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219A -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 Google Patents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219A
KR20020095219A KR1020027013961A KR20027013961A KR20020095219A KR 20020095219 A KR20020095219 A KR 20020095219A KR 1020027013961 A KR1020027013961 A KR 1020027013961A KR 20027013961 A KR20027013961 A KR 20027013961A KR 20020095219 A KR20020095219 A KR 20020095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post
section
shaped element
rod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2794B1 (en
Inventor
아우크툰미카엘
페터스만프레트
하젤훈클라우스
슈피커만후베르투스
Original Assignee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02701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794B1/en
Publication of KR2002009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7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the spatial position of an implant (1). The inventive element can be inserted to an adapted receiving recess (10) in the implant (1), fixed therein and removed therefrom. In an assembly position, a collar section (26K) of the dowel-shaped element protrudes above the opening cross-section of the receiving recess (10). In order to determine the correct position of the dowel-shaped element in relation to the implant (1) in a simple and reliable manner without the need for an x- ray, the dowel-shaped element is provided with a through opening which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thereof, enabling a rod element (32) to be fed therethrough. The rod element can be brought into contact,by means of a distal stopping surface (36), with a stopping surface (37)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recess (10) of the implant.

Description

임플란트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Post-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the spatial position of the implant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치의학 분야에서는 그러한 유형의 포스트형 요소를 소위 인상 포스트(impression post)라고 지칭하는데, 그것에 의해 예컨대 턱뼈에 미리 도입된 치의학적 임플란트의 위치 및 정향이 결정되게 된다. 그를 위해, 그 포스트형 요소는 수납 섹션으로서 형성된 그 하부에 의해 수납 리세스로서의 기능을 하는 임플란트의 구멍 속에 삽입되어 그 속에서 예컨대 축 방향 일자 나사에 의해 임플란트 내부의 나사 포켓 구멍 속에 고정된다. 포스트형 요소의 그러한 결합 위치에서 임플란트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칼라 섹션은 전형적으로 다수의 유지부를구비하여 그 칼라 섹션과 경화될 수 있는 인상재(impression material) 사이에 가능한 한 긴밀한 형상 결속이 이뤄지게끔 한다.In the field of dentistry such a post-shaped element is called an impression post, whereby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dental implant previously introduced into the jawbone, for example, is determined. For that purpose, the post-shaped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implant which functions as an accommodating recess by means of its lower part formed as an accommodating section, in which it is fixed in a screw pocket hole inside the implant, for example by an axial straight screw. The collar section protruding beyond the open cross section of the implant at such a mating position of the post-shaped element typically has a number of holdings to achieve as close a shape bond as possible between the collar section and the hardenable impression material. do.

인상 스푼(impression spoon)의 도움을 빌어서, 인상 포스트와 그에 인접된 치아의 둘레에 있는 공간이 초기에 가소적으로 성형될 수 있는 인상재에 의해 충전되고, 그럼으로써 치아와 인상 포스트가 음형의 형식으로 본 떠지게(coping) 된다.With the help of an impression spoon, the space around the impression post and adjacent teeth is filled by an impression material which can be plastically molded initially, thereby filling the tooth and impression post in the form of a negative form. Coping is seen.

인상 스푼은 인상 포스트의 칼라 섹션의 근위(proximal) 단부에 배정된 구역에 오목부를 구비하여 인상재의 경화 후에 그 인상재를 고정시키는 나사를 다시 돌려 뺄 수 있게끔 한다. 포스트형 요소를 임플란트에 고정시킨 것을 다시 해제시키면, 인상재 속에 형상 결속식으로 매립된 포스트형 요소가 그 인상재와 함께 턱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The impression spoon has a recess in the area assign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collar section of the impression post so that after the hardening of the impression material the screw that secures the impression material can be turned back. By releasing the fixation of the post-shaped element to the implant again, the post-shaped element embedded in the impression material in the form binding can be removed from the jaw together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그러한 공지의 포스트형 요소의 단점은 임플란트에 대한 그 올바른 위치가 삽입 시 및 본을 뜨기 전에는 즉각적으로 확인될 수 없는데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올바르게 위치되었을 때에 서로 접하게 되는 인상 포스트와 임플란트의 접촉 면 사이에 예컨대 임플란트에 인접된 조직이 끼워 넣어져서 인상 포스트와 임플란트가 서로에 대한 올바른 위치에 도달될 수 없게 될 소지가 다분하다. 그럴 경우에는 인상에 의해 인상 포스트의 잘못된 위치가 고수됨으로 인해, 임플란트의 위치를 잘못 추정하게 될 것이다.The disadvantage of such known post-shaped elements has been found to be that their correc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mplant cannot be identified immediately upon insertion and before shaping the bone. That is, there is a lot of possibility that, for example, the tissue adjacent to the implant is sandwiched between the contact posts of the impression post and the implant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correctly positioned so that the impression post and the implant cannot reach the correct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impression post is held by the impression, and the position of the implant will be wrongly estimated.

