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444A - Bottle cap assembly - Google Patents

Bottle cap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444A
KR20020095444A KR1020020033125A KR20020033125A KR20020095444A KR 20020095444 A KR20020095444 A KR 20020095444A KR 1020020033125 A KR1020020033125 A KR 1020020033125A KR 20020033125 A KR20020033125 A KR 20020033125A KR 20020095444 A KR20020095444 A KR 2002009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d water
bottle
lid member
valve tub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본
Original Assignee
이노캡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캡스(주) filed Critical 이노캡스(주)
Priority to JP200256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4519392A/en
Priority to PCT/KR2002/001119 priority patent/WO2002102679A1/en
Publication of KR2002009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44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56Siphons, i.e. beverage containers under gas pressure without supply of further pressurised gas dur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6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having friction increa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65D83/48Lift valves, e.g. operated by push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PURPOSE: A cap assembly of bottle for taking-out soda drink is provided to simply take out the soda drinks and to reduce paths of the take-out to minimize loss of carbon dioxide at output of the drink and to retain concentr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drink in its original level. CONSTITUTION: The cap assembly comprises a cap component(110) removably coupled to an outlet of a bottle(10) containing the soda drink; an inhalation tube(120) supported to the cap component(110) at its upper end in order to immerse the tube into the soda drink(1) within the bottle(10); and a valve tube(130) mounted on the cap component(110) to open/close the upper end of the inhalation tube(120). The cap component may be integrated with a cylindrical body(111), a compartment plate(113), a supporting pipe(114) and an outlet pipe(115) by means of injection-molding of synthetic resin material.

Description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Bottle cap assembly}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Bottle cap assembly}

본 발명은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산수가 수용된 병의 취출구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한 병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탄산수를 불연속적으로 취출해 내기 위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 c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ttle cap assembly for extracting carbonated water for discharging the carbonated water discontinuously by causing the bottle internal pressure change due to pressure being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bottle containing the carbonated water.

통상, 탄산음료 내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은 무색, 무취의 불연성 기체인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를 가리키는 말로서, 약산성의 탄산으로 음료수 내에 용해되어 탄산음료(주류) 자체의 특유한 청량감을 느끼게 해준다. 이와 같은 탄산음료수 내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는 병 내부의 상단부 공기층과 동일한 압력이 될 때까지 병 내부의 상단부로 이동하여 병 내부의 기압이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In general, carbonic acid dissolved in a carbonated beverage refers to carbon dioxide, a colorless and odorless incombustible gas, which is dissolved in a beverage with weakly acidic carbonic acid to give a distinctive refreshing feel of the carbonated beverage (liquor) itself. The carbon dioxide dissolved in the carbonated beverage water has a characteristic of moving to the upper end of the inside of the bottle until the same pressure as the upper air layer inside the bottle to maintain the atmospheric pressure in the bottle.

그런데, 종래에는 통상 페트병 등에 수용된 탄산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병뚜껑을 열고 닫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므로, 병뚜껑의 개방시마다 병 내부의 상단부에 존재하는 탄산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탄산음료수내의 탄산가스가 병 내부의 상단부로 반복적으로 이동하여 평형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하여 음료수내의 탄산가스 농도가 점차 저하되므로 탄산음료는 특유의 청량한 맛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in order to drink a carbonated beverage contained in a PET bottle or the like, since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bottle cap is repeated, the carbon dioxide gas present in the upper end of the bottle is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every time the bottle cap is opened. Accordingly, the carbon dioxide gas in the carbonated beverage water is repeatedly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inside of the bottle to maintain the equilibrium state. Due to this proces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beverage is gradually reduced, so that the carbonated beverage has a unique soft taste.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27603호(특허공보 등록번호 특1997-9635호, 출원번호 특1995-2033호)의 "탄산수병뚜껑"이 창안된 바 있으며, 상기 특허의 탄산수 병뚜껑은, 병뚜껑 외피 상방에 구비된 탄성막(유연부)을 가압하여 병 내압 변화를 유발시킴으로써 탄산수의 불연속적인 취출에 의해 탄산가스의 방출을 억제함에 따라 음료수내의 탄산가스 농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carbonate bottle cap"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27603 (Patent Publication No. 1997-9635, Application No. 1995-9533) has been invented, The carbonated water bottle cap of the patent maintains the carbon dioxide gas concentration in the beverage by suppressing the release of carbon dioxide gas by discontinuous ejection of the carbonated water by pressing the elastic membrane (flexible part) provided above the bottle lid outer shell to cause a change in the pressure in the bottle. Would have made it possible.

그러나, 상기한 특허의 탄산수 병뚜껑의 경우, 탄산음료의 배출시 병뚜껑 외피의 내부 공간부에 먼저 탄산음료가 충전된 다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arbonated water bottle cap of the patent, when the carbonated beverage is discharged, the carbonated beverage is first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ttle cap shell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따라서, 병뚜껑 외피의 내부 공간부에서 탄산음료가 와류를 형성하여 이동하고, 그에 따른 간섭현상으로 인하여 탄산음료가 강하게 분출되어 다량의 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탄산음료에 함유되어 있던 탄산개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탄산음료의 배출완료시 병뚜껑 외피의 내부 공간부에 충전된 거품이 변하여 잔류된 탄산음료가 배출구를 통해 병의 외벽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현재에도 상품화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Therefore, the carbonated beverage moves in the inner space of the bottle cap, forming a vortex, and the carbonated beverage is strongly ejected due to the interference, thereby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In this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rbonated gas contained in the carbonated beverage is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nd is lost. In addition, when the carbonated beverage is discharged, the bubble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ttle cap is changed and the remaining carbonated beverage flows down the outer wall of the bottle through the discharge port, which is an unsanitary problem. I can'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코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 용이한 조작에 의해 병 내부에 수용된 탄산음료를 손쉽게 취출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탄산수의 취출 경로 최소화에 의해 탄산음료의 취출시 탄산가스의 유실을 최대한 억제하여 그 농도를 최초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청량음료 고유의 신선도 및 품질 유지가 가능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i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ce that can easily take out the carbonated beverage contained in the bottle by a simple easy operation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provide a bottle cap assembly for extracting carbonated water that can maintain the freshness and quality inherent in a soft drink by minimizing the carbonated water extraction path to minimize the loss of carbonic acid gas when the carbonated beverage is taken out and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in its initial state. .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산음료의 배출완료시 병뚜껑의 공간부에 잔류되는 탄산음료를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누수를 방지함으로써 위생적이고 경제적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itary and economical bottle cap assembly for extracting carbonated water by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carbonated beverage remaining in the space portion of the bottle cap at the completion of discharging the carbonated beverag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산음료가 수용된 병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ttle cap assembly for extracting carbonated water, which is economical and practical, by selectively installing the carbonated beverage in a bottle containing the carbonated beverag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가 페트병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PET bottl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병뚜껑 조립체를 발췌하여 일부를 절제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ablation by extracting the bottle cap assembly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밸브튜브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valve tube shown in Figures 1 and 2,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n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shown in Figure 1,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5 and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n for explaining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7 and 8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n for explaining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일부 절제 사시도,Figure 9 is a schematic partial ablation perspective view shown to explain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일부 절제 사시도,10 is a schematic partial ablation perspective view shown to explain a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일부 절제 사시도,11 is a schematic partial ablation perspective view shown to explain a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n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FIG.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도 14는 도 13의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평면도,1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ortion of FIG. 13;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n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5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16A to 16C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ain parts of FIG.

도 17a 내지 도 17b는 도 15의 요부를 발췌하여 그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17A to 17B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part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탄산수 10...병1 ... 10 bottles of carbonated water

110, 210...뚜껑부재 111, 211...원통형 몸체110, 210 ... lid member 111, 211 ... cylindrical body

112, 212...탄성막 113, 213...격판112, 212 ... elastic film 113, 213 ... plate

214, 114...지지관 115, 115', 215...배출관214, 114 ... support pipe 115, 115 ', 215 ... discharge pipe

