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428A -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428A
KR20020086428A KR1020020064901A KR20020064901A KR20020086428A KR 20020086428 A KR20020086428 A KR 20020086428A KR 1020020064901 A KR1020020064901 A KR 1020020064901A KR 20020064901 A KR20020064901 A KR 20020064901A KR 20020086428 A KR20020086428 A KR 20020086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ed party
caller
automatic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인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인터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인터치
Priority to KR102002006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6428A/ko
Publication of KR2002008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4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자가 통화중일 경우 착신자의 통화가 끝난후 자동적으로 착신자와 발신자 간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방법은 착신자 및 발신자 중 적어도 한명이상이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에 가입하는 단계와,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통화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가 아님으로 판단되는 단계와,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로 변환될 때 자동으로 전화를 연결해주는 자동콜 연결 서비스를 발신자가 예약하는 단계와,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 변환될 때 착신자와 발신자간에 통화가 이루워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Reservation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of Automatic Call}
본 발명은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자가 통화중일 경우 착신자의 통화가 끝난후 자동적으로 착신자와 발신자 간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종합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ISDN), 팩시밀리(Facsimile) 및 데이터 서비스 등을 제공받는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유선망에 비하여 가입자망 구축비용, 시간 및 유지비 등이 절감됨은 물론 다양한 가입자망 구성으로 인하여 통화품질이 향상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의 편리성 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발신자 표시 서비스, 웨이팅 콜(Wait Call) 서비스 및 컬러링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 중 웨이팅 콜 서비스는 착신자가 통화중일 경우소정의 음성, 예를 들면 '뚜~뚜~' 등의 단순 오디오 대기신호를 착신자에게 제공하여 발신자로부터 통화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은 웨이팅 콜 서비스는 착신자가 통화중 시도된 통화요청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웨이팅 콜 서비스에서는 음성으로 착신자에게 통화요청이 있음을 알리기 때문에 착신자의 대화가 연속적으로 끊기는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아울러, 발신자는 착신자의 상태(즉, 통화중인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통화시도를 하게 된다. 따라서,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통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면서도 계속적으로 회선이 할당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웨이팅 콜 서비스를 대신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자가 통화중일 경우 착신자의 통화가 끝난후 자동적으로 착신자와 발신자를 통화연결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망 구성도
도 2는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 신청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MSC4 : 이동통신망
6 : BSC8 : BTS
10 : MS12 : GS
14 : PSTN16 : 음성서버
18 : 자동연결서버20 : VLR
22 : HL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방법은 착신자 및 발신자 중 적어도 한명이상이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에 가입하는 단계와,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통화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가 아님으로 판단되는 단계와,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로 변환될 때 자동으로 전화를 연결해주는 자동콜 연결 서비스를 발신자가 예약하는 단계와,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 변환될 때 착신자와 발신자간에 통화가 이루워지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착신자가 통화 중,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오프(off) 및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불능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때 통화가능상태가 아님으로 판단된다.
상기 착신자가 통화가능 상태가 아님으로 판단된 후 착신자에게 발신자의 상태를 알려주는 음성메세지가 전달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발신자가 자동콜 연결 서비스를 예약하기 위하여 소정의 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발신자가 통화가능상태로 변환될 때 착신자와 발신자간의 통화가 이루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발신자와 착신자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는 이동교환국과, 이동교환국에 접속되어 착신자가 통화불능상태에서 통화가능상태로 변환될 때 자동적으로 발신자와 착신자를 통화연결하여주는 자동콜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의 정보가 저장되는 홈위치 등록기와, 이동교환국과 홈위치 등록기에 접속되고, 홈위치 등록기를 검색하여 자동콜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을 파악함과 아울러 통화불능상태에서 통화가능상태로 변환될 때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통화연결이 되도록 이동교환국을 제어하는 자동연결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통화불능상태일 때 발신자 및 착신자의 정보가 자동연결서버에 저장되고, 자동연결서버는 발신자와 착신자의 통화상태를 이동교환국을 제어하여 확인함과 아울러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일 때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통화가되도록 이동교환국을 제어한다.
