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874A -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 Google Patents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874A
KR20020093874A KR1020027013059A KR20027013059A KR20020093874A KR 20020093874 A KR20020093874 A KR 20020093874A KR 1020027013059 A KR1020027013059 A KR 1020027013059A KR 20027013059 A KR20027013059 A KR 20027013059A KR 20020093874 A KR20020093874 A KR 20020093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cabin
cabin
plane
escap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27446B1 (en
Inventor
파브로스 지안나코폴로스
Original Assignee
파브로스 지안나코폴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브로스 지안나코폴로스 filed Critical 파브로스 지안나코폴로스
Publication of KR2002009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4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2Severable or jettisonable parts of fuselage facilitating emergency escape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이나 화재로 인해 비행기가 갑작스럽게 하강할 때 승객을 구조하기 위한 분리형 캐빈(1)을 구비한 비행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캐빈은 부드럽게 또는 신속한 방출에 의해 탈출되어 낙하산(13; 14)의 도움으로 지면에 천천히 하강하며, 지면이나 바다에 부딪힐때는 그 하부에 부착된 에어백이 팽창되어 충돌중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이미 낙하산 장치(71)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되고 있는 종래 형태의 비행기(70)에는, 갑작스런 하강시에 지면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의 흡수를 위해 본 발명의 에어백 상자(72a 내지 72c)가 장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plane having a separate cabin (1) for rescue passengers when the plane suddenly descends due to a failure or fire. The cabin escapes by a smooth or rapid release and slowly descends to the ground with the aid of parachutes 13 and 14, and when it hits the ground or the sea, the airbag attached to the bottom expands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during the collision. do. In addition, the airbag boxes 72a to 72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the conventional aircraft 70 in which the parachute device 71 is already installed to absorb energy generated by collision with the ground during sudden descent. do.

Description

분리형 승객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 및 에어백을 구비한 비행기{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더욱이,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비행기, 즉 낙하산을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된 에어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는 포함하지 않은 비행기에도 관한 것이다.Moreo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nventional airplane which is used today, i.e. an airplane which has a parachute but does not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airbag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오늘날의 기술은 비행기가 떨어지는 동안 승객을 구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전 시스템과 같은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Today's technology does not provide a safety system such as the safet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scue passengers while the plane is falling.

비행기의 하강이나 화재 등에 기인하는 생존 노력의 최종 단계에 이르면, 유일한 희망은 승객이 그들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공간으로 간주되는 비행기로부터 탈출하는 것이다. 그 순간까지 사람과 비행기는 '단일체'를 구성하며 분리 또는 방출가능한 탈출 캐빈은 이들을 '분리'하여 그 생명을 구할 수단이다.When the final stage of the survival effort is due to the plane's descent or fire, the only hope is for the passengers to escape from the plane, which is considered the space necessary for their life. Until that moment, people and planes constitute a 'unitary', and detachable or ejectable escape cabins are the means by which they are 'separated' and saved their lives.

본 발명은, 대기에서 높이 나는 비행기의 탑승객을 지면으로 강하하는 동안에 안전하게 탈출 및 구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결정적인 시점에 결합해제 및 분리되어 비행기로부터 이탈될 유리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비행기 동체에 적절히 부착되는 탑승객을 위한 비행기 캐빈(cabin)으로부터의 분리에 관한 것이다. 동시에 낙하산과 신속한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로켓 모터와 같은 사출 장치 및 에어백으로 구성되는 캐빈의 장치로 인해 승객의 구조 가능성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fe escape and rescue while passengers of an airplane flying high in the atmosphere descend into the groun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eparation from an airplane cabin for a passenger that is properly attached to the aircraft fuselage, which provides an advantageous possibility of disengagement and separation at a critical point,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possibility of departure from the plane. At the same time, the cabin's device consists of an airbag and an injection device, such as a rocket motor, which allows for parachute and rapid release, providing passenger rescue possibilities.

도 1a는 적절한 비행 동작을 위한 최종 부착 이전에 비행기의 동체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된 탈출 캐빈의 사시도.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cape cabin shown separated from the body of an airplane prior to final attachment for proper flight operation;

도 1b는 적절한 비행 동작을 위한 최종 부착 이전에 탈출 캐빈으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된 비행기 동체의 사시도.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craft fuselage shown separately from the escape cabin prior to final attachment for proper flight operation.

도 1c는 비행기의 정상 비행 중에는 착탈식 조인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비행기 동체에 부착되는 탈출 캐빈의 사시도.1C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cape cabin attached to an aircraft fuselage that is interconnected by a removable joint during normal flight of the aircraft;

도 1d는 낙하산에 의해 부양되어 외부 에어백이 작동한 상태에서의, 분리된 탈출 캐빈이 지면으로 낙하하는 도중의 사시도로서, 낙하산 보관 영역과, 소형 로켓과, 낙하산 케이블의 보관 공간 및 탈출 캐빈과의 연결점을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FIG. 1D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ed escape cabin dropping to the ground in a state where an external air bag is supported by a parachute and operated with a parachute storage area, a small rocket, a storage space of a parachute cable, and an escape cabin; FIG. Detailed drawing of the connection point.

도 2a는 도 1c의 비행기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도중에 그 낙하산 시스템이 작동된 상태의 사시도.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rachute system operated while the plane of FIG. 1C is falling from the sky; FIG.

도 2b는 탈출 캐빈이 동체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비행기가 강제로 수평 비행상태로 들어가도록 그 주 낙하산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의, 도 2a의 비행기의 사시도.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plane of FIG. 2A with its main parachute fully deployed to force the plane into a horizontal flight before the escape cabin is detached from the fuselage;

도 2c는 동체로부터 분리되어 낙하산에 의해 부양된 상태의 도 2b에 도시된 비행기의 탈출 캐빈의 사시도.FIG. 2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scape cabin of the airplane shown in FIG. 2B with the parachute lifted away from the fuselage; FIG.

도 2d는 탈출 캐빈으로부터 분리되어 급속한 자유 낙하중에 있는 도 2b에 도시된 비행기 동체의 사시도.FIG. 2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craft fuselage shown in FIG. 2B being in rapid free fall away from the escape cabin; FIG.

도 2e는 급강하 중에 있는 도 2d의 동체의 사시도.FIG. 2E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uselage of FIG. 2D during a dive. FIG.

도 2f는 지면에 이미 충돌한 도 2e의 동체의 사시도.2F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of FIG. 2E that has already hit the ground.

도 2g는 낙하산에 의해 부양되어 느린 속도로 하강하고 있는 도 2c의 탈출 캐빈의 사시도.2G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scape cabin of FIG. 2C being supported by a parachute and descending at a slow speed.

도 2h는 지면에 접근하고 있고 그 외부 에어백이 이미 작동한 상태에서 지면에 충돌하기 직전의 도 2g의 탈출 캐빈의 사시도.FIG. 2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scape cabin of FIG. 2G immediately before it hits the ground with the external airbag already approaching the ground.

도 2i는 지면에 충돌하는 시점에서 충돌 에너지를 에어백이 흡수하는 도 2h의 탈출 캐빈의 사시도.FIG. 2I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scape cabin of FIG. 2H in which the airbag absorbs impact energy at the point of impact on the ground; FIG.

도 3은 본 발명의 탈출 캐빈의 저면도로서, 캐빈의 플로어에서 외부에 특히 그 하부 외측에 신속 탈출 장치와 상자처럼 수납되어 있는 신속 탈출 장치를 자세히 도시하는 도면.3 is a bottom view of an escape cabi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ing a quick escape device housed like a box and a quick escape device on the outside of the cabin, particularly on the bottom outside thereof;

도 3a는 사출장치에 의해 비행기 동체로부터의 초기 방출 단계중에 있는 도 3의 탈출 캐빈의 사시도로서, 그 낙하산의 초기 발진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scape cabin of FIG. 3 in the initial stage of ejection from the aircraft body by the injection device, detailing the initial oscillation of the parachute;

도 3b는 발진된 낙하산이 펼쳐지는 것과 동시에, 동체로부터 신속히 방출된 로켓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2차 방출 단계중의 도 3a의 탈출 캐빈의 사시도.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scape cabin of FIG. 3A during a secondary release step by the rocket motor released quickly from the fuselage as the oscillating parachute is deployed; FIG.

도 3c는 동체로부터 결합해제되는 최종 신속 방출 단계중에 있으며 그 주 낙하산이 캐빈이 지상으로 완만하게 하강하도록 완전히 펴진 상태에 있는 도 3b의 탈출 캐빈의 사시도.FIG. 3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scape cabin of FIG. 3B during the final rapid release phase of disengagement from the fuselage and with the primary parachute fully extended to allow the cabin to gently descend to the ground;

도 4는 에어백 상자의 사시도로서, 그 내부에는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고 에어백이 단면 도시되어 있는 도면.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bag box, the interior of which contains elements constituting the device and the airbag is shown in cross section; FIG.

도 4a는 에어백 상자가 그 소켓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탈출 캐빈의 저면도로서, 신속 방출 장치의 나머지 뿐 아니라 에어백 상자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4A is a bottom view of the escape cabi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irbag box disposed in its socket,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airbag box is activated as well as the rest of the quick release device;

도 4b는 에어백 상자를 구비한 도 4a의 탈출 캐빈의 저면도로서, 에어백이 작동되어 작동되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완전히 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4B is a bottom view of the escape cabin of FIG. 4A with an airbag box, showing the airbag is fully operational to operate and absorb impact energy; FIG.

도 5는 비행기의 엔진 손상으로 인해 지면을 향한 하강이 시작된 확폭 제트 비행기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widening jet airplane in which a descent into the ground has begun due to engine damage to the airplane;

도 6a는 도 5의 제트 비행기의 측면도로서 하강 정도가 보다 크고 낙하산 장치가 작동된 상태의 도면.FIG. 6A is a side view of the jet plane of FIG. 5 with a greater degree of descent and with a parachute operated; FIG.

도 6b는 제트 비행기의 확폭 동체로부터 분리된 탈출 캐빈의 측면도로서, 캐빈이 완전히 펼쳐진 주 낙하산에 의해 부양되어 있는 상태의 도시도.Fig. 6B is a side view of the escape cabin separated from the widening fuselage of the jet plane, in a state in which the cabin is supported by a fully deployed main parachute;

도 6c는 지면을 향해 자유롭게 급강하 하기 시작한, 도 6a에 도시된 분리된 제트 비행기의 확폭 동체의 측면도.FIG. 6C is a side view of the widened fuselage of the separated jet plane shown in FIG. 6A, which begins to dive freely towards the ground. FIG.

도 7a는 분리형 조인트의 베이스들중 하나의 베이스의 단면 사시도로서, 추진 기구가 설치되는 공간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7A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one of the bases of the detachable joint, showing in detail the space in which the propulsion mechanism is installed;

도 7b는 분리형 조인트의 다른 베이스의 단면 사시도로서, 그것이 구성하는 하우징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7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base of the detachable joint, showing in detail the housing it constitutes.

도 7c는 피스톤, 퓨즈 및 스프링과 같은 베이스가 수용하는 구성요소들의 사시도.7C is a perspective view of components that the base receives, such as a piston, fuse, and spring;

도 7d는 추진 모드로 작동되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분리형 조인트 기구의 단면도로서, 탈출 캐빈과 동체에 각각 연결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FIG. 7D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detachable joint mechanism shown in FIGS. 7A-7C operated in propulsion mode,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to an escape cabin and a fuselage respectively; FIG.

도 7e는 도 7d에 도시된 조인트 기구의 내부에 봉입된 재료가 폭발할 때의 단면도로서, 피스톤의 변위와 탈출 캐빈 및 동체의 구성요소들의 분리를 도시하는 도면.FIG. 7E is a cross sectional view when the material encapsulated inside the joint mechanism shown in FIG. 7D explodes, showing displacement of the piston and separation of components of the escape cabin and fuselage; FIG.

