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382A -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및 그것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및 그것의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382A
KR20020091382A KR1020010029978A KR20010029978A KR20020091382A KR 20020091382 A KR20020091382 A KR 20020091382A KR 1020010029978 A KR1020010029978 A KR 1020010029978A KR 20010029978 A KR20010029978 A KR 20010029978A KR 20020091382 A KR20020091382 A KR 2002009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imulation
layout
auto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391B1 (ko
Inventor
송춘경
Original Assignee
송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춘경 filed Critical 송춘경
Priority to KR10-2001-002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3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modeling, simulation of the manufacturing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CIM planning or rea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시스템에 있어서, 시뮬레이션작업을 통해 최적의 작업조건을 설정함과 동시에 시뮬레이션작업에 의한 결과를 실제 장비의 제어작업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이아웃(layout)을 사용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flexible) 공장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산라인에 설치된 각 자동화기기의 자동화공정을 제어함과 동시에 자동화공정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는 통합제어장치가 자동화기기와 통신라인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통합제어장치는, 생산품목에 해당하는 다수의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산정보 변경에 따른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레이아웃 설정모듈과; 레이아웃 설정모듈에서 생성된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생산품목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산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다수의 규칙에 대입하여 일정 계획을 생성하는 일정계획모듈과; 레이아웃 설정모듈과 일정계획모듈에서 생성된 레이아웃과 일정 계획에 따라 공정제어 프로세서를 생성하여 자동화 시스템내의 각 자동화기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생성된 공정제어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가상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 및 그것의 운영방법{Apparatus for integration controlled of simulation with control for factory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본 발명은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 자동화시스템에 있어서, 시뮬레이션작업을 통해 최적의 작업조건을 설정함과 동시에 시뮬레이션작업에 의한 결과를 실제 장비의 제어작업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이아웃(layout)을 사용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flexible) 공장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통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자동화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자동화시스템은 컨베이어와, 로봇, CNC, 각종 센서 및 모터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슈퍼바이저(supervisor)가 이들의 동작을 일일이 제어하여 전체 시스템을 동작시키고 에러를 처리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화시스템은 레이아웃이 결정된 이후에는 레이아웃의 형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최초 레이아웃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또한, 현재 출시된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는 장비 제어만을 위한 컨트롤러(controller)와 시뮬레이션만을 위한 시뮬레이터(simulator) 등 각기 다른 단독 시스템으로 구별되어 상품화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화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생산계획을 사용자가 임의로 수작업을 통해 입력하고, 컴퓨터는 입력된 정보로 한정된 작업만을 수행해 왔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운영중인 자동화시스템의 경우, 해당장치를 가상 동작시키고자 할 때 실제 산업장비 또는 이와 유사한 장비들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므로, 시스템 구축에 많은 공간 확보가 필요하고, 레이아웃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새로운 장비를 구입하거나 장비를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으므로, 시뮬레이션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생산정보를 기본데이터로 하여 다양한 일정(scheduling) 규칙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가공계획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생산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가공계획을 GUI 환경으로 차트화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된 차트에서 사용자가 임으로 계획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비제어를 위한 컨트롤러와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터를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뮬레이션작업을 위한 가상공장을 꾸며 실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이전에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통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자동화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공장 자동화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시스템의 통합제어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자동화시스템의 통합제어를 위한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통합제어장치110: 레이아웃 설정모듈
120: 일정계획모듈130: 제어모듈
131: 시뮬레이션모듈132: 공정제어모듈
140: 기타 모듈200, 400: 통신라인