상기 이동교환국과 자동연결 서버에 접속됨과 아울러 자동연결 서버의 제어에 의하여 통화불능상태일 때 착신자의 단말기로 통화불능임을 알리는 음성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음성서버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을 나타내는 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 이하 "MSC"라 함)(2),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 이하 "BTS"라 함)(8),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이하 "BSC"라함)(6)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 : 이하 "MS"라 함)(10)를 구비한다.
BTS(8)는 소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MS(10)와 통신 호를 설정한다. 이러한 BTS(8)는 MS(1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고주파신호를 MSC(2)에 전송하며, MSC(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MS(10)로 송출한다.
BSC(6)는 BTS(8)와 MSC(2)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MSC(2)는 인증받은 MS(10)인지를 판단하고, 인증받은 MS(10)의 경우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MSC(2)는 이동통신망(4), 일반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이하 "PSTN"이라 함)(14), 게이트웨이 시스템(Gateway System : 이하 "GS"라 함)(12)등에 접속된다.
이동통신망(4)은 현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사업자와 다른 사업자에게 등록된 MS와 현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동일 사업자에 등록된 MS(10)간의 통화를중계한다. PSTN(14)은 유선가입자와 MS(10)간에 통화를 중계한다. GS(12)는 동일한 사업자의 MS(10) 간에 통화를 중계한다. 여기서, 실제로 GS(12)는 도시되지 않은 MSC, BSC, BTS 및 MS등과 접속된다.
MSC(2)에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 이하 "VLR"이라 함)(20) 및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 이하 "HLR"이라 함)(22) 등과 접속된다. VLR(20)은 방문자의 위치 및 가입자의 등록정보를 관리한다. HLR(22)은 가입자의 기본정보(위치정보 포함)와 부가서비스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HLR(22)에는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들의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은 MSC(2)에 접속된 음성서버(16) 및 자동연결서버(18)를 구비한다. 자동연결서버(18)는 착신자가 통화중일 경우 착신자의 통화가 끝난후 착신자와 발신자간에 통화를 자동적으로 연결하여 준다. 또한, 자동연결서버(18)는 착신자가 통화불능 상태(MS전원 오프, 수신불능지역)에서 수신가능 상태로 전환될 때 착신자와 발신가간에 통화를 연결하여 준다. 음성서버(16)는 착신자가 통화중임을 알리는 소정의 음성메세지를 발신자의 MS(1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 신청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MS(10)의 사용자는 자신의 MS(10)를 이용하여 자동콜연결 예약 서비스를 신청한다.(S30) 예를 들어, 사용자는 MS(10)를 이용하여 상담원과 연결하여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또한, MS(10)의 인터넷 서비스등을 통하여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사용자가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를 신청하면 HLR(22)에 등록되어 관리된다.(S32)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 신청방법은 S31 단계에서 사용자가 유선전화를 이용하는 경우에 PSTN(14)을 경유하여 유선 통신 서비스업자나 그와 연결되는 무선 통신 서비스업자의 상담원과 연결하여 자동콜 예약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S32 단계에서 그 신청결과가 유선 통신 서비스 업자의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는 유선 가입자나 무선 가입자 모두가 신청할 수 있다.
도 3은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발신자는 자신의 유선전화나 MS(10)를 이용하여 통화신호를 착신자에게 송출한다.(S34) S34 단계에서 발신자가 송출한 통화신호는 BTS(8), BSC(6) 및 MSC(2)를 경유하여 GS(12), 이동통신망(4) 및 PSTN(14)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된다. S34 단계에서 착신자가 통화를 할 수 있는 상태라면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통화가 이루워진다. S34 단계에서 착신자가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태, 예를 들어 통화상태, 수신불능 상태 및 단말기의 전원 오프 상태라면 자동연결 서버(18)는 HLR(22)을 검색하여 착신자가(및/또는 발신자)가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를 체크한다.(S36,S38)
S38 단계에서 착신자(또는 발신자)가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에 가입하지않았다면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 방법은 종료된다. S38 단계에서 착신자(및/또는 발신자)가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에 가입하였다면 자동연결 서버(18)는 음성서버(16)를 제어하여 소정의 음성을 MSC(2), BSC(6) 및 BTS(8)를 경유하여 MS(10)로 전달하거나 PSTN(14)을 경유하여 다른 유선 전화기에 전달한다.(S40) S40 단계에서는 다양한 음성 메세지(예를 들면, 착신자의 음성, 연예인의 음성 등)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음성 메세지에는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가 될 때 통화연결을 원하는지를 체크하는 메세지가 포함된다. 실제로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 방법에서는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가 되어 통화할 때 발신자에게 통화비용이 청구되게 된다. 따라서, 발신자의 통화를 원하는 지를 체크하여야 한다.
