대(20)의 길이를 조정하는데 용이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테이너지지대(20)의 가변지지대(24)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수직지지대(22)와 일체를 이루게 되어 고정핀(58)을 빼내어도 가변지지대(24)가 수직지지대(22)로부터 수직하방향으로 급격히 내려오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와, 특히 내려와 있는 가변지지대(24)를 수직지지대(22)측으로 끼워 넣고자 할 경우에는 코일스프링(30)의 인장력에 의해 가볍게 들어올릴수 있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컨테이너지지대(20)를 이루는 수직지지대(22)와 가변지지대(24)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측걸림구(26)와 하측걸림구(28)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한쌍의 코일스프링(30)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지지대(22)의 상단을 절개하여 개구부(32)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양측에 하방걸림홈(34)을 형성하여 상측걸림구 (26)의 양단부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개구부(32)에는 상부덮개(36)를 끼워 넣어 상측결합보울트(38)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하고, 가변지지대(24)의 하단에는 상방걸림홈(40)을 형성하여 하측걸림구(28)의 양단부가 걸리도록 하며, 힌지결합을 이룬 손잡이(42)를 설치한 하부덮개(44)를 끼워넣어 하측결합보울트(46)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KR1020010035227A 2001-06-21 2001-06-21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KR20020096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227A KR20020096562A (ko) 2001-06-21 2001-06-21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227A KR20020096562A (ko) 2001-06-21 2001-06-21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567U Division KR200245448Y1 (ko) 2001-06-21 2001-06-21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562A true KR20020096562A (ko) 2002-12-31

Family

ID=2771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227A KR20020096562A (ko) 2001-06-21 2001-06-21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5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082B1 (ko) * 2014-11-12 2015-01-14 (주)우진테크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2130A (en) * 1977-03-31 1978-10-25 Shinken Kougiyou Kk Device for lifting tanks
JPH07165288A (ja) * 1992-03-26 1995-06-27 Taiyo Kogyo Kk 重量物用のコンテナ
KR200245448Y1 (ko) * 2001-06-21 2001-10-17 (주)코스만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2130A (en) * 1977-03-31 1978-10-25 Shinken Kougiyou Kk Device for lifting tanks
JPH07165288A (ja) * 1992-03-26 1995-06-27 Taiyo Kogyo Kk 重量物用のコンテナ
KR200245448Y1 (ko) * 2001-06-21 2001-10-17 (주)코스만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082B1 (ko) * 2014-11-12 2015-01-14 (주)우진테크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87150A (ja) コンテナの荷役積載装置
ES2630330T3 (es) Contenedor
EP2980026B1 (en) Lifting apparatus for a water treatment facility
KR101921289B1 (ko) 핸드 파레트용 케이블드럼 지그 플레이트
US4300611A (en) Hampers with improved lifting apparatus
WO2014092331A1 (ko) 승강형 이송대차
JP2019500543A (ja) 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輸送フレーム
US4542928A (en) Crane/hoist forklift-type lifting apparatus
US20070031231A1 (en) Gas cylinder lift
KR20180106519A (ko) 농작물용 팔레트
US2905501A (en) Lifting hitch
KR200245448Y1 (ko)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US10858151B2 (en) Storage container
KR20020096562A (ko) 컨테이너 지지대의 안전장치
US2987204A (en) Material handling attachment for industrial trucks
US10961017B2 (en) Crane mat stand device
US8480145B2 (en) Vertical bore coil lifting apparatus
US20200079294A1 (en) Transport Frame for Mounting a Gang Box onto a Vehicle
JP3075156B2 (ja) 箱形運搬容器
KR101641906B1 (ko) 안정 고정 크레이트
US10625986B1 (en) Lifting assembly
US2699269A (en) Load handler attachment for industrial lift trucks
US8100257B1 (en) Sub basket
US200501395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objects in a limited headroom area
JP4254288B2 (ja) ガラス搬送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