120...흡입관 130, 230...밸브튜브120 ... Suction tube 130, 230 ... Valve tube

131...절곡부 132, 232...밀봉판131, bend 132, 232 ... sealing plate

133, 233...흡입구 L...유동리브133, 233 ... Inlet L ... Fluid rib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 탄산수가 수용된 병 취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취출해 내기 위한 것으로,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병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방부에 탄성막이 구비된 통형 몸체와, 상기 탄성막과 대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격판과,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통형 몸체에 구비된 배출관을 가지고, 상기 병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병 내부에 삽입되어 탄산수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에 지지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상기 배출관을 상기 공간부와 차단된 상태로 연결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측에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흡입관측에는 흡입구와 밀봉판이 마련되어, 상기 탄성막의 탄성변형에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관의 선단부 내외로 출입하여 상기 흡입관을 개폐시키는 밸브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막을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상기 병의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탄산수가 상기 취출관과 상기 밸브튜브 및 상기 배출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bottle outlet in which carbonated water is accommodated, and extracts the carbonated water to the outside.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elastic membran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change the pressure of the upper surface; a plate provid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so as to form a space portion facing the elastic membrane, and having a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communicating the space portion with the outside. A lid member having a discharge pipe provided in the tubular body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A suction pipe inserted into the bottle and supported by the lid member to be immersed in carbonated water; It is installed in the lid member to connect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in a state in which the space is blocked, the discharge pipe sid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and the suction pipe side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nd a sealing plate, the elevating according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rane And a valve tube through which the suction port enters and exits the tip of the suction tube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tube, and caus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ttle to change as the elastic membrane elastically deforms, thereby allowing the carbonated water to flow out of the discharge tube and the valve tub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through the discharge pipe sequential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 탄산수가 수용된 병 취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취출해 내기 위한 것으로, 측벽 일측이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는 통형 몸체와, 상기 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격판을 가지고, 상기 병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병 내부에 삽입되어 탄산수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에 지지된 흡입관과; 상기 격판과 대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통형 몸체 내주면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가압판과; 상기 뚜껑부재의 측벽 개구부와 상기 격판의 통공에 관통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측에는 흡입구와 밀봉판이 마련된 배출관을 가지며, 상기 배출관의 절곡부가 상기 가압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밸브튜브와; 상기 밸브튜브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격판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을 승강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판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병의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 탄산수가 상기 취출관과 상기 밸브튜브 및 상기 배출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to be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containing the carbonated water to take out the carbonated water to the outside, the sidewall side opening opening It has a cylindrical body, a lid member which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has a plate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the lid member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A suction pipe inserted into the bottle and supported by the lid member to be immersed in carbonated water; A pressure plate coupled to the diaphragm to move up and dow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so as to face the diaphragm to form a space portion; A bent par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side wall opening of the lid member and a through hole of the diaphragm, and has a discharge pipe having a suction port and a sealing plate provided on the suction pipe side, and the bent part of the discharge pipe is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to connect the suction pipe with the suction pipe. A valve tube coupled to be connected;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diaphragm of the lid member and the pressure plate so as to be positioned around the valve tube. The elastic body may elevate the pressur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is taken out through the valve tube and the discharge tube in sequen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 탄산수가 수용된 병 취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취출해 내기 위한 것으로, 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구비된 격판의 중앙부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병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병 내부에 삽입되어 탄산수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에 지지된 흡입관과; 상기 격판의 나사공에 관통 가능한 상태로 나사 결합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측에는 흡입구와 밀봉판이 마련된 배출관을 가지며, 상기 절곡부상에 그 회전을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밸브튜브와; 상기 밸브튜브의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 승강구동에 의해 상기 병의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 탄산수가 상기 취출관과 상기 밸브튜브 및 상기 배출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containing the carbonated water to take out the carbonated water to the outside, the plat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 screw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ap member and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in a detachable state; A suction pipe inserted into the bottle and supported by the lid member to be immersed in carbonated water; A bent part is formed to be screwed into the screw hole of the diaphragm, and the suction pipe side has a discharge pip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nd a sealing plate, and a handle for rotation thereof is provided on the bent part and coupled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A valve tube; As the handle of the valve tube is rotat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ttle is induc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so that the carbonated water is taken out through the outlet tube, the valve tube, and the outlet tube sequential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 탄산수가 수용된 병 취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취출해 내기 위한 것으로, 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구비된 격판의 중앙부에 통공을 가지고, 상기 병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와; 상기 병 내부에 삽입되어 탄산수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에 지지된 흡입관과; 상기 격판과 대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통형 몸체 내주면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가압판과; 상기 흡입관측에 흡입구와 밀봉판을 가지고, 상기 가압판에 관통된 상태로 결합되어 외부와 통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도록 상기 격판의 통공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관통 결합되는 밸브튜브와; 상기 밸브튜브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격판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판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병의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 병을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임으로써, 상기 탄산수가 상기 취출관과 상기 밸브튜브 및 상기 배출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containing the carbonated water to take out the carbonated water to the outside, the plat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 lid member having a through-hol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lid member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A suction pipe inserted into the bottle and supported by the lid member to be immersed in carbonated water; A pressure plate coupled to the diaphragm to move up and dow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so as to face the diaphragm to form a space portion; A valve tube having a suction port and a sealing plate on the suction pipe side, integrally formed to pass through the pressure plate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diaphragm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 And elevating means installed between the diaphragm of the lid member and the pressure plate so as to be positioned around the valve tube, for elevating the pressure plate, and causing a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ttle by pressurizing the pressure plate. By tilting at a constant slope, the carbonated water is taken out through the extraction pipe, the valve tube and the discharge pipe in sequen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밸브튜브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격판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탄성변형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뚜껑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제1걸림홈 및 제2걸림홈과, 상기 밸브튜브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돌출리브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변형 상태에 따라 상기 제1걸림홈에서 위치 이동하는 제1후크 및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에 각각 선택적으로 걸려 구속되는 제2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means further includes an elastic body installed between the diaphragm of the lid member and the pressure plate so as to be positioned around the valve tube, and restraining means for selectively restraining the elastic deformation state of the elastic body. The restraining means is provided in the first catching groove and the second catching groov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lid member, and the protruding rib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tube, according to the elastic deformation state of the elastic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to move the position and the second hook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hook is selectively caught and restrained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뚜껑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소정 캠홈을 가지는 캠부재와; 상기 가압판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캠홈내에서 일방향으로 캠운동하여 교번적으로 록킹/언록킹되도록 상기 가압판에 설치된 캠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restraining means, the cam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cam groove is install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member; And a cam pin installed on the pressure plate to alternately lock / unlock by cam movement in one direction in the cam groove according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ressure plat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뚜껑부재의 통형 몸체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형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치합되어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는 톱니부재와;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톱니부재와 선단부가 맞물리게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의 끝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톱니부재의 승강운동에 따라 간섭되어 일방향으로 간헐적인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 끝단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과의 교번적인 치합에 의해 승강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칫휠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restraining means, the concave-convex guide rail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of the lid member; A tooth member engaged with the guide rail and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so as to move up and down; It is elastically biased by the elastic body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guide rai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member and the distal end, the guide rail end portion by the intermittent rotational movement in one direction interfered by the lifting movement of the tooth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atchet wheel member that is selectively restrained to b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by alternating engagement with the guide r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 탄산수가 수용된 병(10)의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110)와, 상기 병(10)의 내부에 수용된 탄산수(1)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110)에 상단부가 지지된 흡입관(120) 및 그 흡입관(120)의 상단부를 출입하여 개폐하도록 상기 뚜껑부재(110 )에 설치된 밸브튜브(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member 110 coupled to the detachable state of the outlet of the bottle 10 containing the carbonated water, and the carbonated water accommodated inside the bottle 10 And a suction tube 120 having an upper end supported by the lid member 110 to be immersed in (1), and a valve tube 130 installed at the lid member 110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ipe 120. .

도 2는 상기 뚜껑부재를 발췌하여 일부를 절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뚜껑부재(110)는 예컨대, 페트(pet) 병(1)의 취출구를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11)와 결합하여 밀폐시키도록 내주면에 나사(111a)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111)를 가지며, 그 상방부에는 외력에 의해 상하방으로 탄성 변형되어 병(10)의 내부압력 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막(112)이 구비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cap member to be excised, and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ap member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screw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of a PET bottle 1. (11) has a cylindrical body 11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ealed in combination with (11), the upper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can induce a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ttle (10) The elastic membrane 112 is formed to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탄성막(112)의 하방에는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상기 원통형 몸체(111)의 내주면에 격판(113)이 구비되며, 그 격판(113)의 중앙부에는 상기 흡입관(12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그를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관(114)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diaphragm 113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11 so that a space portion s is formed below the elastic membrane 112,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113 of the suction tube 120 is provided. It is provided with a support tube 114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and protruded downward to support it.

또한, 상기 원통형 몸체(11)의 일측에는 상기 페트병(10)의 내부에 수용된 탄산수(1)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115)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115)은 상기 탄성막(112)과 상기 격판(11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와 통하도록 상기 원통형몸체(1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11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115 for discharging the carbonated water 1 accommodated inside the PET bottle 10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ipe 115 is the elastic membrane 112 and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11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s) formed between the diaphragm 113.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뚜껑부재(110)는 예컨대,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원통형 몸체(111)와 격판(113)과 지지관(114) 및 배출관(115)이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member 110 is preferably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the cylindrical body 111, the diaphragm 113, the support tube 114 and the discharge tube 115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Do.

상기 밸브튜브(130)는 상기 흡입관(120)과 상기 배출관(115)을 상기 공간부와 차단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중앙부의 절곡부(131)에 의해 절곡되어 대략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131)가 상기 뚜껑부재(110)의 탄성막(112)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110)의 공간부(s)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The valve tube 13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120 and the discharge pipe 115 in a state of being blocked with the space por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3 both ends of the bent portion 131 of the central portion It is bent by the "b" shape is formed, and the bent portion 131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space (s) of the lid member 110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membrane 112 of the lid member 110. It is installed as possible.

