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374A - 열차의 폐색제어함 및 자동폐색전자유니트 - Google Patents

열차의 폐색제어함 및 자동폐색전자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374A
KR20020086374A KR1020020060081A KR20020060081A KR20020086374A KR 20020086374 A KR20020086374 A KR 20020086374A KR 1020020060081 A KR1020020060081 A KR 1020020060081A KR 20020060081 A KR20020060081 A KR 20020060081A KR 20020086374 A KR20020086374 A KR 20020086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information
train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993B1 (ko
Inventor
이연재
Original Assignee
(주)그루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루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그루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02-006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993B1/ko
Publication of KR20020086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3/00Operation of signals from the vehicle or by the passage of the vehicle
    • B61L13/02Operation of signals from the vehicle or by the passage of the vehicle using mechanic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30Trackside multiple control systems, e.g. switch-over between different systems
    • B61L27/33Backup systems, e.g. switching when failures occ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차의 폐색제어함 및 자동폐색전자유니트는, 이웃하는 폐색제어함들 간에 유선 및 무선을 통한 운행정보를 전송하며 내부적인 회로를 이중적으로 구성하여 상용작동계의 동작이상시 예비작동계로 자동절환되어 동작하고 전체적인 열차운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하는 열차운행 제어장치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차 자동폐색전자유니트는 다수의 폐색제어함, 폐색제어랙, 모니터링콘솔로 구성되며, 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각 폐색제어함은 중앙처리모듈, 변환인가모듈, 입력모듈, 출력모듈, 모니터링판넬, 유선전송모듈,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철이나 열차 등의 차량운행을 제어하는 각 폐색제어함간의 통신상의 문제를 유선 및 무선통신을 실시하여 보다 안전하게 하고 열차의 전체적인 운행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제어하며, 이중의 작동계로 형성되어 있어 동작의 안전을 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차의 폐색제어함 및 자동폐색전자유니트{The blocking controller and the Electronic Automatic Block System}
본 발명은 열차의 운행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이웃하는 폐색제어함들 간에 유선 및 무선을 통한 운행정보를 전송하며 내부적인 회로를 이중적으로 구성하여 상용작동계의 동작이상시 예비작동계로 자동절환되어 동작하고 전체적인 열차운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동의 안정성 및 정확성을 기한, 열차의 폐색제어함 및 자동폐색전자유니트를 제시한 것이다.
자가용이나 승용차 등의 운송수단이 발달하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지하철이나 열차 등은 도시 교통난의 해결 또는 도시와 지방간의 원거리를 수송하는 중요한 운행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지하철이나 열차는 선로위를 운행함으로써 다른교통기관에 비해 보다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어 일반 대중들로부터도 선호되고 있다. 아울러 다수의 차량이 연결된 열차는 한번의 운행으로 많은 사람들과 물자를 전달하게 되므로, 운행에 대한 안전성과 정확성이 최우선적으로 확보가 되어야 한다.
산업전반의 기술발달에 따라 열차의 운행시스템도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일이십 여년 전까지만 해도 많이 쓰였던 수동으로 제어하는 운행시스템이 반자동 제어시스템으로도 발전하여 왔다.
열차운행 장치나 시스템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점의 하나가 통신상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즉 열차의 계속적인 진출입이 있고 이때 생기는 진동 등이 유선적으로 연결된 각종 장치들에 가해지고 이 때문에 간혹 장치들이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절대적인 안전성이 요구되는 열차운행을 불안하게 만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열차의 진출입을 전체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통제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다. 즉 선로에는 다수의 열차들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운행되기 때문에 이들 열차들의 운행속도와 거리 등이 적절하게 제어되어야 운행에 효율성을 기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한 것으로 여겨지는 열차의 운행제어에도 적잖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보다 첨단화되고 안전한 열차운행의 제어가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이 더욱 많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관련 학계에서도 안전운행을 실시할 수 있는 열차운행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하는 폐색제어함들간에 유선 및 무선을 통한 운행정보를 전송하며 내부적인 회로를 이중적으로 구성하여 상용작동계의 동작이상시 예비작동계로 자동절환되어 동작하고 전체적인 열차운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동의 안정성 및 정확성을 기한, 열차의 폐색제어함 및 자동폐색전자유니트에 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를 나타낸 도면.
