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619A -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619A
KR20020093619A KR1020020031890A KR20020031890A KR20020093619A KR 20020093619 A KR20020093619 A KR 20020093619A KR 1020020031890 A KR1020020031890 A KR 1020020031890A KR 20020031890 A KR20020031890 A KR 20020031890A KR 20020093619 A KR20020093619 A KR 20020093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ce
sheet
pleats
elastic member
she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케가와가즈오
이소노마사토
가미오히로아키
오바도루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0126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9361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6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불쾌한 자극을 주지 않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트 부재(2)와 흡액성 부재(12)로 구성되고,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에서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종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되어 배열되는 동시에, 시트 부재(2)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며, 탄성부재(9)의 수축에 의해 시트 부재(2)에 다수의 주름(10)이 형성된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1A)으로서, 주름(10)은 시트 부재(2)가 몸통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기복을 반복함으로써 형성되고, 주름(10)이 종방향으로 연속하면서 탄성부재(9)와 거의 직교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몸통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PANTY-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S}
본 발명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며, 앞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몸통둘레 개구 가장자리부와 가랑이 영역 사이를 종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시켜 배열되는 동시에, 표면과 이면 시트 중 적어도 이면 시트에 신장 상태로 부착된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은 공지이다.
이 물품에서는, 앞 뒤 몸통둘레 영역의 서로 중첩되는 몸통둘레 측부가 연결되고, 몸통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가 구획되어 있다. 물품에서는, 코어의 비존재 영역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내면에 고착되고, 코어의 존재 영역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이면 시트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물품은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의 신장 응력을 이용함으로써, 착용자의 몸통둘레를 조일 수 있고,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있어서 물품이 틀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와 같은 착용 물품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84826호 공보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2768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착용 물품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수축함으로써 앞 뒤 몸통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 시트에 불규칙한 다수의 주름이나 구김살이 형성된다. 물품에서는, 착용자의 몸통둘레와 주름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었다고 해도, 그 간극이 가랑이 영역에서 몸통둘레 개구를 향해 종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연장되지 않고, 간극이 몸통둘레 개구를 향하는 도중에 갑자기 끊기거나, 간극이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물품 내부의 습기를 간극을 통해 몸통둘레 개구에서 외부로 방출할 수 없다. 또한, 물품에서는,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접촉하여 절곡된 주름이나 구김살이 착용자의 피부를 국소적으로 압박하는 경우가 있어 착용자에게 불쾌한 자극을 준다.
본 발명의 과제는 물품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불쾌한 자극을 주지 않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일회용 착용 물품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팬츠형으로 성형하기 이전의 물품의 부분 파단 전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시트 부재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9는 도 8의 E-E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F-F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2 : 시트 부재
5 : 몸통둘레 개구
6 : 다리둘레 개구
9 : 몸통둘레용 탄성부재
10 : 주름
10a : 꼭대기
10b : 바닥
12 : 흡액성 부재
18 : 투액성 표면 시트
19 : 불투액성 이면 시트
20 : 흡액성 코어
L1 : 이격 치수
L2 : 최대 높이 치수
L3 : 최대 높이 치수
L4 : 이격 치수
M1 : 앞 몸통둘레 영역
M2 : 가랑이 영역
M3 : 뒤 몸통둘레 영역
M4 : 비존재 영역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서로 대향하는 앞 뒤 몸통둘레 영역 및 이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획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가랑이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앞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흡액성 부재로 구성되고, 몸통둘레 개구와, 상기 몸통둘레 개구 아래쪽으로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를 가지며, 상기 앞 뒤 몸통둘레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상기 몸통둘레 개구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랑이 영역 사이를 종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시켜 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 부재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시트 부재에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상기 주름은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기복을 반복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주름이 상기 몸통둘레 개구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을 향해 상기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하면서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와 거의 직교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를 갖는다.
(1)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상기 시트 부재의 기복을 따라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기복을 반복하고,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상기 주름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의 최대 높이 치수가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 사이로 연장되는 상기 주름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의 최대 높이 치수보다도 작다.
(2) 상기 주름의 꼭대기와 바닥이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고 있다.
(3)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주름의 꼭대기 사이의 이격 치수가 3∼30 mm 범위이다.
(4)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상기 주름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의 상기 최대 높이 치수가 1∼3 mm 범위이고,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 사이로 연장되는 상기 주름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의 상기 최대 높이 치수가 3∼10 mm 범위이다.