그와 같이 신뢰성이 없음을 방지하기 위해, 인상 포스트를 임플란트 속에 고정시킨 후이자 아직 본을 뜨기 전에 X-선 촬영에 의해 인상 포스트의 올바른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한 X-선 촬영은 한편으로 조립 시의 시간 소모를 증대시켜그러한 유형의 임플란트 시스템의 비용을 상승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의 인식에 따라 가능한 한 최소화시켜야 할 방사선의 부담을 환자에게 안기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lack of reliability, the correct position of the impression posts is controlled by X-ray imaging after the impression posts have been secured in the implant and before the bone has yet been boned. Such X-rays, on the one hand, increase the time spent on assembly, increasing the cost of this type of implant system, and on the other hand, placing the burden of radiation on the patient to minimize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 to current perceptions. .

본 발명은 임플란트 또는 인체나 동물체의 치아 또는 지지 조직에 있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의 그 주위 조직 구조에 대한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dowel-shaped element)로서, 수납 섹션에 의해 임플란트 또는 인공 공동에 있는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 속에 넣어질 수 있고 그 속에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며 다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결합 위치에서 칼라(collar) 섹션에 의해 수납 리세스 또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포스트형 요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the spatial position of an implant or its surrounding tissue structure of an open cross section of an artificial cavity in a tooth or supporting tissue of a human or animal body, the implant or It can be put into a corresponding receiving recess in the artificial cavity and can be secured in a non-twisted manner and can be removed again from it and the opening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recess or artificial cavity by the collar section in the mating position. A post-shaped element protrudes beyon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형 요소를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Hereinafter, the post-shaped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폐쇄 캡이 클립핑된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n implant with the closure cap clipped;

도 2는 폐쇄 캡의 평면도이며;2 is a top view of the closure cap;

도 3은 폐쇄 캡이 제거된 후의 임플란트의 평면도이고;3 is a plan view of the implant after the closure cap is removed;

도 4는 도 1에 따른 임플란트의 Ⅳ-Ⅳ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IV-IV of the implant according to FIG. 1;

도 5는 도 1에 따른 임플란트의 Ⅴ-Ⅴ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5 is a cross sectional view along line V-V of the implant according to FIG. 1;

도 6은 클립 요소의 맞물림 구역의 부분 확대도이며;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engagement zone of the clip element;

도 7은 2부품 인상 포스트가 클립핑된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7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n implant with a two-part impression post clipped;

도 7a는 도 7에 따른 인상 포스트의 상부의 평면도이며;7a is a plan view of the top of the impression post according to FIG. 7;

도 8은 도 7과 유사하지만, 작업실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FIG. 8 is similar to FIG. 7 but with a cross sectional view of a laboratory implant;

도 9는 도 7과 유사하지만, 일체형 인상 포스트의 단면도이며;FIG. 9 is similar to FIG. 7 but with a sectional view of the unitary impression post;

도 10은 도 9와 유사하지만, 작업실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FIG. 10 is similar to FIG. 9 but with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boratory impla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을 뜨는 과정 전에 임플란트에 대한 포스트형 요소의 올바른 위치를 X-선 방사선의 도움을 빌리지 않고서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임플란트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ost-determine the spatial position of an implant, which allows a simple and reliable confirmation of the correct position of the post-shaped element relative to the implant before the process of shaping, without the aid of X-ray radiation. To provide an element.

그러한 목적은 서두에 전제된 유형의 포스트형 요소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에 따라 포스트형 요소가 그 종 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로드 요소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로드 요소가 원위(distal) 접촉 면에 의해 임플란트의 수납 리세스의 바닥 상의 접촉 면(37)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Such an object starts with a post-shaped element of the type presupposed at the outset, a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through opening through which the post-shaped elemen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its longitudinal axis and allows the rod element to pass, and the rod element is distal ( distal) by contacting the contact surface 37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recess of the implant.

로드 요소를 그에 맞춰진 관통 개구부 속에 도입함으로써, 포스트형 요소가 임플란트에 대해 올바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관통 개구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로드 요소는 그 원위 접촉 면이 임플란트의 수납 리세스의 바닥 상의 접촉 면에 접촉될 때까지 관통 개구부 속에 도입된다. 포스트형 요소를 통한 관통 개구부의 길이는 알려져 있기 때문에, 관통 개구부 속에 수납되는 로드 요소의 길이에 따라 포스트형 요소가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즉, 로드 요소가 포스트형 요소의 올바른 위치에 상응하는 것보다 더 깊이 관통 개구부 속에 끼워 넣어지면, 포스트형 요소가 어떠한 상황으로 인해 아직 임플란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추론을 내릴 수 있고, 그에 의해 예컨대 포스트형 요소와 임플란트 사이에 조직이 끼워져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By introducing the rod element into the corresponding through opening, it is possible to simply check whether the post-shaped element occupies the correc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mplant. The rod element, which is preferably formed longer than the through opening, is introduced into the through opening until its distal contact surface contacts the contact surface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recess of the implant. Since the length of the through opening through the post-shaped element is know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st-shaped element is in the correct posi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od element accommodated in the through-opening. That is, if the rod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opening deeper than it corresponds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post-shaped element, one can infer that the post-shaped element is still far from the implant due to some circumstances, for example post-shaped It can be assumed that the tissue is sandwiched between the element and the implant.

