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346A -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346A
KR20020094346A KR1020010032451A KR20010032451A KR20020094346A KR 20020094346 A KR20020094346 A KR 20020094346A KR 1020010032451 A KR1020010032451 A KR 1020010032451A KR 20010032451 A KR20010032451 A KR 20010032451A KR 20020094346 A KR20020094346 A KR 20020094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rler
bio
sprayer
portable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153B1 (ko
Inventor
강신재
Original Assignee
고정미
강신재
주식회사 삼호화공기계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미, 강신재, 주식회사 삼호화공기계제작소 filed Critical 고정미
Priority to KR10-2001-003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1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94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1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swirl imparting inserts upstream of the swirl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28Centrifugal spray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의 분무화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함면서 그 분무 거리를 보다 연장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분무기 본체의 내부를 통해 강제 이송된 공기에 의해 약제 수용통내에 수용된 약제가 파이프를 따라 흡인되어 분사된 후 상기 본체의 분출구에 구비된 분무화수단에서 분무화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화수단은, 상기 분출구의 내면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단부 외주면에 서로 분리 이격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면과 내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 이상에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와류 형성부가 구비되며,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타단에 통공을 갖는 통체 형상의 스월러와; 상기 파이프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월러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약제 분무노즐과; 상기 분출구의 외면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단부 내주면에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타단에 분무공을 갖는 통체 형상의 분무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A APRAYER FOR SPREADING AN INSECTICIDE}
본 발명은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의 분무화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함면서 그 분무 거리를 보다 연장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 농가나 창고 또는 악취시설등의 장소에는 파리, 모기, 나방, 말벌, 좀벌레, 개미등을 살충하기 위해 액체로된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화예단지나 원예단지 또는 비닐하우스에서 발생하는 총체벌레나 유충의 부화방지 등에도 상기 살충제를 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부응하여 상기 살충을 위한 약제를 살포할 수 있는 장치로서,본출원인 개발하여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 제210856호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출원의 기술 구성은 분무기 본체의 내부를 통해 강제 이송된 공기에 의해 약제 수용통내에 수용된 약제가 흡인되어 노즐로부터 분사된 후 본체에 형성된 분출구를 통해 분무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살충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분출공을 갖는 중공형의 분출캡과, 상기 분출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되면서 상기 분출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분출캡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스월러를 가지고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스월러의 실제 구성은 상기 분출캡의내주면 및 안착면과 일정 간극이 유지되게 설치됨과 함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기 안착면과의 대응면상에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제1 안내날개로 이루어진 제1 스월러와; 상기 제1 스월러와 결합됨과 함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구멍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제2 안내날개로 이루어진 제2 스월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본출원인이 선출한 기술을 가지고 실제 제품을 양산하여 실험을 해본 결과, 약제의 분무화 효율은 많이 기대할 수 있었으나 분무화 정도되는 것에 반비례하여 그 분무 거리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스월러가 두개의 부품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무 과정에서 분출구측을 상향 경사지게 하면, 스월러중의 어느 하나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결국에는 분무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분출캡 및 스월러를 다시 분해하여 재조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그 조립 순서가 분출캡에 제1 스월러를 설치하고 나서, 이 제1 스월러에 제2 스월러를 장작한 다음, 분출캡을 분출구에 설치하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약제의 분무화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함면서 그 분무 거리를 보다 연장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지시선 "A"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무기의 구성중 분무화수단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무화수단의 구성중 스월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월러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월러의 하면을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스월러의 절반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분무화수단의 구성중 스월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월러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월러의 하면을 바라본 정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스월러의 절반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분무화수단의 구성중 스월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스월러의 하면을 바라본 정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스월러의 절반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본체60 : 약제 수용통
61 : 파이프52 : 분출구
80 : 분무화수단81 : 약제 분무노즐
82 : 스월러85 : 분무캡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무기 본체의 내부를 통해 강제 이송된 공기에 의해 약제 수용통내에 수용된 약제가 파이프를 따라 흡인되어 분사된 후 상기 본체의 분출구에 구비된 분무화수단에서 분무화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화수단은, 상기 분출구의 내면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단부 외주면에 서로 분리 이격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면과 내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 이상에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와류 형성부가 구비되며,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타단에 통공을 갖는 통체 형상의 스월러와; 상기 파이프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월러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약제 분무노즐과; 상기 분출구의 외면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단부 내주면에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타단에 분무공을 갖는 통체 형상의 분무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시선 "A"부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무기의 구성중 분무화수단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분무화수단의 구성중 스월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월러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월러의 하면을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스월러의 절반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분무화수단의 구성중 스월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월러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월러의 하면을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스월러의 절반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분무화수단의 구성중 스월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스월러의 하면을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스월러의 절반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는 본체(50)와, 약제 수용통(60)과, 모터(70)와, 송풍팬(72)과, 분무화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50)는 그 외관이 양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부에는 공기흡입구(51)가 형성되고, 그 타단부에는 분출구(5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53)가 형성된다.
