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802A -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 - Google Patents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802A
KR20020095802A KR1020010034016A KR20010034016A KR20020095802A KR 20020095802 A KR20020095802 A KR 20020095802A KR 1020010034016 A KR1020010034016 A KR 1020010034016A KR 20010034016 A KR20010034016 A KR 20010034016A KR 20020095802 A KR20020095802 A KR 20020095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iquid inlet
sensing device
light receiv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의교
목도균
Original Assignee
김의교
목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교, 목도균 filed Critical 김의교
Priority to KR1020010034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5802A/en
Publication of KR20020095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802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2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6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being actuated by mechanical or fluid means, e.g. using gas, mercury, or a diaphragm as transmitting element, or by a column of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n optical type liquid level sensing device is provided to achieve improved accuracy of liquid level measurement by eliminating the necessity of performing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unit. CONSTITUTION: An optical type liquid level sensing device(12) comprises a liquid inlet tube(18) having, at a bottom thereof, a hole for introduction of oil; an operator side cavity(27) including the space formed in the liquid inlet tube; an operator side piston(46)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gas contained in the operator side cavity, wherein the pressure of the gas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liquid introduced into the liquid inlet tube; a temperature compensator side cavity(28) for containing gas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a temperature compensator side piston(50)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gas contained in the temperature compensator side cavity; a sensor unit(24) connected to one of the operator side piston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or side piston, which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which are opposed with each other; and a shut-off screen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operator side piston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or side piston and connec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Description

광학식 액위 감지 장치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Optical liquid level sensing device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

본 발명은 저장된 액체 부피 또는 액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탱크 또는 수조 등에 저장된 액체의 높이 또는 부피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ed liquid volume or liquid level sensing device, and to an apparatus for sensing the height or volume of a liquid stored in an oil tank or a water tank.

오일탱크나 수조에서 액위를 측정하기 위해 감지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액위 감지장치의 하나가 한국특허공고 제96-13254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공기도입구와 편평한 고무막과, 상부케이스에 설치된 발광 및 수광소자, 고무막에 설치된 반사판으로 구성된다. 수위가 높아지면 공기도입구를 들어오는 공기의 압력이 높아지고 이것이 반사판을 변형시킨다. 반사판의 변형에 의해 광소자와 반사판 사이의 거리 변화가 생긴다. 거리변화는 광소자에서 전기적인 신호변화로 변환되어 외부로 전달된다.Sensors are used to measure the liquid level in oil tanks or baths. One conventional liquid level sensing device is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6-13254. The sensing device includes an air inlet, a flat rubber membrane,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element installed in the upper case, and a reflecting plate installed in the rubber membrane. As the water level rises, the pressure of the air entering the air inlet increases, which deforms the reflector. The deformation of the reflector causes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optical element and the reflector. The distance chang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change in the optical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위와 같은 구조의 감지장치는 액위의 변화 범위가 큰-즉, 깊이가 깊은 저장탱크에는 대응하기 어렵다.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도 변화하기 쉽다. 또한, 종래의 액위 감지장치는 저장된 액체의 액위에 관련된 출력만을 낼 뿐, 저장된 유량에 비례하는 출력까지는 낼 수 없었다.The sensing device of the above structure is difficult to cope with a storage tank having a large change range of liquid level, that is, a deep depth. The electrical signal is also easy to change in response to external temperature changes.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iquid level sensing device only outputs the output related to the liquid level of the stored liquid, and cannot output the output proportional to the stored flow rate.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 액체의 부피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volume of a stored liqui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위의 변화가 큰 저장탱크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a storage tank having a large change in liquid level.

본 발명은 목적은 외기의 온도변화가 있어도 실제 액위에 대응하는 신호는일정하게 낼 수 있는 즉 온도보상이 이루어지는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sensing device capable of uniformly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actual liquid level even when there is a change in temperature of outside air, that is, temperature compens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하는 부품들의 무게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한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ing device that minimizes the influence of the weight of the component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가 설치된 오일탱크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il tank equipped with a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감지장치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nsing device of FIG.

도3은 도1의 감지장치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sensing device of FIG.

도4는 도1의 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일부 부품만을 도시한 도면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nsing device of FIG. 1, showing only some components; FIG.

도5a는 도1의 감지장치의 관의 하단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5b는 측면도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tube of the sensing device of Figure 1 and Figure 5b is a side view

도6은 도1의 감지장치의 연결대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ng rod of the sensing device of FIG.

도7은 도1의 감지장치의 센서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7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a sensor unit of the sensing device of FIG.

도8은 도1의 감지장치의 발광소자의 회로 구성도8 is a circuit diagram of a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sensing device of FIG.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하는 오일탱크를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il tank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10은 도9의 탱크에 적용하는 감지장치에 구비된 센서부의 수광소자의 정면도 및 단면도10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receiving element of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sensing device applied to the tank of FIG.