즉,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형 요소에서는 단지 광학적 또는 기계적 보조 수단만으로 포스트형 요소의 올바른 위치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포스트형 요소의 위치를 X-선 촬영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완전히 생략될 수 있음으로써, 비용 및 환자의 방사선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In other words, the post-shaped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trol of the correct position of the post-shaped element with only optical or mechanical assistance means.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st-shaped element by X-ray imaging can be completely omitt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radiation burden on the patient.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관통 개구부 및 수납 리세스는 서로 동축상으로 연장되도록 조치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opening and the receiving recess are arranged to extend coaxially with each other.

또한, 로드 요소는 그 원위 단부 섹션에 의해 수납 리세스의 바닥에 있는 횡단면이 맞춰진 포켓형 개구부 속에 도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로드 요소는 "포스트형 요소/임플란트" 결합에 안정성을 부여하여 상황 여하에 따라서는 성형 과정 중에 임의의 추가적인 고정을 생략할 수도 있게끔 한다.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rod element can be introduced into the cross-sectional pocketed opening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recess by its distal end section. In that case, the rod element imparts stability to the "post-type element / implant" coupling so that in some circumstances it may be possible to omit any further fixing during the molding process.

포켓형 개구부가 그 입구 횡단면의 구역에서 약간 확장될 경우 및/또는 로드 요소의 직경이 그 원위 단부 섹션에서 약간 점감될 경우에는 포스트형 요소의 도입이 용이해진다.The introduction of the post-shaped element is facilitated when the pocket-shaped opening is slightly expanded in the region of its inlet cross section and / or when the diameter of the rod element is slightly diminished in its distal end section.

로드 요소의 위치는 포스트형 요소의 근위 단부 면이 로드 요소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파악되게 된다.The position of the rod element is found simply by allowing the proximal end face of the post-shaped element to exte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od element.

또한, 로드 요소는 포스트형 요소가 임플란트에 대해 올바르게 위치되고 로드 요소와 임플란트의 접촉 면이 서로 접촉되었을 때에 바로 막 관통 개구부 속에완전히 잠겨지거나 관통 개구부의 개방 횡단면의 직상부에 바로 위치되는 표식을 그 외측 표피 면에 구비한다.In addition, the rod element may be marked with a marker that is fully locked into the through-hole or immediately above the open cross-section of the through-hole when the post-shaped element is correctly positioned relative to the implant and the contact surfaces of the rod element and the implan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rovided on the outer skin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형 요소의 바람직한 매우 바람직한 용도는 그것이 치의학적 임플란트의 정향을 결정하기 위한 인상 포스트로 되는 것이다.A preferred very preferred use of the post-shaped ele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hat it serves as an impression post for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the dental implant.

도 1 내지 도 5로부터, 기본 형태가 대략 원추형이고 그 외측 표피 면에 수나사(2)를 구비한 티타늄제 임플란트(1)를 볼 수 있다; 그러한 임플란트(1)는 둥글게 된 원위 단부(3) 및 대략 환형의 단부 면(5)에 의해 형성된 근위 단부(4)를 구비한다. 임플란트(1)는 단부 면(5)에 인접된 섹션(6)에서 고광택 연마된 표피 면(7)을 구비한 원통형 형태로 된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나사 섹션(8)에서는 임플란트(1)가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단부 면(5)으로부터 출발하여, 임플란트(1)의 종 방향 축(9)에 평행하게 수납 리세스(10)가 연장되는데, 그 수납 리세스(10)는 섹션(6)의 전 길이와 나사 섹션(8)의 부분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1 to 5, a titanium implant 1 can be seen in which the basic shape is approximately conical and has an external thread 2 on its outer skin surface; Such implant 1 has a proximal end 4 formed by a rounded distal end 3 and an approximately annular end face 5. The implant 1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high gloss polished epidermal surface 7 in a section 6 adjacent the end face 5. In the subsequent threaded section 8, the implant 1 is formed conical. Starting from the end face 5, an accommodating recess 10 extend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9 of the implant 1, which accommodating recess 10 is the full length of the section 6 and the screw. It extends over the partial length of section 8.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섹션(6)의 구역에서의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은 모따기된 장방형의 형태를 일관되게 취하고 있다.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은 나사 섹션(8)을 기점으로 연속적으로 점감되어 리세스(10)의 바닥(11)에서는 그 횡단면이 모따기된 정방형(도 5를 참조)을 나타내게 된다. 모따기된 장방형의 횡단면 형태로부터 모따기된 정방형의 횡단면 형태로 전이되는 것은 연속적으로 급격하지 않게 이뤄진다.As can be seen from FIG. 3, the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recess 10 in the region of the section 6 consistently takes the form of a chamfered rectangle. The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recess 10 is continuously tapered starting from the screw section 8 so that the bottom 11 of the recess 10 shows a square with a chamfered cross section (see FIG. 5). The transition from the chamfered rectangular cross sectional shape to the chamfered square cross sectional shape is continuous and not abrupt.