도 8a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분리형 조인트 기구의 작동 이전의 단면도.8A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operation of a hydraulic joint actuated split joint mechanism;

도 8b는 도 8a의 기구의 작동 후의 단면도.8B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operation of the instrument of FIG. 8A.

도 9a는 압축 공기로 작동하는 분리형 조인트 기구의 작동 이전의 단면도.9A is a cross sectional view before operation of the detachable joint mechanism operating with compressed air;

도 9b는 도 9a의 기구의 작동 후의 단면도.9B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operation of the instrument of FIG. 9A.

도 10a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분리형 조인트 기구의 작동 이전의 단면도.10A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operation of a mechanically actuated split joint mechanism;

도 10b는 도 10a의 기구의 작동 후의 단면도.10B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operation of the instrument of FIG. 10A.

도 11은 수직 사출된 사출장치의 전체 형상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shape of the vertical injection unit.

도 11a는 도 11에 도시된 수직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신축 피스톤중 하나의 피스톤을 도시하는 사시도.FIG. 1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piston of the expansion piston constituting the vertical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 11; FIG.

도 11b는 도 11에 도시된 수직 사출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신축 피스톤을 도시하는 사시도.FIG. 11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pansion piston constituting the vertical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 11. FIG.

도 11c는 점화에 의해 수직으로 추진되는 도 11에 도시된 사출장치의 신축 피스톤중 하나의 피스톤을 도시하는 사시도.FIG. 11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piston of the expansion piston of the injection apparatus shown in FIG. 11 propagated vertically by ignition; FIG.

도 11d는 점화에 의해 방출 및 선형 이동하여 다른 피스톤으로부터 분리이격되는, 도 11에 도시된 사출장치의 다른 신축 피스톤의 사시도.FIG. 11D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pansion piston of the injection device shown in FIG. 11, being released and linearly moved by ignition and separated from the other piston. FIG.

도 11e는 사출장치의 추진에 의한 수직 방출시의 탈출 캐빈의 저면도.Fig. 11E is a bottom view of the escape cabin at vertical discharge by propulsion of the injection device.

도 11f는 신축 피스톤으로부터의 최종 분리 단계중의 그리고 제 1 방출 단계시의, 도 11e에 도시된 탈출 캐빈의 저면도.FIG. 11F is a bottom view of the escape cabin shown in FIG. 11E during the final release step from the expansion piston and during the first release step. FIG.

도 11g는 제 2 단계중에 있는 탈출 캐빈의 저면도로서 그 로켓 모터가 완전히 작동하고 있는 상태의 도시도.Fig. 11G is a bottom view of the escape cabin in the second stage, with the rocket motor fully in operation.

도 11h는 로켓 모터 및 그것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사시도.11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cket motor and its components;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종래의 비행기의 저면도로서, 소켓 개구가 에어백 상자가 고정되는 동체의 저면부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Fig. 12 is a bottom view of a conventional airplan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socket opening is dispos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to which the airbag box is fixed.

도 12a는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그 안에 들어있는 에어백 상자의 단면 사시도로서, 에어백 상자는 도 12에서 화살표로 도시하듯이 비행기의 소켓 개구에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12A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 airbag box with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device therein, the airbag box being secured to the socket opening of the plane as shown by the arrows in FIG.

도 12b는 에어백 상자가 고정되어 있는 도 12의 종래의 비행기의, 에어백이 작동하기 전의 저면도.12B is a bottom view of the conventional airplane of FIG. 12 before the airbag is actuated with the airbag box secured.

도 12c는 에어백이 작동하여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의 도 12b의 비행기의 저면도.12C is a bottom view of the airplane of FIG. 12B with the airbag in operation fully deployed;

도 1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종래의 비행기의, 지면을 향한 하강 단계 도중의, 동시에 낙하산의 전개가 시작되는 시점에서의 사시도.Fig. 1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ntional airplan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when the deployment of the parachute starts during the descent step toward the ground;

도 13b 및 도 13c는 도 13a에 도시된 종래의 비행기가 완전히 펼쳐진 낙하산에 의해 매달려 있으며 지면에 접근하는 동안 강제로 수평자세를 취하고 에어백 상자가 완전히 작동중인 상태의 도시도.13B and 13C are diagrams of a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airplane shown in FIG. 13A is suspended by a fully deployed parachute and is forced into a horizontal position while approaching the ground and the airbag box is fully operational;

도 13d 및 도 13e는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종래의 비행기가 지면에 충돌할 때 에어백이 지면과의 충돌시에 발생한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13D and 13E show that the airbag absorbs energy generated in the collision with the ground when the conventional airplane shown in FIGS. 13B and 13C collides with the ground.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요소들이 탈출 캐빈에 포함된 적절한 지점에 부착되며, 따라서 이들 요소가 작동하면 역전 위치 또는 경사 위치와 같은 비행기의 특정 공중 위치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무스한 탈출을 통해서 캐빈이 분리되거나 또는 비행기가 급강하를 하거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낙하산 시스템을 작동시켜 낙하산이 펼쳐지므로써 비행기가 강제로 수평자세를 취하고 그 결과 캐빈이 분리된다. 비행기가 화염에 휩싸이고 연료가 폭발하여 비행기가 파괴될 위험이 있을 때와 같은 경우에 사람의 생명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수분의 일초가 매우 큰 값을 가지므로, 캐빈의 분리는 사출장치, 즉 로켓 모터와 같은 관련 탈출 시스템을 작동시키므로써 방출을 통한 신속한 탈출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fety elements are attached to the appropriate points included in the escape cabin, so that when these elements are operated, a smooth escape may occur at a specific aerial position stage of the plane, such as a reversal position or an inclined position. If the cabin is separated or the aircraft is descending or the fire breaks out, the parachute system is operated to unfold the parachute, forcing the plane to take a horizontal position, and as a result, the cabin is separated. Separation of the cabin is very important because in a matter of seconds, when the airplane is engulfed in flames and the fuel explodes and the plane is in danger of being destroyed, the safety of human life is very high. By operating an associated escape system, such as, it is possible to give a quick escape opportunity through release.

실제로 비행기의 엔진 고장 또는 실속(失速:stall), 급강하 또는 화재 등은 공중에서의 치명적인 위협을 형성하며, 탑승객을 위한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의 제공은 확실한 요구를 구성한다.Indeed, engine failures or stalls, descents, or fires in airplanes pose a deadly threat in the air, and the provision of airplanes with escape cabins for passengers constitutes a clear need.

탈출 캐빈은 승객을 위한 증대된 안전 요인을 구성하고, 비행시마다 항상 겪게되는 불안감을 최소화시키며, 승객들의 "탈출-구조" 문제에 명확한 답을 제시한다.The escape cabin constitutes an increased safety factor for the passenger, minimizes the anxiety that is always encountered during each flight, and provides a clear answer to the passenger's "escape-rescue" problem.

전술한 것의 결과로서, 본 발명의 제 1 주 목적은 비행기의 비행의 중요한 시점에서 비행기의 승객용 동체 캐빈으로부터 분리를 제공하는 것인 바, 이 탈출캐빈은 예외적인 안전 인자를 발휘하며 동시에 그 탈출 방출을 관리하는 두가지 방법이 가능하게 하는 승객의 구조를 위한 가장 확실한 수단을 구성하고, 탈출 캐빈의 낙하산이 분리되어 펼쳐질 때까지 포기 핸들을 잡아당기는 순간의 수분의 일초는 각각이 지면으로의 승객의 안전한 복귀에 결정적인 의미를 갖는다.As a result of the foregoing,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eparation from the passenger fuselage cabin of the plane at a critical point in the flight of the plane, which escape cabin exhibits exceptional safety factors and at the same time escapes it. Two ways of managing the release constitute the most reliable means for the rescue of passengers, and one second of the moment of pulling the abandon handle until the parachute of the escape cabin is unfolded is released. It is critical to a safe return.

또한, 탈출 캐빈은 외부 에어백을 구비하며, 지면에 충돌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에어백의 작동은 충돌중에 발생하는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므로써 승객들이 자신의 척주나 기타 신체 부위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것으로 인해 부상당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escape cabin has an external air bag, and the operation of the air bag before it hits the ground absorbs some of the energy generated during the crash so that passengers are not injured by a momentary impact on their spine or other body parts. Is done.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의 주 목적은 비행기의 탈출 캐빈에 에어백이 부착되기에 적합한 작은 설치 공간을 제공하여 이들 에어백이 승객을 보호하도록 탈출 캐빈의 충돌 이전에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Thus, a second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ll installation space suitable for attaching airbags to the escape cabin of the plane so that these airbags are operated before the collision of the escape cabin to protect the passengers.

또한, 경량 재질의 캐빈 구조는 움직일 가능성을 제공하며 그 중량의 한계는 지면으로의 하강중에 낙하산에 의해 부양되는 것을 고려하면 중요하다. 이는 또한 이 경우의 낙하산이 전체 종래 비행기의 부양 가능성에 비해 캐빈의 하강 도중의 비교적 작은 중량을 부양한다는 소형 경량 비행기뿐 아니라 제트 비행기와 같은 커다란 비행기에도 부착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는 캐빈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복합 재료 및 합금의 사용으로 인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weight cabin structure offers the possibility of moving and its weight limitation is important considering that it is supported by a parachute during the descent to the ground. This also offers the advantage of being attached to large airplanes, such as jet airplanes, as well as small lightweight airplanes in which the parachute in this case supports a relatively small weight during the descent of the cabin relative to the liftability of the entire conventional airplane. This can be achieved due to the use of composite materials and alloys that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cabin.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오늘날 비행되고 있고 낙하산 시스템만을 이미 구비하고 있는 소형 4-시트 경량의 종래 비행기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에 관해서는 여러 형태가 미국 특허 제 4050657호와 제4709884호 및 유럽 특허 제 0599437A1호에 개시되어 있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four-seat, light weight conventional aircraft that is flying today and already equipped only with a parachute system, in which various forms are described in US Pat. Nos. 4050657, 4709884 and Europe. Patent No. 0599437A1 is disclosed.

이들 비행기와 관련한 낙하산 시스템의 사용에 관한 결점은 비행기가 낙하하는 결정적인 순간에 승객들이 전체 비행기와 함께 지면으로 하강한다는 점이다. 이 사실은 화재의 경우에 즉 불이 나서 비행기가 하강하고 있을 때 승객들은 지면으로 복귀할 시간을 갖기 전에 대기에서 타버릴 수 있으며 심지어는 비행기 연료의 폭발이 발생하여 대기에서 폭발해버릴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는 점에서, 필연적으로 본원을 부분적으로 비효율적으로 만든다.The drawback with the use of parachute systems in connection with these planes is that passengers descend with the entire plane to the ground at the critical moment the plane falls. The fact is that in the event of a fire, that is, when the plane is descending due to a fire, passengers may be burned in the atmosphere before they have time to return to the ground, or even an explosion of airplane fuel may explode in the atmosphere. In this respect, it inevitably makes the application partially inefficient.

이들 종래의 비행기에서 낙하산 시스템의 사용과 관련한 한가지 추가적인 결점은 하강하는 경우에 지면에 충돌하는 도중에 승객들에게 엄청난 로딩력이 가해지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상기 장점과 관련하여 비행기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낙하산이 빠른 속도로 하강한다는 점이다.One additional drawback associated with the use of parachute systems in these conventional airplanes is the enormous loading force on the passengers during the collision with the ground when descending and the heavy weight of the airplane in relation to the above advantage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the parachute descends at high speed.