도11은 도9의 탱크에 적용하는 감지장치에 구비된 발광소자의 도면11 is a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in the sensing device applied to the tank of FI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의 부피 또는 액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evice for sensing the volume or liquid level of the liquid stored in the reservoir,

저장조에 삽입되며 하단부로부터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구멍이 마련된 액체유입관과,A liquid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reservoir and provided with a hole in the lower end to allow liquid to flow from the lower end;

상기 액체유입관 내의 공간을 포함하는 작동측 기체실과,An operation side gas chamber including a space in the liquid inlet pipe,

상기 액체 유입관내에 유입되는 액체 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작동측 기체실의 기체의 압력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측 피스톤과,An operation side piston mov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gas in the operation side gas chambe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 introduced into the liquid inlet pipe;

온도보상용의 기체가 수용되는 온도보상측 기체실과,A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gas chamber in which gas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is accommodated;

상기 온도보상측 기체실의 압력에 따라 이동하는 온도보상측 피스톤과,A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piston mov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gas chamber,

상기 작동측 피스톤과 상기 온도보상측 피스톤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센서부와,A sensor unit connected to one of the operation side piston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piston, the sensor unit includ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acing each other;

상기 작동측 피스톤과 상기 온도보상측 피스톤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연결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It is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operating side piston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piston, and includes a blocking film connec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상기 작동측 기체실과 상기 온도보상측 기체실의 부피가 동일한 감지장치가 제공된다.A sensing device having the same volume of the working side gas chamber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gas chamber is provided.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감지장치는 상기 작동측 기체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캐비티를 구비하는 제1 케이스와,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nsing device comprises a first case having a cavity forming part of the working side gas chamber,

상기 온도보상측 기체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캐비티를 구비하는 제2 케이스와,A second case having a cavity for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gas chamber;

온도보상측 기체실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티와 연결되는 온도 보상관과,A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connected to the cavity forming a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gas chamber,

상기 각각의 캐비티를 막는 변형가능한 격막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피스톤은 대응되는 각 캐비티를 막는 격막에 연결된다.It further comprises a deformable diaphragm blocking said respective cavity. Each piston is connected to a diaphragm that blocks each corresponding cavity.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일체로 된 캐비티 형성 케이스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에 결합되는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에는 부싱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에 의해 피스톤의 이동이 안내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re an integral cavity forming cas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support coupled to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he support being provided with a bushing, the movement of the piston being guided by the bushing.

상기 피스톤은 격막과 접하는 단부에 부착된 판을 구비하며, 상기 부싱과 상기 판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부싱과 상기 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막을 상기 센서부에 대하여 초기 위치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iston has a plate attached to the end in contact with the diaphragm, the elastic member is sandwiched between the bushing and the plat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bushing and the plate. The barrier layer is configured to move the barrier layer to enable initial positioning of the barrier layer.

상기 액체유입관과 온도 보상관은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의 관의 끝단부는 내경이 확대된 확대부를 구비한다. 상기 액체유입관의 하단은 막혀있고, 상기 하단부 근처의 측벽에 액체 유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체유입관의 측벽에는 액체 유입구멍을 덮되 측벽으로부터는 이격된 덮개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보상관의 끝에는 밸브가 마련된다.The liquid inlet tube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are disposed side by side, and each end of the tube has an enlarged portion having an enlarged inner diameter. The lower end of the liquid inlet pipe is blocked, and a liquid inlet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near the lower end. The sidewall of the liquid inlet pipe is provided with a cover covering the liquid inlet hole and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 A valv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tube.

상기 수광소자에는 수광셀과 상기 수광셀 앞에 탱크의 횡단면적에 대응하는형상을 갖는 구멍이 마련된 덧대기 판이 마련된다. 수광소자는 솔라셀을 포함한다.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provided with a padding plate provided with a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ank in front of the light receiving cell.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ncludes a solar cel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의 부피 또는 액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n apparatus for sensing the volume or liquid level of a liquid stored in a reservoir,

저장조에 삽입되며 하단부로부터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구멍이 마련된 액체 유입관과,A liquid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reservoir and provided with a hole in the lower end to allow liquid to flow from the lower end;

액체 유입관 내의 공간을 포함하는 기체실을 형성해주도록 상기 액체 유입관과 연결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케이스 부재와,A case member forming a cavity connected to the liquid inlet pipe so as to form a gas chamber including a space in the liquid inlet pipe;

상기 액체 유입관내에 유입되는 액체 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작동측 기체실의 기체의 압력에 따라 이동하되, 상기 캐비티의 아래에 위치하는 피스톤과,A piston positioned under the cavity, the piston being mov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gas in the working side gas chambe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 introduced into the liquid inlet pipe;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센서부와,A sensor unit ha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acing each other;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연결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blocking film connec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상기 차단막과 상기 센서부 중에 하나는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는 감지장치가 제공된다.One of the blocking membrane and the sensor unit is provided with a sensing device connected to the pist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의 부피 또는 액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n apparatus for sensing the volume or liquid level of a liquid stored in a reservoir,

저장조에 삽입되며 하단부로부터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구멍이 마련된 액체 유입관과,A liquid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reservoir and provided with a hole in the lower end to allow liquid to flow from the lower end;

액체 유입관 내의 공간을 포함하는 기체실을 형성해주도록 상기 액체 유입관과 연결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케이스 부재와,A case member forming a cavity connected to the liquid inlet pipe so as to form a gas chamber including a space in the liquid inlet pipe;

상기 액체 유입관내에 유입되는 액체 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작동측 기체실의 기체의 압력에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과,A piston mov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gas in the working side gas chambe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 introduced into the liquid inlet pipe,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센서부와,A sensor unit ha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acing each other;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연결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blocking film connec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상기 차단막과 상기 센서부 중에 하나는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One of the blocking membrane and the sensor unit is connected to the piston,