도 2 ; 도 1 열차 자동폐색전자유니트의 각 폐색제어함에 대한 블록도.
도 3 ;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변환인가모듈에 대한 블록도.
도 4 ; 도 2에 도시한 2 폐색제어함의 입력모듈에 대한 블록도.
도 5 ;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출력모듈에 대한 블록도.
도 6 ;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유선전송모듈에 대한 블록도.
도 7 ;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무선전송모듈에 대한 블록도.
도 8 ;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모니터링판넬에 대한 블록도.
도 9 ;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중앙처리모듈에 대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10j, 10a'∼10j' : 폐색제어함
110 : 중앙처리모듈120 : 변환인가모듈
130 : 입력모듈140 : 출력모듈
150 : 모니터링판넬160 : 유선전송모듈
170 : 무선통신모듈
20, 20' : 폐색제어랙
30, 30' : 모니터링콘솔
40, 40' : 연동장치
50 : ATS(automatic train stop)장치
60 : 신호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폐색제어함은,
선로에 설치된 궤도회로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고압임펄스의 상태를 검출하여 궤도회로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판단하고 궤도회로의 점유정보, 궤도회로의 송.수신 전압, 신호기 및 ATS 의 단자전압 등을 연산하여 전송하는 변환인가모듈과, 상기에 변환인가모듈로부터의 열차 운행정보를 입력받아 전자신호적인 연산이 가능하도록 변환하여 처리하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로부터 열차의 진출입 및 운행상태를 계산하고 인접 폐색제어함들에 전송해야 할 정보를 계산하며 각 구성부들의 작동이 유기적으로 진행되도록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모듈과,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연산되어진 결과로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기 및 ATS장치를 제어하도록 작동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모듈과,상기 변환인가모듈 및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기 및 ATS장치의 작동상태 및 궤도회로의 동작상태 현시, 기기 이상, 사용 모듈의 고장, 절체 시간을 포함한 전체작동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고 중앙처리모듈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여 전체적인 동작상태 및 이상유무를 현시하는 모니터링판넬과,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된 이웃 폐색제어함간의 정보교환신호를 유선통신하도록 신호변환하여 출력하고 타폐색제어함로부터 송신된 유선통신신호를 연산이 가능한 정보신호로 변환하는 유선전송모듈과,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된 이웃 폐색제어함간의 정보교환신호를 무선통신하도록 신호변환하여 출력하고 타폐색제어함로부터 송신된 무선통신신호를 연산이 가능한 정보신호로 변환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구성부는 이중적으로 구성되어 제1계는 평소에 작동하는 상용작동계로 동작하고 제2계는 상기 상용작동계의 작동이상시 자동절환되어 예비작동계로 작동하며, 상기 선로를 운행하는 열차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기 및 ATS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는, 선로를 운행하는 열차의 운행제어에 있어서
이웃간의 열차의 운행 상태를 유무선으로 전송하며 장비의 내부를 이중적으로 구성하여 상용작동계의 동작이상시 예비작동계로 동작을 자동절환시키며 각 선로 단락의 소구간에 대응하여 유선으로 연결된 다수의 폐색제어함와, 유선전송모듈모두 장애가 발생할 경우 각 폐색제어함간의 무선전송을 통해 정보전송의 이중전달 및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하고 역구내에 설치된 연동장치와 정보를 상호전송하는 폐색제어랙과, 상기 폐색제어랙과의 신호전송을 통해 선로운행의 전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폐색제어함을 단순제어하는 모니터링콘솔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폐색제어함 및 자동폐색전자유니트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 열차 자동폐색전자유니트의 각 폐색제어함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는 다수의 폐색제어함(10, 10a∼10j, 10a'∼10j'), 폐색제어랙(20,20'), 모니터링콘솔(30, 30')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여기에 연동장치(40, 40')가 연결되어 연동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폐색제어함(10, 10a∼10j, 10a'∼10j')에는 ATS(automatic train stop)장치(50)와 신호기(6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철도에는 열차의 