따라서, 낙하산의 크기 및 중량과 관련해서는 전체 비행기의 하강도중에 견뎌낼 수 있는 몇가지 제한이 존재하며 따라서 이 낙하산 시스템은 미래의 대형 종래의 비행기에서의 적용을 비효율적으로 만든다.Thus, there are some limitations with regard to the size and weight of the parachute that can withstand the descent of the entire plane, thus making the parachute system inefficient for future applications in large conventional aircraft.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이미 낙하산 시스템을 구비한 종래의 비행기용의 에어백과 같은 장치를 제공하고, 승객 보호를 위해 비행기가 지면에 충돌하기 전에 작동할 가능성과 함께 요구되는 좁은 설치공간의 유익한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such as a conventional airplane airbag already equipped with a parachute system, and to provide the passenger protection of the narrow installation space required with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before the plane hits the ground. To provide useful possibilities.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성 및 장점들은 양호한 실시예 및 관련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분석적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analytical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associated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기술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도 1a에서 분리된 탈출 캐빈(cabin)으로 도시되어 있는, 탈출 캐빈(1)의 형태는, 길이 에지에 의해 라운딩된 종방향의 독립 격실(compartment)의 형태이며, 격실의 길이는 그 폭 및 길이보다 현저히 길고, 폭 비율은 2.5 : 1의 범위에 있다. 또한, 분리된 동체(4)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고, 도 1c에서는 동체와 탈출 캐빈이 비행기(5)로 조립되어 있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hape of the escape cabin 1, shown as a separate escape cabin in FIG. 1A, is in the form of a longitudinal independent compartment rounded by a length edge. The length of the compartment is significantly longer than its width and length, and the width ratio is in the range of 2.5: 1. In addition, the separated body 4 is shown in FIG. 1B, in which the body and the escape cabin are assembled into an airplane 5.

탈출 캐빈(1)은 오늘날 사용되거나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임의의 재료로 제조된 중부하(heavy duty) 경량(light weighted) 구조물이며, 이는 동체(4)의 분리형(detachable) 조인트(6)에 캐빈을 결합하기 위한 분리형 조인트(2)뿐 아니라 낙하산, 사출장치(catapult), 로켓 모터 및 에어백으로 구성되는 장치를 구비한다.The escape cabin 1 is a heavy duty light weighted structure made of any suitable material that is used today or may be used in the future, which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joint 6 of the body 4. A detachable joint 2 for joining the cabin is provided as well as a device consisting of a parachute, a catapult, a rocket motor and an air bag.

탈출 캐빈(1)과 함께 동체(4)의 강한 골조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될 때 최종 비행기를 형성하며, 동체(4)는 2.5: 1 비율 형태와 관련한 특수한 형태의 내부 중공 개구(3)를 운반하고, 탈출 캐빈(1)과 함께 발생하는 치수를 가지며, 상기 탈출 캐빈은 개구(3)내로 관통하여 조립되고, 그 주위로 이어지는 그 외부 마운트(mount)(1a)에 의해 동체(4)의 개구(3)의 외주(3a)상에 지지되며 대응하는 분리형 조인트(6)에 연결된다.The strong framework of the fuselage 4 together with the escape cabin 1 forms the final plane when assembled as shown in FIG. 1C, which fuses the internal hollow opening of a special shape in relation to the 2.5: 1 ratio form. 3) and having dimensions that occur with the escape cabin 1, the escape cabin penetrates into the opening 3, is assembled, and is connected to the fuselage by its outer mount 1a which extends around it. It is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3a of the opening 3 of 4)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detachable joint 6.

캐빈의 승객에게 필요한 안전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탈출 캐빈(1)은 투명 조종실 캐노피(canopy:덮개)(11a), 조종사용 시트, 계기 패널이 제공된 조종실(11)을 구비한, 도어와 현창(舷窓:porthole)을 갖는 콤팩트한 구조를 형성하며, 캐빈의 이탈시에 비행기(5)의 동체(4)와 연결되었던 모든 조종실 조인트 등은 분리된다.In order to provide the necessary safety for the passengers of the cabin, the escape cabin 1 shown in the corresponding figures has a transparent cockpit canopy 11a, a cockpit 11 and a cockpit 11 provided with an instrument panel. It forms a compact structure having doors and portholes, and all cockpit joints, etc., which were connected to the fuselage 4 of the plane 5 at the time of departure of the cabin, are separated.

탈출 캐빈(1)의 지붕(34)의 외부에 있는 적절한 지점에서 특히 꼬리날개(도 1d 참조)에 가까운 후방에는 구멍(32)이 형성되며, 이 구멍에는 탄도형 낙하산(13, 14) 및 상기 소형 낙하산(13)에 연결되는 소형 로켓(35)이 보관된다. 특히, 도 2a에 도시되었듯이 주 낙하산(14)이 성공적으로 펼쳐지도록, 주 낙하산(14)을 잡아당기는 소형 낙하산(13)이 먼저 펼쳐져야 하는 바, 이는 소형 보조 낙하산(13)을 당기는 소형 로켓(35)을 먼저 발진시키므로써 달성된다.At a suitable point on the outside of the roof 34 of the escape cabin 1 a hole 32 is formed, in particular in the rear, close to the tail wing (see FIG. 1D), which is a ballistic parachute 13, 14 and the The small rocket 35 connected to the small parachute 13 is stored. In particular, the small parachute 13 that pulls the main parachute 14 must first be deployed so that the main parachute 14 can be successfully deployed, as shown in FIG. 2A, which is a small rocket pulling the small auxiliary parachute 13. This is accomplished by first oscillating (35).

탈출 캐빈(1)은 그 지붕의 외부 지점(33a, 33b, 33c)에서 주 낙하산의 케이블(36a, 36b, 36c, 36d)에 의해 연결되며, 이들 케이블은 정상 환경에서는 캐빈의 지붕(34)의 특수 홈(34a)에 보관된다.The escape cabin 1 is connected by cables 36a, 36b, 36c, 36d of the main parachute at the outer points 33a, 33b, 33c of the roof, which are in the normal environment of the roof 34 of the cabin. It is stored in the special groove 34a.

분리형 조인트(2, 6)는 폭발 기구에 의해 또는 유압식으로 또는 압축공기에 의해 또는 기계적으로 분리되는 바, 이것들은 극한의 순간에 조종사가 조종실(11)에 있는 손잡이(10)를 당기므로써 분리된다(도 1d 참조)The separate joints 2, 6 are separated by an explosion mechanism or hydraulically or by compressed air or mechanically, which are separated by the pilot pulling the handle 10 in the cockpit 11 at the extreme moment. (See FIG. 1D)

본 발명의 비행기(5)의 동체(4)로부터의 탈출 캐빈(1)의 추진 이탈 기구는 도 7a, 7b, 7c,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조인트 기구(2, 6)의 대표적 실시예이다. 상기 추진 이탈 기구는 탈출 캐빈(1)상의 적절한 지점에서 통상은 그 네 개의 에지에서 캐빈의 길이방향으로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하우징(2a)(도 7b)을 지지하는 연결 베이스(2)로 구성된다.The propulsion release mechanism of the escape cabin 1 from the fuselage 4 of the airplane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joint mechanisms 2, 6, as shown in FIGS. 7 a, 7b, 7c, 7d. . The propulsion release mechanism consists of a connection base 2 supporting a housing 2a (FIG. 7B) which is permanently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bin at its four edges at a suitable point on the escape cabin 1.

하우징(6b)(도 7a)을 지지하는 다른 연결 베이스(6)는 동체(4)의 개구(3)내 대응 지점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퓨즈(25a)와 스프링(25b)을 갖는 피스톤(25)이 도 7c에 도시되어 있다. 보다 분석적으로, 동체(4)를 갖는 탈출 캐빈(1)의 연결 모드가 도 7d에 단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연결 베이스(2)는 탈출 캐빈(1)에 속하는 부분(1b)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연결 베이스(6)는 동체(4)에 속하는 부분(4a)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격실(29)내부의 피스톤(25)은 상기 부분(4a, 1b)을 스프링(25b)에 의해 단단히 연결하여 유지한다. 하우징(6b)에는 또한 기폭부(27)와 폭발 재료(28)가 배치된다. 상기 두 부분(4a, 1b)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재료의 폭발이 시작되고 발생한 가스(26)는 피스톤(25)을 추진하여 변위시키므로써 두 부분(4a, 1b)을 해제시키고 피스톤(25)은 하우징(2a)에 로크되어 그곳에 잔류한다.Another connecting base 6 supporting the housing 6b (FIG. 7A) is permanently fixed at the corresponding point in the opening 3 of the body 4. In addition, a piston 25 having a fuse 25a and a spring 25b is shown in FIG. 7C. More analytically, the connection mode of the escape cabin 1 with the fuselage 4 is shown in cross section in FIG. 7d, where the connection base 2 is permanently fixed to the part 1b belonging to the escape cabin 1 and The connecting base 6 is shown to be permanently fixed to the part 4a belonging to the body 4. The piston 25 inside the compartment 29 holds the parts 4a, 1b tightly connected by means of a spring 25b. The housing 6b is also arranged with an initiator 27 and an explosive material 28. In order to separate the two parts 4a and 1b, the explosion of the material starts and the generated gas 26 propels and displaces the piston 25 thereby releasing the two parts 4a and 1b and the piston 25 Is locked in the housing 2a and remains ther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이 연결은 도 8a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이 경우에는 결합해제가 유압식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분석적으로, 도 8a에는 연결 베이스(2)가 탈출 캐빈(1)에 속하는 부분(1b)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다른 연결 베이스(6)가 동체(4)에 속하는 부분(4a)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is connection is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as shown in FIG. 8A, but in this case the disengagement is hydraulic. More analytically, in Fig. 8a the connecting base 2 is permanently fixed to the part 1b belonging to the escape cabin 1 and the other connecting base 6 i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part 4a belonging to the fuselage 4. It is shown to be fixed.

격실(19) 내부의 피스톤(20)은 상기 두 부분(4a, 1b)을 스프링(20b)으로 단단히 연결 유지하며, 또한 퓨즈(20a)를 지지한다. 또한 파이프(23)가 하우징(6b)상에 고정되고 적절한 유체(22)로 채워지며 격실(19)과 연통하고, 이 격실에는 피스톤(20)이 존재한다. 도 8b에 도시되어 있듯이 적절한 시스템에 의하면, 유체(22)에 압력이 가해지며 이는 다시 피스톤(20)에 압력을 가하여 변위시키므로써 두 부분(4a, 1b)을 해제하고 피스톤(20)은 하우징(2a)에 로크되어 그곳에 잔류한다.The piston 20 inside the compartment 19 holds the two parts 4a, 1b firmly connected with a spring 20b and also supports the fuse 20a. The pipe 23 is also fixed on the housing 6b and filled with a suitable fluid 22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partment 19, in which there is a piston 20. As shown in FIG. 8B, according to a suitable system, pressure is applied to the fluid 22, which in turn releases the two portions 4a and 1b by applying pressure to the piston 20 and displaces the piston 20. Locked in 2a) and remains ther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은 도 9a에 도시하듯이, 이전의 방식과 유사하게 이루어지지만, 결합해제는 압축 공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보다 분석적으로, 단면 도시된 피스톤(24)은 공기(26a)가 들어있는 파이프와 연통한다. 도 9b에서는 적절한 시스템에 의해 공기(26a)가 압축되고 그 결과 압축 공기가 피스톤(24)에 압력을 가하여 피스톤이 변위되므로써 두 부분(4a, 1b)이 결합해제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ion is made similar to the previous way, as shown in FIG. 9A, but the decoupling is made by compressed air. More analytically, the piston 24 shown in cross sec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a pipe containing air 26a. In FIG. 9B, the air 26a is compressed by a suitable system and as a result compressed air exerts pressure on the piston 24, displacing the pistons 4 so that the two parts 4a, 1b are disengag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은 도 10a에 도시하듯이 이전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지지만, 결합 해제는 기계적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분석적으로, 피스톤(16)은 와이어 로프(18)와 연결된다. 도 10b에 도시되어 있듯이, 와이어 로프(18)를 통해서, 견인력이 상기 연결된 피스톤(16)에 가해져 피스톤이 변위되므로써 두 부분(4a, 1b)이 결합해제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ion is made in a similar manner as before, as shown in FIG. 10A, but the disengagement is mechanical. More analytically, the piston 16 is connected with the wire rope 18. As shown in FIG. 10B, through the wire rope 18, traction is applied to the connected piston 16 so that the piston is displaced so that the two portions 4a, 1b are disengaged.