301~305: 자동화시스템의 구성요소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생산라인에 설치된 각 자동화기기의 자동화공정을 제어함과 동시에 자동화공정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는 통합제어장치가 자동화기기와 통신라인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통합제어장치는, 생산품목에 해당하는 다수의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산정보 변경에 따른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레이아웃 설정모듈과; 레이아웃 설정모듈에서 생성된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생산품목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산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다수의 규칙에 대입하여 일정 계획을 생성하는 일정계획모듈과; 레이아웃 설정모듈과 일정계획모듈에서 생성된 레이아웃과 일정 계획에 따라 공정제어 프로세서를 생성하여 자동화 시스템내의 각 자동화기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생성된 공정제어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가상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점에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은, 레이아웃 설정모듈에서 생성된 레이아웃과, 일정계획모듈에서 수립된 일정 계획에 따라 가상의 환경에서 공정제어 프로세서를 통해 가상의 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모듈과; 일정계획모듈에서 수립된 일정계획에 따라 자동화기기를 제어하는 공정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모듈은 자동화기기로부터 제공된 실적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수집된 실적정보를 일정계획모듈로 전송하며; 일정계획모듈은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실적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아웃 설정모듈에 레이아웃을 변경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실적정보를 이용하여 일정계획을 변경하고; 레이아웃 설정모듈은 시뮬레이션모듈로부터 전송된 실적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아웃을 변경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합제어장치는,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작업실적 및 시뮬레이션작업의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생산라인에 설치된 각 자동화기기의 자동화공정을 제어함과 동시에 자동화공정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는 통합제어장치가 자동화기기와 통신라인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통합제어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초기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초기 레이아웃에 따라 공정계획 및 일정계획을 수립하며; 초기 레이아웃과 공정계획 및 일정계획에 따라 자동화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 프로세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정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자동화기기의 구동 제어하며; 자동화기기로부터 전송된 실적정보를 수집하고; 실적정보를 분석하여 공정계획과 일정계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를 판정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자동화 프로세서를 생성한 후, 가상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가상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작업이 선택되면,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작업이 수행된 결과에 따라 실적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실적정보에 따라 레이아웃과 공정계획 및 일정계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공장 자동화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시스템의 통합제어장치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는 도 2에 도시된 자동화시스템의 통합제어를 위한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면, 통합제어장치(100)는 통신라인(예를 들면, 10Base-T, 인터넷)(200)을 통하여 상위의 시스템과 연결된다(자동화 시스템의 상위 구성부를 말한다. 즉, 본 발명의 통합제어장치(100)는 자동화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 해당하며, 이러한 다수의 통합제어장치(100)가 공장 자동화시스템에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라인(200)은 다수의 통합제어장치(100)를 제어하는 보다 상위의 시스템과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통합제어장치(100)는 각 생산라인에 설치된 자동화시스템의 구성요소들(가공장비, 물류장비, 로봇, PLC(program logic controller), 지상 제어반, 스테이션(station) 등)(301~305)에 통신라인(예를 들면, RS-232C)(400)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자동화시스템의 구성요소들(301~305)은 공장의 생산라인에 설치된 각 자동화기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통합제어장치(100)는 자동화시스템의 구성요소들(301~305)을 제어하며, 공장의 생산품목에 대한 각종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일정 계획을 수립하며, 결정된 레이아웃과 일정 계획에 대하여 실제 생산라인을 평가하고, 평가한 결과에 따라 레이아웃과 일정 계획을 수정 보완하는 등의 자동화 생산공정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또한, 통합제어장치(100)는 시뮬레이션작업 혹은 실제 자동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결과를 차트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동화 공정의 운영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통합제어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합제어장치(100)는 크게 레이아웃 설정모듈(110)과 일정계획모듈(120) 및 제어모듈(130)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어모듈(130)은 시뮬레이션모듈(131)과 공정제어모듈(132)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계획모듈(120)은 각종 생산정보(부품정보, 공정정보, 장비정보, 일정정보, 성능정보 등)를 다수의 생산규칙에 대입하여 최적의 일정 계획을 수립한다.
제어모듈(130)은 최적의 일정 계획에 따라 생산라인에 작업을 지시한다. 여기서, 시뮬레이션모듈(131)은 수립된 일정 계획에 따라 가상의 환경에서 공정제어 프로세서를 통해 가상의 장비를 제어한다. 또한, 공정제어모듈(132)은 일정 계획에 따라 공정제어 프로세서를 통해 자동화 시스템내의 실제 자동화기기를 제어한다.
또한, 레이아웃 설정모듈(110)은 시뮬레이션작업에 의해 얻어진 결과 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생성된 최적의 레이아웃 결과를 일정계획모듈(120)에 제공한다.
또한, 통합제어장치(100)는 제어모듈(130)로부터 전송된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자동화 시스템의 운영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monitoring module)와, 실적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실적을 저장 및 관리하는 실적관리모듈과, 오류정보 등을 수신하여 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기타 모듈(14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생산품목이 결정되면, 레이아웃 설정모듈(110)을 통해 초기 레이아웃을 수립하고(S101), 수립된 초기 레이아웃 정보를 일정계획모듈(120)로 전송한다. 일정계획모듈(120)은 레이아웃 설정모듈(130)에서 수립된 초기 레이아웃을 기초로 하여 생산품목에 대한 공정계획을 수립하고(S102), 기 정의된 부품정보, 공정정보, 장비정보 등의 각종 생산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생산 계획 및 일정 계획을 수립하고(S103), 그 결과를 제어모듈(130)로 전송한다.