(5)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상기 몸통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거의 병행하여 연장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끼리의 이격 치수가 3∼30 mm 범위이다.
(6)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를 부착한 부위에 있어서의 수축률이 단위 길이 당 35∼80% 범위이다.
(7) 상기 시트 부재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흡액성 부재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개재하며, 상기 흡액성 부재의 비존재 영역에서는, 상기 주름이 상기 몸통둘레 개구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을 향해 상기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하면서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와 거의 직교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는 일회용 착용 물품(1A)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로 도시한 팬츠형으로 성형하기 이전의 물품(1A)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몸통둘레 방향을 화살표 X, 종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다리둘레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도 2에서는, 횡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종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또, 표면 시트(13)와 이면 시트(14) 내면이란 코어(15)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고, 이들 시트(13, 14)의 외면이란 코어(15)에 비대향인 면을 말한다.
물품(1A)은 시트 부재(2)와, 시트 부재(2)의 내측에 부착된 흡액성 부재(12)로 구성되어 있다. 물품(1A)에서는, 시트 부재(2)가 서로 대향하는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M1, M3)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M2)을 구획하고 있다.
물품(1A)에서는, 시트 부재(2)의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에 있어서의몸통둘레 측부(3)가 합장형으로 중첩되고, 몸통둘레 측부(3)가 종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열 융착선(4)을 통해 고착되어 있다. 물품(1A)에는 몸통둘레 개구(5)와 그 아래쪽으로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6)가 구획되어 있다.
시트 부재(2)는 거의 동 형태 동 크기로서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이면서 소수성인 섬유 부직포(7, 8)가 서로 중첩되는 복합 부직포이며, 그 평면 형상이 모래시계형을 띤다. 시트 부재(2)의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에는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는 몸통둘레 개구(5)의 가장자리부(5a)와 가랑이 영역(M2) 사이를 종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시켜 배열되어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는 몸통둘레 개구(5)의 가장자리부(5a)에 거의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는 시트 부재(2)를 형성하는 부직포(7, 8) 사이에 개재하며, 이들 부직포(7, 8)에 고착되어 있다.
시트 부재(2)의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에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의 수축에 의해 몸통둘레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주름(10)이 형성되어 있다. 주름(10)은 시트 부재(2)가 몸통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기복을 반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주름(10)은 몸통둘레 개구(5)에서 가랑이 영역(M2)을 향해 종방향으로 연속하면서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와 거의 직교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종방향으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주름(10)은 몸통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다리둘레 개구(6)의 가장자리부(6a)에는 복수 줄의 다리둘레용 탄성부재(11)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다리둘레용 탄성부재(11)는 앞 몸통둘레 영역(M1)에서 가랑이 영역(M2)을 향해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며 연장되는 탄성부재(11a)와, 뒤 몸통둘레 영역(M3)에서 가랑이 영역(M2)을 향해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며 연장되는 탄성부재(11b)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탄성부재(11a, 11b)는 다리둘레 개구(6)의 가장자리부(6a)를 따라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11c)과, 가랑이 영역(M2)을 횡단하는 중앙 부분(11d)을 가지며, 이들 탄성부재(11a, 11b)의 중앙 부분(11d)이 가랑이 영역(M2)에 있어서 교차하고 있다. 이들 탄성부재(11a, 11b)는 시트 부재(2)를 형성하는 부직포(7, 8) 사이에 개재하며, 이들 부직포(7, 8)에 고착되어 있다.
흡액성 부재(12)는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13)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14)와, 표면 시트(13)와 이면 시트(14)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시트(13, 14)의 적어도 한쪽 내면에 접합된 흡액성 코어(15)로 구성되어 있다.