상기 수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단막을 향한 쪽에 위치하는 구멍이 있는 덧대기 판을 구비하는데, 상기 구멍에서 상기 차단막의 이동방향의 한쪽 끝에서부터의 거리(이하 "이동방향 거리") 대 상기 차단막의 이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폭의 비율은 상기 이동방향 거리에 대응하는 탱크의 높이 대 그 높이에서의 상기 탱크의 횡단면적의 비율과 대체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가 제공된다.At least on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has a padding plate having a hole located on the side facing the blocking film,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locking film in the h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ving distance”) And a ratio of the wid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arrier membrane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tank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distance to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ank at that heigh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오일탱크에 있는 오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described as to measure the amount of oil in the oil tank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1을 참조하면, 오일탱크(10)에는 감지장치(12)가 설치된다. 감지장치(12)는 캐비티 형성 케이스(14)와 하우징(26)에 싸여 있다. 케이스(14)에는 온도 보상관(17)과 액체유입관(18)이 연결된다. 온도 보상관(17)과 액체유입관(18)은 오일탱크(10)의 바닥까지 연장된다.Referring to FIG. 1, the sensing device 12 is installed in the oil tank 10. The sensing device 12 is enclosed in the cavity forming case 14 and the housing 26. The case 14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17 and the liquid inlet tube 18.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17 and the liquid inlet tube 18 extend to the bottom of the oil tank 10.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감지장치(12)는 캐비티 형성 케이스(14)와, 구동부 지지 케이스(16)와, 이들 사이에 끼워지는 유연한 탄성을 갖는 격막(20)을 구비한다. 감지장치(12)는 구동기구(22)와 센서부(24)를 구비한다. 하우징(26)은 구동부 지지 케이스(16), 구동기구(22), 센서부(24)를 덮어준다.2 to 4, the sensing device 12 includes a cavity forming case 14, a driving unit supporting case 16, and a diaphragm 20 having a flexible elasticity sandwiched therebetween. The sensing device 12 includes a drive mechanism 22 and a sensor portion 24. The housing 26 covers the driving unit support case 16, the driving mechanism 22, and the sensor unit 24.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캐비티 형성 케이스(14)에는 작동측 캐비티(27)와 온도보상측 캐비티(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캐비티(26,28)는 대체로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26,28)의 상부 벽에는 관연결구(30)가 뚫려있다. 캐비티 형성 케이스(14)는 캐비티(26,28) 입구 쪽에 플랜지(32)를 구비한다.2 and 4, the cavity forming case 14 is formed with an operating side cavity 27 and a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cavity 28. These cavities 26 and 28 are formed in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Pipes 30 are drilled in the upper walls of the cavities 26 and 28. The cavity forming case 14 has a flange 32 at the inlet side of the cavity 26, 28.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구동부 지지 케이스(16)는 캐비티 형성 케이스(14)와 대체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구동부 지지 케이스(16)에는 상기 캐비티 형성 케이스(14)의 각 캐비티(26,28)에 대응하는 홈(34)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홈(34)이 형성하는 공간에 구동기구(22)의 부품들이 설치된다.2 and 4, the drive support case 16 has a shape that is generally similar to the cavity forming case 14. The drive part support case 16 is provided with the groove | channel 34 corresponding to each cavity 26 and 28 of the said cavity formation case 14, The component of the drive mechanism 22 in the space which this groove | channel 34 forms is formed. Are installed.

각 홈(34)의 바닥에는 구멍(36)이 뚫려 있으며, 이 구멍(36)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36)에 부싱(38,54)이 끼워진다. 부싱(38,5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부싱(38,54)을 돌리면 부싱(38,54)이 위 아래로 이동한다. 구동부 지지 케이스(16)는 홈(34)의 입구 쪽에 플랜지(40)를 구비한다.Holes 36 are drilled in the bottoms of the grooves 34, and female holes are formed in the holes 36. Bushings 38 and 54 are fitted into this hole 36. 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bushings 38 and 54. As the bushings 38 and 54 are turned, the bushings 38 and 54 move up and down. The drive support case 16 has a flange 40 on the inlet side of the groove 34.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격막(20)은 테두리(42)와 굴곡부(44)와 편평한 중앙부(45)를 구비한다. 조립 시, 테두리(42)는 캐비티 형성 케이스(14)와 지지 케이스(16)의 각 플랜지(32,40) 사이에 끼이게 한다. 플랜지(32,40) 사이를 적절한 체결방법(너트 및 볼트, 리벳, 용접, 시밍<seaming> 또는 접착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면 격막(20)도 고정된다. 굴곡부(44)는 원주방향으로 빙 둘러 형성되는데, 테두리에 가까운 쪽은 위로 볼록하며, 중앙부 쪽은 아래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격막(20)의 굴곡부(44)의 구성은 이와 달리할 수도 있다. 격막(20)은 합성고무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탄성 플라스틱 수지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2 and 4, the diaphragm 20 has an edge 42, a bend 44, and a flat central portion 45. In assembly, the rim 42 is sandwiched between each of the flanges 32, 40 of the cavity forming case 14 and the support case 16. The diaphragm 20 is also fixed by coupling between the flanges 32 and 40 using an appropriate fastening method (nuts and bolts, rivets, welding, seaming or bonding, etc.). The bent portion 44 is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ide close to the rim is convex upward, the center side is made of a convex downwar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bent portion 44 of the diaphragm 20 may be different. The diaphragm 2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ubber material, or may be made of an elastic plastic resin material.