제어모듈(130)은 일정계획모듈(120)로부터 전송된 일정 계획에 따라 자동화기기에 대한 자동운전을 준비하고(S104), 공정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를 생성하여 구동한다(S105).
여기서, 제어모듈(130)은 공정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를 실행할 대상이 생산라인이 설치된 자동화기기(하드웨어)인가를 판단한다(S106). 이 단계(S106)에서 대상이 하드웨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것은 가상장비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모듈(130)은 시뮬레이션 모듈(131)에 가상장비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도록 요청한다(S107). 이에 따라, 시뮬레이션모듈(131)내의 구동엔진을 통해 그 운전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에 따라 실적을 검출하여 일정계획모듈(120)에 제공한다.
이후, 제어모듈(130)은 시뮬레이션작업(S107)에 대한 실적을 검출하고, 검출된 작업 실적을 저장한다(S108). 또한, 저장된 작업 실적을 시뮬레이션모듈(131)로 전송하여 작업 실적을 분석하도록 요청하고, 시뮬레이션모듈(131)은 작업 실적을 분석한다(S109). 이때, 시뮬레이션모듈(131)은 분석된 결과가 최적의 레이아웃인가를 판정하고(S110), 최적의 레이아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레이아웃 설정모듈(110)에 작업 실적을 기본데이터로 하여 레이아웃을 수정하도록 요청한다(S111). 이에 따라, 레이아웃 설정모듈(110)은 새로운 변수 값을 이용하여 레이아웃을 수정하고, 수정된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위의 단계(S102)로 진행하여 새로운 공정계획을 수립하도록 요청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최적의 레이아웃인 경우에는 최적의 일정계획을 판단하도록 요청한다(S115).
만약, 위의 단계(S106)에서 공정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를 실행할 대상이 생산라인에 설치된 하드웨어라고 판단되면, 제어모듈(130)은 공정제어모듈(132)에 작업 명령을 전달하고(S112), 이에 따라, 통합제어장치(100)는 자동화시스템의 구성요소들(301~305)에 필요한 구동명령을 전송한다.
이후, 제어모듈(130)은 시뮬레이션작업(S107) 혹은 생산라인의 자동화기기들에 대한 실제작업(S112)의 실적을 검출하고, 검출된 작업 실적을 저장한다(S113).또한, 저장된 작업 실적을 공정제어모듈(132)로 전송하여 작업 실적을 분석하도록 요청하고, 공정제어모듈(132)은 작업 실적을 분석한다(S114). 이때, 공정제어모듈(132)은 분석된 결과가 최적의 일정 계획인가를 판정하고(S115), 최적의 일정 계획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일정계획모듈(120)에 작업 실적을 기본데이터로 하여 새로운 규칙을 적용하여 일정 계획을 수정하도록 요청한다(S116). 또한, 공정제어모듈(132)은 최적의 공정 계획인가를 판정하고(S117), 최적의 공정 계획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일정계획모듈(120)에 작업 실적을 기본데이터로 하여 새로운 공정계획을 수정하도록 요청한다(S118). 이에 따라, 상기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S119).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 및 그것의 운영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생산정보를 기본데이터로 하여 다양한일정(scheduling) 규칙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가공계획을 작성하므로,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생산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가공계획을 GUI 환경으로 차트화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된 차트에서 사용자가 임으로 계획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실제 운영되는 작업상태를 예측하거나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비제어를 위한 컨트롤러와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뮬레이터를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공정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작업과 실제 자동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실제 운영되는 자동화 공정에서의 문제점을 수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시뮬레이션작업을 위한 가상공장을 꾸며 실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이전에 구축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점을 미리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다.