흡액성 부재(12)는 가랑이 영역(M2)을 중심으로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흡액성 부재(12)는 앞 몸통둘레 영역(M1)에 위치하는 전방부(m1)와, 뒤 몸통둘레 영역(M3)에 위치하는 후방부(m3)와, 가랑이 영역(M2)에 위치하는 중간부(m2)를 갖는다. 흡액성 부재(12)에서는, 전후방부(m1, m3)의 일부가 시트 부재(2)의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에 핫-멜트형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착되고, 중간부(m2)가 시트 부재(12)의 가랑이 영역(M2)에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흡액성 부재(12)에서는, 코어(15)의 양측 가장자리(15a)에서 외측으로 표면 시트(13)와 이면 시트(14)의 측부(13a, 14a)가 연장되어 있다. 측부(13a, 14a)에서는, 이들 시트(13, 14)가 서로 중첩되고, 이들 시트(13, 14)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측부(13, 14)에는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탄성부재(16)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탄성부재(16)는 이면 시트(14)의 일부로 피복된 상태로 이면 시트(14)에 고착되어 있다. 흡액성 부재(12)의 전후방부(m1, m3)에서는, 이들 시트(13, 14)의 측부(13a, 14a)가 표면 시트(13)의 외면측을 향해 절곡되고, 측부(13a, 14a)가 표면 시트(13)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흡액성 부재(12)에서는, 탄성부재(16)의 수축에 의해 흡액성 부재(12)의 중간부(m2)로 연장되는 이들 시트(13, 14)의 측부(13a, 14a)가 표면 시트(13)의 위쪽으로 기립하여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
흡액성 부재(12)에서는, 코어(15)의 양단 가장자리(15b)에서 외측으로 표면 시트(13)와 이면 시트(14)와의 단부(13b, 14b)가 연장되어 있다. 단부(13b, 14b)에서는, 이들 시트(13, 14)가 서로 중첩되고, 이들 시트(13, 14)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도 2의 평면도로부터 도 1의 물품(1A)을 만들기 위해서는 흡액성 부재(12)를 내측으로 한 상태로 가랑이 영역(M2)을 횡단하는 가로 중심선(S)에서 물품(1A)을 절곡하여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을 중첩시키고, 시트 부재(2)의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에 있어서의 몸통둘레 측부(3)를 고착시킨다.
도 4, 도 5는 물품(1A)에서 잘라낸 시트 부재(2)의 부분 사시도와, 도 4의B-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6, 도 7은 도 4의 C-C선 단면도와, 도 4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몸통둘레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종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주름(10)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꼭대기(10a)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바닥(10b)을 갖는다. 주름(10)의 꼭대기(10a)와 바닥(10b)은 종방향으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몸통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고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는 시트 부재(2)의 기복을 따라 몸통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기복을 반복하고 있다.
물품(1A)에서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시트 부재(2)에 형성된 주름(10)의 바닥(10b)이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접촉하고, 주름(10)의 꼭대기(10a)가 착용자의 몸통둘레에서 이격된다. 물품(1A)에서는, 주름(10)의 꼭대기(10a)와 착용자의 몸통둘레 사이에 간극(17)이 형성되고, 그 간극(17)이 가랑이 영역(M2)에서 몸통둘레 개구(5)를 향해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물품(1A) 내부의 습기를 간극(17)을 통해 몸통둘레 개구(5)에서 물품(1A)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물품(1A)에서는, 주름(10)이 가랑이 영역(M2)에서 몸통둘레 개구(5)를 향해 종방향으로 연속하면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주름(10)이 몸통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접촉한 주름(10)이 쉽게 절곡되지 않는다. 물품(1A)에서는, 이들 주름(10)이 쿠션이 되며, 주름(10)이 착용자의 피부를 국소적으로 압박하는 일은 없다.
물품(1A)에서는, 주름(10)의 꼭대기(10a)와 바닥(10b)이 몸통둘레 방향을 향해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고 있기 때문에, 주름(10)의 꼭대기(10a)와 바닥(10b)이 첨형를 띠는 경우에 비하여 주름(10)의 특히 바닥(10b)이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접촉했다고 해도, 불쾌한 자극을 주는 일은 없다.