운행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선로에 고전압의 임펄스를 인가하는 궤도회로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궤도회로장치 역시 각각의 폐색제어함(10, 10a∼10j, 10a'∼10j')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폐색제어함(10, 10a∼10j, 10a'∼10j')은 중앙처리모듈(110), 변환인가모듈(120), 입력모듈(130), 출력모듈(140), 모니터링판넬(150), 유선전송모듈(160), 무선통신모듈(170)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변환인가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인가모듈(120)은 변환인가모듈(120) 자체의 주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1)와, 변환인가모듈(1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21)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롬(ROM)과 램(RAM)으로 구성되는 저장부(122)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변환인가모듈(120)에는 감압보호부(123)를 구비하고 있어 선로에 설치된 궤도회로장치의 고압임펄스로부터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입력단에 고압의 임펄스를 감압하게 된다. 이 후단의 검출다중화부(124)는 감압보호부(123)의 출력으로부터 피크전압을 검출한 다음 다중화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검출다중화부(124)의 출력은 A/D변환부(125)에서 디지털로 변환되어 후단의 마이크로프로세서(121)에 인가되며, 후단의 마이크로프로세서(121)는 자체적인 연산을 하여 연산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자체 연산이 수행된 마이크로프로세서(121)의 출력은 상호 데이터 전달을 위해 RS-485변환부(126)에서 일정 형식으로 변환되어 후단의 중앙처리모듈(110)로 인가된다. 그리고 작동현시부(127)는 변환인가모듈(120)의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LED와 세그멘트 등에 의해 외부로 나타내주게 된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 ROM과 RAM으로 구성된 저장부, 중앙처리모듈(110)과의 신호전달을 위한 RS-485변환부, 그리고 작동현시부는 각 구성부들에 공통적으로 존재하여, 각 구성부의 동작을 위한 연산, 저장, 현시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변환인가모듈(120)은 선로에 설치된 궤도회로장치로부터입력되는 고압임펄스의 상태를 검출하여 궤도회로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판단하고 열차의 선로수신전압를 입력시켜 감압하여 궤도회로의 송.수신 전압을 체크하고 신호기(60) 및 ATS장치(50)의 단자전압을 연산하고 전송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2 폐색제어함의 입력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모듈(130)에도 마이크로프로세서(131), ROM과 RAM으로 구성된 저장부(132), 중앙처리모듈(110)과의 신호전달을 위한 RS-485변환부(134) 그리고 작동현시부(135)가 있으며, 이들 구성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연산, 저장, 현시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정보입력부(133)는 변환인가모듈(120)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입력받는 구성부이다.
따라서 본 입력모듈(130)은 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고압임펄스 궤도회로장치로부터 열차의 운전상황에 따른 계전기 접점을 입력받아 열차가 궤도에 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그 정보를 중앙처리모듈(110)로 보내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출력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출력모듈(140) 역시 마이크로프로세서(141), ROM과 RAM으로 구성된 저장부(142), 중앙처리모듈(110)과의 신호전달을 위한 RS-485변환부(143), 그리고 작동현시부(145)가 있다.
정보출력부(144)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1)에서 입력받은 정보로 신호기 및 ATS 장치의 계전기를 동작시키고 신호기 및 ATS 장치의 단선 및 단락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정상작동 여부를 체크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유선전송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유선전송모듈(16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61), ROM과 RAM으로 구성된 저장부(162), 중앙처리모듈(110)과의 신호전달을 위한 RS-485변환부(163), 그리고 작동현시부(164) 역시 앞서 전술한 기능과 동일하다.
여기에 본 유선전송모듈(160)에는 레벨매칭부(165)가 있어 본 유선전송모듈(160)의 전송레벨을 정합시켜 출력하게 되고, 후단의 채널분리부(166)는 인접한 건널목과의 통신 및 각 폐색제어함과 폐색제어랙과의 통신을 채널을 분리하여 통신하게 된다.
