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733A -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733A
KR20020082733A KR1020010060785A KR20010060785A KR20020082733A KR 20020082733 A KR20020082733 A KR 20020082733A KR 1020010060785 A KR1020010060785 A KR 1020010060785A KR 20010060785 A KR20010060785 A KR 20010060785A KR 20020082733 A KR20020082733 A KR 20020082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ank
side base
water
driv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17240B1 (en
Inventor
이마이순지
아사미다다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7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2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02Wash-tubs; Supports therefor
    • D06F1/04Wash-tubs; Supports therefor the tub walls or bottom having corrug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06F13/02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wherein the agitator has an oscillatory rotary motion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PURPOS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and to improve the operability in preparation for washing and treatment after the washing, etc., by separating a washing tub from a body frame on the drive side to be detachably mounted in a washing device for washing clothes stored in the washing tub. CONSTITUTION: The washing device consists of a drive side base 7 with a built-in rotary drive device 8 and the washing tub 1 to be mounted detachab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7 whose top has an opening. The washing tub 1 has an agitator 2 disposed rotatably on the inner bottom for agitating clothes. The agitator 2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a shaft part 5 piercing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1, and a first transmission coupling 6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haft part 5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drive. The drive side base 7 has a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rotating connected with the rotary drive device 8. When the washing tub 1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7, the first transmission coupling 6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are joint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세탁 장치 및 세탁물의 세탁 방법{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Washing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of laundry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본 발명은 세탁조에 수용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장치와 세탁물의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apparatus for washing laundry contained in a washing tank and a method for washing laundry.

종래의 세탁 장치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었다. 이하에, 종래의 세탁 장치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The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was comprised as shown in FIG. Below,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 is demonstrated.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71)는 의류(72)를 내부에 수용한다. 급수 경로(73)로부터 물 또는 세탁수를 공급한다. 세탁조(71)내의 바닥부에 배치한 교반 날개(74)를 세탁조(71)의 아래쪽에 마련한 회전 구동부(75)에 의해, 감속장치(76)를 거쳐 구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세탁조(71) 속에 수용된 의류(72)가세탁된다. 세탁조(71)의 외곽에 배수 호스(77) 등을 배치하고, 세탁 행정 종료 후에는 배수 호스(77)를 내려 세탁조(71) 속의 물이 배수된다. 이와 같이, 세탁조(71)와 회전 구동부(75), 배수 호스(77) 등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었다.As shown in FIG. 41, the washing tank 71 accommodates the clothing 72 inside. Water or wash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th 73. The stirring blade 74 arranged in the bottom part of the washing tank 71 is driven by the rotation drive part 75 provided below the washing tank 71 via the speed reduction apparatus 76. FIG. In this way, the garment 72 accommodated in the washing tank 71 is washed. The drain hose 77 etc.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outer side of the washing tank 71, and after completion | finish of a washing stroke, the drain hose 77 is lowered, and the water in the washing tank 71 is drained. Thus, the washing tank 71, the rotation drive part 75, the drain hose 77, etc. were comprised integrally.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세탁을 하기 위해서 구동 장치 전체를 급수 수단이 있는 장소, 혹은 배수 수단이 있는 장소로 세탁 장치 자체를 반송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 세탁기 등에 세탁 후의 의류를 옮기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도, 버킷(bucket) 등의 별도의 용기에 옮길 필요가 있었다.In such a conventional structure, in order to wash | clean, it is necessary to convey the washing | cleaning apparatus itself to the place with the water supply means or the drainage means with the whole drive apparatus. Moreover, also in the case of transferring clothes after washing etc. to a general washing machine, it was necessary to transfer to another container, such as a bucket.

또한, 작금의 가정용 세탁기는 이조식(二槽式) 세탁기로부터 전자동 세탁기로 이행하고, 또한 보급형의 세탁기가 여러 세탁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세탁기가 만능화하여, 내의나 타올 등 위생적인 면을 걱정하는 의류도, 걸레나 양말 등의 더러운 것도 같은 세탁기로 빨고 있다. 이에 대해, 위생 관념상, 현저한 오물을 갖는 피선택물만을 간단하게 세탁 전에 세탁할 수 있는 세탁기에 대한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In addition, a recent household washing machine shifts from a two-type washing machine to a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and a popular type washing machine has various washing functions. However, washing machines are becoming all-rounder, and clothes that care about hygiene such as underwear and towels are also washed with the same washing machine. On the other hand, in view of hygien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washing machine which can simply wash the selected material having remarkable dirt before washing.

또한, 작금의 청결 지향 때문에, 의류는 지금까지와 비교하여 현저한 오물을 가지지 않고, 전체적으로는 그다지 더럽지 않은 의류가 많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아이의 양말과 같이, 매우 심한 오물을 갖는 의류는 여전히 존재하고, 이들 의류의 오물을 완전히 세탁하고 싶다는 요구가 뿌리깊게 남아 있다. 대형화하고 있는 세탁기라도 세탁은 가능하지만, 세탁기가 대형이기 때문에 다량의 물이나 세제를 소비하고, 또한 세탁 회수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현저한 오물을 갖는 세탁물만을 간단하게 세탁할 수 있고, 게다가 취급하기 좋은 세탁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because of the cleanliness orientation of the past, clothes have no significant dirt compared to the past, and a lot of clothes which are not so dirty as a whole are increasing.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very heavy garments, such as children's socks, and there is a deep rooted desire to wash these garments thoroughly. Washing is possible even with an enlarged washing machine, but since the washing machine is large, a large amount of water or detergent is consumed, and the number of washing is increased. Therefore, only the laundry which has remarkable dirt can be wash | cleaned easily, and also the laundry apparatus which is easy to handle is calculated | required.

또한, 작금의 좁은 주택 사정에 기인하여, 종전의 세탁 장치와 같은 소형이어도 세탁 장치를 수납하기 위해 필요한 수납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뛰어난 수납성을 갖는 세탁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narrow housing situation, even a small size such as a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 requires a storage space necessary for storing the washing apparatus. For this reason, the washing | cleaning apparatus which has the outstanding storing property is calculated | required.

또한, 작금의 의류의 다양화에 있어서, 특히 여성의 속옷 등에 있어서, 전자동 세탁기 등을 사용하여 이들의 다양한 의류를 한데 모아서 세탁할 때, 변형이나 색 바램 등이 발생하는 등의 섬세한 의류도 늘어나고 있다. 이 때문에, 세탁기가 진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정에는 간이한 세탁 수단으로서 이용하는 버킷이나 대야 등의 기구가 존재하여 또한 손으로 의류를 세탁하는 일도 종종 일어나고 있다. 섬세한 의류 이외에 있어서도, 커터셔츠의 표백이나 풀먹임 작업, 펫 의류나 걸레질, 세차 등에 있어서도 버킷류는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세탁 과정에서 세탁수가 손에 닿아 손이 거칠어지는 경우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recent diversification of garments, particularly in women's underwear, delicate garments such as deformation and color fading are generated when washing various garments together using a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or the like. . For this reason, although the washing machine has evolved, there are still appliances such as a bucket and a basin which are still used as simple washing means in the home, and washing of clothes by hand is often performed. In addition to delicate clothing, buckets are also used for bleaching and cutting grass of cutter shirts, pet clothes, mopping, and washing the car. For this reason, the wash water may reach the hand in the washing process and the hand may be rough.