다음으로 시간이 허락할 때 또는 절박한 화재 위험이 있지 않을 때 또는 급속 방출 탈출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비행기(1)로부터 캐빈(1)이 스무스하게 탈출되는 방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how the cabin 1 escapes smoothly from the plane 1 when time permits, or when there is no imminent fire hazard or when no rapid release escape system is provided.

도 2a에서, 조종사가 소형 로켓(35)에 의해 이미 탄도식 낙하산 시스템(13, 14)을 작동시켜, 상기 소형 로켓(35)에 의해 당겨지는 소형 낙하산(13)의 도움으로주 낙하산(14)이 펼쳐질 때, 비행기(5)는 지면을 향해 급강하하기 시작했다.In FIG. 2A, the pilot parachute system 13, 14 has already been operated by the small rocket 35, with the aid of the small parachute 13 being pulled by the small rocket 35. As it unfolded, the plane 5 began to dive towards the ground.

도 2b에서, 비행기는 완전히 펼쳐진 주 낙하산(14)에 의해 부양되므로 수평자세를 잡게 되고 동시에 분리형 조인트(2, 6)의 연결분리가 자동으로 시작된다.In FIG. 2B, the plane is supported by the fully deployed main parachute 14 so that it is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disconnection of the detachable joints 2, 6 is automatically started.

양호한 실시예의 비행기(5)는 여덟명의 승객을 나를 수 있는 경량의 여객기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비행기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irplane 5 of the preferred embodiment is a lightweight passenger aircraft capable of carrying eight passeng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irplane size.

도 2c에서, 탈출 캐빈(1)은 이제 동체(4)로부터 분리되었으며 주 낙하산(14)에 의해 부양된채로 지면을 향해 하강한다.In FIG. 2C, the escape cabin 1 is now separated from the fuselage 4 and descends towards the groun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main parachute 14.

도 2d에서 분리된 동체(4)는 지면을 향해 급속히 자유 하강한다.The fuselage 4, separated in FIG. 2D, rapidly descends freely towards the ground.

도 2e에서 분리된 동체(4)는 계속 지면을 향해 급강하한다.The fuselage 4 separated in FIG. 2E continues to descend toward the ground.

도 2f에서 분리된 동체(4)는 지면에 충돌하여 파괴된다.The fuselage 4 separated in FIG. 2F collides with the ground and is destroyed.

도 2g에서 분리된 탈출 캐빈(1)은 천천히 낙하산(14)에 의해 부양된 채로 계속 하강한다.The escape cabin 1, separated in FIG. 2G, continues to descend slowly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parachute 14.

도 2h에서 분리된 탈출 캐빈(1)은 지면에 접근하고 소정의 높이에서 센서(41)가 그 외부 에어백(38a 내지 38f)을 작동시키므로써 지면(42)과의 충돌을 대비한다.The escape cabin 1, separated in FIG. 2H, approaches the ground and prepares for a collision with the ground 42 by the sensor 41 operating its external airbags 38a-38f at a predetermined height.

도 2i에서 분리된 탈출 캐빈(1)은 지면에 도달하여 충돌하며, 충돌시에 발생한 에너지의 일부를 에어백(38a 내지 38f)이 흡수하므로써 캐빈에 앉아있는 승객들에 충돌의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escape cabin 1 separated in FIG. 2i reaches the ground and collides, and the airbags 38a to 38f absorb some of the energy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to prevent the impact of the collision on the passengers sitting in the cabin. do.

이제 시간이 없거나 비행기가 폭발하려고 할때 비행기(5)로부터 캐빈(1)이 신속히 방출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Now another way is described where the cabin 1 is quickly released from the plane 5 when there is no time or when the plane is about to explode.

수직 방출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갖는 탈출 캐빈(1)의 성공에 추진 시스템의 효과적인 설계에 달려있음은 명백하다. 그 이유는 적절한 수직 상승을 위해서는 소요 파워가 발생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직 방출은 상승 가능성의 안전 여유가 제공되도록 탈출 캐빈(1)의 중량(W)보다 큰 추력(thrust)(T)의 발생을 요구한다. 개략적으로 특정 가속도 여유가 허용되려면 20% 범위의 초과 추력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발생된 에너지가 승객의 척주에 고통을 주지 않도록 높은 가속도 수치에 도달해서는 안된다. 이는 T/W 비율을 최소 1.2로 규정한다. 예를 들어 로켓의 경우에 발생할 때의 수직 추력 편향은 탈출 캐빈(1)의 상승에 충분하지 않다. 초래되는 문제는, 추력이 탈출 캐빈(1)의 중력 중심에 정확히 적용되지 못한다는 사실에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밸런스에 관한 것이다.It is evident that the success of the escape cabin 1, which is structured to be able to be discharged vertically, depends on the effective design of the propulsion system. This is because required power must be generated for proper vertical rise. Vertical discharge, however, requires the generation of a thrust T that is greater than the weight W of the escape cabin 1 so that a safety margin of ascending potential is provided. In general, excess thrust in the 20% range is desirable to allow a certain acceleration margin, but this should not reach high acceleration values so that the generated energy does not suffer on the spine of the passenger. This specifies a minimum T / W ratio of 1.2. Vertical thrust defle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rockets, is not sufficient for the rise of the escape cabin 1. The problem that results is with respect to the balance of moments arising from the fact that thrust is not applied exactly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scape cabin 1.

이후 힘이 탈출 캐빈(1)의 뒷 부분을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힘은 앞부분에도 발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비행 덱크(11)의 앞 부분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제한없이 이동될 것이다. 즉 횡축에 관한 안정성이 확보된다.If the force then raises the rear part of the escape cabin 1, the force will have to occur at the front part as well. Thus, the front part of the flight deck 11 will be moved upward or downward without restriction. That is, stability about the horizontal axis is ensur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축 주위로의 안정성 또한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직 상승, 즉 방출의 가능성이 가능하도록 탈출 캐빈(1)의 중력중심의 전후좌우에서 적절한 힘의 적용이 요구된다. 이들 힘이 생성되는 방식과 힘이 가해지는 방향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법이 찾아질 수 있다. 사용될 시스템은 탈출 캐빈(1)의 중량 뿐 아니라 허용되는 최대 유효 공간을 제한하지 않도록 치수와 중량이 작아야 한다.Nevertheless, stability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must also be ensured.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an appropriate force is required a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gravity center of the escape cabin 1 to enable the possibility of vertical rise, ie discharge. Various methods can be found based on the manner in which these forces are generat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s are applied. The system to be used must be small in size and weight so as not to limit the weight of the escape cabin 1 as well as the maximum effective space allowed.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형 가속 폭발의 추진 기구는 2단계로 작동하며,두개의 신축 피스톤(30, 31)(발진 사출장치(80))과 카트리지 시스템(로켓-모터(81))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opulsion mechanism of the linear accelerated explosion operates in two stages and consists of two expansion pistons 30 and 31 (oscillation injection device 80) and a cartridge system (rocket-motor 81). .

사출 장치(80) 및 탈출 캐빈내로의 사출 장치 부착점들의 발진 시스템과 로켓 모터(81)의 발진 시스템이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본 발명의 탈출 캐빈은 바닥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The oscillation system of the injection device 80 and the injection device attachment points into the escape cabin and the oscillation system of the rocket motor 81 are shown in detail in FIG. 3, where the escape cab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rom the bottom. .

보다 분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수직 발진 사출장치(80)는 탈출 캐빈(1)의 외측 플로어(도 3 참조)를 따라서 형성되는 네 코너부(1c)에서 수직 개구(1d)에 상자처럼 수용된다.More analytically, the vertical oscillation injection device 80 shown in FIG. 11 is accommodated like a box in the vertical opening 1d at the four corner portions 1c formed along the outer floor of the escape cabin 1 (see FIG. 3). do.

사출장치(80)는 두 개의 파이프(30, 31)로 구성되며, 이들 파이프는 신축 피스톤처럼 작동하고 하나가 다른 하나속에 배치된다. 도 11a에 도시하듯이, 파이프(30)는 그 단부중 한 단부(30a)에서 폐쇄되고, 다른 단부(30b)에서 개방되며, 전술한 바와같이 탈출 캐빈(1)에 수직으로 상자처럼 수용된다. 다른 파이프(31)(도 11b)는 그 단부중 한 단부(31a)에서 폐쇄되며 다른 단부(31b)에서는 개방되고 이 개방 단부에는 좁은 부분, 즉 네크부(31c)가 형성되는 바 이는 팽창중에 추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파이프(31)는 다른 파이프(3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따라서 파이프(30)의 내부를 관통하여 그곳에 공차없이 장착될 수 있다. 파이프내에는 미리 정해진 폭발물이 담겨있으며, 이 폭발물이 폭발되어 두 파이프를 분리하여 신축적으로 견인하면, 탈출 캐빈(1)에 상자처럼 수납되어 있던 파이프(30)(도 11c)는 다른 파이프(31)(도 11d)로부터 신축적으로 이격되어 선형적으로 방출되며, 동체(4)상에 지주처럼 작용하므로써 동체(4)로부터 탈출 캐빈(1)의초기 방출이 달성된다.The injection device 80 consists of two pipes 30, 31, which act like telescopic pistons and one arranged in the other. As shown in FIG. 11A, the pipe 30 is closed at one end 30a of its end, opened at the other end 30b and received like a box perpendicular to the escape cabin 1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pipe 31 (FIG. 11B) is closed at one end 31a of its end and is open at the other end 31b and at this open end a narrow portion, ie a neck portion 31c, is formed which is thrust during expansion. To increase the. The pipe 31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ther pipes 30 and can thus be mounted without toleranc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pipe 30. A predetermined explosive is contained in the pipe, and when the explosive is exploded and the two pipes are separated and towed flexibly, the pipe 30 (FIG. 11C) stored in a box in the escape cabin 1 is replaced with another pipe (31). Is linearly spaced apart and is linearly released from (Fig. 11D), and the initial release of the escape cabin 1 from the fuselage 4 is achieved by acting like a strut on the fuselage 4.

도 11e 에서는 사출 장치의 발사에 의한 분리의 초기 단계 과정 및 그 수직 방출 순간의 탈출 캐빈이 보다 분석적으로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f 에서는 도 11e의 탈출 캐빈이, 사출 장치(80)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출의 제 1 단계의 종료시점에서 그리고 신축 피스톤(3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의 최종 단계과정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동시에 동체(4)로부터 캐빈의 이격의 제 2 단계가 시작되고 이는 로켓 엔진(81)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단단한 수직 미익(꼬리 날개)(4)에 충돌하지 않도록 동체(4)로부터의 신속한 이격이 달성된다.In FIG. 11E, the initial stage of the separation by firing of the injection device and the escape cabin at the moment of its vertical release are shown analytically from the bottom. In FIG. 11F, the escape cabin of FIG. 11E is formed by the injection device 80. At the end of the first stage of discharge and in the final stage of separation from the expansion piston 31, a second stage of separation of the cabin from the fuselage 4 is initiated, which is carried out to the rocket engine 81. As a result of this, a quick separation from the fuselage 4 is achieved so as not to hit the rigid vertical tail (tail wing) 4.

도 11h에는 카트리지 콤플렉스(81a)와, 노즐(81b)과, 발사 유닛(81c)으로 구성되는 로켓 모터(81)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탈출 캐빈(1)의 플로어 외부의 양호한 지점에 장착된다.11H shows a rocket motor 81 consisting of a cartridge complex 81a, a nozzle 81b and a firing unit 81c, which i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3 and the floor of the escape cabin 1. Mounted at a good point outside.

도 11g에는 비행기(4)로부터의 탈출 캐빈(1)의 분리의 제 2 단계가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로켓 모터의 완전 작동이 도시된다.In Fig. 11g the second stage of the detachment of the escape cabin 1 from the plane 4 is shown in a bottom view, in which the full operation of the rocket motor is shown.

