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245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245A
KR20020085245A KR1020010024649A KR20010024649A KR20020085245A KR 20020085245 A KR20020085245 A KR 20020085245A KR 1020010024649 A KR1020010024649 A KR 1020010024649A KR 20010024649 A KR20010024649 A KR 20010024649A KR 20020085245 A KR20020085245 A KR 20020085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ata bus
bus lin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8073B1 (ko
Inventor
노정동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10024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073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보조 용량 크기를 유지하면서, 디스크리네이션 라인을 제거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투명성 절연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수직으로 교차 배열되어 단위 화소를 한정하는 수 개의 게이트 버스 라인 및 데이타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데이타 버스 라인이 교차되는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단위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플레이트형의 카운터 전극과, 상기 단위 화소 영역에 상기 카운터 전극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면서 내부에 수 개의 슬릿이 구비된 슬릿형의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의 슬릿의 양측 끝단과 오버랩되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용량의 크기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크리네이션 라인(disclination line)의 발생을억제 시킬수 있는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Fringe Field Switching mode: 이하, FFS라 한다)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N(Twisted Nematic)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네마틱(nematic) 액정 분자들을 90°로 트위스트(Twist)시켜, 인가된 전압에따라 광투과 상태가 변하도록 한 장치이다. 하지만, 상기 TN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시야각이 좁고,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액정분자의 응답시간이 늦다. 또한, 시야각에 따른 빛의 투과율 차이가 심하므로 최근 추세인 대화면 액정표시장치에는 부적합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TN 모드의 좁은 시야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횡전계를 이용한 인 플렌 스위칭 모드(In-Plane Switching mode: 이하, IPS라 한다)와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FFS)가 제안되어 졌다.
상기 FFS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강한 전계를 발생하지만, 상기 화소 전극에 형성된 슬릿의 가장자리에서 전계의 왜곡으로 디스크리네이션 라인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화면 품위가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카운터 전극의 폭을 줄여 배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1a는 카운터 전극의 폭을 줄여 배치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교차되는 게이트 버스 라인(1)과 데이타 버스 라인(3)이 단위 화소 영역을 한정하고,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1)과 데이타 버스 라인(3)이 교차되는 영역 상에는 액정표시장치의 스위칭 역할을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1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위 화소 영역상에는 플레이트형 카운터 전극(7)과 단위화소 영역의중침축을 기준으로 대응되고,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1) 혹은 데이타 버스 라인(3)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다수개의 '∧'자형 슬릿을 갖는 화소 전극(9)이 상기 카운터 전극(7)의 상부에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도 1a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운터 전극(7)의 폭을 화소 전극(9)의 폭보다 줄여 디스크리네이션 라인의 발생을 최소화 하였다.
이러한 전극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카운터 전극(7)의 폭을 상기 화소 전극(9)의 폭보다 줄여서 형성, 배치하였으므로, 상기 화소 전극(9)의 가장자리와 상기 카운터 전극(7)의 가장자리 부분이 오버랩되지 않아 전기장(12)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디스크리네이션 라인의 발생을 억제하여 보다 양질의 화면을 얻을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카운터 전극(7)의 폭을 줄이게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리네이션 라인의 발생을 억제 시킬 수 있으나, 상기 카운터 전극(7)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보조 용량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어, 화면상에 화면 떨림(fliker) 현상이 발생하는 또다른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크리네이션 라인의 발생을 억제시키면서, 보조 용량의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여 플리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상기 도 1a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게이트 버스 라인 3: 데이타 버스 라인
5 공통 전극 라인 9: 화소 전극
10: 박막 트랜지스터(TFT) 17: 카운터 전극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명성 절연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수직으로 교차 배열되어 단위 화소를 한정하는 수 개의 게이트 버스 라인 및 데이타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데이타 버스 라인이 교차되는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단위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플레이트형의 카운터 전극과, 상기 단위 화소 영역에 상기 카운터 전극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면서 내부에 수개의 슬릿이 구비된 슬릿형의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의 슬릿의 양측 끝단과 오버랩되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소 전극은, "∧"자형 슬릿들이 구비되고,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평행한 방향에서 단위 화소의 중심을 기준으로해서 대칭되게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 또는 데이타 버스 라인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슬릿들이 구비되며,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데이타 버스 라인과 평행한 방향의 슬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소 전극의 슬릿 양 끝단에 배치되는 카운터 전극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홀을 구비시킴으로써, 디스크리네이션 라인의 발생을 억제시키면서도 보조 용량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화면 떨림 현상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전극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성 절연기판, 예컨데, 유리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게이트 버스 라인(1)과 데이타 버스 라인(3)이 수직으로 교차 배열되어 단위 화소 영역이 한정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1)과 데이타 버스 라인(3)이 교차되는 영역 상에는 스위칭 역할을 하는 박막 트랜지스터(1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위 화소 영역 상의 가장자리 양측에 상기 데이타 버스 라인(3)과 평행하게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형 카운터 전극(1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 전극(17)의 상부에는 데이타 버스 라인(3)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단위 화소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1) 혹은 데이타 버스 라인(3)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다수개의 '∧'자형 슬릿들을 갖는 슬릿형 화소 전극(9)이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한 구조의 하부 기판 상부에는 컬러 필터를 갖는 상부 기판이 배치되며, 상, 하 유리 기판 사이에는 상기 화소 전극과 카운터 전극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계에의하여 회전되는 다수개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진 액정층이 배치되고, 상하부 유리 기판의 외측면 각각에는 제 1편광판과 제 2 편광판이 서로 투과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 1 편광판과 제 2편광판중의 어느하나의 투과축은 액정 분자의 배열 방향과 일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액정 분자들은, 배향막에 의하여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에 평행하게 배열시키고,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버스 라인과 평행하게 배열시키도록 한다. 상기 카운터 전극의 홀 부분 상에 나와있는 화소 전극의 폭은 양쪽 각각 0.5㎛~10㎛ 정도로 배치한다. 상기 화소 전극의 '∧' 형 슬릿의 폭은 8㎛이하 정도이고, 그 전극간 거리는 8㎛이하로 한다.
또한, 상기 화소 전극의 재질은 ITO 금속 혹은 IZO 금속 중에서 어느하나로 형성할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발명은 디스크리네이션을 제거 혹은 감소 시키기위하여 카운터 전극폭을 줄이는대신 카운터 전극의 좌우 양측 혹은 상하 양측 부분에 홀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디스크리네이션 발생을 억제시킬수 있으며, 동시에, 보조용량의 감소를 억제시켜 화면 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전극 구조를 갖지만, 화소 전극(19)의 슬릿들은 게이트 버스 라인(1)과 평행한 단위 화소의 중심축을 기준으로서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1) 혹은 데이타 버스 라인(3)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상하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카운터 전극(27)에서의 홀이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1)과 평행하도록 상하에 형성되고, 화소 전극(29)은 상기 데이타 버스 라인(3)과 평행한 다수개의 슬릿을 갖도록 형성 배치된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디스크리네이션 라인의 억제와 보조 용량의 증가를 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운터 전극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되, 화소 전극의 가장자리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홀을 형성하여 디스크리네이션 라인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액정표시장치의 보조 용량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원리와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실시예는 이 기술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발명해낼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첨부된 청구 범위는 앞서 설명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의 청구범위는 이 발명에 내제되어 있는 특허성 있는 신규한 모든 것을 포함하며, 아울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서 균등하게 처리되는 모든 특징을 포함한다.