도 1로부터 특히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납 리세스(10)의 벽(12)은 종 방향 축(9)에 수직하게 정향된 다수의 환형 홈(13)을 구비한다. 또한, 그 벽(12)은 상부 및 하부 환형 홈(14o, 14u)을 구비하는데, 그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s can be seen in particular from FIG. 1, the wall 12 of the receiving recess 10 has a plurality of annular grooves 13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9. The wall 12 also has upper and lower annular grooves 14o, 14u, the function of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1)에는 대략 원통형의 헤드부(16) 및 그와 동축상으로 정향되어 수납 리세스(10) 속으로 연장되는 결합 핀(17)으로 이뤄진 폐쇄 캡(15)이 삽입된다. 헤드부(16)의 접촉 면(18)은 마찰 결속의 형식으로임플란트(1)의 단부 면(5)에 접촉된다.The implant 1 shown in FIG. 1 is inserted with a closing cap 15 consisting of a generally cylindrical head 16 and a coupling pin 17 oriented coaxially with and extending into the receiving recess 10. do. The contact face 18 of the head 16 is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5 of the implant 1 in the form of frictional binding.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핀(17)은 상부 섹션에서 대략 장방형의 횡단면을 나타내는데, 그 모퉁이 구역은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의 모따기된 구역에서 결합 핀(17)과 수납 리세스(10)의 벽(12) 사이에 4개의 배기 채널(19a)이 형성되도록 절단된다. 따라서, 결합 핀(17)을 수납 리세스(10) 속에 끼워 넣을 때에 조립 과정을 방해하는 압력 형성이 일어남이 없이 공기가 밀어내어져 위쪽으로 반출될 수 있고, 그 공기는 임플란트의 단부 면(5)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4개의 배기 홈(19b)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3, the engagement pin 17 exhibit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e upper section, the corner area of which the engagement pin 17 and the receiving lid in the chamfered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recess 10. Four exhaust channels 19a are cut between the walls 12 of the recess 10. Thus, when the engagement pin 17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recess 10, air can be pushed out and taken out upward without pressure build-up, which interferes with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air is pushed out of the end face 5 of the implant. It can be provi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ur exhaust grooves (19b) extending radially outward.

폐쇄 캡(15)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결합 핀(17)의 외측 표피 면과 수납 리세스(17)의 벽(12) 및 단부 면(5)과 접촉 면(18)이 마찰 결속에 의해 접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closing cap 15 is assembled, the outer skin face of the coupling pin 17 and the wall 12 and the end face 5 and the contact face 18 of the receiving recess 17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frictional engagement. .

폐쇄 캡(15)은 이식 후에 단지 일시적으로만 임플란트(1)에 머무르기 때문에 환형 홈(14o)에 맞물리는 4개의 클립 요소(20)에 의해서만 임플란트(1)와 결합될 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요소(20)를 상부 환형 홈(14o)에 맞물리는 대신에, 결합 핀(17)이 상응하는 길이로 될 경우에는 하부 홈(14u)에 맞물리는 것도 가능하다.The closure cap 15 stays in the implant 1 only temporarily after implantation, so it is only engaged with the implant 1 by four clip elements 20 that engage the annular groove 14o. Instead of engaging the clip element 20 with the upper annular groove 14o as shown in FIG. 1, it is also possible to engage the lower groove 14u when the engagement pin 17 is of a corresponding length.

폐쇄 캡(15)은 임플란트(1)의 제조업자에 의해 이미 임플란트에 삽입되어 있고, 한편으로 턱뼈에 대응 구멍을 만든 후에 도 2에 도시된 슬릿(21)에 맞물리는 나사 드라이버에 의해 임플란트(1)를 돌려 끼우는 역할을 한다. 결합 핀(17)의 횡단면 및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이 장방형으로 됨에 의거하여, 토크가 폐쇄 캡(15)을 경유하여 임플란트(1)에 전달될 수 있다. 이식 후에는 폐쇄캡(15)이 임플란트(1)에 머물러 다른 한편으로 수납 리세스(10)를 외래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The closing cap 15 has already been inserted into the implant by the manufacturer of the implant 1, on the one hand, after making the corresponding hole in the jawbone, the screw 1 engaging the slit 21 shown in FIG. 2. ) To rotate the Based on the cross section of the engagement pin 17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recess 10 fitted therein, the torque can be transmitted to the implant 1 via the closing cap 15. After implantation, the closing cap 15 stays in the implant 1 and on the other hand protects the receiving recess 10 from foreign contaminants.