이후, 자동연결 서버(18)는 발신자의 유선 전화기나 MS(10)로 부터 소정번호가 입력되는 지를 체크한다.(S42) 발신자는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가 되었을 때 통화를 원하면 음성 메세지에서 요청한 번호, 예를 들면 "4", "#" 등의 문자를 연속하여 입력한다. S42 단계에서 발신자로부터 소정번호(또는 소정문자)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 방법은 종료된다. S42 단계에서 발신자로부터 원하는 번호가 입력되었다면 통화예약을 위하여 자동연결 서버(18)는 발신자 및 착신자의 정보를 저장한다.(S44) 예를 들어, S44 단계에서는 발신자의 번호 및 착신자의 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S44 단계에서 발신자 및 착신자의 정보가 저장된 후 자동연결 서버(18)는 MSC(2)를 제어하여 착신자의 MS(또는 유선전화기)가 통화가능 상태인지를 체크한다.(S46,S48) 예를 들어, 착신자의 통화가 끝나면 자동연결 서버(18)는 착신자가통화가능 상태로 파악한다. 또한, 자동연결 서버(18)는 착신자의 MS 전원의 온(on)되거나 착신자의 MS(또는 유선전화기)가 수신가능 상태가 될 때 통화가능 상태로 파악한다. S48 단계에서 착신자의 유선 전화기나 MS(또는 유선전화기)가 통화가능 상태가 아니라면 S46 및 S48 단계를 반복한다.
S48 단계에서 착신자의 MS(또는 유선전화기)가 통화가능 상태라면 발신자의 MS(또는 유선전화기)가 통화가능 상태인지를 체크한다.(여기서, 발신자 및 착신장 중 적어도 한명 이상은 MS를 사용하여야 한다.)(S50,S52) S50 단계에서 발신자의 MS(또는 유선전화기)가 통화가능 상태가 아니라면 S50 및 S52 단계를 반복한다. S52 단계에서 발신자가 통화가능 상태라면 자동연결 서버(18)는 MSC(2)를 제어하여 발신자 및 착신자간에 통화가 이루워지도록 한다.(S54)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발신자가 착신자의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발신자는 착신자의 통화상태, MS의 수신상태 등을 음성서버(16)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착신자에게 통화를 시도하지 않아도 된다. 아울러, 착신자는 자신의 통화중 또는 MS의 수신상태와 관계없이 발신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자가 영화를 보고 MS의 전원을 온(on)시키면 자신의 MS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일 때 통화시도를 한 발신자와 자동적으로 통화연결되게 된다. 아울러, 사업자 입장에서는 발신자의 계속적인 통화요구에 필요없이 할당되는 회선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착신자가 통화가 끝난후 자동적으로 착신자와 발신자간에 통화가 가능하다. 아울러, 발신자는 착신자의 상태를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통화시도를 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착신자 및 발신자 중 적어도 한명이상이 자동콜 연결 예약 서비스에 가입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가 상기 착신자에게 통화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가 아님으로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로 변환될 때 자동으로 전화를 연결해주는 상기 자동콜 연결 서비스를 상기 발신자가 예약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 변환될 때 상기 착신자와 상기 발신자간에 통화가 이루워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가 통화 중,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오프(off) 및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불능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때 상기 통화가능상태가 아님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가 통화가능 상태가 아님으로 판단된 후 상기 착신자에게 상기 발신자의 상태를 알려주는 음성메세지가 전달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가 자동콜 연결 서비스를 예약하기 위하여 소정의 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가 통화가능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착신자와 발신자간의 통화가 이루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발신자와 상기 착신자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방법.