Claims (4)

  1. 투명성 절연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수직으로 교차 배열되어 단위 화소를 한정하는 수 개의 게이트 버스 라인 및 데이타 버스 라인과,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데이타 버스 라인이 교차되는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단위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플레이트형의 카운터 전극과, 상기 단위 화소 영역에 상기 카운터 전극과 오버랩되게 배치되면서 내부에 수개의 슬릿이 구비된 슬릿형의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의 슬릿의 양측 끝단과 오버랩되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 각각에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자형 슬릿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과 평행한 방향에서 단위 화소의 중심을 기준으로해서 대칭되게 상기 게이트 버스 라인 또는 데이타 버스 라인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슬릿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데이타 버스 라인과 평행한 방향의슬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10024649A 2001-05-07 2001-05-07 액정표시장치 KR10065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649A KR100658073B1 (ko) 2001-05-07 2001-05-07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649A KR100658073B1 (ko) 2001-05-07 2001-05-07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245A true KR20020085245A (ko) 2002-11-16
KR100658073B1 KR100658073B1 (ko) 2006-12-15

Family

ID=2770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649A KR100658073B1 (ko) 2001-05-07 2001-05-07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76B1 (ko) * 2006-02-22 2008-07-31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9038B (zh) 2011-12-15 2014-12-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ft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4759B2 (ja) * 1999-02-05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3481509B2 (ja) * 1999-06-16 2003-12-2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311214B1 (ko) * 1999-06-29 2001-11-02 박종섭 고개구율 및 고투과율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11850A (ko) * 1999-07-30 2001-02-15 김영환 고개구율 및 고투과율 액정 표시 장치
KR100613766B1 (ko) * 1999-07-30 2006-08-18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고개구율 및 고투과율 액정 표시 장치
KR100701070B1 (ko) * 2000-12-29 2007-03-29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76B1 (ko) * 2006-02-22 2008-07-31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073B1 (ko) 200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6217B2 (ja) フリンジフィールドスイッチングモード液晶表示装置
US6856371B2 (en) In plane fringe field switching mode LCD realizing high screen quality
KR100494702B1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JP3723911B2 (ja) フリンジフィールド駆動液晶表示装置
KR100476044B1 (ko) 개구율이 향상된 액정표시장치
KR100921137B1 (ko) 액정 표시 장치
US7528894B2 (en) LCD having storage capacitor electrodes with wider portions located within triangular areas of pixel regions and with spacers disposed in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triangular areas to mitigate dark-state light leakage
KR101248456B1 (ko) 멀티도메인 액정표시소자
EP1659444A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storage capacitor therefor
US631718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030080556A (ko) 다중 도메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JP6742738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40077017A (ko) 액정 표시 장치
US7626666B2 (en)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V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ymmetrical second slits on opposite edges of first slits and on opposite sides of protrusions
KR20160041164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80860A (ko)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표시장치
KR20020089979A (ko) 프린지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장치
KR20040012202A (ko) 2중 도메인 ff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
KR10065807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17186B1 (ko) 프린지필드구동 액정표시장치
KR100675935B1 (ko)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표시장치
KR100827460B1 (ko)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표시장치
KR20020076401A (ko) 프린지 필드 구동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160041161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3075867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22

Effective date: 200608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10016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22

Effective date: 200608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