따라서 본 유선전송모듈(160)은 역간의 각 신호기(60) 및 선로 상태, 선로의 점유정보 및 전송과정, 궤도회로의 송.수신 전압레벨, 공급전원 사용상태 등을 인접하는 폐색제어함 및 폐색제어랙으로 전송함으로써, 각 역에서 설비들의 전반적인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무선전송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무선전송모듈(17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71), ROM과 RAM으로 구성된 저장부(172), 중앙처리모듈(110)과의 신호전달을 위한 RS-485변환부(173), 그리고 작동현시부(174) 역시 앞서 전술한 기능과 동일하다.
본 무선전송모듈(170)의 무선변환부(175)는 각각의 폐색제어함(10) 및 폐색제어랙(20, 20')으로 역간의 각 신호기(60) 및 선로 상태, 선로의 점유정보 및 전송과정, 궤도회로의 송.수신 전압레벨 등의 관련 정보를 약 1.8GHz 때의 초고주파수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유선전송모듈(160)모두 장애가 발생할 경우 각 폐색제어함간의 무선전송을 통해 정보전송의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안전한 정보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모니터링판넬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모니터링판넬(15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51), ROM과 RAM으로 구성된 저장부(152), 중앙처리모듈(110)과의 신호전달을 위한 RS-485변환부(154), RS-232변환부(155) 그리고 작동현시부(156) 역시 앞서 전술한 기능과 동일하다.
여기에 본 모니터링판넬(150)은 정보입력부(153)가 있어 변환인가모듈(120)로부터의 출력을 입력받아 그 연산값을 모니터링하게 되고 기기 이상 및 오동작, 사용 모듈의 고장, 절체 시간 등의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 출력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본 모니터링판넬(150)은 각종 신호기(60)의 현시상태, 궤도회로의 동작상태, 신호전송상태 등 본 폐색제어함(10)의 작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현시하게 된다.
도 9는 도 2에 도시한 폐색제어함의 중앙처리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중앙처리모듈(110)은 본 폐색제어함(10)의 핵심적인 작동을 실시하는 구성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처리모듈(110)에는 일반 구성부들보다 많은 정보량을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1)와, 보다 많은 용량을 처리할 수 있는 ROM과 RAM으로 구성된 저장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구성부들과의 신호전달을 위한 RS-485변환부(113)와, 처리상태에 대한 프린트출력 등 외부 출력을 위한 RS-232 변환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작동현시부(115)외에 작동감시부(116)을 두어 본폐색제어함(10)의 작동전반을 감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중앙처리모듈(110)은 입력모듈(13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로부터 열차의 진출입 및 운행상태를 계산한다. 그리고 인접 폐색제어함들에 전송해야 할 정보를 계산하며 각 구성부들의 작동이 유기적으로 진행되도록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폐색제어함(10)들의 끝단에 연결되는 폐색제어랙(20, 20')은 끝단의 폐색제어함로부터 전달된 정보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선로운행의 전반적인 작동을 실행하게 되는 연동장치(40, 40')로부터도 장내신호기의 동작정보를 수신하여 폐색제어함(10)으로 송신하고 폐색제어함(10)의 동작정보를 수신받아 출발신호 현시 조건을 연동장치로 출력한다. 또한 각종 폐색제어함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후단의 모니터링 콘솔(30, 30')로 출력한다.
연동장치(40, 40')는 본 자동폐색전자유니트와는 대부분의 작동이 차원을 달리하게 된다고 할 수 있어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연동장치(40, 40')는 또다른 입력부로부터 다양한 장치작동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아 작동하게 되며, 본 자동폐색전자유니트와는 일부의 신호만을 상호전송 할 뿐이다.