상기 밸브튜브(130)는 상기 탄성막(112)과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밸브튜브(130)의 절곡부(131)는 예컨대, 본드와 같은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뚜껑부재(110)의 탄성막(112)에 접착되도록 지지될 수도 있으며, 소형 스크류나 리벳 등에 의해 상기 탄성막(112)에 결합되도록 지지되어 상기 탄성막(112)의 탄성 변형 상태에 따라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The valve tube 13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elastic membrane 112, the bent portion 131 of the valve tube 130 is, for example, the lid member 110 by an adhesive, such as a bond. It may be supported so as to be bonded to the elastic membrane of 112, and is supported to be coupled to the elastic membrane 112 by a small screw or rivets,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state of the elastic membrane 112.

상기 밸브튜브(130)의 일측 끝단 즉, 상기 흡입관(120) 쪽의 하단부에는 밀봉판(132)이 형성되며, 그 밀봉판(132)의 상방에 1쌍의 흡입구(133)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밸브튜브(130)의 타측 끝단 즉, 상기 배출관측에는 배출구(134)가 형성되어 있다.A sealing plate 13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valve tube 130, that is, a lower end of the suction tube 120, and a pair of suction ports 133 are provided above the sealing plate 132. A discharge port 134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valve tube 130, that is, the discharge pipe side.

따라서, 상기 뚜껑부재(110)의 탄성막(112)이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굴곡지게 탄성 변형되면, 상기 밸브튜브(130)는 그 절곡부(131)가 구속되어 하강하게 되고, 상기 1쌍의 흡입구(133)는 상기 흡입관(120)의 상단부 내로 삽입되어 연통된 상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when the elastic membrane 112 of the lid member 110 is elastically deformed to be bent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valve tube 130 is lowered by the bent portion 131, the pair of The suction port 133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ipe 120 to form a communication state.

그리고, 상기 뚜껑부재(110)의 탄성막(112)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어 원상 복귀되면, 상기 밸브튜브(130)가 승강하여 상기 1쌍의 흡입구(133)가 상기 흡입관(120)의 외부로 빠져나오고, 하단부의 밀봉판(132)이 상기 흡입관(120)의 선단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밸브튜브(130)와 상기 흡입관(120)의 연통상태가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membrane 112 of the lid member 110 is remov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valve tube 130 is lifted and the pair of suction ports 133 are moved out of the suction pipe 120. It exits and the sealing plate 132 of the lower end is located in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pipe 120,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valve tube 130 and the suction pipe 120 is closed.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튜브(130)의 흡입구(133)의 크기 및 수량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형성함으로써 음료수의 분출량과 세기를 조절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size and quantity of the suction port 133 of the valve tube 130 can be formed by varying the amount and strength of the beverage can be adjusted.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의 동작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에 의해 페트 병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탄산수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상기 뚜껑부재(110)의 탄성막(112)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상기 탄성막(112)이 하방으로 굴곡 변형되면서 상기 밸브튜브(130)의 절곡부(131)를 압압하여 하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튜브(130)의 흡입구(133)는 상기 흡입관(120)의 상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페트병(10)에 수용된 탄산수(1)의 상방부에 충전되어 있는 고압의 탄산가스가 탄산수를 밀어냄으로써, 하방부의 탄산수가 상기 흡입관(120)을 통하여 밀려 올라가 상기 밸브튜브(130)의 흡입구(133)와 배출관(11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탄산수(1)는 상기 공간부(s)와 차단된 상태의 상기 흡입관(120)과 상기 밸브튜브(130) 및 상기 배출관(115)을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되므로, 배출과정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s)의 탄산수 충전이 배제된다.In order to take out the carbonated water contained in the PET bottle by the bottle cap assembly for extracting carbonated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The membrane 112 is pressed downward. As a result, the elastic membrane 112 is bent downwardly deformed to press down the bent portion 131 of the valve tube 130. Accordingly, the suction port 133 of the valve tube 1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ipe 120 to form a stat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high-pressure carbon dioxide gas charg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bonated water 1 accommodated in the PET bottle 10 pushes the carbonated water so that the lower carbonated water is pushed up through the suction pipe 120 and the suction port of the valve tube 13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133 and the discharge pipe (115). At this time, the discharged carbonated water (1) is discharged through the suction pipe 120 and the valve tube 130 and the discharge pipe 115 in a blocked state with the space (s) in sequence, in the discharge process Filling of the carbonated water in the space s is excluded.

그리고, 상기 뚜껑부재(110)의 탄성막(112)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어 원상 복귀되면, 상기 밸브튜브(130)가 승강하여 상기 1쌍의 흡입구(133)가 상기 흡입관(120)의 외부로 빠져나오고, 상기 밸브튜브(130)의 하단 밀봉판(132)이 상기 흡입관(120)의 선단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밸브튜브(130)와 상기 흡입관(120)의 연통상태가 폐쇄되어 탄산수(1)의 배출이 중지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membrane 112 of the lid member 110 is remov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valve tube 130 is lifted and the pair of suction ports 133 are moved out of the suction pipe 120. Exit and the lower sealing plate 132 of the valve tube 130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pipe 120,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valve tube 130 and the suction pipe 120 is closed to the carbonated water (1 ) Discharging is stopped.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115')이 뚜껑부재(11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그 배출관(115')의 후단부와 상기 밸브튜브(130)의 일측 끝단부가 유동리브(L)에 의해 서로 유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연통되도록 일체적으로 성형된 구성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and Figure 6 shows a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ipe 115 'is coupl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lid member 110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115 ′ and the one end of the valve tube 130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low rib (L).

상기 유동리브(L)는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은 자바라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튜브(130)의 유동에 따라 연동할 수 있는 자유도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w rib (L) is, for example, is formed in a bellows shape as shown is manufactured to have a degree of freedom to interlock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valve tube (130).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탄성막(112)이 하방으로 굴곡 변형되면서 상기 밸브튜브(130)의 절곡부(131)를 압압하여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배출관(115')은 상기 유동리브(L)의 완충작용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밸브튜브(130)만이 승강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상술한 실시예에서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탄산수(1)가 상기 흡입관(120)과 상기 밸브튜브(130) 및 상기 배출관(115)을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lastic membrane 112 is bent downwardly deformed while pressing down the bent portion 131 of the valve tube 130. At this time, the discharge pipe 115 ′ is prevented from flowing by the buffering action of the flow rib (L), so that only the valve tube 130 can move up and down. Thus, the carbonated water 1 is discharged sequentially through the suction pipe 120, the valve tube 130, and the discharge pipe 115 by the same ac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밸브튜브 및 그 주변의 구조가 변형된 형태가 적용된 것이다.Next, FIG. 7 and FIG.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tructure of the valve tube and its surrounding structure is modified The form is appli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탄산수(1)가 수용된 페트병(10)의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210)와, 상기 페트병(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산수(1)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210)에 상단부가 지지된 흡입관(120) 및 그 흡입관(120)의 상단부를 출입하여 개폐하도록 상기 뚜껑부재(210)에 설치된 밸브튜브(230)를 포함한다.The lid member 210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PET bottle 10 in which the carbonated water 1 is accommodated in a detachable state, and the lid member 210 is inserted into the PET bottle 10 so as to be immersed in the carbonated water 1. It includes a suction tube 120 having an upper end and a valve tube 230 installed on the lid member 210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tube 120.

상기 뚜껑부재(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페트병(10)의 취출구를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11)와 결합하여 밀폐시키도록 내주면에 나사(210a)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211)를 가지며, 그 상방부에는 외력에 의해 상하방으로 탄성 변형되어 페트병(10)의 내부압력 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막(211)이 구비되어 있다.The lid member 210 has a cylindrical body 211 formed with a screw 210a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seal the outlet of the PET bottle 10 with the screw 1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s shown in the figure. The par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rane 211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to induce a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PET bottle 10.

그리고, 상기 탄성막(211)의 하방에는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상기 원통형 몸체(211)의 내주면에 격판(213)이 구비되며, 상기 격판(213)의 중앙부에는 상기 밸브튜브(230)를 승강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관형태의 가이드 리브(216)가 상기 공간부(s')에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판(213)의 하방 중앙부에는 상기 흡입관(12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그를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관(214)이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diaphragm 213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211 so that a space portion s' is formed below the elastic membrane 211, and the valve tube 230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213. ) Is formed to protrude upwardly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s' such that a guide rib 216 having a tubular shape open at one side thereof so as to be supported in a liftable state.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ipe 120 is provided with a support tube 214 protruding downward to support it.