임플란트(1)를 턱뼈에 삽입하고 나서 폐쇄 캡(15)을 덮은 점막이 제2 시술에 의해 다시 개방될 수 있을 정도까지 약 3 내지 6개월 후에 교합이 완료된다. 폐쇄 캡(15)이 제거되는데, 그를 위해 펜치형 공구를 헤드부(16)의 V형 환형 홈(22)에 맞물림으로써 전체의 폐쇄 캡(15)이 가벼운 잡아당김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임플란트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이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소위 치은 형성자(gingiva former)의 결합 핀(17)이 임플란트(1)의 수납 리세스(10)에 삽입된다. 치은 형성자의 고정 원리는 폐쇄 캡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다.After the implant 1 is inserted into the jawbone, the occlusion is completed after about 3 to 6 months until the mucosa covering the closing cap 15 can be opened again by the second procedure. The closing cap 15 is removed for this purpose by engaging the pliers with the V-shaped annular groove 22 of the head 16 so that the entire closing cap 15 is upwardly along the axial direction by a light pull. It will be removed from the implant. Now, the coupling pin 17 of the so-called gingiva former,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recess 10 of the implant 1. The fixing principle of the gingival former is the same as that in the closing cap.

임플란트(1)에 앵커 고정시키려는 의치를 환자의 구강 밖에서 턱뼈 모형에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치의 인상(impression)이 제작된다. 그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인상 포스트(23)의 형태의 포스트형 요소가 임플란트(1)의 수납 리세스(10) 속에 삽입된다. 그러한 인상 포스트(23)는 4개의 클립 요소(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하부(24) 및 하부(24)에 비틀리지 않게 삽입될 수 있는 상부(25)로 이뤄진다. 상부(25)의 칼라 섹션(26K)은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데, 칼라 섹션(26K) 그 자체는 4개의 직육면체형 몸체(27.1 내지 27.4)로 이뤄진다. 가장 아래쪽 몸체(27.1)는 횡단면이 타원형인 원추형 단부 섹션(28)을 구비하고, 그 단부 섹션(28)은 인상 포스트(23)의 하부(24)에 상보적으로 형성된 리세스(29)에 맞물린다. 하부(24)는 임플란트(1)의 수납 섹션(26A)과 동일한 길이로 되고, 그 상부 에지로써 임플란트(1)의 단부 면(5)과 동일한 높이로종료된다. 리세스(29)는 단부 면(5)의 높이로부터 바로 연장되고, 임플란트(1)에 있는 수납 리세스(10)의 개방 횡단면 그 자체보다는 약간 작은 개방 횡단면을 구비한다.Impressions of dentures are made to allow the dentures to be anchored to the implant 1 to fit the jawbone model outside the patient's mouth. For that purpose, a post-shaped element in the form of the impression post 23 shown in FIG. 7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recess 10 of the implant 1. Such an impression post 23 consists of a lower part 24 which can be fixed by four clip elements 20 and an upper part 25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24 without twisting. The collar section 26K of the upper portion 25 protrudes beyond the open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recess 10, which collar section 26K itself consists of four cuboid bodies 27.1 to 27.4. The lowest body 27.1 has a conical end section 28 that is elliptical in cross section, the end section 28 engaging a recess 29 complementary to the lower part 24 of the impression post 23. All. The lower part 24 is of the same length as the receiving section 26A of the implant 1 and terminates at the same height as the end face 5 of the implant 1 as its upper edge. The recess 29 extends directly from the height of the end face 5 and has an open cross section which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open cross section of the receiving recess 10 in the implant 1 itself.

도 7a에 따른 인상 포스트(23)의 상부의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방형 수평 단면을 구비한 직육면체형 몸체(27.1 내지 27.4)는 교대로 90°만큼 서로 비틀어져 있다. 즉, 십자형으로 쌓여져 배치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plan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impression post 23 according to FIG. 7A,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dies 27.1 to 27.4 with a rectangular horizontal cross section are alternately twisted by 90 °. That is, they are stacked and arranged in a cross shape.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의 가장 아래쪽 몸체(27.1)는 환형 접촉 면(30)에 의해 임플란트(1)의 단부 면(5)에 접하는데, 인상 포스트(23)를 임플란트(1)에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사출 성형 기술로 인상 포스트(23)를 제조한 후에 얇은 환형 접착 링(31)을 접촉 면(30)에 부착하는데, 그 환형 접착 링(31)은 본을 뜨고 난 후에 가벼운 잡아당김에 의해 임플란트(1)의 단부 면(5)으로부터 다시 분리될 수 있다.The lowermost body 27.1 of the top 25 of the impression post 23 is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5 of the implant 1 by an annular contact surface 30, which brings the impression post 23 into the implant 1. After the impression posts 23 ar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technology to secure them in place, a thin annular adhesive ring 31 is attached to the contact surface 30, which is lightly wound after the patterning. It can be detached again from the end face 5 of the implant 1 by pulling.