Claims (6)

  1. 생산라인에 설치된 각 자동화기기의 자동화공정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자동화공정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는 통합제어장치가 상기 자동화기기와 통신라인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생산품목에 해당하는 다수의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산정보 변경에 따른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레이아웃 설정모듈;
    상기 레이아웃 설정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상기 생산품목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산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다수의 규칙에 대입하여 일정 계획을 생성하는 일정계획모듈; 및
    상기 레이아웃 설정모듈과 상기 일정계획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레이아웃과 상기 일정 계획에 따라 공정제어 프로세서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화 시스템내의 상기 각 자동화기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생성된 공정제어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가상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레이아웃 설정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레이아웃과, 상기 일정계획모듈에서 수립된 상기 일정 계획에 따라 가상의 환경에서 상기 공정제어 프로세서를 통해가상의 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모듈; 및
    상기 일정계획모듈에서 수립된 상기 일정계획에 따라 상기 자동화기기를 제어하는 공정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자동화기기로부터 제공된 실적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수집된 상기 실적정보를 상기 일정계획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일정계획모듈은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실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아웃 설정모듈에 레이아웃을 변경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실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일정계획을 변경하고;
    상기 레이아웃 설정모듈은 상기 시뮬레이션모듈로부터 전송된 상기 실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아웃을 변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상기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작업실적 및 상기 시뮬레이션작업의 진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
  5. 생산라인에 설치된 각 자동화기기의 자동화공정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자동화공정에 대응하는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는 통합제어장치가 상기 자동화기기와 통신라인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통합제어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초기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 레이아웃에 따라 공정계획 및 일정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초기 레이아웃과 상기 공정계획 및 상기 일정계획에 따라 상기 자동화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 프로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공정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화기기의 구동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자동화기기로부터 전송된 실적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공정계획과 상기 일정계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 운영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프로세서를 생성한 후,
    상기 가상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장비에 대한 시뮬레이션작업이 선택되면, 상기 시뮬레이션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시뮬레이션작업이 수행된 결과에 따라 실적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실적정보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과 상기 공정계획 및 상기 일정계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경 여부를 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 운영방법.
KR10-2001-0029978A 2001-05-30 2001-05-30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및 그것의 운영방법 KR100374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978A KR100374391B1 (ko) 2001-05-30 2001-05-30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및 그것의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978A KR100374391B1 (ko) 2001-05-30 2001-05-30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및 그것의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382A true KR20020091382A (ko) 2002-12-06
KR100374391B1 KR100374391B1 (ko) 2003-03-03

Family

ID=2770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978A KR100374391B1 (ko) 2001-05-30 2001-05-30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및 그것의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3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444B1 (ko) * 2015-01-30 2016-08-0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에너지 관리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상공장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4951A (ko) * 2015-10-16 2017-04-26 주식회사 바이클립 가상화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4800556A (zh) * 2022-04-26 2022-07-29 广州东焊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工业机器人的自动化加工生产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814B1 (ko) 2013-12-19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텐츠 추천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444B1 (ko) * 2015-01-30 2016-08-0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에너지 관리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상공장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4951A (ko) * 2015-10-16 2017-04-26 주식회사 바이클립 가상화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4800556A (zh) * 2022-04-26 2022-07-29 广州东焊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工业机器人的自动化加工生产线
CN114800556B (zh) * 2022-04-26 2023-10-24 广州东焊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工业机器人的自动化加工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391B1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86179B (zh) 硬件模块、机器人系统以及用于操作机器人系统的方法
US20170308052A1 (en) Cell controller for optimizing motion of production system including industrial machines
US62335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urpose setup planning for sheet metal bending operations
US84173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mensional metrology
CN111386178B (zh) 机器人系统的硬件模块的基于计算机的储存器的操作方法
US7684892B2 (en) Process for generating control sequence of operations
KR100478732B1 (ko) 지능형 스텝-수치 제어기
CN109844662B (zh) 手动工作站单元、远程数据处理装置、手动工作站运营系统、手动工作站运营方法和手动工作站提供方法
US11698616B2 (en) Managing apparatus and managing system
Beregi et al. Synergy of multi-modelling for process control
CN102419577A (zh) 用于显示过程控制装置信息的方法及装置
EP1310843B1 (en) Simulation device
US200401866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in the planning of manufacturing facilities
Weiss et al. Developing a hierarchical decomposition methodology to increase manufacturing process and equipment health awareness
US8170861B2 (en) Method for distributed hybrid emulation of manufacturing systems
US20180059657A1 (en) Production controller equipped with function of identifying cause upon operation stop of production facility including manufacturing facilities
KR100374391B1 (ko) 자동화시스템을 위한 제어와 시뮬레이션의 통합제어장치및 그것의 운영방법
CN104081298B (zh) 用于自动化和/或电气工程项目中的工作流程的自动化操控的系统和方法
Ashley A mosaic for machine tools
EP3907053B1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movement of a machine for working panels and system thereof
Niemann Development of a reconfigurable assembly system with enhanced control capabilities and virtual commissioning
KR20220050953A (ko) 적어도 하나의 기계, 특히 기계들의 집합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Imseitif et al. Real-time production scheduling and controlling framework for serial reconfigurable flow lines
KR20180002331A (ko) 공작기계용 통신 모듈
JP3403822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