물품(1A)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위치하는 주름(10)의 꼭대기(10a)에서 바닥(10b)까지의 최대 높이 치수(L2)가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 사이로 연장되는 주름(10)의 꼭대기(10a)에서 바닥(10b)까지의 최대 높이 치수(L3)보다도 작다. 고로, 물품(1A)에서는, 주름(10)의 꼭대기(10a)와 바닥(10b)이 종방향으로 약간 기복을 반복하고 있다. 물품(1A)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위치하는 주름(10)의 바닥(10b)이 착용자의 몸통둘레에서 이격되고,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 사이로 연장되는 주름(10)의 바닥(10b)만이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접촉하기 때문에, 물품(1A) 착용자의 피부에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물품(1A)에서는, 몸통둘레 방향으로 인접한 주름(10)의 꼭대기(10a) 사이의 이격 치수(L1)가 3∼30 mm 범위이다. 이격 치수(L1)가 3 mm 미만에서는, 몸통둘레 방향으로 배열되는 주름(10)의 갯수가 필요 이상으로 많아져 주름(10)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2)의 강성이 증가하고, 시트 부재(2)의 유연성이 저하한다. 이격 치수(L1)가 30 mm를 초과하면, 주름(10)이 쓰러지기 쉽고, 주름(10)이 쓰러지면, 주름(10)의 꼭대기(10a)와 착용자의 몸통둘레 사이에 간극(17)이 형성되지 않는다.
물품(1A)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위치하는 주름(10)의꼭대기(10a)에서 바닥(10b)까지의 최대 높이 치수(L2)가 1∼3 mm 범위이고,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 사이로 연장되는 주름(10)의 꼭대기(10a)에서 바닥(10b)까지의 최대 높이 치수(L3)가 3∼10 mm 범위이다. 높이 치수(L2)가 1 mm 미만에서는, 주름(10)의 꼭대기(10a)와 착용자의 몸통둘레 사이에 간극(17)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높이 치수(L3)가 10 mm를 초과하면, 물품(1A)을 착용했을 때에, 주름(10)의 부피가 커져서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물품(1A)에서는, 종방향으로 인접한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끼리의 이격 치수(L4)가 3∼30 mm 범위이다. 이격 치수(L4)가 3 mm 미만에서는, 시트 부재(2)에 다수의 오그라든 구김살이 형성되어 버리고, 시트 부재(2)에 종방향으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주름(10)을 형성할 수 없다. 이격 치수(L4)가 30 mm를 초과하면, 이들 몸통둘레 탄성부재(9) 사이로 연장되는 시트 부재(2)에 주름(10)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물품(1A)에서는, 시트 부재(2)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를 부착한 부위에 있어서의 수축률이 단위 길이 당 35∼80% 범위이다. 단위 길이 당 수축률이 35% 미만에서는, 시트 부재(2)에 높은 밀도의 불규칙한 구김살이 형성되어 버리고, 시트 부재(2)에 종방향으로 연속하면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주름(10)을 형성할 수 없다. 단위 길이 당 수축률이 80%를 초과하면, 시트 부재(2)에 주름(10) 그 자체를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도 8,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1B)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도 8의 E-E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몸통둘레 방향을 화살표 X, 종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내고, 다리둘레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이 물품(1B)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18)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19)와, 이들 시트(18, 19)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20: 흡액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20)는 이들 시트(18, 19)의 적어도 한쪽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물품(1B)은 서로 대향하는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M1, M3)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M2)을 갖는다. 물품(1B)에서는, 표면과 이면 시트(18, 19)의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에 있어서의 몸통둘레 측부(3)가 합장형으로 중첩되고, 몸통둘레 측부(3)가 종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열 융착선(4)을 통해 고착되어 있다. 물품(1B)에는 몸통둘레 개구(5)와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6)가 구획되어 있다. 코어(20)는 가랑이 영역(M2)을 중심으로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물품(1B)의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에는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는 몸통둘레 개구(5)의 가장자리부(5a)와 가랑이 영역(M2) 사이를 종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시켜 배열되어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는 몸통둘레 개구(5)의 가장자리부(5a)에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는 표면 시트(18)와 이면 시트(19)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코어(20)의 비존재 영역(M4)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는 표면 시트(18)와 이면시트(19)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코어(20)의 존재 영역(M5)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는 이면 시트(19)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다리둘레 개구(6)의 가장자리부(6a)에는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다리둘레용 탄성부재(21)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다리둘레용 탄성부재(21)는 표면 시트(18)와 이면 시트(19)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18, 19)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앞 뒤 몸통둘레 영역(M1, M3)에 있어서의 코어(20)의 비존재 영역(M4)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의 수축에 의해 표면 시트(18)와 이면 시트(19)에 몸통둘레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주름(10)이 형성되어 있다. 주름(10)은 표면 시트(18)와 이면 시트(19)가 몸통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기복을 반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영역(M4)에서는, 주름(10)이 몸통둘레 개구(5)에서 가랑이 영역(M2)을 향해 종방향으로 연속하면서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와 직교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종방향으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주름(10)은 몸통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주름(10)은 그 꼭대기(10a)와 바닥(10b)이 몸통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고 있다. 코어(20)의 존재 영역(M5)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19)에는 불규칙한 다수의 주름(22)이 형성되어 있다.