도2를 참조하면, 구동기구(22)는 작동측 피스톤(46)을 구비한다. 작동측 피스톤(46)의 선단 원판(48)은 격막(20)의 중앙부(45)를 밀고 있다. 작동측 피스톤(46)은 부싱(38)의 길이방향으로 뚫린 안내 구멍을 통하여 연장된다. 부싱(38)과 선단 원판(48) 사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8)가 끼워진다. 탄성부재(49)는 피스톤(46)을 격막(20) 쪽으로 민다.Referring to Fig. 2, the drive mechanism 22 has an operating side piston 46. The distal end plate 48 of the operating side piston 46 pushes the central portion 45 of the diaphragm 20. The actuating side piston 46 extends through the longitudinally drilled guide hole of the bushing 38. An elastic member 48, such as a compression coil spring, is fitted between the bushing 38 and the leading disc 48. The elastic member 49 pushes the piston 46 toward the diaphragm 20.

구동기구(22)는 온도보상측 피스톤(50)을 구비한다. 이 피스톤(50)의 후단부를 제외하고는 작동측 피스톤(46)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스톤(50)을 밀어주는 탄성부재(52)의 구성, 부싱(54)의 구성도 작동측 피스톤(46)의 경우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rive mechanism 22 has a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piston 50. Except for the rear end of the piston 50, sinc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operating side piston 46,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member 52 which pushes the piston 50, and the structure of the bushing 54 are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operation side piston 46,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작동측 피스톤(46)의 후단에는 연결대(56)가 결합된다. 연결대(56)는 온도보상측 피스톤(50)까지 연장된다. 연결대(56)의 끝에는 차단막(58)이 고정되어 있다. 온도보상측 피스톤(50)의 후단에는 센서부(24)가 고정되어 있다.The connecting table 56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operating side piston 46. The connecting table 56 extends to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piston 50. The blocking film 58 is fix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table 56. The sensor portion 24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piston 50.

하우징(26)은 구동기구(22)와 지지 케이스를 덮는다. 하우징(26)과 지지 케이스(16)에는 공기 유동 구멍을 구비해 두는 것이 좋다.The housing 26 covers the drive mechanism 22 and the support case. The housing 26 and the support case 16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air flow holes.

도1, 도2, 도3, 도5a, 도5b를 참조하면, 온도 보상관(17)과 액체유입관(18)은 각각 온도보상측 캐비티(28)와 작동측 캐비티(27)에 연결되어 위쪽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다가 뒤쪽으로 꺾이어 아래쪽으로 연장된다(도3 참조). 이들 관(16,18)은 뒤에서 모아져 오일탱크(10) 안쪽으로 삽입되어 바닥 가까운 곳까지 연장된다.1, 2, 3, 5a, and 5b,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17 and the liquid inlet tube 18 are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side cavity 28 and the operating side cavity 27, respectively. It protrudes upward and extends downward, and extends downward (see Fig. 3). These tubes 16 and 18 are collected from behind and inserted into the oil tank 10 and extend to near the bottom.

도1 및 도5a를 참조하면, 이들 관(16,18)의 끝부분은 관이 확장되어 있다. 이는 탱크에 저장된 오일(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액체)과 관벽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표면장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1 and 5A, the ends of these tubes 16, 18 are extended. This is to minimize the effect of surface tensions that may occur between the oil stored in the tank (other liquids in other embodiments) and the pipe wall.

온도 보상관(17)의 확장부(61) 끝에는 마개(62)가 구비된다. 마개(62)에는 수나사가 마련되며, 확장부(61) 내에는 암나사가 마련된다. 마개(62)와 확장부(61)의 끝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O링(64)이 구비된다. 이 마개는 관을 탱크(10) 삽입하기 직전에 막아둔다. 그러면, 온도 보상관(17)과 액체 유입관(18)의 삽입 전 공기압이 동일하게 된다. 온도 보상관(17)과 액체 유입관(18)은 그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A stopper 6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61 of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17. The stopper 62 is provided with a male screw, and the expansion portion 61 is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Between the stopper 62 and the end of the extension 61 is provided an O-ring 64 for sealing. This stopper closes the tube just before the tank 10 is inserted. Then, the air pressure before insertion of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17 and the liquid inlet tube 18 becomes equal.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17 and the liquid inflow tube 18 have the same length.