또한, 상기 원통형 몸체(211)의 일측에는 병 내부에 수용된 탄산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215)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215)은 상기 가이드 리브(216)의 일측 개방부와 연결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원통형 몸체(21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1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215 for discharging carbonated water contained in the bottle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ipe 215 is connected inward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pening of the guide rib 216 It is formed to protrude and at the same tim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뚜껑부재(210)는 예컨대,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원통형 몸체(211)와 탄성막(212) 및 격판(213),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216)와 상기 배출관(215)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lid member 210 is, for example, the cylindrical body 211 and the elastic membrane 212 and diaphragm 213 by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guide rib 216 and the discharge pipe ( 215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상기 밸브튜브(230)는 상기 흡입관(120)과 상기 배출관(215)의 사이에 위치하여 그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리브(216)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The valve tube 230 is installed between the suction pipe 120 and the discharge pipe 215 to be elevated on the guide rib 216 so as to connect them.

상기 밸브튜브(230)의 상단부는 예컨대, 본드와 같은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탄성막(212)의 저면에 접착되도록 지지될 수도 있으며, 소형 스크류나 리벳 등에 의해 상기 탄성막(212)에 결합되도록 지지되어 상기 탄성막(212)의 변형상태에 따라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valve tube 230 may be supported to be bonded to the bottom of the elastic membrane 212 by, for example, an adhesive such as a bond, and is supported to be coupled to the elastic membrane 212 by a small screw or rivet.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elastic membrane 212, it is to move up and down.

상기 밸브튜브(230)의 하단에는 밀봉판(232)이 형성되며, 그 밀봉판(232)의 상방에 1쌍의 흡입구(233)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밸브튜브(230)의 몸체 일측에는 상기 배출관(215)과 통하도록 개구부(234)가 형성되어 있다.A sealing plate 232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valve tube 230, and a pair of suction ports 233 are provided above the sealing plate 232, and one side of the body of the valve tube 230 is the discharge pipe. The opening 234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215.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한 병뚜껑 조립체의 동작과정은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설명된 실시예의 병뚜껑 조립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에 의해 탄산수 취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막(212)이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굴곡지게 탄성 변형되면, 상기 밸브튜브(230)가 구속되어 하강하게 되고, 상기 1쌍의 흡입구(233)는 상기 흡입관(120)의 상단부 내로 삽입되어 연통된 상태를 이루어 페트병(10)에 수용된 탄산수(1)의 상방부에 충전되어 있는 고압의 탄산가스가 탄산수를 밀어냄으로써, 하방부의 탄산수가 상기 흡입관(120)을 통하여 밀려 올라가 상기 밸브튜브(230)의 흡입구(233)와 배출관(21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탄산수(1)는 상기 공간부(s)와 차단된 상태의 상기 흡입관(120)과 상기 밸브튜브(230) 및 상기 배출관(215)을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되므로, 배출과정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s)의 탄산수 충전이 배제된다.Therefor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bottle cap assemb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at the carbonated water is taken out by substantially the same action as the bottle cap assembly of the embodiment described by Figures 1 to 4, the elastic as shown in FIG. When the membrane 212 is elastically deformed to be bent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valve tube 230 is restrained and lowered, and the pair of suction ports 233 are inserted into and communicated with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ipe 120. The high-pressure carbon dioxide gas charg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bonated water 1 accommodated in the PET bottle 10 in a state pushes the carbonated water so that the lower carbonated water is pushed up through the suction pipe 120 to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port 233 and the discharge pipe 215. At this time, the discharged carbonated water (1) is discharged through the suction pipe 120 and the valve tube 230 and the discharge pipe 215 in a blocked state with the space (s) in sequence, in the discharge process Filling of the carbonated water in the space s is excluded.

그리고, 상기 탄성막(212)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어 원상 복귀되면, 상기 밸브튜브(230)가 승강하여 상기 1쌍의 흡입구(233)가 상기 흡입관(120)의 외부로 빠져나오고, 하단부의 밀봉판(232)이 상기 흡입관(120)의 선단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밸브튜브(230)와 상기 흡입관(120)의 연통상태가 폐쇄되어 탄산수(1)의 배출이 중지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membrane 212 is remov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valve tube 230 is lifted and the pair of suction ports 233 come out of the suction pipe 120 to seal the lower end portion. Since the plate 232 is positioned at the tip end of the suction pipe 120,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valve tube 230 and the suction pipe 120 is closed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carbonated water 1.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낸다.9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previously shown drawings represent the same components.

도 9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탄성막(112)을 적용하는 대신에 원판형 가압판(150)을 상기 뚜껑부재(110A)의 통형 몸체(111) 내주면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결합한 것이다.즉, 뚜껑부재(110A)의 측벽 일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에는 대략 "ㄱ"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밸브튜브(130A)의 배출관(115)이 결합된다. 상기 원판형 가압판(150)은 상기 뚜껑부재(110A)의 통형 몸체(111)의 내주면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밸브튜브(130A)의 절곡부(도 3의 131참조)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부재(110A)의 격판(113)과 상기 원판형 가압판(150)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스프링이나 실리콘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160)가 상기 밸브튜브(130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9,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stead of applying the elastic membrane 112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is a disk-shaped pressure plate 150, the lid member 110A It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11 of the elevable state. That is, an opening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lid member 110A is opened upward, and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valve tube bent in an approximately "a" shape. The discharge pipe 115 of 130A is coupled. The disc-shaped pressure plate 150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11 of the lid member 110A in a liftable state, and is fixed to the bent portion (see 131 of FIG. 3) of the valve tube 130A. Combined or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between the diaphragm 113 of the lid member 110A and the disc-shaped pressure plate 150, for example, an elastic body 160 such as a spring, silicon, or rubber may surround the valve tube 130A. Is installed.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뚜껑부재(110A)의 가압판(150)을 가압하거나 가압력을 해제함에 따라 그 하방에 설치된 탄성체(160)가 탄성 변형되거나 원상복귀됨으로써, 상기 밸브튜브(130A) 및 그 배출관(115)의 승강운동이 보다 자유롭고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페트병의 내압 변화에 의해 탄산수가 흡입관(120)과 밸브튜브(130A) 및 그 배출관(115)을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pressing the pressure plate 150 of the lid member 110A or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the elastic body 160 installed thereunder is elastically deformed or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whereby the valve tube 130A and The lifting movement of the discharge pipe 115 can be made more freely and flexibly, and by this operation, the carbonated water is intake pipe 120 and the valve tube 130A by the internal pressure change of the PET bottle by the same a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And the discharge pipe 115 are sequentially taken out.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뚜껑부재가 변형된 형태로 적용된 것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 앞서 설명된 가압식에 의해 탄산수를 취출해 내는 실시예들과는 달리 병뚜껑의 회전에 의해 탄산수를 취출해 내는 회전식 병뚜껑 조립체를 제공하게 된다.10 is a view showing to explain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member is applied in a modified form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drawings shown above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and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for extracting carbonated water by the pressurization described above. It provides a rotary bottle cap assembly for taking out the carbonated water by the rotation of.

도 10을 참조하면, 병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310)의 원통형 몸체(311)의 내주면에 격판(313)이 구비되어 있고, 그 격판(313)의 중앙부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나사공(316)이 형성되며, 그 나사공(316)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운동함으로써 승강 운동하게 되는 밸브튜브(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a diaphragm 313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311 of the lid member 31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313 penetrates inside and outside. A screw hole 316 is formed, and includes a valve tube 330 which is screwed to the screw hole 316 to move up and down by rotating.

상기 밸브튜브(330)는 상기 나사공(316)에 관통 가능한 상태로 나사 결합되되도록 대략 "ㄱ"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배출관(330A)과, 그 배출관(330A)의 일측단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튜브부재(330B)를 가진다. 상기 배출관(330A)과 상기 튜브부재(330B)는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서로 분리된 다른 부품으로 형성하여 고정된 상태로 결합할 수도 있다.The valve tube 330 is a discharge pipe 330A bent in a substantially "b" shape to be screwed in a state capable of penetrating the screw hole 316, and the tube is coupled to be fixed to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330A) It has a member 330B. The discharge pipe 330A and the tube member 330B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formed of different component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mbined in a fixed state.

상기 튜브부재(330B)의 하단부에는 밀봉판(332)과 흡입구(333)을 가지며, 상기 배출관(330A)의 절곡부상에는 그 회전을 위한 손잡이(330C)가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end of the tube member 330B has a sealing plate 332 and a suction port 333, the handle 330C for the rotation is formed on the bent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330A).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밸브튜브(330)의 손잡이(330C)를 회전시키면, 상기 배출관(330A)과 상기 튜브부재(330B)가 회전 운동함과 동시에 승강 운동하게 됨에 따라 병(10)의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탄산수가 상기 흡입관(120)과 상기 밸브튜브(330) 즉, 상기 튜브부재(330B)및 상기 배출관(330A)을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0, when the handle 330C of the valve tube 330 is rotated, the discharge pipe 330A and the tube member 330B is in the same time as the lifting and lifting movement Accordingly, by causing a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ttle 10, carbonated water is taken out through the suction pipe 120 and the valve tube 330, that is, the tube member 330B and the discharge pipe 330A sequentially.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밸브튜브가 변형된 형태로 적용된 것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 밸브튜브를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가압판에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앞서 설명된 가압식에 더하여 병 전체를 일정 각도 기울임으로써 탄산수를 취출해 내는 병뚜껑 조립체를 제공하게 된다.11 is a view showing a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tube is applied in a modified form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drawings shown previously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by forming a valve tube in a straight line integrally on the pressure plat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pressurized type, the entire bottle is tilted at an angle to provide a bottle cap assembly for extracting carbonated water.