도 3a 내지 도 3c에는, 캐빈의 신속한 탈출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비행기(5)에서는 사출장치(80) 및 로켓 모터(81)와 같은 탈출 지지 시스템의 작동을 통해 탈출 캐빈(1)의 신속한 탈출이 발생할 때의 순간에 동체(4)로부터 상기 캐빈이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3c 에는, 낙하산(13, 14)의 발진이 로켓(35)에 의해서 달성되며 캐빈의 지면으로의 안전한 하강을 제공하는 낙하산(14)의 완전한 펼쳐짐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분석적으로 설명하면, 도 3a에는, 비행기(5) 동체(4)로부터의 탈출 캐빈(1)의 방출이,사출장치(80)를 발사하는 것에 의해서, 조종사가 조종실(11)에 있는 특수 핸들(10)을 잡아당기는 순간에 이루어지고 또한 제 1 단계 중에 소형 로켓(35)이 그 패키지를 따라서 낙하산(13, 14)을 견인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3a to 3c, there is show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the rapid escape of the cabin, where the plane 5 is an escape cabin via the operation of an escape support system such as an injection device 80 and a rocket motor 81. It shows that the cabin can be separated from the fuselage 4 at the moment when the rapid escape of (1) occurs. 3A-3C, the full unfolding of the parachute 14 is shown in which oscillation of the parachute 13, 14 is achieved by the rocket 35 and provides a safe descent of the cabin to the ground. More analytically, in FIG. 3A, the release of the escape cabin 1 from the aircraft 5 fuselage 4, the pilot handles the special handle in the cockpit 11 by firing the injection device 80. It is shown at the moment of pulling the 10 and by the small rocket 35 towing the parachute 13, 14 along its package during the first stage.

전술한 것에 이어서, 도 3b는, 탈출 핸들(10)을 당긴 후 대략 0.40 초 지나서, 탈출 캐빈(1)이 이제 로켓 모터(81)의 도움으로 동체(4)의 수직 날개(4a)에 부딪히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고 낙하산(13, 14)의 전개 또한 진행중임을 도시한다. 마지막 단계(도 3c)에서, 캐빈(1)의 탈출과 관련하여, 탈출 핸들(10)을 당긴 후 대략 2.90 초 지나서, 탈출 캐빈(1)은 주 낙하산(14)에 의해 부양되고 이제 동체(4)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지면을 향해 천천히 하강하기 시작한다.Following the foregoing, FIG. 3B shows that approximately 0.40 seconds after pulling the escape handle 10, the escape cabin 1 is now not hit by the vertical vanes 4a of the fuselage 4 with the aid of the rocket motor 81. It is shown that spaced apart and the deployment of the parachute 13, 14 is also in progress. In the last step (FIG. 3C), with respect to the escape of the cabin 1, approximately 2.90 seconds after pulling the escape handle 10, the escape cabin 1 is lifted by the main parachute 14 and now the fuselage 4 It begins to descend slowly towards the ground as it is separated from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분야에 관하여, 에어백 상자(85)는 탈출 캐빈(1)의 플로어의 외부의 일체적인 구성요소로서 제안된다.With respect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irbag box 85 is proposed as an integral component of the exterior of the floor of the escape cabin 1.

탈출 캐빈(1)이 지면에 충돌하기 전에 수분의 일초 이내에 부풀어오르게 될 에어 백은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므로써 거칠거나 날카로운 지면과 탈출 캐빈(1) 사이의 장벽으로서 작용할 것이다. 에어백은 탈출 캐빈의 플로어의 외부에 배치되며, 지면에 충돌하는 도중에 탈출 캐빈(1)내의 승객들을 보호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충돌 중에는, 소정 한계를 넘는 로드(load)가 승객의 척주에 가해지며, 이는 그들에게 복구할 수 없는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외부 에어백이 없다면 승객의 신체는 그 시트로부터 미끄러져 나가 부상당할 것이다. 에어백의 펼쳐짐의 초기 천분의 일초 동안에 탈출 캐빈은 지면에 접근하며, 에어백이 충분히 팽창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지면으로부터 최단 거리 이격되어 있을 것이다.An air bag that will inflate within one second of a few minutes before the escape cabin 1 hits the ground will act as a barrier between the rough or sharp ground and the escape cabin 1 by absorbing kinetic energy. The airbag is disposed outside of the floor of the escape cabin and is designed to protect the passengers in the escape cabin 1 during collision with the ground. During a collision, loads exceeding certain limits are applied to the spinal column of the passengers, which can cause irreparable damage to them. Without an external airbag, the passenger's body would slide out of the seat and be injured. During the initial millisecond of deployment of the airbag, the escape cabin will approach the ground and will be spaced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ground to ensure sufficient space for the airbag to fully inflate.

탈출 캐빈(1) 외부의 적절한 지점에 적절하게 장착되는 에어백 상자들은 승객의 수동적인 안전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을 구성한다.Airbag boxes suitably mounted at appropriate points outside the escape cabin 1 constitute an effective means for the passive safety of the passengers.

에어백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작동하도록 그리고 충돌이 발생하기 전에, 적외선 방사선(41a)을 갖는 거리 검출 센서(41)가 에어백 상자(85)(도 4)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적외선이 이어지지 않는 지면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하며, 이 데이타에 의해, 지면이 에어백 상자와 충분히 가까운지 그리고 이것이 지면에 대해 어떻게 가까운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In order for the airbag to operat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and before a collision occurs, a distance detection sensor 41 with infrared radiation 41a is installed in the airbag box 85 (FIG. 4), which is grounded without infrared radiation. The distance from is calculated, and from this data an assessment is made of how close the ground is to the airbag box and how close it is to the ground.

보다 분석적으로,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탈출 캐빈(1)이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바, 에어백 상자(85)와 그 소켓 개구(37a 내지 37f)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소켓 개구(37b 내지 37d)는 에어백 상자가 그곳에 고정되기 이전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나머지 개구들은 에어백 상자(85)를 지지하고 있다. 소켓 개구(37b)는 사출 장치(80)가 그것에 근접하여 상자처럼 수납되어 있으므로 그 형상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진입하는 에어백 상자(85)는 동일한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탈출 캐빈(1)에 위치하는 다른 에어백 상자들은 또한 연관된 형태일 것이다.More analytically, in Fig. 3, the escape cabi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bottom view, in which the airbag box 85 and its socket openings 37a to 37f are shown in detail. In FIG. 3 socket openings 37b to 37d are shown in a state before the airbag box is fixed there, with the remaining openings supporting the airbag box 85. The socket opening 37b differs in shape since the injection device 80 is stored close to it like a box. Thus, the entering airbag box 85 may be of the same shape, and the other airbag boxes located in the other escape cabin 1 will also be of the associated type.

도 4에서, 에어백 상자(85)는 에어백(38)을 수반하는 전체 장치를 구비하고 시장에서 독자적인 제품으로 판매될 수 있는 독자적인 구조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낙하산 장치를 갖지만 에어백 상자(85)와 같은 안전 부재는 없는 이미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비행기를 의미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적합해질 수 있다.In FIG. 4, the airbag box 85 is shown as having a complete structure with an airbag 38 and constituting a unique structure that can be sold as a unique product on the market, thus having a parachute device but having an airbag box 85 It can be adapt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eans a conventional airplane which is already in use without a safety member such as).

도 4에서, 에어백(38)은 적절히 접혀 그 상자(85)에 패킹되어 있는 것이 단면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의 베이스에는, 공지되어 있고 오늘날 사용되고 있으며 장래에 사용될 수 있는 고체 연료 형태 또는 기타 적절한 고체 연료로서 프로페르골(propergol)과 같은 적절한 화학적 조제품(40)을 포함하는 보일러 기구(39)가 설치되어 있다. 보일러(39)의 기구는 에어백에 의해 완전히 밀봉되어 있다. 탈출 캐빈(1)이 지면에 충돌이 임박한 경우에, 전자 거리 검출 센서(41)는 보일러(39) 기구의 중심에 놓이는 전기 접점을 작동시켜 프로페르골의 점화를 유도하며, 이는 35 ×10-3초내에 연소하여 지면에 접촉하기 직전에 에어백(38)을 급속히 팽창시키는 가스를 방출하므로써 발생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충돌의 경우에, 에어백은 팽창하며, 탈출 캐빈(1)에 앉아 있는 승객들 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다른 종래 비행기(70)의 승객의 부상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시간인 대략 150 내지 200 ×10-3초 동안 유지될 것이다.In FIG. 4, the airbag 38 is properly folded and packed in its box 85 is shown in cross section. At the base of the airbag is installed a boiler apparatus 39 comprising a suitable chemical preparation 40 such as propergol as a solid fuel form or other suitable solid fuel which is known, used today and may be used in the future. have. The mechanism of the boiler 39 is completely sealed by an air bag. In the event that the escape cabin 1 impinges on the ground, the electromagnetic distance detection sensor 41 activates the electrical contact centered at the center of the boiler 39 mechanism to induce ignition of propergol, which is 35 × 10 −. The collision energy generated by burning the gas within 3 seconds and rapidly inflating the airbag 38 immediately before contacting the ground can be absorb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airbag inflates and is approximately 150-200 x sufficient time to prevent injuries of passengers sitting in the escape cabin 1 or passengers of another conventional airplane 7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ill be held for 10 -3 seconds.

본 발명의 에어백(38)은 그 안에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멍이 없는 방수처리된 특수 직물로 제조되며, 또한 충돌 중에 발전되는 힘을 견뎌내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상기 에어백은 또한 오늘날 시중에서 구할 수 있거나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The airbag 38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pecial, waterproof, nonwoven fabric to retain air therein, and must also have a sufficient thickness to withstand the forces that develop during a collision. The airbag may also be made of any other suitable material that is commercially available today or may be used in the future.

도 4a는 탈출 캐빈(1)의 저면도로서, 에어백 상자(85)와 같은 캐빈의 모든 장치들이 대응하는 소켓 개구(37a 내지 37f)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백 상자가 거리 검출 센서(41)를 통해 작동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4A is a bottom view of the escape cabin 1, in which all devices of the cabin, such as the airbag box 85, are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socket openings 37a to 37f, which airbag box through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1. The state before operation is shown.

도 4b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탈출 캐빈이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모든에어백 상자(85)는 작동되고, 그 에어백(38a 내지 38f)은 정확히 완전히 펼쳐졌을 때 지면에 충돌하는 중에 발생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완전히 펴져 있고 즉 팽창되어 있는 상태이다.In FIG. 4B the escape cabin shown in FIG. 4A is shown in a bottom view, all airbag boxes 85 are actuated, and their airbags 38a to 38f absorb the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collision with the ground when fully deployed. It is fully stretched out, that is, inflated.

본 발명의 다른 대체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광폭 라이트 제트(79)는 광폭 비행기(4)(도 6c)로부터 승객 탈출 캐빈(1)(도 6b)을 분리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 경우 분리는 캐빈(1)의 스무스한 탈출 가능성 또는 캐빈(1)의 신속한 탈출 가능성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lternative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wide light jet 79 is operated to separate the passenger escape cabin 1 (FIG. 6B) from the wide plane 4 (FIG. 6C). . In this case the separation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smooth escape possibility of the cabin 1 or the rapid escape possibility of the cabin 1.

다음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캐빈(1)의 스무스한 탈출의 적용을 나타낸다.Next, the application of the smooth escape of the cabin 1 is show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에 평면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기(79)는 그 엔진의 고장으로 인해 실속되어 지면으로 급강하하게 된다.As shown in the plane of FIG. 5, the plane 79 stalls and descends to the ground due to a failure of the engine.

도 6a에 도시된 측면도에서, 비행기(79)의 급강하 정도는 증대되고 그 결과 비행기 조종사는 소형 로켓(35)을 발진시키므로써 탄도형 낙하산 시스템(13, 14)을 작동시키고 따라서 소형 로켓(35)에 의해 당겨진 소형 로켓(13)이 펼쳐진다.In the side view shown in FIG. 6A, the degree of dive of the airplane 79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airplane pilot launches the small rocket 35 to operate the ballistic parachute systems 13, 14 and thus the small rocket 35. The small rocket 13 pulled by is unfolded.