본 발명은 취급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세탁의 준비 및 세탁 후의 처리 등의 조작성을 향상하는 세탁 장치 및 세탁물의 세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apparatus and a method for washing laundry that facilitate handling and improve operability such as preparation for washing and processing after washing.

본 발명의 세탁 장치는,The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회전 구동 장치(8)를 갖는 구동측 기대(基臺)(7)와,(a) a drive side base 7 having a rotation drive device 8,

(b)교반 날개(2)를 갖고, 세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세탁조(1)를(b) having a stirring blade (2), washing tank (1) for storing laundry

구비하고,Equipped,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회전 구동장치의 회전 구동이 상기 교반 날개에 전달 가능하다.When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rotational drive of the rotary drive can be transmitted to the stirring van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세탁 장치는,Preferably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1)회전 구동 장치와 제 2 전달 커플링을 갖는 구동측 기대와,(1) a drive side base having a rotation drive device and a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2)세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세탁조를(2) a washing tank for storing laundry

구비하고,Equipped,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은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연결하여 회전 가능하다.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is rotatable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 drive.

상기 세탁조는 상기 세탁조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와,The washing tank has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회전 가능한 축부와,A rotatable shaft portion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서 상기 축부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교반 날개와,A rotatable stirring vane mounted on the shaft portion in 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의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제 1 전달 커플링을On the outer side of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the first transmission coupling is provided in the shaft portion, and transmits a rotational drive

갖고,Have,

상기 세탁조는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 가능하고, 또한 상기 세탁조는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The washing tank is mounta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and the washing tank is detachabl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기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전달 커플링과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이 서로 걸어 맞추어져,When the washing tub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the first transfer coupling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가 구동했을 때, 상기 교반 날개가 회전한다.In the state where the washing machine is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the stirring blade rotates when the rotating device is driven.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축부의 상단에 장착되고,The stirring blade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haft portion,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은 상기 축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The second transfer coupling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물의 세탁 방법은,Laundry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회전 구동 장치를 갖는 구동측 기대를 준비하는 공정과,(a) preparing a drive side base having a rotational drive device;

(b)교반 날개를 갖는 세탁조를 준비하는 공정과,(b) preparing a washing tank having stirring blades,

(c)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상기 세탁조를 장착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교반 날개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가 서로 연결되는, 공정과,(c) a step of attaching the washing tub to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wherein the stirring vane and the rotary drive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side base;

(d)상기 세탁조 속에 세탁수와 세탁물을 넣는 공정과,(d) putting washing water and laundry in the washing tank,

(e)상기 세탁물과 상기 세탁수를 수납한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장치를 구동하는 공정으로서, 이에 따라, 상기 교반 날개가 구동하여, 상기 세탁수와 상기 세탁물이 교반되는, 공정과,(e) a step of driving the rotary drive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laundry containing the laundry and the wash water is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whereby the stirring vane is driven, The laundry is stirred, and

(f)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된 상기 세탁조를 상기 구동측 기대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f) separating the washing tank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from the drive side base.

이 구성에 의해, 취급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세탁의 준비 및 세탁 후의 처리 등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세탁기가 얻어진다.With this configuration, a washing machine is obtained which facilitates handling and improves operability such as preparation for washing and processing after wash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분해 단면도,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apparatus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동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laundry machine;

도 3은 동 세탁 장치의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machine,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of a washing apparatus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of a washing apparatus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7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washing apparatus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동 세탁 장치의 세탁조의 요부 단면도,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washing tub of the laundry machine;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세탁조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art of the washing tub of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out;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washing apparatus of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10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laundry machine of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는 동 세탁 장치의 요부 사시도,10B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laundry machine;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덮개부의 사시도,1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part of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b는 동 세탁 장치의 배수시의 사시도,11B is a perspective view when draining the laundry machine;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덮개부의 사시도,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part of the washing apparatus of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b는 동 세탁 장치의 덮개부의 확대 단면도,12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of the laundry machine;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배수시의 단면도,13 is a sectional view when draining the laundry machine of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분해 사시도,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apparatus of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동 세탁 장치의 배수시의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when draining the laundry machine;

도 16a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요부 사시도와,1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 washing apparatus of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b는 동 세탁 장치의 배수시의 요부 사시도,Fig. 16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at the time of drainage of the washing machine,

도 17a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17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washing apparatus of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b는 세탁 장치의 다른 예의 덮개부의 사시도,17B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por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laundry apparatus;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분해 사시도,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apparatus of a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동 세탁 장치의 오버플로 헹굼시의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when overflow rinsing the washing apparatus;

도 20a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오버플로 헹굼시의 요부 사시도,20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 overflow rins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b는 동 세탁 장치의 요부 사시도,20B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laundry machine;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분해 단면도,2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apparatus of a seven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분해 단면도,2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apparatus of an eigh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동 세탁 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laundry machine;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단면도,2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nine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분해 단면도,2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apparatus of a twentie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동 세탁 장치의 구동측 기대의 사시도,2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side base of the laundry machine;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구동측 기대의 사시도,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side base of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twenty-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단면도,28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washing apparatus of a twenty-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는 동 세탁 장치의 배수시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Fig. 29 is a 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laundry apparatus when drained;

도 30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laundry machine of a twenty-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3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laundry machine of a twenty-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단면도,3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 washing machine of a twenty-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a는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3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washing apparatus of a twenty-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b는 동 세탁 장치의 수납 상태의 분해 사시도,3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state of the laundry machine;

도 34는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34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art of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twenty-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away;

도 35는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3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laundry machine of the twenty-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은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분해 단면도,3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apparatus of a thirtie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은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3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thirty-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은 동 세탁 장치의 다른 예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3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nother example of the laundry machine;

도 39는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의 세탁 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3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washing apparatus of a thirty-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은 본 발명의 세탁물의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4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selecting laundr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1은 종래의 세탁 장치의 단면도.4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laundry machin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세탁조1: washing tub

2 : 교반 날개2: stirring blade

5 : 축부5: shaft portion

6 : 제 1 전달 커플링6: first transfer coupling

7 : 구동측 기대7: expectation of driving side

8 : 회전 구동 장치8: rotary drive

10 : 제 2 전달 커플링10: second transfer coupling

본 발명의 세탁 장치는,The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회전 구동 장치(8)를 갖는 구동측 기대(7)와,(a) a drive side base 7 having a rotation drive device 8,