액체 유입관(18)의 확장부(66)의 바닥 끝은 막혀 있다. 하단부 근처의 측벽에는 액체가 드나들 수 있는 액체 유입구(68)가 마련된다. 액체 유입구(68)가 측벽 쪽에 설치되어 있어 액체 유입관(18)이 탱크(10)의 바닥에 닿아도 유체가 들어올 수 있다. 액체 유입구(68) 근처에는 확장부(66)의 측벽과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틈이 생기도록 확장부(66)의 측벽으로부터 떨어진 덮개(70)가 마련된다. 이 덮개(70)에 의해 탱크 내 유류의 흔들림이 있더라도 확장부(66) 내의 액위가 받는 영향이 감소한다.The bottom end of the extension 66 of the liquid inlet tube 18 is blocked. The side wall near the bottom is provided with a liquid inlet 68 through which liquid can enter. Since the liquid inlet 68 is installed at the side wall, the fluid may enter even when the liquid inlet tube 18 touches the bottom of the tank 10. Near the liquid inlet 68, a cover 70 is provided away from the side wall of the extension 66 to create a gap through which the side wall of the extension 66 and the fluid can pass. The cover 70 reduces the influence of the liquid level in the expansion 66 even if there is a shake of the oil in the tank.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액체 유입관(18)과 캐비티(27)가 형성하는 작동측 공기실의 부피와 온도 보상관(17)과 캐비티(28)가 형성하는 온도 보상측 공기실의 부피는 동일하게 하는 것이 좋다. 그 차이가 커질수록 온도에 따른 오차가 커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1의 실시예에서는 각 캐비티(27,28)의 부피를 동일하게 한다. 또한, 관(16,18)의 굵기 및 길이도 동일하게 한다. 그러면, 쉽게 부피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1 and 2, the volume of the working side air chamber formed by the liquid inlet pipe 18 and the cavity 27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side air chamber formed by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17 and the cavity 28. The volume should be the same. The greater the difference, the greater the error due to temperature. To this end,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volumes of the cavities 27 and 28 are equal. In addition,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tubes 16 and 18 are also the same. Then, the volume can be easily equalized.

도6을 참조하면, 작동측 피스톤(46)의 끝에는 작은 직경의 돌기부(72)가 마련된다. 이 돌기부(72)에는 홈(74)이 마련되며 거기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대(56)에는 관통구멍(76)이 있는 보스(78)가 구비된다. 관통구멍(76)의 끝에는 턱(80)이 마련된다. 보스(78)의 구멍(76)이 돌기(72)에 끼워진다. 돌기(72) 끝과 턱(80) 사이에는 코일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82)가 위치한다. 턱(80)의 외측으로부터 나사(84)를 삽입한다. 나사(84)를 죄면 연결대(56)는 작동측 피스톤(46) 쪽으로 근접하게 된다. 나사를 풀면, 탄성부재(82)가 연결대(56)를 밀어낸다. 이것으로 연결대(5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보스(78)의 측벽에는 반경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가 가능한 고정나사(86)가 구비된다. 연결대(56)의 위치를 맞춘 후, 이 고정 나사로 연결대(56)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Referring to Fig. 6, the end portion of the actuating piston 46 is provided with a small diameter projection 72. The protrusions 72 are provided with grooves 74 and female threads are formed therein. The connecting table 56 is provided with a boss 78 having a through hole 76. The jaw 8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hrough hole 76. The hole 76 of the boss 78 is fitted into the projection 72. An elastic member 82 such as a coil compression spring is positioned between the end of the protrusion 72 and the jaw 80. The screw 84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jaw 80. Tightening the screw 84 brings the connecting rod 56 close to the actuating side piston 46. When the screw is loosened, the elastic member 82 pushes out the connecting table 56. This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table 56. The side wall of the boss 78 is provided with a fixing screw 86 capable of radially advancing or retracting. After aligning the connecting table 56, the fixing table 56 is fixed so that the connecting table 56 does not move.

도7을 참조하면, 센서부(24)는 지지체(88)를 구비한다. 지지체(88)는 나란히 마주보는 지지대(90)를 갖는다. 마주보는 면 안쪽에는 홈이 파이고, 이 홈에 발광소자(92)와 수광소자(94)가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이 수광소자(94)와 발광소자(92) 사이의 틈에 위에서 설명한 차단막(58)이 끼워진다. 수광소자(94)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dS 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것은 분해능이 우수한 솔라셀을 사용하는 것이다. 수광소자와 차단막 사이의 틈 및 발광소자와 차단막 사이의 틈은 이동을 허용하는 정도에서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도2를 참조하면, 와이어가 수광소자 및 발광소자에 연결된다.와이어를 통하여 발광소자에는 전원을 공급하여 후술하는 발광 다이오드가 빛을 내게 한다. 수광소자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서는 수광량에 대응하는 출력(전압 또는 전류)이 외부로 전달되고 이 물리량을 처리하여 액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른 양은 출력신호 처리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처리되어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다.Referring to FIG. 7, the sensor unit 24 includes a support 88. The support 88 has a support 90 facing side by side. A groove is dug in the inner side of the facing surfac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92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4 are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groove. The blocking film 58 described above is sandwiched in the gap betwee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4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92.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4 may use a device that is commonly used. For example, a CdS cell may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solar cell having excellent resolution. The gap betwee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blocking film and the gap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blocking film may be minimized to a degree that permits movement. Referring to Figure 2, a wire is connec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A light emitting dio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mits light by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rough the wire. Through a wire connec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 output (voltage or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light receiving amoun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the physical level can be processed to detect the liquid level. The amount is then processed by an output signal processing device (not shown) and displayed for human viewing.