도 6b에서, 주 낙하산은 완전히 펼쳐지며 따라서 비행기(79)는 강제로 수평자세를 취하게 되고 분리형 조인트(2, 6)는 자동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출 캐빈(1)을 도 6c에 도시된 동체(4)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며, 따라서 동체(4)는 지면으로 급속히 낙하하기 시작하고, 낙하산(14)에 의해 부양되는 탈출 캐빈(1)은 천천히 그리고 안전하게 지면으로 하강하며, 외부 플로어의 하부에 배치된 에어백 상자(85)에 의해 캐빈이 지면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한다.In FIG. 6B, the main parachute is fully deployed so that the plane 79 is forced into a horizontal position and the detachable joints 2, 6 automatically show the escape cabin 1 in FIG. 6C as shown in FIG. 6B. The fuselage 4 begins to fall rapidly to the ground, and the escape cabin 1 lifted by the parachute 14 descends to the ground slowly and safely, the lower part of the outer floor The airbag box 85 disposed therein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generated when the cabin collides with the ground.

20석의 광폭 라이트 제트(79)는 또한 승객 수송 능력이 증대된 다른 비행기를 나타낸다.The twenty-seat wide light jet 79 also represents another airplane with increased passenger capacity.

탈출 캐빈(1)용의 최경량의 중량을 위해서는, 알루미늄-리튬의 합금과 같은 복합 재료나 합금, 또는 다른 공지의 재료 및 오늘날 사용되는 재료 또는,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구조되어야 한다.For the lightest weight for the escape cabin 1, it must be constructed of a composite or alloy, such as an alloy of aluminum-lithium, or other known materials and materials used today, or any other material that may be used in the future. .

또한, 상당히 높은 높이에서 발생하는 탈출의 경우에 승객의 생존을 위한 필수 안전 장치들이 제공될 것이며, 따라서 탈출 캐빈이 분리되는 도중에 압력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그 안에 압축 공기가 유지되어 승객은 산소의 부족에 기인한 소위 "무산소증(hypoxia)"상태를 겪게 되어도 그 마스크를 착용할 최소한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essential safety measures for the survival of passengers will be provided in case of escapes occurring at significantly higher heights, so that compressed air is maintained therein to prevent pressure drop during the escape cabin is disconnected so that the passengers lack oxygen. Even if you suffer from a so-called "hypoxia" condition, you may have minimal time to wear the mask.

또한, 탈출 캐빈(1)은 모든 승객과 승무원 시트를 포함할 수 있을 정도로 길으며, 또한 물에 착륙하는 경우에 파도가 거칠어도 승객에게 필요한 안전을 제공하도록 부유(float)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escape cabin 1 is long enough to contain all passengers and crew seats, and is also suitably designed to float to provide the passengers with the necessary safety even when the water waves are rough when landing on water. Should b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경량 비행기는 그 동체(70a)의 외측 하부에 장착되고 소켓 개구(71a, 71b, 71c)내에 장착되는 에어백 상자(86)를 구비할 것이 제안된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a conventional lightweight airplane is mounted on the outer bottom of its fuselage 70a and airbag box 86 mounted in the socket openings 71a, 71b, 71c. It is proposed to have.

이 종래의 비행기에서는, 낙하산 장치가 이미 적용되어 있으며, 이미 기술했듯이, 전술한 형태의 특허와 관련하여 현재 사용중이다.In this conventional airplane, a parachute device has already been applied and, as already described, is currently in use in connection with the patent of the above-described form.

그러나, 이들 종래의 비행기에서는 비행기의 강하가 발생하고 지면에 충돌하는 도중에 탑승객에게 특히 그들의 척주에 충격을 가하여 부상을 초래하는 로딩력이 발전되는 것을 고려하여 에어백 상자와 함께 사용되는 낙하산 시스템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airplanes can supplement parachute systems used with airbag boxes, taking into account the development of loading forces that impact passengers, particularly their spinal column, causing injury while the plane descends and hits the ground. There is a need.

도 12a에는, 에어백(72)을 구성하는 전체 장치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구조를 구성하고, 낙하산 장치를 갖는 이미 사용되는 종래의 비행기에서 이후의 적용을 위한 시장에서의 독자적 상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에어백 상자(86)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낙하산 장치를 갖지 않는 다른 비행기의 보호에 관하여 그리고 예를 들어 바퀴의 랜딩 기어가 손상된 경우와 같은 과격한 착륙의 경우에, 에어백(72)이 작동하여 과격한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게 된다.In FIG. 12A, an airbag box which constitutes an independent structure comprising the entire device constituting the airbag 72 and which can be used as a unique product in the market for subsequent application in an already used conventional airplane with a parachute device is shown. 86 is shown.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protection of other airplanes without such parachute arrangements and in case of a drastic landing, for example when the landing gear of a wheel is damaged, the airbag 72 operates to extract some of the energy generated by the extreme collision. Will be absorbed.

도 12a에서 에어백(72)은 적절히 접혀 그 상자(86)에 패킹되어 있는 것이 단면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의 베이스에는, 공지되어 있고 오늘날 사용되고 있거나 장래에 사용될 수 있는 고체 연료 형태 또는 기타 적절한 고체 연료로서 프로페르골과 같은 적절한 화학적 조제품(40)을 포함하는 보일러 기구(39)가 설치되어 있다. 보일러(39)의 기구는 에어백(72)에 의해 완전히 밀봉되어 있다. 종래의 비행기(70)가 지면에 충돌이 임박한 경우에, 전자 거리 검출 센서(41)는 보일러(39) 기구의 중심에 놓이는 전기 접점을 작동시켜 프로페르골의 점화를 유도하며, 이는 35 ×10-3초내에 연소하여 지면에 접촉하기 직전에 에어백(38)을 급속히 팽창시키는 가스를 방출하므로써 발생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충돌의 경우에, 에어백은 팽창하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종래 비행기(70)안에 앉아있는 승객들의 부상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시간인 대략 150 내지 200 ×10-3초 동안 유지될 것이다.In FIG. 12A the airbag 72 is shown in cross section being properly folded and packed in its box 86. At the base of the airbag is installed a boiler apparatus 39 which comprises a suitable chemical preparation 40 such as propergol as a solid fuel form or other suitable solid fuel which is known and used today or may be used in the future. The mechanism of the boiler 39 is completely sealed by the airbag 72. In the case where a conventional airplane 70 is about to impinge on the ground, the electromagnetic distance detection sensor 41 activates an electrical contact centered at the center of the boiler 39 mechanism to induce ignition of propergol, which is 35 x 10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collision energy generated by releasing gas which rapidly inflate the airbag 38 just before burning and contacting the ground within -3 seconds. In the event of a crash, the airbag will inflate and will hold for approximately 150 to 200 x 10 -3 seconds, which is a time sufficient to prevent injuries of passengers sitting in the conventional plane 7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에어백(72)은 그 안에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멍이 없는 방수처리된 특수 직물로 제조되며, 또한 충돌 중에 발전되는 힘을 견뎌내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상기 에어백은 또한 오늘날 시중에서 구할 수 있거나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The airbag 7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pecial, waterproof, nonwoven fabric to retain air therein, and must also have a sufficient thickness to withstand the forces that develop during a collision. The airbag may also be made of any other suitable material that is commercially available today or may be used in the future.

도 12에는 종래의 비행기(70)가 그 동체(70a)의 하부에서 소켓 개구(71a, 71b, 71c)를 지지하는 것이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개구에는 에어백 상자(86)가 도 12a에 도시하듯이 화살표 방향으로 장착된다.FIG. 12 shows a bottom view of a conventional airplane 70 supporting socket openings 71a, 71b, 71c at the bottom of its fuselage 70a, with an airbag box 86 shown in FIG. 12a. As shown by the arrow.

도 12b에는 도 12에 도시된 비행기가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소켓 개구(71a 내지 71c)에 대응 에어백 상자(86)가 장착되고 이들 에어백은 전술한 기재에 따라 작동된다.In Fig. 12B the plane shown in Fig. 12 is shown from the bottom, but corresponding airbag boxes 86 are mounted in the socket openings 71a to 71c and these airbag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도 12c에는 도 12b에 도시된 비행기가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에어백 상자(86)의 모든 장치가 작동되고 그 에어백(72a, 72b, 72c)은 완전히 펼쳐졌을 때 비행기가 지면에 충돌할 때 발생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완전히 펼쳐져, 즉 팽창되어 있다.In FIG. 12C the plane shown in FIG. 12B is shown in a bottom view, but the collision energy generated when the plane hits the ground when all devices in the airbag box 86 have been activated and their airbags 72a, 72b, 72c are fully deployed. It is fully expanded, ie expanded, to absorb it.

다음으로, 경량의 종래 비행기(70)에 대한 에어백 상자(86)의 조작 방법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the airbag box 86 for the light weight conventional airplane 70 i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에서 경량의 종래 비행기(70)는 상당한 정도의 급강하를 겪고 있으며 따라서 조종사가 그 낙하산 시스템(71)을 작동시킨 상태이다.In FIG. 13A the lightweight conventional airplane 70 is experiencing a significant amount of dive and thus the pilot has operated its parachute system 71.

도 13b 및 도 13c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비행기가 완전히 펼쳐진 낙하산(71)에 의해 강제로 수평자세를 취하게 되고 지면에 접근한다. 지면(42)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는 에어백 상자(86)에 부착된 거리 검출 센서(41)가 외부 에어백(72a, 72b, 72c)을 작동시켜 완전히 펼침(팽창)으로써 비행기가 지면(42)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In FIGS. 13B and 13C, the plane shown in FIG. 13 is forced into a horizontal position by the fully deployed parachute 71 and approaches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42,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41 attached to the airbag box 86 activates the external airbags 72a, 72b, and 72c to fully expand (expand) the airbag to collide with the ground 42. Absorbs the collision energy that occurs.