상기 약제 수용통(60)은 상기 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액상의 약제가 수용 가능하도록 비어있다.
상기 약제 수용통(60)내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61)의 하단 부분이 소정 깊이 잠겨진 상태로 파이프(61)의 상단 부분이 외부로 소정 길이 인출되어 있다.
상기 모터(70)는 상기 공기흡입구(51)측에 인접한 상기 본체(50)의 유로(53)상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모터(70)의 외측면과 상기 본체(50)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기가 이동하여 흐를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의 갭(GAP)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70)는 본체(50)의 유로(53)의 중앙에 고정 배치되는바, 바람직하게는 회전축(미도시)이 상기 공기흡입구(51)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70)를 본체(50)의 유로(53)상에 고정 배치하는 구조에 대하여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터(70)의 회전축에는 송풍팬(72)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분무화수단(8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월러(82)와, 약제 분무노즐(81)과, 분무캡(85)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월러(82)는 상기 분출구(52)의 내면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단부 외주면에 서로 분리 이격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체결부(82a)가 돌출 형성되고, 외면과 내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 이상에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와류 형성부(82b)가 구비되며,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타단에 통공(82c)을 갖는 통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약제 분무노즐(81)은 상기 파이프(61)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월러(82)의 내부에 고정 배치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82d는 약제 분무노즐(81)을 고정 삽입하기 위해 스월러(82)에 형성된 삽입홈이다.
상기 분무캡(85)은 상기 분출구(52)의 외면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단부 내주면에 체결부(85a)가 돌출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타단에 분무공(85b)을 갖는 통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월러(82)에 형성된 체결부(82a)는 키형상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분출구(52)의 내면 끼움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82a)에 대응하여 상기 분출구(52)의 내면에는 체결부 끼움홈(52a)이 형성된다.
상기 분무캡(85)의 체결부(85a)는 나사 가공된 것으로, 상기 분출구(52)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52b)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와류 형성부(82b)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류 형성부(82b)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과 내면에 모두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형성부(82b)는 중심선에서 대략 7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룬다.
상기 와류 형성부(82b)의 다른 실시예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가 내면에 모두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 형성부(82b)는 중심선에서 대략 15도 정도의 각도를 이룬다.
상기 와류 형성부(82b)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 하부측에만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특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 형성부(82b)는 중심선에서 대략 7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분무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설명 부호 54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는 손잡이이고, 56은 온/오프 겸용 모터 회전단수 저절 스위치이며, 51a는 공기흡입그릴이다.
먼저, 온/오프 겸용 모터 회전단수 저절 스위치(56)를 온키시게 되면, 전원이 모터(70)로 인가되어 구동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70)로의 전원 공급은 별도의 내장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전원코드를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모터(70)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회전축이 회전되어 송풍팬(72)이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팬(72)이 회전되기 시작하면, 본체(50)의 외부의 공기는 공기흡입그릴(51a)을 통해 공기흡입구(51)로 흡입되기 시작한다.
이렇게 송풍팬(72)에 의해 강제 송풍된 공기는 본체(50)내의 유로(53)를 따르 흘러 분출구(52)측으로 강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분출구(52)상에는 분무화수단(8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구(52)를 통과하는 압축된 상태의 공기는 속도에 의해 약제 수용통(60)내의 약제는 파이프(61)를 따라 흡상승되어 약제 분무노즐(81)에서 분출되어 스월러(82)내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분출구(52)측으로 흘러간 공기는 두부분으로 분기되어 유동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중의 일부는 약제 분무노즐(81)과 스월러(8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에 스월러(82)의 내측면에 형성된 와류 형성부(82b)에 의해 와류를 일으키면서 스월러(82)의 통공(82c)를 통해 배출되며, 최종적으로 분무캡(85)의 분무공(85b)에서 배출된다.
한편, 공기중의 나머지는 스월러(82)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부(82a) 사이의 공간과 분출구(5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된 후에 스월러(82)의 하단 외측면에 형성된 와류 형성부(82b)를 거치면서 와류 상태로 변화되어 최종적으로 분무캡(85)의 분무공(85b)에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분무화수단(80)을 가지고 실제 실험해본 결과, 종래에는 분무거리가 2~3M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7~8M정도 나왔었다.