물품(1B)의 영역(M4)에서는, 주름(10)의 꼭대기(10a)와 착용자의 몸통둘레 사이에 형성된 간극(17)이 가랑이 영역(M2)에서 몸통둘레 개구(5)를 향해 종방향으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물품(1B) 내부의 습기를 간극(17)을 통해 몸통둘레 개구(5)에서 물품(1B)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물품(1B)의 영역(M4)에서는, 도 1과 마찬가지로,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표면과 이면 시트(18, 19)의 기복을 따라 몸통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기복을 반복하고 있다. 영역(M4)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위치하는 주름(10)의 꼭대기(10a)에서 바닥(10b)까지의 최대 높이 치수(L2)가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 사이로 연장되는 주름(10)의 꼭대기(10a)에서 바닥(10b)까지의 최대 높이 치수(L3)보다도 작다. 영역(M4)에서는, 주름(10)의 꼭대기(10a)와 바닥(10b)이 종방향으로 약간 기복을 반복하고 있다.
영역(M4)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위치하는 주름(10)의 바닥(10b)이 착용자의 몸통둘레에서 이격되고,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 사이로 연장되는 주름(10)의 바닥(10b)이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접촉하기 때문에, 물품(1B) 착용자의 피부에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물품(1B)의 영역(M4)에 있어서의 주름(10)의 이격 치수(L1)나 최대 높이 치수(L2, L3),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의 이격 치수(L4), 표면과 이면 시트(18, 19)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를 부착한 부위에 있어서의 수축률은 도 1과 동일하다.
이들 도시예의 물품(1A, 1B)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앞 몸통둘레 영역(M1)과 뒤 몸통둘레 영역(M3)중의 적어도 한쪽에 부착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이들 물품(1A, 1B)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가랑이 영역(M2)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물품(1A, 1B)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몸통둘레 개구(5)의 가장자리부(5a)에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시트 부재(2)를 형성하는 부직포(7, 8) 또는 표면과 이면 시트(13, 14)는 이들이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를 통해 고착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이들이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를 통해 고착되는 동시에, 부직포(7, 8)끼리 또는 표면과 이면 시트(13, 14)끼리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어도 좋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와 시트 부재(2)를 형성하는 부직포(7, 8)나 표면과 이면 시트(13, 14)의 고착에는 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와 부직포(7, 8)나 시트(13, 14)와의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고착에는 접착제를 스파이럴형이나 스프레이형으로 도포하는 패턴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단,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를 부직포(7, 8)나 시트(13, 14)에 확실하게 고착시키기 위해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의 전 표면적에 대한 접착제의 코팅 면적률이 20∼8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코팅 면적률이 20% 미만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가 부직포(7, 8)나 시트(13, 14)에서 떨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접착제의 코팅 면적률이 80%를 초과하면, 몸통둘레용 탄성부재(9)의 수축이 접착제에 의해 방해되어 버린다.
표면 시트(13, 18)에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의 섬유 부직포, 또는, 미세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14, 19)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14, 19)에는 높은 내수성을 갖는 멜트 블로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를,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 유연성이 풍부한 스펀 본드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로 끼운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로서는,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멜트 블로, 서멀 본드, 스펀 본드, 케미컬 본드, 에어 스루 등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각 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심초형(芯墅型) 복합 섬유 또는 병렬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물품(1A)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2)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 이외에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 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코어(15, 20)는 플랩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또는, 플랩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와의 혼합물로서, 소정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코어(15, 20)는 그것의 형 붕괴나 폴리머 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가 티슈페이퍼로 피복,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트 부재(2)를 형성하는 부직포(7, 8)의 고착이나 표면과 이면 시트(13, 14, 18, 19)의 고착, 코어(15, 20)의 접합에는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 등의 열에 의한 용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따르면, 시트 부재에 형성된 주름의 꼭대기와 착용자의 몸통둘레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그 간극이 가랑이 영역에서 몸통둘레 개구를 향해 종방향으로 연속하면서 수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그 내부의 습기를 간극을 통해 몸통둘레 개구에서 물품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이 물품에서는,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접촉한 주름이 쉽게 절곡되지 않고, 이들 주름이 쿠션이 되기 때문에, 주름이 착용자의 피부를 국소적으로 압박하는 일은 없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주름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의 높이 치수가 몸통둘레용 탄성부재 사이로 연장되는 주름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은 물품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주름의 바닥이 착용자의 몸통둘레에서 이격되고, 몸통둘레용 탄성부재 사이로 연장되는 주름의 바닥이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접촉하기 때문에, 물품 착용자의 피부에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주름의 꼭대기와 바닥이 몸통둘레 방향을 향해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고 있는 물품에서는, 주름의 꼭대기와 바닥이 첨형을 띠는 경우에 비하여 주름의 특히 바닥이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접촉했다고 해도, 불쾌한 자극을 주는 일이 없다.