도 13d 및 도 13e 에서는, 도 13b와 도 13c에 도시된 비행기(70)가 제어된 속도로 지면(42)에 충돌하고, 팽창된 에어백(72a, 72b, 72c)은 발생된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며, 따라서 비행기(70)내에 앉아있는 승객의 신체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킨다.In FIGS. 13D and 13E, the plane 70 shown in FIGS. 13B and 13C strikes the ground 42 at a controlled speed, and the inflated airbags 72a, 72b, 72c absorb some of the generated energy. Thus, the force applied to the body of the passenger sitting in the airplane 70 is reduced.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도 1a, 1d, 3, 3a 내지 3c, 6b에 도시된 탈출 캐빈(1)은 소형 경비행기(5) 뿐 아니라 대형 경비행기(79)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훨씬 큰 점보 제트기에 있어서도 탈출 캐빈(1) 및 동체(4)의 적절한 설계 - 수정이 이루어졌다.The escape cabin 1 shown in FIGS. 1A, 1D, 3, 3A to 3C, 6B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small light aircraft 5 but also to the large light aircraft 79. And even for much larger jumbo jets, proper design-modification of the escape cabin 1 and the fuselage 4 was made.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루어졌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새로운 발명을 구성하지 않고 공지된 기술적 발전에 기여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탈출 캐빈(1), 낙하산(13, 14), 사출 장치(80), 로켓 모터(81), 에어백 상자(85), 종래 비행기(70)의 에어백 상자(86)의 구조 및 작동에 관하여 적용되는 도면, 크기, 배치, 재료, 구조 및 조립 구성요소, 기술에 관한 변경이나 수정은 청구범위에 정의되듯이 본 발명의 범위와 목적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u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scape cabin 1, the parachute 13, 14, the injection apparatus 80, the rocket motor 81) Changes or modifications to the drawings, sizes, arrangements, materials, structural and assembly components, and techniques applicable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airbag box 85 and the airbag box 86 of the conventional aircraft 70 are claimed. As defined by the scope, it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an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비행기가 갑작스럽게 지면으로 떨어질 때 분리되는 분리형 승객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로서,A plane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that detaches when the plane suddenly falls to the ground. 종방향의 분리 승객 탈출 캐빈(1) 및 분리 동체내의 분리형 조인트로 구성되고,Consisting of a longitudinal split passenger exit cabin 1 and a split joint in the split fuselage, 비행기(5)는 상기 탈출 캐빈(1)을 수용하여 연결되는 내부 개구(3)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3)는 비행기(5)의 동체(4)의 강한 골조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탈출 캐빈(1)의 형태 및 치수와 대응하는 형태 및 치수를 가지며, 상기 캐빈은 개구(3)에 진입하여 매치되고, 상기 탈출 캐빈(1)을 지지하여 연결하는 분리형 조인트(6)와 주변(3a)을 지지하며,The plane 5 is formed with an internal opening 3 which receives and connects to the escape cabin 1, which opening 3 is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a strong frame of the fuselage 4 of the plane 5. The opening has a shape and dimensions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escape cabin (1), the cabin enters and matches the opening (3), and a separate joint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the escape cabin ( 6) and the periphery 3a, 상기 탈출 캐빈(1)은 개구(3)와 연관된 형태 및 치수를 구비하여 개구내로 진입 및 매치될 수 있고, 상기 탈출 캐빈(1)은 콤팩트하고 강하고 경량이며 도어와 현창을 갖고 알루미늄-리튬 합금 또는 플라스틱 또는 기타 공지되어 있으며 오늘날 사용되거나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탈출 캐빈(1)은 상기 외부 장착 지지체(1a)와 분리형 조인트(2)를 지지하며 이들은 각각 비행기(5) 동체(4)의 개구(3)내에서 캐빈을 지지 및 연결하고, 상기 탈출 캐빈(1)은, 비행기가 여전히 대기에 위치할 때 지면으로 떨어질 위험이 존재하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을 때 탈출 캐빈(1)이 조종사의 명령을 따라 조종실(11)에 있는 손잡이(10)를 통해서 비행기(5)의 동체(4)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대기에있는 승객과 함께 원활하고 신속한 방출에 의해 탈출하므로써 승객들이 펼쳐진 낙하산(13, 14)의 도움으로 안전하게 지면에 하강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동체(4)의 개구(3)내에 적합하게 되고,The escape cabin 1 has a shape and dimensions associated with the opening 3 so that it can enter and match into the opening, the escape cabin 1 being compact, strong and lightweight, having doors and portholes and having an aluminum-lithium alloy Or made of plastic or any other known material used today or used in the future, wherein the escape cabin 1 supports the external mounting support 1a and the detachable joint 2, each of which is a plane ( 5) Support and connect the cabin in the opening 3 of the fuselage 4, wherein the escape cabin 1 escapes when there is a risk of falling to the ground when the plane is still in the atmosphere or there is a risk of fire. The cabin 1 can be detached from the fuselage 4 of the plane 5 via the handle 10 in the cockpit 11 at the command of the pilot, thus allowing for a smooth and rapid release with the passengers in the atmosphere. Escapes by means of fit within the opening 3 of the fuselage 4 so that passengers have the opportunity to safely descend to the ground with the help of the parachutes 13 and 14, 상기 분리형 조인트(2, 6)는 추진 기구(27, 28)에 의해 탈출 캐빈(1)을 비행기(5) 동체(4)로부터 분리하며,The detachable joints 2, 6 separate the escape cabin 1 from the plane 5 body 4 by propulsion mechanisms 27, 28, 상기 추진 기구는 그 하우징(2a)을 갖는 연결 베이스(2)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에지상의 적절한 지점에서 탈출 캐빈(1)의 길이방향으로 다른 연결 베이스(6)에 의해 영구 고정되며, 연결 베이스(6)의 하우징(6b)은 상기 동체(4)의 개구내의 대응 지점에서 영구적으로 고정되므로써, 상기 베이스(2, 6)는 함께 매치되고 접합되며 내부 피스톤(25)에 의해 부유되고, 상기 피스톤은 폭발 캡이나 기폭부(27) 및 폭발 물질로 구성되는 추진 기구의 폭발 도중에 변위되므로써 탈출 캐빈(1)의 연결된 부분들을 동체(4)로부터 결합해제시키며,The propulsion mechanism consists of a connecting base 2 with its housing 2a, which is permanently fixed by the other connecting base 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scape cabin 1 at an appropriate point on the edge, The housing 6b of the base 6 is permanently fixed at a corresponding point in the opening of the body 4 such that the bases 2, 6 are matched and joined together and floated by the inner piston 25, The piston disengages the connected portions of the escape cabin 1 from the fuselage 4 by being displaced during the explosion of the propulsion mechanism consisting of the explosion cap or the detonator 27 and the explosive material, 상기 베이스(2, 6)로 구성되는 유압 기구는 내부 피스톤(20)을 가지며, 이 피스톤은 특수 유체(22)를 통해 그것에 가해지는 압력하에 변위되어 탈출 캐빈(1)의 연결된 부분들을 동체(4)로부터 분리시키고,The hydraulic mechanism consisting of the bases 2, 6 has an internal piston 20, which is displaced under pressure exerted on it through a special fluid 22 to connect the connected parts of the escape cabin 1 to the body 4. ), 베이스(2, 6)로 구성되는 압축 공기 기구(24)는 내부 피스톤(24)을 가지며, 이 피스톤은 압축 공기(26a)에 의해 그것에 가해지는 압력하에 변위되어 탈출 캐빈(1)의 연결된 부분들을 동체(4)로부터 분리시키고,The compressed air mechanism 24 composed of the bases 2, 6 has an internal piston 24, which is displaced under pressure exerted by it by the compressed air 26a to connect the connected parts of the escape cabin 1. Separated from the body (4), 베이스(2, 6)로 구성되는 기계적 장치는 내부 피스톤(16)을 가지며, 이 피스톤은 그것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18)의 견인하에 변위되어 탈출 캐빈(1)의 연결된 부분들을 비행기(5)의 동체(4)로부터 분리하는, 분리형 승객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The mechanical device consisting of the bases 2, 6 has an internal piston 16, which is displaced under the traction of a wire rope 18 connected thereto to connect the connected parts of the escape cabin 1 to the plane 5. An airplane having a separate passenger escape cabi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uselage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캐빈(1)은 낙하산(13, 14)을 수용 및 보관하기 위한 구멍(32)과, 케이블(36a, 36b, 36c)을 갖는 소형 로켓(35)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은 그 단부중 일 단부에서 상기 낙하산(14)과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 상기 탈출 캐빈(1)의 지점(33a, 33b, 33c)과 연결되어 소형 로켓(35)의 발진 도중에 그것에 연결되어 있는 소형 낙하산(13)을 따라서 견인될 수 있으며 상기 낙하산은 초기에 펼쳐져 그것에 연결되어 있는 주 낙하산(14)의 개방 및 펼쳐짐을 보조하고 대기에 있을 때 그것이 비행기(5)의 동체(4)로부터 분리되어 탈출되면 탈출 캐빈(1)을 부양하여 상기 주 낙하산(4)이 탈출 캐빈(1)을 지면을 향해 안전하게 천천히 하강시킬 수 있는, 분리형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2. The escape cabin (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scape cabin (1) has a hole (32) for accommodating and storing the parachute (13, 14), and a small rocket (35) having cables (36a, 36b, 36c),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parachute 14 at one of its ends and to the points 33a, 33b, 33c of the escape cabin 1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it during the launch of the small rocket 35. The parachute can be towed along a small parachute 13 which assists in opening and unfolding the main parachute 14 initially deployed and connected thereto and when detached from the fuselage 4 of the plane 5 when in the atmosphere. A plane having a separate escape cabin, which, when escaped, may support an escape cabin (1) so that the main parachute (4) can safely and slowly descend the escape cabin (1) toward the groun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기(5)는 갑자기 지면으로 하강하기 시작하고 대기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필수적으로 완전히 펼쳐진 주 낙하산(14)의 도움으로 수평자세를 취하며 따라서 탈출 캐빈(1)은 그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떨어져내리는 동체(4)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고, 상기 주 낙하산(14)에 의해 부양되는 탈출 캐빈(1)은 지면으로 천천히 안전하게 하강하여 그 안에 앉아있는 승객들을 구조하는, 분리형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3. The plane (5)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ane (5) suddenly begins to descend to the ground and assumes a horizontal position with the aid of the main parachute (14), which is essentially fully deployed at any position in the atmosphere and thus an escape cabin. (1) is smoothly separated from the fuselage (4) falling to the ground by its own weight, and the escape cabin (1) lifted by the main parachute (14) slowly descends safely to the ground and seats passengers sitting therein. A plane with a detachable escape cabin to rescu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캐빈(1)은 화재로 인해 시간이 없을 때 수직 방출에 의해 동체(4)로부터 신속히 분리되어 탈출되며, 파이프(30, 31)로 구성되는 발진 사출장치(80)를 포함하고,The oscillation injec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scape cabin (1) is quickly separated from the fuselage (4) by vertical discharge and escapes when there is no time due to a fire, and consists of pipes (30, 31). Device 80, 상기 파이프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신축 피스톤으로서 작동하며, 상기 사출장치(80)는 탈출 캐빈(1)의 길이방향으로 네 코너(1c)에서 수직 개구(1d)에 상자에 수납되고, 상기 파이프(31)는 다른 파이프(30)보다 직경이 작아서 파이프(30)내를 관통하여 공차없이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30)는 그 일단부(30a)에서 폐쇄되고 다른 파이프(31)도 그 일단부(31a)에서 폐쇄되며 그 내부에는 소정 량의 폭발 물질이 수납되어 폭발되면 파이프(30, 31)를 신축적으로 분리 및 이격하고, 따라서 상기 캐빈(1)의 개구(1d)에 상자처럼 수납된 파이프(30)는 다른 파이프(31)로부터 신축적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들 파이프가 동체(4)상에서 지주로 사용되므로써, 사출장치(80)에 의한 초기 방출 단계의 종료에 의해 확인되는 탈출 캐빈(1)의 동체(4)로부터의 초기 방출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로켓 모터(81)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동체(4)로부터 탈출 캐빈(1)의 제 2 분리 단계가 시작되며,The pipe acts as a telescopic piston, one arranged inside the other, the injection device 80 is housed in a box in a vertical opening 1d at four corners 1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scape cabin 1 and The pipe 31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ther pipe 30 so that the pipe 31 can fit through the pipe 30 without tolerance, and the pipe 30 is closed at one end 30a thereof and the other pipe 31 is closed. ) Is also closed at one end 31a, and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explosive material is stored therein, the pipes 30 and 31 are elastically separated and spaced apart, thus opening 1d of the cabin 1. The pipe 30, which is housed like a box, can be stretched apart from other pipes 31, and as these pipes are used as struts on the body 4, at the end of the initial discharge phase by the injection device 80 Initial from the fuselage 4 of the escape cabin 1 identified by Exodus is made and at the same time, and a second separation step of the escape cabin (1) starting from the body 4 to be operated by a rocket motor 81, 상기 로켓 모터(81)는 카트리지 유닛(81a)과, 노즐(81b)과 발사 유닛(81c)으로 구성되고 탈출 캐빈(1)의 플로어의 외부에 부착되며 그 작동중에 로켓 모터는 동체(4)의 날개(4a)에 가해지는 충격이 회피되도록 신속히 발진되는, 분리형 승객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The rocket motor 81 consists of a cartridge unit 81a, a nozzle 81b and a firing unit 81c and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loor of the escape cabin 1, during which the rocket motor is connected to the body 4 of the fuselage 4. An airplane with a separate passenger escape cabin, which launches quickly so that the impact on the wing 4a is avoided.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지면으로 급강하 하기 시작한 상기 비행기(5)의 탈출 캐빈(1)은 대기중의 임의의 공기 위치에서 또는 화재의 경우에 조종사의 명령에 의해 핸들(10)에 의해 대기중에서 동체(4)로부터 신속히 방출되고 동시에 소형 로켓(35)에 의한 낙하산(13, 14)의 발진에 의해 완전히 펼쳐진 주 낙하산(14)에 의해 부양되는, 분리형 승객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The escape cabin (1) of the plane (5), which has started to dive to the ground, is handled at any air position in the atmosphere or at the command of the pilot in case of fire. A separate passenger escape cabin, which is rapidly released from the fuselage 4 in the atmosphere by the 10 and at the same time supported by the main parachute 14 fully deployed by the launching of the parachutes 13, 14 by the small rocket 35. Equipped plane.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캐빈(1)은 그 플로어의 외부에 소켓 개구(37a 내지 37f)를 구비하고, 이 소켓 개구에는 대응하는 에어백(38a 내지 38f)의 상자가 설치되고 에어백은 탈출 캐빈(1)이 지면에 충돌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도록 팽창되며,6. The escape cabin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escape cabin (1) has socket openings (37a to 37f) outside of its floor, the socket openings having boxes of corresponding airbags (38a to 38f). Is installed and the airbag is inflated to absorb some of the energy generated while the escape cabin 1 hits the ground, 상기 에어백 상자(85)는 또한 독립적인 물품으로서 구입할 수 있고 상기 탈출 캐빈(1)의 대응 소켓 개구(37a 내지 37f)에 설치되며, 각각의 에어백 상자(85)는 독자적인 자기 포함 구조를 구성하고, 탈출 캐빈(1)에 합체되는 영구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종래의 비행기에 추가될 수도 있으며, 특수한 방수 직물이나 기타 공지되어 있고 오늘날 사용중인 또는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로 제조된 에어백(38)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38)은 충돌시에 소정 로드를 감당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두께와 강도를 가지며, 특수하게 접혀져 패킹되고 보일러 기구(39)를 완전히 밀봉하여 수용하며 상기 보일러 기구는 프로페르골(40)로 지칭되는 고체 형태의 적절한 연료 또는 기타 공지되어 있고 오늘날 사용되거나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고체 연료를 수용하며, 상기 에어백 상자(85)는 특정 지점에 거리 검출 센서(41)를 구비하고, 이 센서는 지면으로의 충돌이 임박했을때 즉시 상기 보일러(39)내의 전기 접점을 작동시켜 연료(40)의 점화를 개시하며 상기 연료는 신속히 연소되어 가스를 방출하고 에어백(38)을 신속히 팽창시키므로써 지면에 도달했을 때 탈출 캐빈(1)의 충돌중에 발전되는 로드를 흡수하여 승객들의 부상을 방지하는, 분리형 승객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The airbag box 85 can also be purchased as an independent item and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socket openings 37a to 37f of the escape cabin 1, each airbag box 85 constitutes its own magnetic inclusion structure, Airbags 38 which may be used as permanent devices incorporated in the escape cabin 1 or may be added to conventional airplanes, made of special waterproof fabrics or other known and any materials that are in use today or in the future. The airbag 38 has a thickness and strength effective to withstand a predetermined load in the event of a crash, and is specially folded and packed to completely seal the boiler mechanism 39 and the boiler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propeller ( Suitable fuels in solid form, referred to as 40) or any other suitable solid fuels known and used today or may be used in the future. And the airbag box 85 has a distance detection sensor 41 at a particular point, which immediately activates the electrical contacts in the boiler 39 when a collision with the ground is imminent. Ignition) and the fuel is burned quickly, releasing gas and rapidly inflating the airbag 38, thereby absorbing the load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of the escape cabin 1 when reaching the ground to prevent injuries of passengers. , Airplane with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캐빈은 광폭의 경량 제트기(79)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제트기는 승객 수송 능력이 훨씬 큰 다른 비행기를 대표하는, 분리형 승객 탈출 캐빈을 구비한 비행기.7. The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escape cabin can be applied to a wide lightweight jet 79, which represents another plane with a much greater passenger transport capacity. airplane. 지면으로의 비행기의 하강에 기인한 충돌력에 의해 발생한 에너지를 감쇠시키고 승객의 신체에 소정 범위의 로드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6 항의 에어백을 구비한 비행기에 있어서,In an airplane provided with the airbag of claim 6 for attenuating the energy generated by the collision force due to the plane's descent to the ground and for preventing a predetermined range of loads being applied to the passenger's body, 상기 비행기(70)는,The plane 70, 그 동체(70a)의 외측 저부에 소켓 개구(71a 내지 71c)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에는 대응하는 에어백(72a 내지 72c)의 상자(86)가 각각 장착되고, 이들 에어백은 팽창되어 비행기(70)가 지면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고,Socket openings 71a to 71c are provided at the outer bottom of the fuselage 70a, and the openings are respectively equipped with boxes 86 of corresponding airbags 72a to 72c, and these airbags are inflated so that the plane 70 Absorb some of the energy that occurs when it hits the ground, 상기 에어백 상자(86)는 또한 독립적인 물품으로서도 사용가능하며 상기 비행기(70)의 대응 소켓 개구(71a 내지 71c)에 장착되고, 각각의 에어백 상자(86)는 독립적인 자기 포함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비행기(70)의 동체(70a)의 상기 부분에 합체되는 영구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낙하산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는 종래의 비행기에 추가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에어백(72)은 해수면에서 비행기(70)를 내구성을 보존하고 부양할 수 있도록 구멍이 없는 특수 방수 직물로 만들어지거나 오늘날 공지되어 있고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두께와 강도가 충분하여 충돌시 소정의 로드를 감당할 수 있는 기타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에어백(72)은 특수하게 접혀져 패킹되고 그 내부에는 프로페르골(4)로 지칭되는 고체 형태의 적절한 연료 또는 기타 공지되어 있고 오늘날 사용되거나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고체 연료가 담긴 보일러 기구(39)가 완전히 밀봉되어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백 상자(86)는 특정 지점에 거리 검출 센서(41)를 구비하며, 이 센서는 지면에의 충돌이 임박할 때 상기 보일러(39)내의 전기 접점을 작동시켜 연료(40)의 점화를 개시하고 상기 연료는 신속히 연소되고 동시에 가스를 방출하며 이 가스는 에어백(72)을 팽창시켜 비행기(70)가 지면에 도달할 때 충돌중에 발전하는 로드를 흡수하여 승객의 부상을 방지하는, 에어백을 구비한 비행기.The airbag box 86 is also usable as an independent article and is mounted in the corresponding socket openings 71a to 71c of the airplane 70, each airbag box 86 constitutes an independent magnetic inclusion structure and the It can be used as a permanent device incorporating the portion of the fuselage 70a of the plane 70 and as an additional device to a conventional plane with or without a parachute, and the airbag 72 can be used at sea level 70 ) Is made of a special waterproof fabric without holes to preserve its durability and support, or is made of other suitable materials that are known today and have sufficient thickness and strength to be used in the future to withstand certain loads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airbag 72 is specially folded and packed therein with a suitable fuel or other known form of solids referred to as propergol 4. And a boiler mechanism 39 containing a suitable solid fuel, which is used today or may be used in the future, is completely enclosed and housed, and the airbag box 86 has a distance detection sensor 41 at a particular point. Activates the electrical contacts in the boiler 39 to initiate ignition of the fuel 40 when impingement on the ground is imminent and the fuel burns rapidly and simultaneously releases gas, which inflates the airbag 72 An airplane with an airbag that absorbs a load that develops during a collision when the airplane 70 reaches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passenger injuries. 시장에서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고 대응하는 에어백(38, 72)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은 지면에 충돌시 발생하는 로드를 흡수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해수면에서 탈출 캐빈(1)과 비행기(70)를 지탱하여 부양하므로써 이들이 부유하여 침몰하지 않을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상자.It is marketed as an independent product and has corresponding airbags 38 and 72, which can absorb the loads generat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support the escape cabin 1 and the plane 70 at sea level. Air bags box, characterized in that by floating so that they do not float and sink.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의 분리형 승객 탈출 캐빈 및 에어백을 구비한 비행기로서, 오늘날 사용되거나 미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고 분리형 탈출 캐빈(1) 및 동체(4)를 구비한 비행기(5, 79)의 구조 및 작동과 종래의 비행기(7)에 있어서 적용되는 도면, 크기, 장치, 재료, 구조 및 조립 구성요소, 기술에 관하여 신규 발명을 구성하거나 이미 공지된 기술 발전에 기여하지 않는 일체의 변경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목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비행기.An airplane having the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irbag of any one of claims 1 to 9, which is made of a material which can be used today or in the future and which has a detachable escape cabin (1) and a fuselage (4). 5, 79 does not constitute new inventions or contribute to the already known technological developments with respect to the drawings, sizes, devices, materials, structures and assembly components, techniques applied in conventional airplanes 7 and techniques. Any alterations or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an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KR1020027013059A 2000-03-31 2000-11-23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KR1006274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R20000100106 2000-03-31
GR20000100106 200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874A true KR20020093874A (en) 2002-12-16
KR100627446B1 KR100627446B1 (en) 2006-09-22