(b)교반 날개(2)를 갖는, 세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세탁조(1)를 구비하고,(b) having a washing tank (1) for storing laundry having stirring blades (2),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 구동이 상기 교반 날개에 전달 가능하다.When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rotational drive of the rotary drive dev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stirring va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 장치는 구동측 기대와 세탁조를 구비하되, 구동측 기대와 세탁조는 서로 분리 가능하고 또한 장착 가능하다. 구동측 기대는 회전 구동 장치를 갖는다. 세탁조의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세탁조는 교반 날개와 축부와 제 1 전달 커플링을 갖는다. 교반 날개는 세탁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 등의 세탁물을 교반한다. 축부는 세탁조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 축부에 교반 날개가 장착되어 있다. 세탁조의 외측에 위치하는 축부에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제 1 전달 커플링이 장착되어 있다. 구동측 기대는 그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설치된 제 2 전달 커플링을 갖는다. 제 2 전달 커플링은 회전 구동 장치에 장착되어 회전한다. 세탁조가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제 1 전달 커플링과 제 2 전달 커플링이 서로 걸어 맞추어진다.The washing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side base and a washing tub, and the driving side base and the washing tub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nd can be mounted. The drive side base has a rotation drive device.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ank. The wash tub has a stirring vane and shaft and a first transfer coupling. The stirring blade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inside of a washing tank, and it stirs laundry, such as clothing. The shaft part is provided through the bottom part of the washing tank. The stirring blade is attached to the shaft part. The first transmission coupling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drive is mounted to the shaft portion located outside the washing tank. The drive side base has a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is mounted to the rotary drive to rotate. When the washing tub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the first transfer coupling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즉, 세탁조와 구동측 기체(機體)가 서로 분리되고,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 장치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탁의 준비 및 세탁 후의 처리 등의 조작성이 향상된다.That is, the washing tank and the drive side ga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be detachably mounted. Thereby, while handling of a washing | cleaning apparatus can be made easy, the operativity, such as preparation for washing and the process after washing, impro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 장치는,Laundry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회전 구동 장치와 제 2 전달 커플링을 갖는 구동측 기대로서,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은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연결하여 회전 가능한, 구동측 기대와,(1) a drive side base having a rotary drive and a second transfer coupling,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being rotatable in connection with the rotary drive,

(2)세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세탁조를 구비하며,(2) provided with a washing tank for storing laundry,

상기 세탁조는,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와,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tub,

상기 세탁조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회전 가능한 축부와,A rotatable shaft portion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상기 세탁조의 내부의 상기 축부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교반 날개와,A rotatable stirring vane mounted on the shaft portion of 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의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제 1 전달 커플링을 가지며,An outer side of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having a first transmission coupling mounted to the shaft to transmit rotational drive,

상기 세탁조는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 가능하고 또한 상기 세탁조는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하고,The washing tub is mountable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and the washing tub is detachabl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기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전달 커플링과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이 서로 걸어 맞추어지고,When the washing tub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the first transfer coupling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가 구동했을 때, 상기 교반 날개가 회전한다.In the state where the said washing tank is attached to the said drive side base, when the said rotating apparatus was driven, the said stirring blade rotates.

이에 따라, 세탁조내에 세탁물을 투입하여, 세탁수(물, 물과 세제, 물과 표백제, 물과 유연제, 또는 물과 세탁 풀 등)을 넣은 경우, 및 세탁이 종료한 경우에 세탁조가 구동측 기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세탁조만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세탁수와 세탁수를 투입한 세탁조를 구동측 기대에 장착했을 때, 제 1 전달 커플링과 제 2 전달 커플링이 자동적으로 연결된다.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이 교반 날개에 전달된다. 교반 날개는 세탁조내의 세탁물과 세탁수를 교반함으로써 세탁 효과가 발휘된다. 이에 따라, 세탁의 준비 및 세탁 후의 처리 등의 조작성이 향상된다.Accordingly, when the laundry is put into the washing tank and the washing water (water, water and detergent, water and bleach, water and softener, water and washing pool, etc.) is put in, and the washing is finished, the washing tank is expected to be driven on the driving side. Only the washing tank can be transported in a separated state. When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tank into which the washing water has been put are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the first transfer coupling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are automatically connected.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 is transmitted to the stirring vane. The stirring blade exhibits the washing effect by stirring laundry and washing water in a washing tank. Thereby, operability, such as the preparation for washing and the process after washing, impro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물의 세탁 방법은,Laundry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회전 구동 장치를 갖는 구동측 기대를 준비하는 공정과,(a) preparing a drive side base having a rotational drive device;

(b)교반 날개를 갖는 세탁조를 준비하는 공정과,(b) preparing a washing tank having stirring blades,

(c)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상기 세탁조를 장착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교반 날개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가 서로 연결되는, 공정과,(c) a step of attaching the washing tub to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wherein the stirring vane and the rotary drive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side base;

(d)상기 세탁조 속에 세탁수와 세탁물을 넣는 공정과,(d) putting washing water and laundry in the washing tank,

(e)상기 세탁물과 상기 세탁수를 수납한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장치를 구동하는 공정으로서, 이에 따라, 상기 교반 날개가 구동하여 상기 세탁수와 상기 세탁물이 교반 되는, 공정과,(e) a step of driving the rotary drive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laundry containing the laundry and the wash water is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whereby the stirring vane is driven to drive the wash water and the wash water. Process that the laundry is stirred,

(f)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된 상기 세탁조를 상기 구동측 기대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f) separating the washing tank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from the drive side b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탁 방법에 있어서,Preferably in the washing method,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설치된 제 2 전달 커플링을 갖고,The drive side base also has a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상기 세탁조는,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축부와,A shaft portion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상기 세탁조의 바닥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설치된 제 1 전달 커플링을 갖고,Outside the bottom part of the said washing tank, it has a 1st transmission coupling provided in the said shaft part,

상기 (c)공정에 있어서,In the step (c),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전달커플링과 제 2 전달 커플링이 서로 걸어 맞추어지고,When the washing tub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the first transfer coupling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교반 날개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가 상기 제 1 전달 커플링과 상기 축부와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을 거쳐 서로 연결된다.The stirring vane and the rotary driv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first transmission coupling, th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탁 장치와 상기 세탁 방법에 있어서,Preferably in the washing apparatus and the washing method,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축부의 상단에 장착되고,The stirring blade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haft portion,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은 상기 축부의 하단에 결합되며,The second transfer coupling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가 구동했을 때,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 구동은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과 상기 제 1 전달 커플링을 거쳐 상기 교반 날개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교반 날개가 회전하는 바,In the state where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drive side base, when the rotary device is driven, the rotary drive of the rotary drive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tirring vane via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and the first transmission coupling. As a result, the stirring blade is rotated,