  6.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되어 착신자가 통화불능상태에서 통화가능상태로 변환될 때 자동적으로 발신자와 착신자를 통화연결하여주는 자동콜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의 정보가 저장되는 홈위치 등록기와,
    상기 이동교환국과 상기 홈위치 등록기에 접속되고, 상기 홈위치 등록기를 검색하여 상기 자동콜 연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을 파악함과 아울러 상기 통화불능상태에서 상기 통화가능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통화연결이 되도록 상기 이동교환국을 제어하는 자동연결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불능상태일 때 상기 발신자 및 착신자의 정보가 상기 자동연결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자동연결서버는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의 통화상태를 상기 이동교환국을 제어하여 확인함과 아울러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화가능상태일 때 상기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통화가되도록 상기 이동교환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환국과 자동연결 서버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자동연결 서버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통화불능상태일 때 상기 착신자의 단말기로 통화불능임을 알리는 음성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음성서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KR1020020064901A 2002-10-23 2002-10-23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20086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901A KR20020086428A (ko) 2002-10-23 2002-10-23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901A KR20020086428A (ko) 2002-10-23 2002-10-23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428A true KR20020086428A (ko) 2002-11-18

Family

ID=2772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901A KR20020086428A (ko) 2002-10-23 2002-10-23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64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319B1 (ko) * 2006-09-22 2013-01-15 주식회사 케이티 착신호 자동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55590B1 (ko) * 2007-03-19 2014-01-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복수의 단말 간 자동 통화연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185A (en) * 1989-12-29 1990-11-06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ed booking of telecommunications calls
KR940010623A (ko) * 1992-10-30 1994-05-26 백중영 키폰 시스템의 예약국선점유시 자동다이얼링 방법
KR19990061878A (ko) * 1997-12-31 1999-07-26 서평원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연결 방법
KR20040018734A (ko) * 2002-08-27 2004-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의 자동 통화 예약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185A (en) * 1989-12-29 1990-11-06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ed booking of telecommunications calls
KR940010623A (ko) * 1992-10-30 1994-05-26 백중영 키폰 시스템의 예약국선점유시 자동다이얼링 방법
KR19990061878A (ko) * 1997-12-31 1999-07-26 서평원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연결 방법
KR20040018734A (ko) * 2002-08-27 2004-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의 자동 통화 예약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319B1 (ko) * 2006-09-22 2013-01-15 주식회사 케이티 착신호 자동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55590B1 (ko) * 2007-03-19 2014-01-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복수의 단말 간 자동 통화연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637B2 (en) Providing rout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468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능력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전달 장치
EP1952619A1 (en) Method for managing a conference call in a telephone network
KR19990036392A (ko) 원격 장치에 특징 발신 호출을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
US6360109B1 (en) Terminal, automatic recall procedure,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20086428A (ko) 자동콜 연결 예약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7260202B2 (en) Wait-time service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20097457A (ko) 착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
EP2770713B1 (en) Enterprise phone that can provide professional services during a communication set up on a private cellular phone
KR101190347B1 (ko) 메신저/웹(/왑)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50104139A (ko) 구내 무선 통신망에서의 프리젠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1998030006A1 (fr) Procede de mise en service d&#39;un combine telephonique, combine telephonique et support d&#39;enregistrement incorporant leurs programmes de commande
KR100233915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대기 처리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612670B1 (ko) 이동 통신망에서 국제 전화 자동 연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597130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시통화 서비스 방법
KR100418481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호 제어 방법
JP2005086544A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20040079460A (ko) 통화연결음을 통화중 배경음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방법
KR100368595B1 (ko) 메시지 사서함 직접 억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42920B1 (ko) 통화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40100518A (ko) 비동기 imt-2000 망에서의 착신제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819695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095714B1 (ko) 이동 통신 망에서의 링 시간 조절 방법
KR100621679B1 (ko) 발신측 요구에 따른 착신측 음성 사서함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