Family

ID=3930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059A KR100627446B1 (en) 2000-03-31 2000-11-23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27446B1 (en)
AU (1) AU2001214072B2 (en)
IL (1) IL15157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513B1 (en) * 2005-12-23 2007-01-30 (주)큐베스트 Aircraft mock-up for fire fight training
KR101466089B1 (en) * 2013-04-18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Wind power generator and method for fire thereof
KR20220141638A (en)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Aircraft with a separate and detachable boarding sp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7372A (en) * 2021-06-02 2022-12-07 Du Di Aircraft safety lifesav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6097A (en) * 1993-05-10 1994-10-18 Stefan Chalupa Segmented safety aircraft
US5836544A (en) * 1996-05-13 1998-11-17 Gentile; Dino M. Emergency soft-landing system for rotor-type aircraft
DE19847546A1 (en) * 1998-10-15 2000-01-05 Mellmann Gerhard Airbag system to bring aircraft safely to ground in event of emergency situ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513B1 (en) * 2005-12-23 2007-01-30 (주)큐베스트 Aircraft mock-up for fire fight training
KR101466089B1 (en) * 2013-04-18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Wind power generator and method for fire thereof
KR20220141638A (en)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Aircraft with a separate and detachable boarding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14072B2 (en) 2006-02-09
KR100627446B1 (en) 2006-09-22
IL151577A (en) 200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4151B2 (en) Aircraft with passenger evacuation cabins that can be forcibly separated
JP7232374B2 (en) flying object
CN109641664B (en) Small-sized flying object with airbag device
US5826827A (en) Air-chute safety system
US5765778A (en) Flight vehicle with a safety device
US5921504A (en) Aircraft passenger extraction system
US20110233341A1 (en) Hybrid emergency ejection system
CN111051203A (en) Safety device for aircraft and aircraft
KR20030015249A (en) Safety devices for an helicopter
US10569908B1 (en) Self-preserved amphibious landing of space hardware
KR20020093874A (en)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AU2001214072A1 (en)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JPH09240595A (en) Air bag device
CA2403158C (en) An aircraft with a detachable passenger escape cabin and an aircraft with airbags
US3756546A (en) Aircrew escape system
US3133718A (en) Automatically projected and deployed parachute
RU2021164C1 (en) Airbus
JPH09193896A (en) Air bag device
GB2221199A (en) Escape unit for the crew members of a space craft
KR200166871Y1 (en) A device of emergency escape foraircraft
KR102612432B1 (en) Emergency parachute kit for drone
DE60006429T2 (en) A PLANE WITH A DETACHABLE PASSENGER RESCUE AND A PLANE WITH AIRBAGS
KR19990069251A (e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ircraft
RU2263613C1 (en) System of controllable descent and landing of flying vehicle in emergency situation (versions)
JPH06127483A (en) Recovering device and recovering method for flying obj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