이 구성에 의해 상술한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By this structure,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further improv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상기 회전 구동 장치와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의 사이에 설치된 구동 회전수 감속 장치를 갖는다.The drive side base also has a drive speed reduction device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drive device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일반적으로 회전 구동 장치로서 모터 등이 사용된 경우, 그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은 전원 주파수와 극수에 의해 결정된다. 회전수가 높은 경우에는 물의 비산이나, 회전 토크의 부족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교반 날개를 작게 하거나, 교반 날개의 형상을 평평하게 하는 구성이 필요했다. 이 때문에, 세탁에 알맞은 교반 날개의 형상이나 적정 회전수를 얻을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수를 세탁에 알맞은 회전수로 감속하는 감속 장치를 구동측 기대에 마련함으로써,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수를 유지하면서 적정한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세탁 효과를 발휘하는 세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에 감속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세탁조의 하중을 무겁게 하는 일 없이, 바꾸어 말하면, 취급하기 어려움 없이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a motor or the like is used as the rotation drive devic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 device is determined by the power source frequency and the number of poles. When the rotational speed is high, water scattering, lack of rotational torque, and the like occur, so that the stirring blade is reduced or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ing blade is flat. For this reason, there existed a subject that the shape of the stirring blade suitable for washing | cleaning, and proper rotation speed cannot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viding a reduction device for reducing the rotation speed to a rotation speed suitable for washing on the driving side base, the washing effect of stably maintaining proper rotation while maintain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drive device is exhibited. Washing apparatus can be realized.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deceleration device on the driving side base, the effect can be obtained without increasing the load of the washing tub, in other words, without difficulty in handling.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상기 교반 날개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The drive side base also ha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vane.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예컨대 시한(時限) 장치 등이 사용된다. 시한 장치에 의해, 교반 날개는 동작과 휴지(休止)의 반복 또는 소정의 시간 혹은 소정의 회전 회수 등의 미리 설정한 세탁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에 알맞은 교반 날개의 동작(동작과 휴지의 시한 배분을 포함함)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세탁에 알맞은 세탁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에 제어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세탁조의 조작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취급이 좋은 세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s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for example, a time limit device or the like is used. By the time-limiting device, the stirring vane can control the preset washing time such as the repetition of the operation and the pause or the predetermined time or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otations. Thereby, operation | movement (including time distribution of an operation | movement and a pause) suitable for washing can be implement | achieved. In addition, a washing time suitable for washing can be set.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control means on the driving side bas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washing apparatus with good handling while maintaining operability of the washing tank.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또한 상기 개구 근방에 설치된 손잡이부를 갖는다.The washing tub also has a handle portion provided near the opening.

이 손잡이부에 의해, 구동측 기대와 세탁조가 서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이 손잡이에 의해, 세탁의 준비나 세탁물의 운반 등의 작업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By this handle portion, the drive side base and the washing tank can be easily detach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is handle makes it possible to easily perform operations such as preparing the laundry and transporting the laundry.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그 내벽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위 기준선을 갖고,The washing tank has at least one water level reference lin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thereof,

상기 수위 기준선은 상기 세탁조에 주수하는 세탁수의 수위를 나타낸다.The water level reference line represents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poured into the washing tank.

탈착 가능한 세탁조가 수위의 기준을 가짐으로써,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세탁에 적절한 수량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간단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세탁조가 수위 기준을 가짐으로써, 구동측 기대에 세탁조를 장착했을 때, 세탁조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육안으로 경사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그 결과 세탁조의 전도 등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Since the detachable washing tank has a water level standard,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a suitable amount for wash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and to simply adjust it. In addition, since the washing tank has a water level standard, when the washing tank is attached to the driving side base, when the washing tank is inclined, the degree of inclination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and as a result, the fall of the washing tank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그 내벽면의 대략 바닥부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세정 보조 볼록부를 갖는다.The washing tub has at least one cleaning auxiliary convex portion installe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thereof.

세탁 행정에 있어서 교반 날개의 회전에 의해 의류를 볼록부에 문지름으로써, 그 볼록부가 세탁판으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그 결과 강한 세탁력을 얻을 수 있다.In the washing stroke, by rubbing the garment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the convex portion can exert the effect as a washing plate, and as a result, a strong washing force can be obtain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또한 그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부를 갖는다.The washing tub also has a lid portion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opening.

세탁의 준비 행정 및 세탁수 또는 세탁수 등을 세탁조에 넣어 운반할 때, 세탁조에 덮개부를 덮음으로써, 물의 비산이나 이물의 침입 등이 방지된다.When the washing stroke and washing water or washing water and the like are put in the washing tank and transported, the lid is covered with the washing tank to prevent the scattering of water and the intrusion of foreign matter.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덮개부는 그 덮개부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록(lock) 기구를 갖는다.The lid portion has a lock mechanism for holding the lid portion open.

세탁물이나 세탁수 등을 넣은 세탁조를 운반 중에, 덮개부가 분리되는 것이방지된다. 혹은, 아이 등이 잘못하여 덮개를 열어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 또는, 아이가 장난하는 것이 방지된다.While carrying the laundry tank into which the laundry, the wash water, etc. were put, the cover par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lternatively, the child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accidentally opening the cover and causing injury. Or, the child is prevented from playing aroun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덮개부는 상기 세탁조 속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구멍부를 갖고,The cover part has a hole for draining the wash water in 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가 경사 또는 상하 전도됨으로써, 상기 세탁조 속의 상기 세탁수가 배수된다.The washing tank is inclined or upside down to drain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이 구성에 의해, 세탁 종료 후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서 세탁조에 덮개를 덮은 상태로, 세탁조를 기울임으로써 덮개부에 마련한 구멍부로부터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다. 이 때, 구멍부의 크기에 의해 물만 배수하여, 세탁수가 세탁조로부터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히 세탁수와 세탁수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세탁수를 재이용하거나 화장실 등에 배수하는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washing water can be drained from the hole provided in the lid portion by tilting the washing tank while the lid is covered with the washing tank in order to drain the washing water after the end of washing. At this time, only the water can be drained by the size of the hole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not discharged from the washing tank. Accordingly, the wash water and the wash water can be easily separated. For example, the washing water can be reused or drained to the bathroom or the like.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덮개부는 또한 상기 구멍부의 외곽측에 설치된 단수 리브를 갖는다.The cover portion also has a singular rib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le portion.

이 구성에 의해, 세탁조를 기울임으로써 배수를 시작할 때 및 배수가 종료했을 때, 이 구멍부로부터 세탁수가 세탁조의 외벽을 타고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세탁수가 세탁조의 외벽면을 더럽히는 것이 방지되며, 세탁수가 바닥에 적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배수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prevents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washing tank when the drainage starts by tilting the washing tank and when the draining ends, thereby preventing the washing water from soil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Dropping on the floor is prevented. Thereby, the drainage work can be simplifi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덮개부는 또한 상기 구멍부의 상기 세탁조측에 설치된 볼록부를 갖고,The lid portion also has a convex portion provided on the washing tank side of the hole portion,

상기 볼록부는 세탁물에 의해 상기 구멍부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onvex portion prevents the hole portion from being blocked by laundry.