도8을 참조하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발광소자(92)의 구조가 하나의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발광소자(92)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96)와,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에 직렬 연결한 다수의 저항(98)을 구비한다. 발광 다이오드끼리는 일렬로 병렬 연결된다. 저항값은 모두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나, 중앙에 있는 저항은 크게 하고 양단부 쪽에 있는 저항은 작게 하는 것이 좋다. 발광 다이오드는 반사판이 없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빛의 음영이 생기지 않아 좋다.Referring to Fig. 8, the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element 92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is shown as an example. The light emitting device 92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96 and a plurality of resistors 98 connected in series to each light emitting diode. The light emitting diodes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a line. The resistance values may be the same, but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at the center and the resistance at both ends. As for the light emitting diode, it is good to use the one without a reflector so that the light does not shade.

이하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1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device 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18)을 탱크(10)에 넣으면,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에는 액체가 유입된다. 이에 따라, 처음 작동측 공기실의 공기의 압력이 높아진다. 이 압력은 피스톤(46)을 밀어낸다. 피스톤(46)이 이동하면, 발광소자(92)와 수광소자(94) 사이의 차단막이 이동한다. 차단막(58)은 부분적으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열게 되고 수광소자는 받은 빛의 양에 해당하는 출력을 외부로 내보낸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tube 18 is placed in the tank 10, as shown in Fig. 5A, liquid flows into the tube. Accordingly, the pressure of the air in the first operating side air chamber is increased. This pressure pushes the piston 46. When the piston 46 moves, the blocking film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92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94 moves. The blocking film 58 partially opens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sends an output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o the outside.

만일 외기의 온도가 높아지면, 작동측 공기실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피스톤(46)을 밀어 올린다. 이 때, 온도 보상관 및 온도 보상측 공기실 내의 압력도 동일하게 증가하여 피스톤(50)을 피스톤(46)과 같은 양만큼 밀어 올린다. 두 공간에 있는 공기의 양(무게)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외부 온도가 변하여도, 센서부에서 외부로 내보내는 출력은 동일한 조건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If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high, the pressure in the operating side air chamber is increased to push up the piston 46. At this time, the pressure in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side air chamber is also increased to push up the piston 50 by the same amount as the piston 46.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air in the two spaces is about the same. Accordingly, even if the external temperature changes, the output from the sensor unit to the outside can maintain the same condition.

도9를 참조하면, 다른 형태의 오일탱크(110)가 도시되어 있다. 받침(112)이 구비된 이 탱크(110)는 종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이다. 이러한 오일탱크(110)에도 본 발명의 감지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하는 감지장치는 도10a,도10b, 도11에 도시한 수광소자(114)와 발광소자(116)를 사용한다.Referring to Figure 9, there is shown another type of oil tank 110. The tank 110, which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112, ha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The s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such an oil tank 110. At this time, the sensing device used use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14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116 shown in Figs. 10A, 10B and 11.

도10a 및 도10b를 참조하면, 수광소자(114)는 수광셀(118)과 덧대기 판(120)을 구비한다. 덧대기 판(120)에는 탱크(110)의 종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발광소자(116)에는 회로기판(122) 위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24)를 배치한 것이다. 이 회로기판(122) 뒷면에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24)에 전기를 공급하는 구리박막(동박) 회로선이 마련된다. 이러한 동박회로선의 배열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발광소자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회로기판 외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면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10A and 10B,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14 includes a light receiving cell 118 and a padding plate 120. The patch plate 120 is formed with a hol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tank 110. Referring to FIG. 11,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124 are disposed on a circuit board 122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116. A copper thin film (copper foil) circuit line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124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circuit board 122.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n arrangement of copper foil circuit lines is possible.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a generally known surface light source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circuit board using the light emitting diode.

위와 같은 구성이라면, 액위뿐 아니라 저장된 액체의 부피에 대응하는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탱크는 종단면 형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덧대기 판의 구멍 형상을 탱크의 종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러나, 종단면 형상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형상의 탱크(예를 들면, 구형 탱크)라면 이와는 다르게 구멍의 형상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는 탱크의 높이대 탱크의 횡단면적 사이의 비율과 덧대기 판 구멍의 높이(상하방향 위치)-구멍의 폭 사이의 비율이 대체로 동일하게 구멍을 형성하면 된다. 부연 설명하면, 탱크의 바닥은 덧대기 판의 구멍의 상하방향(정확하게는 차단막의 이동방향)의 일단부에 대응한다고 하면, 덧대기 판의 구멍을 형성할 때, 상기 덧대기 판의 구멍에서는 상기 일단부로부터의 거리 대 구멍의 횡방향(정확하게는 차단막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방향) 폭의 비율을 탱크 바닥으로부터의 높이 대 그 높이에서의 탱크의 횡단면적의 비율에 맞추어주는 것이다. 그러면, 구형 탱크 또는 다양한 형상의 탱크에 대해서도 저장 유량에 비례하는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not only the liquid level but also th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the stored liquid can be obtained. The tank in this embodiment has the same shape as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tank, since the longitudinal section shape is always kept constant. However, in the case of a tank (for example, a spherical tank) of a shape in which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is not always kept constant, the shape of the hole must be formed differently. In this case, the ratio between the height of the tank and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ank and the height (up and down position) of the padding plate hole and the width of the hole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In other words, when the bottom of the tank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hole of the padding plate (exactl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rrier film), when the hole of the padding plate is formed, The ratio of the distance from one end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hole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arrier) is matched to the ratio of th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tank to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ank at that height. Then, even in the case of a spherical tank or a tank of various shapes, an output proportional to the storage flow rate can be obtained.