Claims (8)

  1. 서로 대향하는 앞 뒤 몸통둘레 영역 및 이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획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가랑이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앞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흡액성 부재로 구성되고, 몸통둘레 개구와, 상기 몸통둘레 개구 아래쪽으로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를 가지며, 상기 앞 뒤 몸통둘레 영역의 적어도 한쪽에서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상기 몸통둘레 개구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랑이 영역 사이를 종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시켜 배열되는 동시에, 상기 시트 부재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상기 시트 부재에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기복을 반복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주름이 상기 몸통둘레 개구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을 향해 상기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하면서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와 거의 직교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상기 시트 부재의 기복을 따라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기복을 반복하고,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상기 주름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의 최대 높이 치수가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 사이로 연장되는 상기 주름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의 최대 높이 치수보다도 작은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의 꼭대기 바닥이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호를 그리고 있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주름의 꼭대기 사이의 이격 치수가 3∼30 mm 범위인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상기 주름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의 상기 최대 높이 치수가 1∼3 mm 범위이고,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 사이로 연장되는 상기 주름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의 상기 최대 높이 치수가 3∼10 mm 범위인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상기 몸통둘레 개구 가장자리부에 거의 병행하여 연장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끼리의 이격 치수가 3∼30 mm 범위인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를 부착한 부위에 있어서의 수축률이 단위 길이 당 35∼80% 범위인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흡액성 부재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개재하며, 상기 흡액성 부재의 비존재 영역에서는, 상기 주름이 상기 몸통둘레 개구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을 향해 상기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하면서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와 거의 직교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몸통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0020031890A 2001-06-06 2002-06-07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20093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0729A JP2002360632A (ja) 2001-06-06 2001-06-06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JP-P-2001-00170729 2001-06-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990A Division KR101228713B1 (ko) 2001-06-06 2009-07-10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619A true KR20020093619A (ko) 2002-12-16

Family

ID=190126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890A KR20020093619A (ko) 2001-06-06 2002-06-07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0090062990A KR101228713B1 (ko) 2001-06-06 2009-07-10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990A KR101228713B1 (ko) 2001-06-06 2009-07-10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30023220A1 (ko)
EP (1) EP1269955B1 (ko)
JP (1) JP2002360632A (ko)
KR (2) KR20020093619A (ko)
CN (1) CN1223322C (ko)
AT (1) ATE316368T1 (ko)
AU (1) AU4580602A (ko)
CA (1) CA2388994A1 (ko)
DE (1) DE60208860T2 (ko)
ES (1) ES225239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115B2 (ja) * 2001-04-06 2005-09-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7569039B2 (en) 2003-11-19 2009-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US20050148974A1 (en) * 2003-12-29 2005-07-07 Datta Paul J.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a folded panel for improved fit and exudate containment
JP4532940B2 (ja) * 2004-03-12 2010-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US7763004B2 (en) * 2005-05-18 2010-07-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layered containment pockets
US7695463B2 (en) * 2005-06-22 2010-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layer barrier cuff strips
US7618404B2 (en) * 2005-06-23 2009-1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doubled side flaps and backsheet strips
JP4986585B2 (ja) * 2006-11-27 2012-07-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1415547B1 (ko) * 2006-11-27 2014-07-08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JP4994027B2 (ja) * 2006-12-28 2012-08-08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4190B2 (ja) * 2006-12-05 2012-02-29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4884191B2 (ja) * 2006-12-11 2012-02-29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776553B2 (ja) * 2007-01-18 2011-09-21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20080208155A1 (en) * 2007-02-22 2008-08-28 Gary Dean Lavon Diaper having abdominal stretch panels