세탁조를 기울임으로써 세탁물과 함께 수납되어 있는 세탁수를 분리하려고 했을 때, 배수하기 위한 구멍부에 세탁물이 들러붙어 세탁수가 구멍을 막아, 세탁수의 분리를 저해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해, 이러한 구멍이 막힐 수 있는 현상의 발생이 방지된다. 즉, 구멍부의 세탁조측에 마련한 볼록부에 의해, 배수하는 구멍부의 근방에 있어서의 세탁물의 들러붙음이 방지되어, 그 결과 세탁수가 세탁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배수할 수 있다.When an attempt is made to separate the wash water stored together with the laundry by tilting the washing tank, the laundry may stick to a hole for drainage, causing the wash water to block the hole, thereby inhibiting the separation of the wash water. However,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occurrence of a phenomenon in which such a hole can be blocked is prevented. That is, by the convex part provided in the washing tank side of a hole part, the sticking of the laundry in the vicinity of the hole part to drain is prevented, As a result, wash water can be easily isolate | separated from laundry and can drain.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또한 그 세탁조의 대략 아래쪽에 설치된 하부 배수 호스를 갖고, 상기 하부 배수 호스는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 밖으로 배수한다.The wash tub also has a bottom drain hose installed approximately below the wash tub, the bottom drain hose drains wash water out of the wash tub.

이 구성에 의해, 세탁수가 배수구 등으로 용이하게 배수된다. 그 결과, 조작성이 향상된다.By this configuration, the wash water is easily drained to a drain or the like. As a result, operability is improv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또한 상기 하부 배수 호스의 배수 경로에 설치된 하부  단수 밸브를 갖고, 상기 하부 단수 밸브는 배수를 제어한다.The “washing tank” also has a lower “single” valve installed in the drainage path of the lower “drain” hose and the lower stage valve controls drainage.

이 구성에 의해, 세탁 중 및 세탁조의 운반 중에, 잘못해서 배수 호스가 넘어진 경우 등에 있어서도, 배수 호스로부터 세탁수 등이 넘쳐흐르는 것이 방지된다.This configuration prevents the overflow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like from the drain hose even when the drain hose accidentally falls down during washing and transport of the washing tank.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또한 상기 세탁조의 위쪽 근방에 설치된 급수 경로를 갖고,The wash tub also has a water supply path installed near the top of the wash tub,

상기 급수 경로는 상기 세탁조에 급수한다.The water supply path feeds the washing tank.

이 구성에 의해, 예컨대 급수를 위한 수도꼭지가 세탁조의 높이보다도 낮은 경우, 세탁수를 세탁조 안으로 급수 호스로 급수할 때에, 급수 호스를 급수 경로에 넣음으로써, 급수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faucet for water supply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washing tank,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into the washing tank with the water supply hose, the water supply hose can be smoothly put in the water supply path, thereby facilitating the water supply work.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또한 상기 세탁조의 위쪽 근방에 설치된 상부 배수 구멍과 상기 상부 배수 구멍에 접속한 상부 배수 호스를 갖는다.The washing tank also has an upper drain hole provided near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tank and an upper drain hose connected to the upper drain hole.

이 구성에 의해, 세탁조 안에서 헹굼 공정을 할 때, 소정량의 물을 세탁조내에 넣은 상태로 급수를 하면서, 오버플로 헹굼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헹구기 위해 급수와 배수를 몇 번이나 되풀이하는 일 없이, 세탁물을 연속해서 원활히 헹굴 수 있다.By this structure, when performing a rinse process in a washing tank, overflow rinsing can be performed, supplying water in the state which put the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the washing tank. Therefore, the laundry can be rinsed continuously and smoothly without having to repeat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everal times to rinse.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또한 상기 상부 배수 호스의 배수 경로에 설치된 상부 배수 단수 밸브를 갖고,The wash tub also has an upper drain stage valve installed in the drain path of the upper drain hose,

상기 상부 배수 단수 밸브은 배수를 제어한다.The upper drainage stage valve controls drainage.

이 구성에 의해, 오버플로 헹굼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예컨대 세탁조에 물을 넣은 상태에서의 운반 및 높은 수위에 있어서의 세탁 등의 경우에, 세탁수가 세탁조 밖으로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세탁수가 넘치는 것에 의해 바닥면의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By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overflow rinsing is not performed, washing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washing tank,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portation in a washing tank and washing at a high water level. It is prevented that the bottom surface becomes dirty by overflow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측 기대는 그 구동측 기대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갖고,Preferably, the drive side base has a guide portion provided above the drive side base,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위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세탁조의 하부에 결합한다.In the state where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the gu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ank.

이 구성에 의해, 구동측 기대에 세탁조를 얹어 놓기만 함으로써, 제 1 전달 커플링과 제 2 전달 커플링을 원활히 결합할 수 있다. 즉, 세탁조와 구동측 기대를 장착하고 그리고 분리할 때,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그 결과 그 조작성이 향상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transfer coupling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can be smoothly coupled by simply placing the washing tank on the driving side base. That is,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a washing tank and a drive side base,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can also be easily removed, and as a result, the operability improves.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세탁조 고정받이부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also has a washing tub receiving portion,

상기 세탁조는 또한 세탁조 고정부를 가지며,The wash tub also has a wash tub fixing,

상기 세탁조 고정받이부와 상기 세탁조 고정부는 세탁조 고정 록 기구부를 형성하여,The washing tank fixing receiving portion and the washing tank fixing portion to form a washing tank fixing lock mechanism,

상기 세탁조 고정받이부와 상기 세탁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세탁조가 구동측 기대에 고정된다.The washing tank is fixed to the driving side base by the washing tank fixing base and the washing tank fixing unit.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세탁 중에 세탁조를 넘어뜨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진동 등에 의해 세탁조가 구동측 기대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This configuration prevents the user from knocking over the washing tub during washing. In addition, the washing tank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from the driving side base due to vibration or the like.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결합 검지 수단과 제어 수단을 갖고,The drive side base also has engagement detection means and control means,

상기 결합 검지 수단은 상기 구동측 기대와 상기 세탁조의 결합·분리를 검지하며,The coupling detecting means detects the coupling / separation of the driving base base and the washing tub,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결합 검지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의해,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을 제어한다.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 device by an output from the engagement detecting means.