도 7에 도시된 결합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는 유동성이 있고 경화될 수 있는 인상재에 의해 에워싸인다. 인상재가 경화된 후에는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의 구역에서의 형상 결속에 의한 결합을 파괴하지 않고서는 인상 포스트(23)가 더 이상 인상재로부터 제거될 수 없게 된다. 오히려, 그 내부에 인상재가 들어있는 인상 스푼이 인상 포스트(23)와 함께 제거되는데, 그 경우에 접착 링(31)의 형태의 접착 결합은 가벼운 잡아당김에 의해 해제되게 된다.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와 하부(24) 사이에 횡단면이 타원형인 원추형 결합이 이뤄짐에 의거하여, 상부(25)가 여러 방향으로 임플란트(1)로부터 또는 우선적으로뒤에 남겨진 하부(24)로부터 직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가능한 이동 방향의 한계는 유선형 표피 면이 가상적으로 임플란트(1)의 단부 면(5)을 넘어 밖으로 확장된다고 할 경우에는 단부 섹션(28) 또는 상보적 리세스(29)의 원추의 표피 면에 의해 결정된다. 그와 같이 하부(24)와 상부(25)가 특수하게 결합됨에 의거하여, 임플란트(1)의 종 방향 축이 인접된 치아에 비해 적지 않게 경사진 위치를 나타낼 경우에도 상부(25)가 응력을 받음이 없이, 그리고 인상재에 힘을 가함이 없이 구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Starting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shown in FIG. 7, the top 25 of the impression post 23 is surrounded by an impression material that is fluid and can be cured. After the impression material has cured, the impression post 23 can no longer be removed from the impression material without breaking the bonds by shape binding in the region of the top 25 of the impression post 23. Rather, the impression spoon containing the impression material therein is removed together with the impression post 23, in which case the adhesive bond in the form of an adhesive ring 31 is released by a light tug. Based on the conical engagement of an elliptical cross section between the top 25 and the bottom 24 of the impression post 23, the top 24 is left behind or preferentially left behind the implant 1 in several directions. Can be removed linearly). The limitation of the possible direction of movement is due to the epidermal surface of the cone of the end section 28 or the complementary recess 29 if the streamlined epidermal surface virtually extends out beyond the end face 5 of the implant 1. Is determined. Based on the special combination of the lower part 24 and the upper part 25, the upper part 25 is stressed even whe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 1 represents a not inclined position compared to the adjacent teeth. It can be removed from the mouth without receiving and without applying force to the impression material.

도 7에 도시된 인상 포스트(23)는 중심에 배치된 일자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 속에는 그에 맞춰진 로드 요소(32)가 삽입된다. 모든 몸체(27.1 내지 27.4)를 통해 연장되는 로드 요소(32)는 그 원위 단부 섹션(33)에 의해 수납 리세스(29)의 바닥(35)에 있는 그에 맞춰진 포켓형 개구부(34) 속에 들어간다. 그를 위해, 로드 요소(32)는 그 원위 단부 섹션에서 그 직경이 약간 점감됨으로써 도입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로드 요소(32)용 관통 개구부도 역시 원통형 몸체(27.1)의 단부 섹션(28) 및 하부(24)를 통해 연장된다.The impression post 23 shown in FIG. 7 has a straight through opening arranged in the center, into which a rod element 32 fitted is inserted. The rod element 32 extending through all the bodies 27.1 to 27.4 enters by means of its distal end section 33 into a corresponding pocketed opening 34 in the bottom 35 of the receiving recess 29. For that purpose, rod element 32 facilitates the introduction movement by slightly diminishing its diameter in its distal end section. The through opening for the rod element 32 also extends through the end section 28 and the bottom 24 of the cylindrical body 27.1.

그러한 로드 요소(32)에 의해, 한편으로 인상 포스트(23)의 올바른 위치 설정이 제어될 수 있고, 특히 그를 위해 몸체(27.1)의 접촉 면(30)이 임플란트(1)의 단부 섹션(5)에 올바르게 접촉되었을 때에 바로 막 가장 위쪽 몸체(27.4)의 관통 개구부 속에 잠겨지는 표식(32a)이 로드 요소(32)의 근위 단부 섹션에 마련될 경우에 그와 같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표식은 전술된 상태에서 관통 개구부 속에 이제 막 들어가게 되도록 붙여질 수도 있다.By means of such a rod element 32, the correct positioning of the impression post 23 on the one hand can be controlled, in particular for which the contact face 30 of the body 27.1 is adapted for the end section 5 of the implant 1. The mark 32a, which is submerged in the through opening of the uppermost body 27.4 when it is correctly in contact with it, is thus controlled when provided in the proximal end section of the rod element 32. Optionally, the mark may be pasted to just enter the through opening in the state described above.