모니터링 콘솔(30, 30')은 각 폐색제어함(10)의 동작상태 및 고장 상태를 감시하고, 현장설비로부터 전송된 각종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저장하며, 각 장치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아울러 폐색제어랙(20, 20')과의 신호전송을 통해 선로운행의 전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폐색제어함(10)으로 필요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단순한 제어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과 같이 지하철이나 열차 등의 차량운행을 제어하는 각 폐색제어함간의 통신상의 문제를 유선 및 무선통신을 실시하여 보다 안전하게 하고 열차의 전체적인 운행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제어하며, 이중의 작동계로 형성되어 있어 동작의 안전을 기할 수 있는 등, 열차의 운행에 만전을 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선로에 설치된 궤도회로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고압임펄스의 상태를 검출하여 궤도회로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판단하고 열차의 선로수신전압를 입력시켜 감압하여 궤도회로의 송.수신 전압을 체크하고 신호기 및 ATS 단자전압을 연산하여 전송하는 변환인가모듈과;
    상기에 변환인가모듈로부터의 열차 운행정보를 입력받아 전자신호적인 연산이 가능하도록 변환하여 처리하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로부터 열차의 진출입 및 운행상태를 계산하고 인접 폐색제어함들에 전송해야 할 정보를 계산하며 각 구성부들의 작동이 유기적으로 진행되도록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모듈과;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연산되어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기 및 ATS장치를 제어하도록 작동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모듈과;
    상기 변환인가모듈 및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기 및 ATS장치의 작동상태 및 궤도회로의 동작상태 현시, 기기 이상, 사용 모듈의 고장, 절체 시간을 포함한 전체작동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고 중앙처리모듈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여 전체적인 동작상태 및 이상유무를 현시하는 모니터링판넬과;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된 이웃 폐색제어함간의 정보교환신호를 유선통신하도록 신호변환하여 출력하고 타폐색제어함로부터 송신된 유선통신신호를 연산이 가능한 정보신호로 변환하는 유선전송모듈과;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된 이웃 폐색제어함간의 정보교환신호를 무선통신하도록 신호변환하여 출력하고 타폐색제어함로부터 송신된 무선통신신호를 연산이 가능한 정보신호로 변환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구성부는 이중적으로 구성되어 제1계는 평소에 작동하는 상용작동계로 동작하고 제2계는 상기 상용작동계의 작동이상시 자동절환되어 예비작동계로 작동하며, 상기 선로를 운행하는 열차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기 및 ATS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폐색제어함.
  2. 선로를 운행하는 열차의 운행제어에 있어서
    이웃간의 열차의 운행 상태를 유무선으로 전송하며 장비의 내부를 이중적으로 구성하여 상용작동계의 동작이상시 예비작동계로 동작을 자동절환시키며 각 선로단락의 소구간에 대응시켜 유선으로 연결된 다수의 폐색제어함와,
    상기 폐색제어함 끝단으로부터의 유선 및 각 폐색제어함간의 무선전송을 통해 정보전송의 이중전달을 실시하고 연동장치와 정보를 상호전송하는 폐색제어랙과,
    상기 폐색제어랙과의 신호전송을 통해 선로운행의 전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각 폐색제어함을 단순제어하는 모니터링콘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제어함은
    선로에 설치된 궤도회로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고압임펄스의 상태를 검출하여 궤도회로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판단하고 열차의 선로수신전압를 입력시켜 감압하여 궤도회로의 송.수신 전압을 체크하고 신호기, ATS 단자전압을 연산하여 전송하는 변환인가모듈과;
    상기에 변환인가모듈로부터의 열차 운행정보를 입력받아 전자신호적인 연산이 가능하도록 변환하여 처리하는 입력모듈과;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로부터 열차의 진출입 및 운행상태를 계산하고 인접 폐색제어함들에 전송해야 할 정보를 계산하며 각 구성부들의 작동이 유기적으로 진행되도록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모듈과;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연산된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신호기 및 ATS장치를 제어하도록 작동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모듈과;
    상기 변환인가모듈및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기 및 ATS장치의 작동상태를 체크하여 이상유무를 상기 중앙처리모듈로 출력하며 전체적인 동작상태 및 이상유무를 현시하는 모니터링판넬과;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된 이웃 폐색제어함간의 정보교환신호를 유선통신하도록 신호변환하여 출력하고 타폐색제어함로부터 송신된 유선통신신호를 연산이 가능한 정보신호로 변환하는 유선전송모듈과;