도 1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탄성막(112)을 적용하는 대신에 원판형 가압판(150)을 뚜껑부재(110C)의 통형 몸체(111)의 내주면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고, 상기 가압판(150)을 관통하는 직선형 밸브튜브(130C)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뚜껑부재(110C)의 격판(113)과 상기 가압판(150)의 사이에 예를 들면, 스프링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160)를 상기 가압판(150)과 밸브튜브(130C)의 승강수단으로 설치한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11,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stead of applying the elastic membrane 112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 and 2, the disk-shaped pressing plate 150 of the cylindrical member of the lid member 110C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1 in a state capable of lifting, integrally forming a straight valve tube 130C penetrating the pressing plate 150 to integrally the diaphragm 113 of the lid member 110C and the pressing plate 150. In between, for example, an elastic body 160 such as a spring or silicon is installed as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sure plate 150 and the valve tube 130C.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뚜껑부재(110C)의 가압판(150)을 가압함에 따라 그 하방에 설치된 탄성체(160)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밸브튜브(130C) 및 그 배출관(115')의 승강운동에 의해 병 내압 변화가 유발되며, 이때 병 전체를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여줌으로써 탄산수가 상기 흡입관(120)과 밸브튜브(130C) 및 그 배출관(115')을 따라 취출되어 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elastic body 160 installed below is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pressure plate 150 of the lid member (110C) by the lifting motion of the valve tube (130C) and its discharge pipe (115 '). The internal pressure change is caused, and the carbonated water is taken out along the suction pipe 120, the valve tube 130C, and the discharge pipe 115 'by tilting the entire bottle at a constant slope.

본 실시예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는 앞서 설명된 가압식에 더하여 페트병 전체를 일정 각도 기울여 탄산수를 취출해 냄에 따라, 페트병을 기울일 때 탄산개스가 병 하단부로 이동하여 탄산 개스 보존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잇점을 가지게 된다.In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pressurization type described above, the whole bottl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ake out the carbonated water, so that the carbonated gas moves to the lower end of the bottle when the PET bottle is inclined to obtain a carbonated gas retention. You have the benefit of increasing it.

도 12는 상술한 도 11에 의해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50)의 승강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을 채용한 것으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뚜껑부재(110D)의 측벽에 형성된 제1걸림홈(111a) 및 제2걸림홈(111b)과, 상기 밸브튜브(130D)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선단부가 휘어져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돌출리브(137)에 마련되는 제1후크(137a) 및 제2후크(137b)를 포함한다.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 11, which employs restraining means for restrain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pressing plate 150. Referring to FIG. 12, the restraining means includes the lid member 110D. A first hook provided on the first catching groove 111a and the second catching groove 111b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protruding rib 137 protru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tube 130D to bend and deform elastically. 137a and a second hook 137b.

상기 제1후크(137a)는 상기 탄성체(160)의 탄성변형 상태에 따라 상기 제1걸림홈(111a)에서 위치 이동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제2후크(137b)는 상기 제1걸림홈(111a)과 제2걸림홈(111b)에 각각 선택적으로 걸려 구속된다.The first hook 137a is moved in the first catching groove 111a according to the elastic deformation state of the elastic body 160, and the second hook 137b is the first catching groove 111a. And selectively restrained by the second locking groove 111b,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걸림홈(111a)의 길이는 상기 제2걸림홈(111b)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제2걸림홈(111b)의 길이는 상기 제2후크(137b)의 뚜께보다 근소하게 크도록 형성되어 유동시 공간내에서의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 대신에 이탈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라운드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후크(137a)의 길이는 상기 제2후크(137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제1후크(137a)는 상기 제1걸림홈(111a)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상기 제2후크(137b)는 상기 제2걸림홈(111b)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리브(137)의 승강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여 상기 제1걸림홈(111a)과 제2걸림홈(111b)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catching groove 111a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catching groove 111b, and in particular, the length of the second catching groove 111b is the second hook 137b.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so that one side is formed in a rounded state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instead of allowing movement in the space during flow.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hook 137a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hook 137b, and in particular, the first hook 137a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locking groove 111a.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ook 137b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atching groove 111b and is easi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rotruding rib 137 and the first catching groove 111a. It is formed to be selectively caught in the second locking groove (111b).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속수단에 의하면, 상기 가압판(150)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탄성체(160)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밸브튜브(130D)가 하강하는동시에 그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출리브(137)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리브(137)의 휘어진 선단부에 구비된 제1후크(137a)가 상기 제1걸림홈(111a)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위치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후크(137b)는 탄력 유동에 의해 상기 제2걸림홈(111a)을 벗어나 상기 제1걸림홈(111b)의 후단부에 걸려 구속된다. 이로써, 상기 가압판(150)에 가해진 가압력이 해지되더라도 상기 제2후크(137b)가 상기 제1걸림홈(111b)의 후단부에 걸려 상기 탄성체(160)의 원상복귀를 저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restraining mean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lastic body 160 is elastically deformed as the pressure plate 150 is pressed, so that the protruding rib 137 integrally formed with the valve tube 130D while descending. ) Will descend. Accordingly, the first hook 137a provided at the bent end of the protruding rib 137 move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catching groove 111a, and the second hook 137b is elastically flown. The second locking groove 111a is escaped by being caught by the rear end of the first locking groove 111b. As a result, even when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ressure plate 150 is released, the second hook 137b is caught by the rear end of the first catching groove 111b to prevent the original return of the elastic body 160.

따라서, 상기 밸브튜브(130D)의 하강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원터치식에 의해 병 뚜껑을 오픈하여 병 전체를 일정 각도 기울여 탄산수를 취출해 낼 수 있으며, 일정량의 탄산수 취출후 상기 제1후크(137a)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2후크(137b)가 탄력 유동에 의해 상기 제1걸림홈(111b)의 후단부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2걸림홈(111a)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160)의 원상복귀에 의해 상기 밸브튜브(130D)가 상승함으로써, 병 뚜껑이 폐쇄된다.Therefore, as the lowered state of the valve tube 130D is maintained, the bottle cap can be opened by inclining the entire bottle at a predetermined angle by one-touch type, and the carbonated water can be taken out by taking out a predetermined amount of carbonated water, and the first hook 137a. When pressurized, the second hook 137b is separate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catching groove 111b by the elastic flow to move to the second catching groove 111a, so that the elastic body 160 The valve cap 130D is closed by the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thereby closing the bottle cap.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것으로서, 도 11에 의해 설명된 실시예의 가압판(150)을 가압하여 교번적으로 승강운동시키기 위한 또 다른 구속수단을 채용한 것이며,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낸다.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and alternately by pressing the pressure plate 150 of the embodiment described by FIG. 11. Another constraining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is employ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drawings shown above represent the same components.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판(150)을 가압하여 교번적으로 승강운동시키기 위한 구속수단은, 예컨대 가전제품의 콘트롤도어를 원터치식에 의해 개폐시키기 위해 주로 채용되는 구동메카니즘을 이용한 것으로서, 뚜껑부재(110E)의 통형 몸체(1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소정의 캠홈(412)이 형성된 캠부재(410)와, 상기 가압판(150)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캠홈(412)내에서 일방향으로 캠운동하여 교번적으로 록킹/언록킹되도록 상기 가압판(150)에 설치된 캠핀(4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restraining means for alternately lifting and lowering the pressing plate 150 is, for example, using a driving mechanism mainly employed to open and close a control door of a home appliance by a one-touch type, and includes a lid member ( The cam member 410 is installed to fit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11 of 110E, and the cam groove 412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motion of the pressing plate 150. It includes a cam pin 420 installed on the pressure plate 150 to be alternately locking / unlocking by cam motion in one direction.