로드 요소(32)의 또 다른 장점은 그에 의해 인상 포스트(23')가 보다 더 큰 안정성을 얻는다는데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을 뜨는 과정에서 예컨대 인상재의 힘 작용에 의해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가 하부(24')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Another advantage of the rod element 32 is believed to be that the impression post 23 ′ achieves greater stability. In particular, it is prevented that the upper portion 25 'of the impression post 23'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lower portion 24 'in the process of shaping, for example, by the force ac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로드 요소(32)의 위치가 올바르게 되는데 결정적인 것은 원위 단부 섹션이 수납 리세스(10)의 바닥(35)에 있는 그에 맞춰진 포켓형 개구부(34) 속에 맞물리는 것으로, 특히 로드 요소(32)의 원위 접촉 면(36)이 포켓형 개구부(34)의 바닥에 있는 접촉 면(37)에 접촉되는 형식으로 맞물리는 것이다.The correct positioning of the rod element 32 is crucial: the distal end section engages in a corresponding pocketed opening 34 in the bottom 35 of the receiving recess 10, in particular the distal contact of the rod element 32. The face 36 is engaged in such a manner as to contact the contact face 37 at the bottom of the pocket opening 34.

도 8은 그 수납 리세스(10)가 임플란트(1)의 그것과 일치하는 작업실 임플란트(1L) 속에 인상 포스트(23)의 상부(25)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가장 아래쪽 직육면체형 몸체(27.4)는 그 접촉 면에 의해 작업실용 임플란트의 단부 면(51)에 접한다. 로드 요소(32)에 의해, 인상 포스트(23)의 하부(24)가 없더라도 인상 포스트(23)를 작업실용 임플란트(1L) 속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8 shows that the receiving recess 10 has an upper portion 25 of the impression post 23 in a laboratory implant 1L that matches that of the implant 1. The lowest cuboid body 27.5 is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51 of the implant for the laboratory. The rod element 32 makes it possible to fix the impression post 23 in the laboratory implant 1L even without the lower portion 24 of the impression post 23.

추가로, 로드 요소(32)는 그 원위 단부(33)에 의해 수납 리세스(10)의 바닥(35)에 있는 구멍(34) 속으로 들어간다. 그에 의해, 작업실 임플란트(1L)와 인상 포스트(23) 사이의 올바른 결합 위치가 보장되게 된다.In addition, the rod element 32 enters into the hole 34 in the bottom 35 of the receiving recess 10 by its distal end 33. Thereby, the correct engagement position between the laboratory implant 1L and the impression post 23 is ensured.

도 9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그 원위 단부에 잇는 클립 요소(20)에 의해 임플란트(1)에 있는 환형 홈(1) 속에 고정될 수 있는 선택적 인상 포스트(23')를 나타낸 것이다. 인상 포스트(23')가 일체형으로 됨에 의거하여, 인상 포스트(23')가 대략 임플란트(1) 또는 그 수납 리세스(10)의 종 방향 축의 방향으로만 제거될 수있다. 그러한 제거는 클립 결합의 형상 결속력을 극복하기 위한 가벼운 잡아당김에 의해 이뤄지게 된다.FIG. 9 shows an optional impression post 23 ′ which is integrally constructed and can be secured in an annular groove 1 in the implant 1 by a clip element 20 at its distal end. On the basis of the integration of the impression post 23 ', the impression post 23' can only be re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mplant 1 or its receiving recess 10 approximately. Such removal is accomplished by light tugging to overcome the shape binding of the clip engagement.

그러한 인상 포스트(23')도 역시 중심에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 관통 개구부 속에는 로드 요소(32)의 원위 단부 섹션(36)이 포켓형 개구부(34)의 바닥의 대응 접촉 면에 맞닿도록 로드 요소(32)가 도입된다. 그와 같이 하여, 인상의 제작 전에 X-선 촬영을 할 필요가 없이 인상 포스트가 임플란트(1)의 단부 면(5)에 올바르게 착석되는 것이 제어될 수 있다.Such an impression post 23 'also has a through opening at its center, in which the distal end section 36 of the rod element 32 abuts against the corresponding contac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pocket opening 34. 32 is introduced. As such, it can be controlled that the impression post is correctly seated on the end face 5 of the implant 1 without the need for X-ray imaging prior to fabrication of the impression.

끝으로, 도 10은 완전히 본을 뜨고 난 후에 인상 포스트(23')가 어떻게 작업실용 임플란트(1L) 속에 삽입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 경우에도 역시 클립 요소(20) 및 로드 요소(32)에 의한 고정이 이뤄지게 된다.Finally, FIG. 10 shows how the impression post 23 'is inserted into the laboratory implant 1L after being fully modeled. In that case too, fastening by the clip element 20 and the rod element 32 is achieved.