    상기 중앙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된 이웃 폐색제어함간의 정보교환신호를 무선통신하도록 신호변환하여 출력하고 타폐색제어함로부터 송신된 무선통신신호를 연산이 가능한 정보신호로 변환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구성부는 이중적으로 구성되어 제1계는 평소에 작동하는 상용작동계로 동작하고 제2계는 상기 상용작동계의 작동이상시 자동절환되어 예비작동계로 작동하며, 상기 선로를 운행하는 열차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기 및 ATS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
KR10-2002-0060081A 2002-10-02 2002-10-02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 KR100400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081A KR100400993B1 (ko) 2002-10-02 2002-10-02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081A KR100400993B1 (ko) 2002-10-02 2002-10-02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374A true KR20020086374A (ko) 2002-11-18
KR100400993B1 KR100400993B1 (ko) 2003-10-10

Family

ID=2772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081A KR100400993B1 (ko) 2002-10-02 2002-10-02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9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24B1 (ko) * 2006-09-27 2007-10-17 에이스콘트롤(주) 철도 전기설비를 제어하는 다기능 통신제어장치
KR101064985B1 (ko) * 2009-04-21 2011-09-15 주식회사 혁신전공사 모니터링 피씨 기반의 로컬 운용시스템
KR101114576B1 (ko) * 2010-05-27 2012-02-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통합형 전자폐색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079A (ko) * 2002-07-09 2004-01-24 (주)대덕일렉트로닉스 철도차량용 자동폐색제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24B1 (ko) * 2006-09-27 2007-10-17 에이스콘트롤(주) 철도 전기설비를 제어하는 다기능 통신제어장치
KR101064985B1 (ko) * 2009-04-21 2011-09-15 주식회사 혁신전공사 모니터링 피씨 기반의 로컬 운용시스템
KR101114576B1 (ko) * 2010-05-27 2012-02-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통합형 전자폐색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0993B1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654B2 (en) Signaling system
KR101357806B1 (ko) 열차 무결성 모니터링 시스템
KR100400993B1 (ko) 열차의 자동폐색전자유니트
CN110896307B (zh) 铁路信号冗余编码装置和冗余编码方法
KR100873322B1 (ko) 열차점유검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06079A (ko) 철도차량용 자동폐색제어시스템
KR100412063B1 (ko) 전자제어식 자동 폐색장치
KR101102352B1 (ko) 분기부 궤도회로 열차검지 장치 및 방법
KR100610655B1 (ko) 무선을 이용한 열차제어시스템과 고정폐색 연동시스템의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331382B2 (ja) 列車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列車情報通信方法
RU23626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свободности станционных участков пути
KR101049551B1 (ko) 이중화 구조로 이루어진 통합 자동폐색시스템
KR101049552B1 (ko) 집중형 디지털 통합 폐색시스템
KR200275626Y1 (ko) 전자제어식 자동 폐색장치
KR101064984B1 (ko) 고장 로컬장치의 자동 스킵기능이 구비된 통합 폐색 시스템
KR100978810B1 (ko)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KR100965555B1 (ko) Trs를 이용한 실시간 열차 고장 정보의 이중화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3422A (ko) 폐색장치 독립형 통신시스템
KR100730372B1 (ko) 철도용 신호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4726166B2 (ja) 列車検知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進入進出検知方法
JP4798868B2 (ja) 列車制御装置
KR20040009628A (ko) 철도차량용 자동폐색제어방법
IL2797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the operating state of pairs of doors formed by a train door and a platform door
KR20140023015A (ko) Af 궤도회로장치
KR100255710B1 (ko) 열차자동정지장치용 지상설비를 이용한 열차자동제어장치용 지상신호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