이 구성에 의해, 세탁조와 구동측 기대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 수단은 결합 검지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의해,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을 정지하거나 또는 저속 회전수로 제어한다. 또한, 구동측 기대의 제 2 전달 커플링이 단독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가 회전체에 접하여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 세탁조와 구동측 기대의 장착이 불완전한 경우에, 세탁 중에 세탁조가 탈락하는 불안전한 상태가 미연에 방지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ashing tank and the driving side bas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ntrol means stops the rotation of the rotary drive device or controls the low speed by the output from the engagement detecting means. In addition,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of the driving side base is prevented from rotating alone, and the user is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body. In the case where the washing tank and the driving side base are incompletely mounted, an unsafe state in which the washing tank is dropped during washing is preven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측 기대는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설치된 보호 볼록부를 갖는다.Preferably, the drive side base has a protective convex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이 구성에 의해, 구동측 기대가 세탁조를 장착하지 않고 있는 경우, 제 2 전달 커플링 상에 다른 물체를 두는 것이 방지된다. 세탁조를 장착할 때에, 세탁조가 제 2 전달 커플링에 부딪치는 것이 방지된다. 구동측 기대를 운반 중에 떨어뜨림으로써 제 2 전달 커플링을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검지 기능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제 2 전달 커플링의 측면에 손가락을 넣는 것이 방지된다. 혹은, 전도 등에 의해 제 2 전달 커플링 상에 사용자의 손이 닿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처를 입는 것이 방지된다.This configuration prevents placing another object on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when the drive side base is not equipped with a washing tank. When mounting the wash tub, the wash tub is prevented from hitting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Dropping the drive side base during transport prevents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In addition, when the detection function is not provided, the user is prevented from putting a finger on the side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Alternatively, the user's h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onto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by conduction or the like. In this way, the user is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그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설치된 배수 경로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has a drainage path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상기 배수 경로는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의 근방에 괴인 물을 배수한다.The drainage path drains congested water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delivery coupling.

이 구성에 의해, 세탁조를 구동측 기대에 장착 또는 분리할 때, 조금 물을 엎지른 경우에도 또는 조작을 잘못해서 제 2 전달 커플링의 상부에 물을 엎지른 경우에도, 제 2 전달 커플링의 하부에 물이 괴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구동측 기대의 내부에 물이 침수하는 것이 방지되고, 구동측 기대가 손상을 받는 것이 방지되며, 사용자가 감전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washing tank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driving side base, even if water is spilled a little or an operation is accidentally spi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Water freezes are prevented. As a result, water is prevented from submerging inside the drive side base, damage to the drive side base is prevented, and electric shock to the user is prevent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그 구동측 기대의 내부에 설치된 기대내 배수 경로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also has an in-drain drainage path installed inside the drive side base,

상기 세탁조는 또한 배수 밸브를 갖는 배수 구멍을 갖고,The wash tub also has a drain hole with a drain valve,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했을 때만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배수 밸브가 개방되고, 그리고 상기 배수 구멍을 거쳐 상기 세탁조와 상기 기대내 배수 경로가 연통한다.In the state only when the washing tank is attached to the driving side base, the drain valve is opened, and the washing tank and the in-base drain passag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drain hole.

이 구성에 의해, 세탁조는 배수구나 배수 호스를 가질 필요가 없어지고, 구동측 기대를 배수 가능한 장소에 고정하여 세탁을 할 수 있다. 또한, 세탁조에 물을 넣은 상태로 운반할 때에 있어서도, 물이 샐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구동측 기대가 기대내 배수 경로를 가짐으로써, 세탁조가 가벼워지고 세탁조의 운반을 위한 하중이 가벼워져 조작성이 향상된다.This configuration eliminates the need for the washing tub to have a drain or a drain hose, and can wash the drive side base at a drainable place. Moreover, even when carrying in the state which put water in the washing tank,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water will leak. 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side base has an intra-drain drainage path, the washing tank is lighter, the load for carrying the washing tank is lighter, and the operability is improv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기대내 배수 경로는, 배수를 제어하는 배수제어 밸브와, 상기 배수제어 밸브를 제어하는 배수제어장치를 갖는다.The indwell drainage path includes a drainag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drainage and a drainag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ainage control valve.

이 구성에 의해, 세탁조 안에서 세탁된 후, 세탁조를 기울여 배수할 필요 없이, 배수 호스를 기울일 필요 없이, 또한 밸브를 손으로 열 필요 없이, 세탁수가 배수 제어 장치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배수된다. 또한, 구동측 기대가 이 구성을 갖기 때문에, 세탁조가 무겁게 되지 않고 가벼워지고, 또한 세탁조의 운반을 위한 하중이 증가하지 않고 가벼워진다. 그 결과, 조작성이 향상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after washing in the washing tank, the washing water is automatically drained by the drainage control device without having to tilt the washing tank and draining the drain hose, and without having to open the valve by hand. 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side base has this configuration, the washing tub becomes light without becoming heavy, and the load for carrying the washing tub becomes light without increasing. As a result, operability is improv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상기 세탁조내의 세탁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 수단과, 소정의 배수 시간을 설정한 배수 시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water level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in the washing tank, and a drainage time limiter for setting a predetermined drainage time.

상기 수위 검지 수단과 상기 배수 시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검지에 의해서, 배수가 자동적으로 실행된다.The drainage is automatically executed by the det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means and the drainage time limiter.

이 구성에 의해, 세탁조 속에서 세탁된 후, 세탁조를 기울여 배수할 필요 없이, 배수 호스를 기울일 필요 없이, 또한 밸브를 손으로 열 필요 없이, 배수 제어 장치에 의해서 세탁수가 적절한 양보다 많은 것을 수위 검지 수단에 의해서 검지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세탁수가 배수된다. 즉, 세탁에 있어서 미리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배수 밸브를 제어하여 자동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세탁 도중에 배수 밸브를 개방하여, 세탁 효과의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수 감량의 자동 조절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가 이 구성을 가짐으로써, 세탁조가 무겁게 되는 일 없이 가벼워지고 또한 세탁조의 운반을 위한 하중이 증가하는 일 없이 가벼워진다. 그 결과, 조작성이 향상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after washing in the washing tank, the washing water level is detected by the drainage control device without the need for tilting the washing tank and draining the drain hose, without having to tilt the drain hose, and opening the valve by hand. When detected by the means, the washing water is automatically drained. In other words,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washing, the drain valve can be controlled to drain automatically. The drain valve may be opened during washing to enable adjustment of the washing effect. In this way, automatic adjustment of the washing water loss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side base has this configuration, the washing tub is lightened without becoming heavy and lightened without increasing the load for carrying the washing tub. As a result, operability is improv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상기 구동측 기대의 내부에 설치된 기대내 급수 경로와, 급수 수단과, 상기 기대내 급수 경로에 설치된 검지 수단과 급수 시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base water supply path provided inside the drive side base, a water supply means, a detection means provided on the in-base water supply path, and a water supply time limit device,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세탁조내의 세탁수의 수위를 검지하고,The detection means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는 급수 경로 밸브를 갖는 세탁조 급수 경로를 갖고,The wash tub has a wash tub feed path with a feed path valve,

상기 세탁조를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했을 때만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급수 경로 밸브가 개방되고 그리고 상기 급수 경로 밸브를 거쳐 상기 세탁조와 상기 기대내 급수 경로가 연통하여,In the state only when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drive side base, the water supply path valve is opened, and the washing tank and the in-water supply pat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water supply path valve,

상기 수위 검지 수단과 상기 급수 시한 장치 중 적어도 한편의 검지에 의해서 급수가 자동적으로 실행된다.Water supply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det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means and the water supply time limiting device.