부언하면, 약제가 공기에 의해 분무되는 정도가 약화되 않으면서도 그 분무 거리가 향상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분무화수단(80)의 구조에서 스월러(82)가 분무캡(85)과는 연결 관계가 없이 본체(50)의 구성인 분출구(52)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립및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을 종래에 비해 단축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무화수단(80)의 구조에서 스월러(82)가 분무캡(85)과는 연결 관계가 없이 본체(50)의 구성인 분출구(52)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서처 처럼 분무 과정에서 분출구측을 상향 경사지게 하면 스월러중의 어느 하나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분무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폐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무기에 따르면, 약제의 분무화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함면서 그 분무 거리를 보다 연장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분무기 본체(50)의 내부를 통해 강제 이송된 공기에 의해 약제 수용통(60)내에 수용된 약제가 파이프(61)를 따라 흡인되어 분사된 후 상기 본체(50)의 분출구(52)에 구비된 분무화수단(80)에서 분무화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화수단(80)은,
    상기 분출구(52)의 내면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단부 외주면에 서로 분리 이격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체결부(82a)가 돌출 형성되고, 외면과 내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 이상에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와류 형성부(82b)가 구비되며,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타단에 통공(82c)을 갖는 통체 형상의 스월러(82)와;
    상기 파이프(61)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월러(82)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약제 분무노즐(81)과;
    상기 분출구(52)의 외면에 체결 결합되도록 일단부 내주면에 체결부(85a)가 돌출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타단에 분무공(85b)을 갖는 통체 형상의 분무캡(8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월러(82)에 형성된 체결부(82a)는 키형상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82a)에 대응하여 상기 분출구(52)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부(82a)가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5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캡(85)의 체결부(85a)와 상기 분출구(52)의 외면은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형성부(82b)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날개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KR10-2001-0032451A 2001-06-11 2001-06-11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KR10043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451A KR100431153B1 (ko) 2001-06-11 2001-06-11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451A KR100431153B1 (ko) 2001-06-11 2001-06-11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285U Division KR200246643Y1 (ko) 2001-06-11 2001-06-11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346A true KR20020094346A (ko) 2002-12-18
KR100431153B1 KR100431153B1 (ko) 2004-05-22

Family

ID=2770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451A KR100431153B1 (ko) 2001-06-11 2001-06-11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1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90B1 (ko) * 2007-05-09 2009-01-30 재단법인 전주기계탄소기술원 분무기
CN111729115A (zh) * 2020-07-22 2020-10-02 青岛巉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主动送风的静电气溶胶喷雾消毒机及其工作方法
KR102363614B1 (ko) * 2022-01-11 2022-02-15 여석경 와류식 분사구조와 플라즈마와 수소수를 이용한 살균 소독 방역용 초미립자 분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965B1 (ko) 2020-01-02 2022-03-16 (주)이노테크 방역용 소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90B1 (ko) * 2007-05-09 2009-01-30 재단법인 전주기계탄소기술원 분무기
CN111729115A (zh) * 2020-07-22 2020-10-02 青岛巉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主动送风的静电气溶胶喷雾消毒机及其工作方法
CN111729115B (zh) * 2020-07-22 2023-06-27 青岛巉山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主动送风的静电气溶胶喷雾消毒机及其工作方法
KR102363614B1 (ko) * 2022-01-11 2022-02-15 여석경 와류식 분사구조와 플라즈마와 수소수를 이용한 살균 소독 방역용 초미립자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1153B1 (ko) 200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5095B2 (ja) 入れ子式フォーマノズル
KR100651083B1 (ko) 약액분사용 노즐
US20120111961A1 (en) Grove sprayer
KR100431153B1 (ko)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KR20160097491A (ko)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US11197941B1 (en) Aroma diffuser
KR102010503B1 (ko) 휴대용 전동 분무기
KR200246643Y1 (ko)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CN111729767A (zh) 一种消毒喷雾器
CN102630660B (zh) 一种生物农药喷洒装置
US10799839B1 (en) Multifunctional misting system
KR200302270Y1 (ko) 농축산용 연무기
KR100365864B1 (ko) 휴대용 살충분무기의 약제 분무화장치
KR100427778B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KR200210856Y1 (ko) 휴대용 살충분무기의 약제 분무화장치
KR200315427Y1 (ko) 농업용 분무장치
KR20230096621A (ko) 휴대용 방역장치
JPH0530771Y2 (ko)
KR200260778Y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KR102030540B1 (ko) 다용도 이동식 물안개 분무장치
KR20000058687A (ko) 진공청소분무기
KR100365865B1 (ko)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KR200309315Y1 (ko) 이중회전유도체를 구비한 초미량 분무기용 노즐
JPH0328933Y2 (ko)
KR200210855Y1 (ko)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