위 실시예에서는 감지장치로부터 나오는 출력이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부피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감지장치가 탱크에 저장된 액체의 높이(즉, 액위)에 대응하는 출력을 내보내도록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부피는 그 액위에 대응하는 출력을 가지고 외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계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액위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것을 접수하여 그에 대한 부피를 계산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상기 명세서의 기재를 참조하여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해당 탱크에 대한 액위와 부피 사이의 관계를 데이터베이스로서 비휘발성 램 또는 롬에 저장해 둘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output from the sensing device is adapted to correspond to the volume of liquid stored in the tank. Alternatively, when the sensing device is configured to output an outpu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ie, liquid level) of the liquid stored in the tank, the volume may have an external microprocessor calculate with the output corresponding to that level.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processor to receive the conversion of the liquid level output into a digital signal and calculate the volume thereof may be performed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hereinabove.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quid level and volume for the tank may be stored in a nonvolatile RAM or ROM as a database.

이제까지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인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실시예에 대한 변경 또는 수정을 가할 수 있으며, 상기 변경 또는 수정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는 온도에 따라 내부 공기 압력이 변하여도 센서부에서 나오는 신호에는 변화가 없다. 온도 보상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센서부에서 나오는 신호를 외부의 전자 장치에서 별도의 온도 보상을 해줄 필요가 없어 액위 측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공기실이 상부에 위치하므로, 감지장치의 각종 부품의 무게에 의해 측정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아울러, 면광원을 사용하고 수광소자 위에 덧대기 판을 사용하면, 어떠한 형태의 탱크에도 감지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change in the signal from the sensor even if the internal air pressure changes with temperature. This is because temperature compensation is automatic.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 temperature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with the signal from the sensor unit, so that the liquid level measurement can be accurately performed. Since the air chamber is located at the top, the possibility of measurement error due to the weight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sensing device is reduced. In addition, by using a surface light source and using a padding plate 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the sensing device can be used in any type of tank.