도 14는 상기 캠부재(410)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캠핀(420)이 상기 가압판(150)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캠홈(412)내에서 캠운동하여 교번적으로 록킹/언록킹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다. 상기 캠홈(4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블럭(411a)과 제2캠블럭(411b)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캠핀(420)의 이동을 화살표시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허용하도록 바닥에 경사지거나 단차진 복수의 단턱(a, b, c, d)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턱(a, b, c, d) 사이의 바닥은 서로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단턱(a, b, c, d)에 의해 상기 캠핀(420)의 역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판(15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캠핀(420)의 선단부가 상기 캠홈(412)의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면서 상기 캠홈(412)의 하단부에 구속되어 록킹된다. 이로써, 상기 탄성체(160)의 원상복귀를 저지하여 상기 가압판(150)과 밸브튜브(130E)가 하강한 상태를 지속하여 병뚜껑을 오픈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FIG. 14 is a schematic view of the cam member 410, and the cam pin 420 alternately locks / unlocks by cam motion in the cam groove 412 according to the lifting motion of the pressure plate 150. As shown in FIG. It shows the locked state. The cam groove 412 is formed by the first cam block 411a and the second cam block 411b as shown, and inclined to the floor to allow the cam pin 420 to move only in one direction as shown by an arrow. A plurality of stepped or stepped a, b, c, d is formed. Therefore, the floors between the stepped a, b, c, and d are different in height from each other, and the stepped a, b, c, and d prevent the reverse movement of the cam pin 420. It is. Accordingly, when the pressing plate 150 is pressed, the tip of the cam pin 420 is locked in the lower end of the cam groove 412 while moving only in one direction of the cam groove 412.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ottle cap in an open state by preventing the original return of the elastic body 160 and continuing the lowered state of the pressure plate 150 and the valve tube 130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판(150)을 또 다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캠핀(420)의 선단부가 상기 캠홈(412)의 일방향으로 또 다시 이동하면서 상기 캠홈(412)의 하단부에 구속되어 록킹된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써, 상기탄성체(160)의 원상복귀를 허용하여 상기 가압판(150)과 상기 밸브튜브(130E)의 상승함에 따라 병뚜껑을 패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ressure plate 150 is pressed again in such a state, the tip portion of the cam pin 420 is moved again in one direction of the cam groove 412 while being restrained and locked to the lower end of the cam groove 412. Is releas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ottle cap in a closed state as the elastic plate 160 is allowe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as the pressure plate 150 and the valve tube 130E are raise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구성을 가지는 병뚜껑 조립체에 의하면, 상기 가압판(150)을 소위 원터치식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교번적으로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bottle cap assembly hav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alternately by pressing the pressing plate 150 by the so-called one-touch method.

도 15는 상술한 도 11에 의해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50)을 가압하여 교번적으로 승강운동시키기 위한 다른 구속수단을 채용한 것으로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낸다.FIG. 15 employs other restraining means for alternately lifting and lowering the pressing plate 150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previous drawings. Denotes the same component.

도 1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채용된 구속수단은, 예컨대 볼펜심을 원터치식에 의해 록킹/언록킹시켜 개폐하기 위해 주로 채용되는 구동메카니즘을 이용한 것으로서, 뚜껑부재(110F)의 통형 몸체(111)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형 가이드 레일(G)과, 상기 가이드 레일(G)과 치합되어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판(150)에 연결되게 설치된 톱니부재(510)와, 탄성체(160)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톱니부재(510)와 선단부가 맞물리게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G)의 끝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톱니부재(510)의 승강운동에 따라 간섭되어 일방향으로 간헐적인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G)의 끝단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G)과의 교번적인 치합에 의해 승강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칫휠부재(5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5, the restraining means employed in this embodiment is a cylindrical body 111 of the lid member 110F, which uses a driving mechanism mainly employed to lock / unlock and open and close the ball pen nib, for example, by one touch. Uneven guide rails (G)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th member 51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150 to engage with the guide rails (G) and the lifting movement, and the elastic body (160)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guide rail (G) to be elastically bia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member 510 and the front end, the interference by the lifting movement of the tooth member 510 by intermittent rotational movement in one direction By selectively restrained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G), it comprises a ratchet wheel member 530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alternating engagement with the guide rail (G).

상기 톱니부재(510)와 상기 래칫휠부재(530)는 각각 상기 밸브튜브(130F) 및 그 배출관(115')이 관통하도록 결합된다.The tooth member 510 and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valve tube 130F and the discharge pipe 115 'penetrate.

상기 가이드 레일(G)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부재(110F)의 원통형 몸체(111)의 내주면에 깊이가 다른 제1요홈(G1)과 제2요홈(G2)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인접되도록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뚜껑부재(110F)의 통형 몸체(111)의 내주면 끝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G)과 단차지도록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안내부(g)를 가지고, 상기 래칫휠부재(530)는 상기 안내부(g)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6A, the guide rail G has a first gap G1 and a second groove G2 having different depth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11 of the lid member 110F. Alternately dispos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n end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11 of the lid member 110F has a guide portion g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guide rail G, and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is installed to be located in the guide portion (g).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레일(G)의 제1요홈(G1)과 제2요홈(G2)은 상기 뚜껑부재(110F)의 원통형 몸체(111)의 내주면으로부터 깊이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대략 1:2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요홈(G2)의 깊이가 상기 제1요홈(G1)의 깊이 두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래칫휠부재(530)를 선택적으로 진입시켜 승강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oove (G1) and the second groove (G2) of the guide rail (G) is formed with different depth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11 of the lid member (110F), respectively. It is preferred that it is formed, especially in a ratio of approximately 1: 2. That is, the depth of the second groove G2 is preferably formed to be twice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G1. This configuration is to selectively enter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to allow lifting.

상기 톱니부재(510)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몸체(511)의 끝단부에 형성된 톱니부(515)와, 상기 요철형 가이드 레일(G)과 치합되도록 상기 몸체(51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된 슬라이드편(513)을 가지며, 그 슬라이드편(513)의 끝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다.The tooth member 51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511 to be engaged with the tooth portion 515 formed at the end of the cylindrical body 511 and the uneven guide rail G as shown in FIG. 16B. A slide piece 513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and evenly, and an end portion of the slide piece 513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correspond in both directions as shown.

상기 래칫휠부재(530)는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톱니부재(510)의 톱니부(515)와 치합되도록 원통형 몸체(531)의 끝단부에 형성된 톱니부(533)와, 상기 가이드 레일(G)의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교번적인 치합에 의해 승강운동하도록 상기 몸체(53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균등 배치되게 돌출 형성된 가이드편(535)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의 참조부호 537은 상기 가이드편(535)의 선단부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이 경사면(537)은 상기 톱니부재(510)의 승강운동에 따라 그 슬라이드편(513)의 경사면에 구속되어 상기 래칫휠부재(530)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편(535)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되어 정렬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G)의 제1요홈(G1) 또는 제2요홈(G2)중의 어느 하나로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작용은 상기 가이드편(535)의 돌출 높이가 제1요홈(G1)과 제2요홈(G2)의 깊이의 중간에 해당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편(535)이 그와 치합될 수 있는 요홈에 위치 정렬되는 경우에만 상기 가이드 레일(G)을 따라 승강운동 가능한 상태로 언록킹되는 반면에, 상기 가이드편(535)이 그와 치합될 수 없는 깊이가 낮은 요홈에 위치 정렬되는 경우에는 그 요홈의 단턱에 의해 구속되어 승강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록킹된다.The ratchet wheel member 530 has a tooth portion 533 formed at the end of the cylindrical body 531 to be engaged with the tooth portion 515 of the tooth member 510, as shown in Figure 16c, the guide rail A guide piece 535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and even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531 to be selectively restrained according to the depth of (G) to move up and down by alternating teeth. Here, reference numeral 537 in the drawing is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clined in one direction at the tip of the guide piece 535, the inclined surface 537 is inclined surface of the slide piece 513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movement of the tooth member 510. It is restrained to rotate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intermittently.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guide piece 535 is selectively changed and aligned so that only one of the first groove G1 and the second groove G2 of the guide rail G can be inserted. This action is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guide piece 535 corresponds to the middle of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G1) and the second groove (G2), the groov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guide piece (535). Unlocked in a stat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long the guide rail G only when aligned with the guide rail G, while the guide piece 535 is aligned with a low-depth groove that cannot be engaged with the groove. Constrained by the step of the locking and lifting is impossible.