이 구성에 의해, 세탁조 중의 세탁수가 적절한 양보다 적은 것을 수위 검지 수단이 검지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물이 세탁조 속으로 급수된다. 세탁에 있어서 미리 소정 시간만큼 급수 밸브를 제어하고, 자동적으로 물이 세탁조의 속으로 급수된다. 세탁 도중에 급수 밸브를 개방하여, 세탁 효과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세탁수 증량의 자동 조절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가 이 구성을 갖기 때문에, 세탁조가 가벼워지고 세탁조의 운반을 위한 하중이 가벼워진다. 그 결과, 조작성이 향상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detects that the number of washes in the washing tank is less than an appropriate amount,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into the washing tank. In washing, the water supply valve is controll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vance, and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into the washing tank. The water supply valve is opened during washing to adjust the washing effect. In this way, automatic adjustment of the increase in washing water can be easily performed. Further, since the driving side base has this configuration, the washing tank becomes lighter and the load for carrying the washing tank becomes lighter. As a result, operability is improv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와 상기 세탁조는 상기 구동측 기대가 상기 세탁조 속에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The driving side base and the washing tub have a shape that the driving side base can be accommodated in the washing tub.

종래의 통상의 소형 세탁 장치는 세탁시는 편리하지만, 그러나 구동측 기대가 세탁조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조가 물이나 세탁수를 수납하지 않을 때에 있어서도, 세탁 장치를 수납할 때, 세탁 장치의 크기는 조립된 소형 세탁 장치의 크기 그대로이며, 그 때문에 넓은 수납 장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작금의 좁은 주택 사정에 있어서는, 세탁 장치를 수납할 장소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대해, 분리된 구동측 기대를 세탁조 속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세탁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세탁 장치의 크기는 세탁조만의 크기가 되어 따라서 세탁 장치의 수납성이 현저히 향상된다.Conventional small laundry machines are convenient at the time of washing, but since the driving side bas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shing tank, when the washing tank stores the washing apparatus even when the washing tank does not store water or washing water, the washing apparatus is used. The size of the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compact washing machine assembled, and therefore requires a large storage place. Therefore, in the present narrow house situation, there was a difficulty in the place which accommodates a washing apparatus.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ed drive side base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washing tank, when the washing apparatus is not used, the size of the washing apparatus becomes the size of the washing tank only, and thus the storage device of the washing apparatus is remarkably improv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수납 손잡이부를 갖는다.The drive side base also has a receiving handle.

이 구성에 의해, 구동측 기대를 세탁조로부터 집어낼 때, 또는 구동측 기대를 세탁조의 안쪽에 수납할 때, 그 인출 작업과 수납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어, 그 결과 수납성이 향상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rive side base is picked up from the washing tank or when the drive side base is stored inside the washing tank, the withdrawal operation and the storing oper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as a result, the storage performance is improv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상기 세탁조의 내벽면에 설치된 유지 볼록부를 갖고,The washing tank has a holding convex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상기 유지 볼록부는 상기 구동측 기대를 유지한다.The holding convex portion holds the driving side base.

이 구성에 의해, 구동측 기대를 세탁조내에 수납한 상태로 장기간 방치했을 때, 또는 차 등에 의해 세탁 장치를 수송했을 때, 구동측 기대가 세탁조내부로 깊게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구동측 기대를 세탁조로부터 용이하게 질어낼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prevents the drive side base from falling deep into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when the drive side base is left in the washing tank for a long time or when the washing apparatus is transported by a car or the like, and the drive side base is removed from the washing tank. I can easily make it.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유지 볼록부는 세정 보조 볼록부를 겸하는 형상을 갖는다.The holding convex portion has a shape serving as a cleaning auxiliary convex portion.

이 구성에 의해, 세탁 행정에 있어서 교반 날개의 회전에 의해서, 의류 등의 세탁수를 유지 볼록부에 문지름으로써, 세탁판의 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강한 세탁력이 얻어진다. 또한, 세탁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진다.By this structure, the effect of a washing board improves by rubbing wash water, such as clothing, to a holding convex part by rotation of a stirring blade in a washing stroke. Thus, a strong washing power is obtained.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is simplifi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를 갖는다.The drive side base also has a battery for powering the rotary drive device.

이 구성에 의해, 세탁하는 장소에 전원이 없는 경우, 및 옥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장소를 고를 일 없이, 임의의 장소에서 세탁 장치를 사용하여 세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re is no power source at the washing place and when it is used outdoors, it is possible to wash the laundry at any place without choosing the place.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바닥 밑이나 수납고 등의 서랍 부분 등에 수납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예컨대, 기저귀 등의 오물을 세탁하고 싶은 경우, 화장실의 바닥에 구동측 기대를 바닥면 근방에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의 배설물은 화장실에 버리고, 그리고 더러워진 세탁물을 이동시키는 일 없이, 그 화장실 내에서 세탁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를 수납고에 수납한 경우, 예컨대 부엌의 씽크나 서랍 부분 등에 구동측 기대를 수납한 경우, 더러워진 세탁물을 그 부엌 내에서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조만을 준비함으로써, 세탁물이 발생한 장소에서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다. 그 결과, 세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The drive side base has a shape that can be stored in a drawer portion such as a floor or a storage compartment.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wash dirt such as a diaper, the driving side base can be stored in the vicinity of the floor surface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In this case, the waste of the child can be thrown into the toilet and washed in the toilet without moving the dirty laundry. In addition, when the drive side base is stored in the storage, for example, when the drive side base is stored in the sink or drawer portion of the kitchen, the dirty laundry can be easily washed in the kitchen. In this way, only the washing tank is prepared, so that the laundry can be easily washed at the place where the laundry is generated. As a result, convenience of washing improves.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수와 회전의 온·오프 시한을 적어도 2단계 이상 가변으로 하는 가변 장치를 갖는다.The drive side base also has a variable device that mak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 drive device and the on / off time limit of the rotation variable at least two or more steps.