Claims (7)

임플란트(1) 또는 인체나 동물체의 치아 또는 지지 조직에 있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의 그 주위 조직 구조에 대한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로서, 수납 섹션(26A)에 의해 임플란트(1) 또는 인공 공동에 있는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10) 속에 넣어질 수 있고 그 속에 비틀리지 않게 고정될 수 있으며 다시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결합 위치에서 칼라 섹션(26K)에 의해 수납 리세스(10) 또는 인공 공동의 개방 횡단면을 넘어 돌출되는 포스트형 요소에 있어서,As a post-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the spati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mplant (1) or the surrounding tissue structure of the open cross section of the artificial cavity in the teeth or supporting tissue of the human or animal body, the implant (1) or by the receiving section (26A) Can be encased in and 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recessed recess 10 in the artificial cavity and can be fixed therein and removed from it again, and the recessed recess 10 or by the collar section 26K in the engaged position. In the post-shaped element projecting beyond the open cross section of the artificial cavity, 포스트형 요소는 그 종 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로드 요소(32)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로드 요소(32)는 원위 접촉 면(36)에 의해 임플란트(1)의 수납 리세스(10)의 바닥 상의 접촉 면(37)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포스트형 요소.The post-shaped element has a through opening which extends in the direction of its longitudinal axis to allow the rod element 32 to pass through, and the rod element 32 is received by the distal contact surface 36 in the receiving recess of the implant 1. Post-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the spatial position of the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37 on the bottom of (10). 제1항에 있어서, 관통 개구부와 수납 리세스(10)는 서로 동축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The post-shaped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opening and the receiving recess (10) extend coaxially with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드 요소(32)는 원위 단부 섹션(33)에 의해 수납 리세스(10)의 바닥에 있는 횡단면이 맞춰진 포켓형 개구부(34) 속에 도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3. The rod element 32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rod element 32 can be introduced into the transversely aligned pocket opening 34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recess 10 by the distal end section 33. Post type element. 제3항에 있어서, 포켓형 개구부(34)는 그 입구 횡단면의 구역에서 약간 확장되고/확장되거나, 로드 요소(32)는 원위 단부 섹션(33)에서 그 직경이 약간 점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4. The post-shape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ocket opening 34 is slightly expanded in the region of its inlet cross section, or the rod element 32 is slightly reduced in diameter in the distal end section 33. Element.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트형 요소의 근위 단부 면은 로드 요소(32)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The post-shaped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ximal end face of the post-shaped element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od element.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드 요소(32)는 포스트형 요소가 임플란트(1)에 대해 올바르게 위치되고 로드 요소(32)와 임플란트(1)의 접촉 면(36, 37)이 서로 접촉되었을 때에 바로 막 관통 개구부 속에 완전히 잠겨지거나 관통 개구부의 개방 횡단면의 직상부에 바로 위치되는 표식을 그 외측 표피 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The rod element 32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rod element 32 is correct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implant 1 and the contact surfaces 36, 37 of the rod element 32 and the implant 1. Posts are provided with marks on their outer skin surface which are completely submerged in the membrane through opening immediately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which are located directly above the open cross section of the through opening.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트형 요소는 치의학적 임플란트(1)의 공간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인상 포스트(23,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형 요소.The post-shaped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t-shaped element is an impression post (23, 23 ′) for determining the spatial position of the dental implant (1).
KR1020027013961A 2000-04-19 2001-04-05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KR1006727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3961A KR100672794B1 (en) 2000-04-19 2001-04-05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9331.5 2000-04-19
KR1020027013961A KR100672794B1 (en) 2000-04-19 2001-04-05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219A true KR20020095219A (en) 2002-12-20
KR100672794B1 KR100672794B1 (en) 2007-01-23

Family

ID=3900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961A KR100672794B1 (en) 2000-04-19 2001-04-05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79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219B1 (en) * 2003-03-13 2005-12-16 허영구 Impla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nd abutment for the implant
KR101298246B1 (en) * 2011-12-23 2013-08-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onnecting member for impl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2424B2 (en) * 2009-04-21 2014-04-22 Christopher W. Ford Dental implant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219B1 (en) * 2003-03-13 2005-12-16 허영구 Impla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nd abutment for the implant
KR101298246B1 (en) * 2011-12-23 2013-08-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Connecting member for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794B1 (en) 200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4073A (en) Impression coping
EP1448112B1 (en) Components and method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US6824386B2 (en) Components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US7314374B2 (en)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US20190350683A1 (en) Mid-gingival implant system
JP3671004B2 (en) Columnar elements specifically for determining the spatial position of the implant
WO2014049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king dental impressions
EP2907473B1 (en)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KR100672794B1 (en) Dowel-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that of an implant
KR102024911B1 (en) Offset type healing abutment
KR100672793B1 (en) Post-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of an implant
KR102198248B1 (en) Healing abutment with hoto-polymerizable resin photo-polymerization healing part
KR20200002558U (en) Surgical connector for dental fixture
JP3642831B2 (en) Abutment selector for dental implants
US20220151739A1 (en) Molding device for a dental implant
KR100672795B1 (en) Implant
KR20200016124A (en) Cervica prosthesis with shield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