한편,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래칫휠부재(530)는 상기 가이드 레일(G)의 끝단부에 형성된 공간 안내부(g)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그 톱니부(533)가 상기 톱니부재(510)의 톱니부(515)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톱니부재(510)의 승강운동에 따라 간섭되어 일방향으로 간헐적인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G)의 제1요홈(G1)의 끝단부 단턱에 선택적으로 구속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편(535)이 상기 가이드 레일(G)의 제2요홈(G1)과 교번적인 치합에 의해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7A and 17B,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is inserted to be positioned in the space guide portion g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G, and the tooth portion 533 is the tooth member. It is installed to mesh with the teeth 515 of 510. In this state, the guide piece is selectively restrained by the stepped end of the first groove G1 of the guide rail G by intermittent rotational movement in one direction, interfering with the lifting motion of the tooth member 510, Reference numeral 535 makes it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by alternating engagement with the second groove G1 of the guide rail 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래칫휠부재(5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뚜껑부재(110F)의 격판(113)에 일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체(160)에 의해 상기 톱니부재(510)에 밀착되도록 상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member 510 by an elastic body 160 which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supported by the diaphragm 113 of the lid member 110F as shown. It is elastically biased upwar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속수단에 따르면, 상기 가압판(150)을 가압하게 되면,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톱니부재(510)가 하강하여 상기 래칫휠부재(530)를 가이드 레일(G)의 끝단 공간 안내부(g)로 밀어내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편(535)이 가이드 레일(G)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상기 래칫휠부재(530)의 경사면(537)은 상기 톱니부재(510)의 슬라이드편(513)의 경사면에 의해 구속되어 일방향으로 간헐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편(535)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 레일(G)의 제1요홈(G1) 또는 제2요홈(G2)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정렬되는데, 요홈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제2요홈(G2)과 정렬될 때, 상기 탄성체(1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톱니부재(510)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편(535)이 상기 가이드 레일(G)의 제2요홈(G2)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칫휠부재(530)의 승강시 상기 톱니부재(51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됨에 따라 밸브튜브(130F) 및 그 배출관(115')이 상승하여 병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restraining means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sing plate 150 is pressed, the tooth member 510 is lowered as shown in Figure 17a to guide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guide rail (G) To the end space guide (g). Thus, the inclined surface 537 of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is restrained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lide piece 513 of the tooth member 510 while the guide piece 535 is pulled out of the guide rail G. Intermittent rotation. Thus, the position of the guide piece 535 is selectively aligned with any one of the first groove (G1) or the second groove (G2) of the guide rail (G), the second groove having a relatively deep depth of the groove When aligned with (G2), the guide piece 535 along the second groove (G2) of the guide rail (G2) in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tooth member 5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60. Ascend and descend. Accordingly, when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is lifted and the tooth member 510 is pushed upward, the valve tube 130F and its discharge pipe 115 'are raised to maintain the bottle cap closed. .

한편, 상기 래칫휠부재(530)의 회전후 상기 가이드편(535)의 위치가 상기 제1요홈(G1)과 정렬될 때는, 상기 가이드편(535)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1요홈(G1)의 깊이 치수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그 단턱에 의해 구속되어 제1요홈(G1)으로의 진입이 막혀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칫휠부재(530)와 상기 톱니부재(51)와의 치합상태가 해제되어 하강상태를 유지함으로써밸브튜브(130F) 및 그 배출관(115')이 하강하여 병뚜껑이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ition of the guide piece 535 after the rotation of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is aligned with the first groove (G1), the height dimension of the guide piece 535 is the first groove (G1) Since i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epth dimension of, it is constrained by the step and the entry into the first recess G1 is blocked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Thus,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and the toothed member 51 are released to maintain the lowered state by maintaining the lowered state of the valve tube 130F and its discharge pipe 115 'to keep the bottle cap open. Don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속수단에 따르면, 가압판(150)을 버튼 누르듯이 가압함에 따라 상기 뚜껑부재(110F)의 가이드 레일(G)과 상기 톱니부재(510) 및 상기 래칫휠부재(530)의 상호작용에 의해 밸브튜브(130F) 및 그 배출관(115')의 록킹/언록킹이 반복되어 교번적으로 승강하게 됨으로써, 용이하게 병뚜껑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restraining means as described above, by pressing the pressing plate 150 as if the butt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uide rail (G) of the lid member 110F, the tooth member 510 and the ratchet wheel member 530 As a result, the locking / unlocking of the valve tube 130F and the discharge pipe 115 'is repeated and lifted alternately, thereby easily opening and closing the bottle cap.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에 따르면, 뚜껑부재에 형성된 공간부와 차단된 상태로 연결되는 흡입관과 밸브튜브 및 배출관을 거쳐 탄산수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에 대한 탄산수의 충전이 배제되어 그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산수의 취출 경로를 최소화하여 취출된 탄산수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at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tube and the valve tube and the discharge tube connected to the space formed in the lid member in a blocked state. Since the filling of the carbonated water is excluded, the loss can be minimized, and the extraction path of the carbonated water can be minimized to increase the freshness of the extracted carbonated water.

그리고, 뚜껑부재에 형성된 공간부에 탄산수 충전이 배제됨에 따라 탄산수의 배출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공간부에 잔류된 탄산수가 누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the carbonated water filling is excluded from the space formed in the lid member, the carbonated water remaining in the space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after the carbonated water discharge operation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튜브(130)의 흡입구(133) 크기 및 수량을 다양하게 변형함으로써 음료수의 분출량과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size and quantity of the inlet 133 of the valve tube 130,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amount and strength of the beverag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

Claims (11)