US20090312737A1 (en) 2008-06-17 2009-12-17 Gary Dean Lavo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Barrier Attachment Zone
WO2012149238A2 (en) 2011-04-29 2012-1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gasketing cuff
EP2723291A1 (en) 2011-06-21 2014-04-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band and leg cuff having gathers
BR112013032830A2 (pt) 2011-06-21 2017-02-07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com cós contrátil
JP2015515921A (ja) 2012-05-15 2015-06-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有利な伸長及び製造性特性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パンツ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5992609B2 (ja) 2012-05-15 2016-09-1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のための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3170433A1 (en) 2012-05-15 201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racteristic waist end
JP6044390B2 (ja) * 2013-02-28 2016-12-1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RU2660027C2 (ru) 2013-11-05 2018-07-04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 поясной тесемкой
WO2015069727A1 (en) 2013-11-05 2015-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band
JP2016540540A (ja) 2013-11-05 2016-12-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ウエストバンドを有する吸収性物品
EP3270847B1 (en) 2015-03-18 2019-04-2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EP3270848B1 (en) 2015-03-18 2019-06-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US10716716B2 (en) 2015-03-18 2020-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WO2016149589A1 (en) 2015-03-18 2016-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EP3270845B1 (en) 2015-03-18 2019-06-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EP3270844B1 (en) 2015-03-18 2020-04-2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US10537481B2 (en) 2015-03-18 2020-0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CN107427403B (zh) 2015-03-18 2020-10-20 宝洁公司 具有腰衬圈元件和腿箍的吸收制品
CN107427395B (zh) 2015-03-18 2021-01-01 宝洁公司 带有腰衬圈元件和腿箍的吸收制品
CA2980151A1 (en) 2015-03-18 2016-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JP6407090B2 (ja) * 2015-04-08 2018-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09047A (en) * 1990-10-31 1996-11-30 Kao Corp Disposable diaper
GB2282054B (en) * 1993-08-31 1997-05-07 Kimberly Clark Co Disposable panty
JPH07116191A (ja) * 1993-09-02 1995-05-09 Kao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SE508628C2 (sv) * 1994-02-18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byxblöja
CN1125622C (zh) * 1994-10-14 2003-10-29 花王株式会社 短裤型一次性尿布
ZA961487B (en) * 1995-03-03 1996-08-28 Procter & Gamble Composite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713B1 (ko) 2013-02-01
CN1223322C (zh) 2005-10-19
JP2002360632A (ja) 2002-12-17
EP1269955B1 (en) 2006-01-25
ATE316368T1 (de) 2006-02-15
KR20090088835A (ko) 2009-08-20
CN1389187A (zh) 2003-01-08
CA2388994A1 (en) 2002-12-06
ES2252393T3 (es) 2006-05-16
US20030023220A1 (en) 2003-01-30
EP1269955A2 (en) 2003-01-02
DE60208860D1 (de) 2006-04-13
AU4580602A (en) 2002-12-12
DE60208860T2 (de) 2006-09-14
EP1269955A3 (en) 200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713B1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575074B1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857483B1 (ko) 신축성 복합 시트 및 신축성 복합 시트에 다수의 주름을형성하는 방법
JP2002360632A5 (ko)
KR102226497B1 (ko) 시각적으로 다른 섀시 및 허리밴드를 갖는 흡수 용품
KR100673928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77872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US10667961B2 (en) Absorbent article and wearable article including absorbent article
EP0591647A2 (en)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KR20030033993A (ko) 일회용 기저귀
JP2002371456A5 (ko)
JP6326222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KR20050058460A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593278B1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US20040167494A1 (en) 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CN110022819B (zh) 具有多个弹性区域的一次性裤型吸收性物品
KR100901839B1 (ko)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KR102075055B1 (ko) 내부 물질과 탄성체가 없는 부분 미중첩 허리 패널 구조를 갖는 기저귀 팬티
JP2015104608A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CN111225643B (zh) 吸收性物品
KR100787411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30011656A (ko)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JP2015104605A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6283208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KR100266193B1 (ko) 흡수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예비접착된 섬유층을 갖는 탄성 망상 기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19

Effective date: 20110228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