Claims (15)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의 부피 또는 액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A device for sensing the volume or level of liquid stored in a reservoir, 저장조에 삽입되며 하단부로부터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구멍이 마련된 액체 유입관과,A liquid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reservoir and provided with a hole in the lower end to allow liquid to flow from the lower end; 상기 액체 유입관 내의 공간을 포함하는 작동측 기체실과,An operation side gas chamber including a space in the liquid inlet pipe, 상기 액체 유입관내에 유입되는 액체 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작동측 기체실의 기체의 압력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측 피스톤과,An operation side piston mov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gas in the operation side gas chambe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 introduced into the liquid inlet pipe; 온도보상용의 기체가 수용되는 온도 보상측 기체실과,A gas chamber on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side to accommodate gas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상기 온도 보상측 기체실의 압력에 따라 이동하는 온도 보상측 피스톤과,A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piston mov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gas chamber, 상기 작동측 피스톤과 상기 온도 보상측 피스톤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센서부와,A sensor unit connected to any one of the operation side piston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piston and ha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acing each other; 상기 작동측 피스톤과 상기 온도 보상측 피스톤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연결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It is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operating side piston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piston, and includes a blocking film connec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상기 작동측 기체실과 상기 온도 보상측 기체실의 부피가 동일한 감지장치.And a sensing device having the same volume as the operating gas chamber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gas cha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작동측 기체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캐비티를 구비하는 제1 케이스와,A first case having a cavity forming a part of the working side gas chamber, 상기 온도 보상측 기체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캐비티를 구비하는 제2 케이스와,A second case having a cavity for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side gas chamber; 온도 보상측 기체실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티와 연결되는 온도 보상관과,A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connected to the cavity forming a gas compensating gas chamber; 상기 각각의 캐비티를 막는 변형가능한 격막을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deformable diaphragm blocking said respective cavity, 상기 각각의 피스톤은 대응되는 각 캐비티를 막는 격막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Wherein each piston is connected to a diaphragm blocking each corresponding cavity. 제2항에 있어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일체로 된 캐비티 형성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re integral cavity forming ca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에 결합되는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에는 부싱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에 의해 피스톤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sensing device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coupled to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wherein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bushing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piston by the bush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격막과 접하는 단부에 부착된 판을 구비하며, 상기 부싱과 상기 판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부싱과 상기 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부싱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iston has a plate attached to the end in contact with the diaphragm, the elastic member is sandwiched between the bushing and the plate, the bushing is mov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bushing and the plate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ossibl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을 상기 센서부에 대하여 초기 위치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막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blocking film can be moved to enable initial positioning of the blocking film with respect to the sensor unit.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입관과 온도 보상관은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의 관의 끝단부는 내경이 확대된 확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wherein the liquid inlet tube and the temperature compensating tube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an end portion of each tube includes an enlarged portion having an enlarged inner diameter.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입관의 하단은 막혀있고, 상기 하단부 근처의 측벽에 액체 유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7, wherein a lower end of the liquid inlet pipe is blocked and a liquid inlet is formed in a side wall near the lower en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액체 유입구멍을 덮되 측벽으로부터는 이격된 덮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sensing device of claim 8, wherein a cover is formed on the side wall to cover the liquid inflow hol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보상관의 끝에는 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9, wherein a valv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tube.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에는 수광셀과 상기 수광셀 앞에는 구멍이 마련된 덧대기 판이 구비되며, 상기 구멍에서 상기 차단막의 이동방향의 한쪽 끝에서부터의 거리(이하 "이동방향 거리") 대 상기 차단막의 이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폭의 비율은 상기 이동방향 거리에 대응하는 탱크의 높이 대 그 높이에서의 상기 탱크의 횡단면적의 비율과 대체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provided with a light receiving cell and a padding plate provided with a hole in front of the light receiving cell, and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locking film in the hole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ving distance") and the ratio of the wid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rrier membrane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tank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distance to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ank at that height. Sensing device.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는 솔라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comprises a solar cell.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캐비티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The sens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iston is located below the cavity.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의 부피 또는 액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A device for sensing the volume or level of liquid stored in a reservoir, 저장조에 삽입되며 하단부로부터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구멍이 마련된 액체 유입관과,A liquid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reservoir and provided with a hole in the lower end to allow liquid to flow from the lower end; 액체 유입관 내의 공간을 포함하는 기체실을 형성해주도록 상기 액체 유입관과 연결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케이스 부재와,A case member forming a cavity connected to the liquid inlet pipe so as to form a gas chamber including a space in the liquid inlet pipe; 상기 액체 유입관내에 유입되는 액체 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작동측 기체실의 기체의 압력에 따라 이동하되, 상기 캐비티의 아래에 위치하는 피스톤과,A piston positioned under the cavity, the piston being mov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gas in the working side gas chambe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 introduced into the liquid inlet pipe;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센서부와,A sensor unit ha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acing each other;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연결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blocking film connec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상기 차단막과 상기 센서부 중에 하나는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는 감지장치.One of the blocking film and the sensor unit is connected to the piston.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의 부피 또는 액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A device for sensing the volume or level of liquid stored in a reservoir, 저장조에 삽입되며 하단부로부터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구멍이 마련된 액체 유입관과,A liquid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reservoir and provided with a hole in the lower end to allow liquid to flow from the lower end; 액체 유입관 내의 공간을 포함하는 기체실을 형성해주도록 상기 액체 유입관과 연결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케이스 부재와,A case member forming a cavity connected to the liquid inlet pipe so as to form a gas chamber including a space in the liquid inlet pipe; 상기 액체 유입관내에 유입되는 액체 양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작동측 기체실의 기체의 압력에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과,A piston mov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gas in the working side gas chambe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quid introduced into the liquid inlet pipe,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센서부와,A sensor unit having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facing each other;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연결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blocking film connect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상기 차단막과 상기 센서부 중에 하나는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One of the blocking membrane and the sensor unit is connected to the piston, 상기 수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단막을 향한 쪽에 위치하는 구멍이 있는 덧대기 판을 구비하는데, 상기 구멍에서 상기 차단막의 이동방향의 한쪽 끝에서부터의 거리(이하 "이동방향 거리") 대 상기 차단막의 이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폭의 비율은 상기 이동방향 거리에 대응하는 탱크의 높이 대 그 높이에서의 상기 탱크의 횡단면적의 비율과 대체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장치.At least on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has a padding plate having a hole located on the side facing the blocking film,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locking film in the h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ving distance”) And the ratio of the wid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arrier film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tank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distance to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ank at that height.
KR1020010034016A 2001-06-15 2001-06-15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 KR200200958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016A KR20020095802A (en) 2001-06-15 2001-06-15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016A KR20020095802A (en) 2001-06-15 2001-06-15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802A true KR20020095802A (en) 2002-12-28

Family

ID=2770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016A KR20020095802A (en) 2001-06-15 2001-06-15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580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260B1 (en) * 1997-11-11 2000-01-15 목도균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
JP2000329607A (en) * 1999-05-19 2000-11-30 Yazaki Corp Liquid level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260B1 (en) * 1997-11-11 2000-01-15 목도균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
JP2000329607A (en) * 1999-05-19 2000-11-30 Yazaki Corp Liquid level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811B1 (en) Fluid measurement sensor attachment structure
US6595051B1 (en) Fluid level sensing and control system
US5661245A (en) Force sensor assembly with integrated rigid, movable interface for transferring force to a responsive medium
CN101509817B (en) Differential flui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US9164008B2 (en) Pressure detector
CN103959021B (en) For the liquid level sensor of the liquid level of the liquid in inspection instrument
WO2006132025A1 (en) Flow rate meter and flow ra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JP2005201214A (en) Fuel supply device
KR101948784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fuel amount of fuel tank using ultrasonic sensor
KR102612893B1 (en) Pressure detection device
US20130050313A1 (en) Fluid Level Sensing System And Method
US4831878A (en) Structure for mounting liquid level meter
KR20020095802A (en) Device for sensing liquid level
JP2005010078A (en) In-line type pressure sensor
JP3349142B2 (en) Liquid level sensing device
US6351993B1 (en) Fluid level sensor without moving parts
JP2008151243A (en) Relief valve
US6955087B2 (en) Pressure transducer with capillary tube for high pressure measures
US20020125342A1 (en) Injector
JP5658650B2 (en) Pressure adjusting device and pressure measur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0792192B1 (en) A device for measuring a fluid pressure
EP1979719B1 (en) Transmitter for controlling industrial processes
US6546956B1 (en) Opaque container fluid indicator
US20230288278A1 (en) Pressure sensing
CN213119540U (en) Wind pressur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