탄산수가 수용된 병 취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취출해 내기 위한 것으로,Is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containing the carbonated water is for taking out the carbonated water to the outside,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병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도록 상방부에 탄성막이 구비된 통형 몸체와, 상기 탄성막과 대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격판과,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통형 몸체에 구비된 배출관을 가지고, 상기 병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와;It is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is provided on the cylindrical body having an elastic membrane in the upper portion to change the pressure inside the bottle, and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so as to form a space portion facing the elastic membrane,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 lid member having a diaphragm and a discharge pipe provided in the tubular body to communicate the space with the outside, the lid member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상기 병 내부에 삽입되어 탄산수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에 지지된 흡입관과;A suction pipe inserted into the bottle and supported by the lid member to be immersed in carbonated water; 상기 흡입관과 상기 배출관을 상기 공간부와 차단된 상태로 연결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측에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흡입관측에는 흡입구와 밀봉판이 마련되어, 상기 탄성막의 탄성변형에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기 흡입구가 상기 흡입관의 선단부 내외로 출입하여 상기 흡입관을 개폐시키는 밸브튜브;를 포함하며,It is installed in the lid member to connect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in a state in which the space is blocked, the discharge pipe sid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and the suction pipe side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nd a sealing plate, the elevating according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membrane And a valve tube through which the suction port enters and exits the tip of the suction pipe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pipe. 상기 탄성막을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상기 병의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 탄산수가 상기 흡입관과 상기 밸브튜브 및 상기 배출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rane is elastically deformed to cause a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ttle so that the carbonated water is taken out through the suction pipe, the valve tube and the discharge pipe in sequence. 탄산수가 수용된 병 취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취출해 내기 위한 것으로,Is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containing the carbonated water is for taking out the carbonated water to the outside, 측벽 일측이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는 통형 몸체와, 상기 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격판을 가지고, 상기 병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와;A lid member having a tubular body having an opening opening at one side of the side wall and a diaphragm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the diaphragm having a through hol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lid member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상기 병 내부에 삽입되어 탄산수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에 지지된 흡입관과;A suction pipe inserted into the bottle and supported by the lid member to be immersed in carbonated water; 상기 격판과 대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통형 몸체 내주면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가압판과;A pressure plate coupled to the diaphragm to move up and dow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so as to face the diaphragm to form a space portion; 상기 뚜껑부재의 측벽 개구부와 상기 격판의 통공에 관통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측에는 흡입구와 밀봉판이 마련된 배출관을 가지며, 상기 배출관의 절곡부가 상기 가압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밸브튜브와;A bent par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side wall opening of the lid member and a through hole of the diaphragm, and has a discharge pipe having a suction port and a sealing plate provided on the suction pipe side, and a bent part of the discharge pipe is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A valve tube coupled to be connected; 상기 밸브튜브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격판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을 승강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며,And an elastic body installed between the diaphragm of the lid member and the pressure plate so as to be positioned around the valve tube, and lifting the pressure plate. 상기 가압판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병의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 탄산수가 상기 흡입관과 상기 밸브튜브 및 상기 배출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ated water is taken out through the suction pipe, the valve tube and the discharge pipe in sequence by causing a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ttle by pressing the pressure plate. 탄산수가 수용된 병 취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취출해 내기 위한 것으로,Is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containing the carbonated water is for taking out the carbonated water to the outside, 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구비된 격판의 중앙부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병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와;A screw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iaphragm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and the lid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상기 병 내부에 삽입되어 탄산수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에 지지된 흡입관과;A suction pipe inserted into the bottle and supported by the lid member to be immersed in carbonated water; 상기 격판의 나사공에 관통 가능한 상태로 나사 결합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측에는 흡입구와 밀봉판이 마련된 배출관을 가지며, 상기 절곡부상에 그 회전을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밸브튜브와;A bent part is formed to be screwed into the screw hole of the diaphragm, and the suction pipe side has a discharge pip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nd a sealing plate, and a handle for rotation thereof is provided on the bent part and coupled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A valve tube; 상기 밸브튜브의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 승강구동에 의해 상기 병의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 탄산수가 상기 취출관과 상기 밸브튜브 및 상기 배출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Bottle of carbonated water withdraw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ated water is withdrawn through the discharge tube, the valve tube and the discharge tube in sequence by causing the internal pressure change of the bottle by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valve tube by rotating the handle of the valve tube Lid assembly. 탄산수가 수용된 병 취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탄산수를 외부로 취출해 내기 위한 것으로,Is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containing the carbonated water is for taking out the carbonated water to the outside, 통형 몸체의 내주면에 구비된 격판의 중앙부에 통공을 가지고, 상기 병 취출구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뚜껑부재와;A lid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the lid member being coupled to the bottle outlet; 상기 병 내부에 삽입되어 탄산수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부재에 지지된 흡입관과;A suction pipe inserted into the bottle and supported by the lid member to be immersed in carbonated water; 상기 격판과 대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통형 몸체 내주면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가압판과;A pressure plate coupled to the diaphragm to move up and dow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so as to face the diaphragm to form a space portion; 상기 흡입관측에 흡입구와 밀봉판을 가지고, 상기 가압판에 관통된 상태로 결합되어 외부와 통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도록 상기 격판의 통공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관통 결합되는 밸브튜브와;A valve tube having a suction port and a sealing plate on the suction pipe side, integrally formed to pass through the pressure plate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diaphragm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 상기 밸브튜브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격판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포함하며,And lifting means installed between the diaphragm of the lid member and the pressure plate so as to be positioned around the valve tube to lift the pressure plate. 상기 가압판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병의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상기 병을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임으로써, 상기 탄산수가 상기 취출관과 상기 밸브튜브 및 상기 배출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A bottle for discharging carbonated water, wherein the carbonated water is withdrawn through the discharge pipe, the valve tube, and the discharge pipe sequentially by inducing the internal pressure change of the bottle by pressurizing the pressure plate and tilting the bottle at a constant slope. Lid assemb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ifting means, 상기 밸브튜브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격판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body is installed between the plate of the lid member and the pressure plate to be positioned around the valve tub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ifting means, 상기 밸브튜브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뚜껑부재의 격판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탄성변형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속수단은,An elastic body installed between the diaphragm of the lid member and the pressing plate so as to be positioned around the valve tube, and a restraining means for selectively restraining the elastic deformation state of the elastic body, wherein the restraining means includes: 상기 뚜껑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제1걸림홈 및 제2걸림홈과,A first catching groove and a second catching groove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lid member; 상기 밸브튜브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돌출리브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변형 상태에 따라 상기 제1걸림홈에서 위치 이동하는 제1후크 및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에 각각 선택적으로 걸려 구속되는 제2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It is provided in the protruding rib protru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alve tube is selectively hooked and restrained by the first hook and the first locking groove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respectively moved in the first locking groove according to the elastic deformation state of the elastic body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o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straining means, 상기 뚜껑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소정 캠홈을 가지는 캠부재와;A cam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cam groove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member; 상기 가압판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캠홈내에서 일방향으로 캠운동하여 교번적으로 록킹/언록킹되도록 상기 가압판에 설치된 캠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And a cam pin installed on the pressure plate to alternately lock / unlock by cam movement in one direction in the cam groove according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pressure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straining means, 상기 뚜껑부재의 통형 몸체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형 가이드 레일과;Uneven guide rail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of the lid member; 상기 가이드 레일과 치합되어 승강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는 톱니부재와;A tooth member engaged with the guide rail and connected to the pressure plate so as to move up and down;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톱니부재와 선단부가 맞물리게 밀착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의 끝단부에 삽입되며, 상기 톱니부재의 승강운동에따라 간섭되어 일방향으로 간헐적인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 끝단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과의 교번적인 치합에 의해 승강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칫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It is elastically biased by the elastic body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guide rail so that the tooth member and the front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guide rail end portion by the intermittent rotational movement in one direction interfered with the lifting movement of the tooth member And a ratchet wheel member which is selectively restrained to b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by alternating engagement with the guide rail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뚜껑부재의 통형 몸체 내주면에 깊이가 다른 제1요홈과 제2요홈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인접되도록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요철형 가이드 레일을 이루며, 상기 뚜껑부재의 통형 몸체 내주면 끝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단차지도록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래칫휠부재는 상기 안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The guide rails are alternately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grooves and the second grooves having different depth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of the lid member to form an uneven guide rail. It has a guide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stepped with the guide rail, the ratchet wheel member is a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guide portion.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톱니부재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끝단부에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요철형 가이드 레일과 치합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된 슬라이드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The tooth member has a cylindrical body, a tooth formed on the end of the body, and the carbonated water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lide piece protruding to be radially evenly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to be engaged with the uneven guide rail Bottle cap assembly.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래칫휠부재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톱니부재의 톱니부와 치합되도록 상기 몸체의 끝단부에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톱니부재의 승강운동에 간섭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레일 깊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교번적인 치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The ratchet wheel member has a cylindrical body, a tooth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body to be engaged with the tooth portion of the tooth member, and the inclined surface to rotate in one direction to interfere with the lifting motion of the tooth member to the depth of the guide rail The bottle cap assembly for carbonated water extra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iece protruding selective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o be selectively restrained according to the alternative.
KR1020020033125A 2001-06-14 2002-06-14 Bottle cap assembly KR2002009544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568883A JP2004519392A (en) 2001-06-14 2002-06-14 Bottle cap assembly for removing carbonated water
PCT/KR2002/001119 WO2002102679A1 (en) 2001-06-14 2002-06-14 Bottle cap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463 2001-06-14
KR20010033463 2001-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444A true KR20020095444A (en) 2002-12-26

Family

ID=2770913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134A KR100439210B1 (en) 2001-06-14 2001-11-22 Bottle cap assembly
KR2020010036057U KR200265028Y1 (en) 2001-06-14 2001-11-22 Bottle cap assembly
KR1020020033125A KR20020095444A (en) 2001-06-14 2002-06-14 Bottle cap assembly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134A KR100439210B1 (en) 2001-06-14 2001-11-22 Bottle cap assembly
KR2020010036057U KR200265028Y1 (en) 2001-06-14 2001-11-22 Bottle cap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04392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503B1 (en) * 2008-12-05 2010-10-05 인순생 A carbonated drinks cork
WO2021148691A1 (en) * 2020-01-20 2021-07-29 Sides S.A. Valve cap assembly for siphon hea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210B1 (en) * 2001-06-14 2004-07-07 이노캡스(주) Bottle cap assembly
KR100858320B1 (en) 2007-02-14 2008-09-17 박영주 container for flui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3186A (en) * 1973-09-10 1975-05-12
JPS613247U (en) * 1984-06-13 1986-01-10 カネボウ株式会社 Pour cap with valve
KR910000693U (en) * 1989-06-20 1991-01-23 유승주 Pressure adjusting bottle cap
KR19990083712A (en) * 1999-06-15 1999-12-06 김현석 A device that exhaust automatically a carbonic acid beverage
KR20020046109A (en) * 2000-12-12 2002-06-20 김정화 Soda Bottle Cap
KR20020095417A (en) * 2001-06-14 2002-12-26 이노캡스(주) Bottle cap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7749U (en) * 1985-03-07 1986-09-11
JP3257042B2 (en) * 1992-07-10 2002-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970009635B1 (en) * 1995-02-06 1997-06-17 송정식 Bottle clos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3186A (en) * 1973-09-10 1975-05-12
JPS613247U (en) * 1984-06-13 1986-01-10 カネボウ株式会社 Pour cap with valve
KR910000693U (en) * 1989-06-20 1991-01-23 유승주 Pressure adjusting bottle cap
KR19990083712A (en) * 1999-06-15 1999-12-06 김현석 A device that exhaust automatically a carbonic acid beverage
KR20020046109A (en) * 2000-12-12 2002-06-20 김정화 Soda Bottle Cap
KR20020095417A (en) * 2001-06-14 2002-12-26 이노캡스(주) Bottle cap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503B1 (en) * 2008-12-05 2010-10-05 인순생 A carbonated drinks cork
WO2021148691A1 (en) * 2020-01-20 2021-07-29 Sides S.A. Valve cap assembly for siphon hea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417A (en) 2002-12-26
KR100439210B1 (en) 2004-07-07
KR200265028Y1 (en)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1388B2 (en) Beverage container lid
EP2298659B1 (en) Connecting structure
KR200445177Y1 (en) Vacuum pump for closure of vessle
KR101750307B1 (en) The Cream type cosmetic vessel with a vacuum pump
KR101866230B1 (en) liquid discharging vessel
KR101866233B1 (en) liquid discharging vessel
KR100388845B1 (en) Drink case
JP2004519392A (en) Bottle cap assembly for removing carbonated water
KR20020095444A (en) Bottle cap assembly
US20230013434A1 (en) Double container
JP2010006451A (en) Liquid jetting instrument
JPH0624394Y2 (en) Foam jet pump container
JP6315556B2 (en) Foam dispenser
WO2007052445A1 (en) Valve unit and infusion set
CN111372689A (en) Powder discharge container
KR200449734Y1 (en) Storage container for chewing gum
KR100720765B1 (en) Vacuum vessel for food
US20200087041A1 (en) Compressed gas supply device
JP5306441B2 (en) Beverage bottle
KR100985503B1 (en) A carbonated drinks cork
KR101011446B1 (en) Closure for pumping of vessle
KR100883145B1 (en) Dispenser for spout pouch
KR200438978Y1 (en) Vaccum container to preserve food
KR101768889B1 (en) The containe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its content
JP3657378B2 (en) Liquid jet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