이 구성에 의해, 예컨대 회전 구동 장치가 복수의 회전수를 갖고, 높은 회전수가 강수류를 발생하여, 회전수가 낮아짐에 따라서 중수류 및 약수류 등과 같이 표시하여, 그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 구동 장치에 의해 교반 날개가 간헐적으로 동작한다. 교반 날개가 복수의 휴지 시한과 동작 시한의 동작을 갖고, 동작 시한이 긴 경우에는 일반적인 의류를 세탁할 수 있고, 휴지 시한이 짧은 경우는 섬세한 의류를 세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수의 종류에 대응하여 다채로운 세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가 이 가변 수단을 가짐으로써, 세탁조가 무거워지는 일 없이 가벼워지고, 또한 세탁조의 운반을 위한 하중이 증가하는 일 없이 가벼워진다. 이와 같이, 조작성이 향상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rotation drive apparatus has a plurality of rotational speeds, and a high rotational speed generates a precipitation, and as the rotational speed is lowered, it is displayed like heavy water flow and weak water flow, and the switching can be executed. Similarly, the stirring blades intermittently operate by the rotation drive device. When the stirring blade has the operation | movement of a some pause time and an operation time limit, when general operation time is long, general clothing can be wash | cleaned, and when the pause time is short, delicate clothing can be wash | cleaned. In this manner, various washings can be realiz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ype of washing water. In addition, since the drive side base has this variable means, the washing tub is lightened without becoming heavy, and also lightened without increasing the load for carrying the washing tub. In this way, the operability is improv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정도인 소형 형상을 갖는다.The washing tub has a compact shape that can be easily carried by the user.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세탁조는 플라스틱 성형체 또는 금속 가공체 등으로 제조되며 경량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소망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The washing tub is made of a plastic molded article or a metal workpiece and is light in weight.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transport the product to a desired place by hand.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탁 장치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the washing | cleaning apparatus of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1)는 윗쪽에 형성된 개구를 갖고,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 날개(2)가 세탁조(1)내 바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교반 날개(2)는 세탁조(1)의 바닥부에 마련한 단수 밀봉부(3)와 축받이부(4)를 관통하는 축부(5)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다. 세탁조(1)의 방수는 단수 밀봉부(3)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다. 축부(5)의 다른 단에는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제 1 전달 커플링(6)이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washing tank 1 has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art, and the stirring blade 2 which stirs clothing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washing tank 1. As shown in FIG. This stirring blade 2 is attached to the one end of the shaft part 5 which penetrates the water-sealing part 3 and the bearing part 4 which were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washing tank 1. As shown in FIG. The waterproofing of the washing tank 1 is maintained by the single sealing part 3. The other end of the shaft portion 5 is equipped with a first transmission coupling 6 for transmitting rotational drive.

구동측 기대(7)는 그 내부에 회전 구동 장치(8)가 설치되고, 세탁조(1)는 구동측 기대(7)의 상면에 탈착자재로 장착 가능하다. 회전 구동 장치(8)의 구동축(9)의 상단에는 제 2 전달 커플링(10)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 구동 장치(8)에는 상용전원에 접속하는 전원 코드(11)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이에 따라 회전 구동 장치(8)가 회전 구동한다.The drive side base 7 is provided with the rotation drive apparatus 8 in its inside, and the washing tank 1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7 with detachable materials.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drive shaft 9 of the rotation drive device 8.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rotation drive device 8 from the power cord 11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upply, and the rotation drive device 8 rotates by this.

세탁조(1)와 구동측 기대(7)는 서로 분리 가능하고, 또한 서로 장착 가능하다. 즉, 세탁조(1)는 구동측 기대(7)에 분리 및 장착 가능하다.The washing tub 1 and the driving side base 7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be mounted on each other. That is, the washing tank 1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drive side base 7.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1)를 구동측 기대(7)의 상부에 탑재함으로써, 제 1 전달 커플링(6)과 제 2 전달 커플링(10)이 걸어 맞추어지고, 그리고 결합한다. 이에 따라, 세탁조(1)는 구동측 기대(7)에 장착된다. 구동 장치(8)가 구동되었을 때, 구동 장치(8)가 회전한다. 세탁조(1)내의 바닥부의 교반 날개(2)에 제 1 전달 커플링(6)과 제 2전달커플링(10)을 거쳐, 회전 구동 장치(8)의 회전이 전해져서, 교반 날개(2)가 회전한다. 이 교반 날개(2)가 세탁수(12)를 교반함으로써, 세탁물(13)이 교반되어 세탁된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3, the first transfer coupling 6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10 are engaged and engaged by mounting the washing tub 1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side base 7. . Thus, the washing tank 1 is attached to the drive side base 7. When the drive device 8 is driven, the drive device 8 rotates.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 device 8 is transmitted to the stirring blade 2 of the bottom part in the washing tank 1 via the 1st transmission coupling 6 and the 2nd transmission coupling 10, and the stirring blade 2 is carried out. Rotates. By stirring the wash water 12, the stirring blade 2 stirs and washes the laundry 13.

또한, 세탁조(1)는 구동측 기대(7)의 상면에 탈착자재로 장착 가능하다. 즉, 세탁조(1)는 구동측 기대(7)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그 때문에, 세탁조(1)내에 세탁물(13)을 투입하고, 세탁수를 넣은 경우 및 세탁이 종료한 경우에, 세탁조(1)만에 의해 세탁수의 운반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세탁의 준비나 세탁후의 처리 등의 조작 성능이 향상된다. 예컨대, 세탁조(1)만을 소망하는 장소로 이동 운반할 수 있다. 버킷 등의 별도의 용기 속에 세탁수를 넣은 일 없이, 세탁수를 세탁조(1)에 넣어 세탁수를 운반할 수 있어, 세탁물을 버킷으로부터 세탁조(1)로 바꾸어 옮길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간단히 세탁할 수 있다. 예컨대, 세탁수를 종류마다 분류하여 각각의 분류마다 세탁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위생적으로 더러워진 세탁물, 적은 오물을 갖는 세탁물, 현저히 더러워진 세탁물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을 따로따로 세탁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변형이나 색이 바래기 쉬운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소량의 세탁물을 손세탁하지 않고, 이 세탁 장치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 거칠어 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세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수납하는 경우, 세탁조(1)와 구동측 기대(7)를 분리하고, 각각을 작게 하여 소망하는 장소에 수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세탁 장치를 수납하기 위해서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세탁 장치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세탁의 준비 및 세탁 후의 처리등의 조작이 간단해진다.In addition, the washing tank 1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7 as a removable material. That is, the washing tank 1 is detachable from the drive side base 7. Therefore, when the laundry 13 is put into the washing tank 1, when washing water is put in and when washing | cleaning is complete | finished, only the washing tank 1 can carry | transport wash water. Thereby, operation performances, such as preparation for washing and processing after washing, improve. For example, only the washing tank 1 can be transported and moved to a desired place. Washing water can be put in the washing tank 1 to carry the washing water without putting the washing water in a separate container such as a bucket, and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laundry from the bucket to the washing tank 1. In addition, it is easy to wash. For example, it is easy to classify the wash water for each type and wash it for each class. It is easy to wash the laundry separately by classifying it as sanitarily dirty laundry, laundry with a small amount of dirt, and laundry which is significantly dirty. In addition, the laundry which is easily deformed or faded can be divided and washed. In addition, since a small amount of laundry can be easily washed using this washing apparatus without hand washing, roughness of the user's hand is prevented. In addition, when storing without using a washing | cleaning apparatus, the washing tank 1 and the drive side base 7 can be isolate | separated, and each can be made small and stored in a desired place. Therefore, a large place is not needed in order to accommodate a washing apparatus. In this way, handling of the washing apparatus becomes easy. In addition, operations such as preparation for washing and processing after washing are simplified.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구동 장치(8)로서, 예컨대 모터가 사용된다. 구동 전원 장치는 전반적으로 진상용(進相用)의 콘덴서(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동에 필요한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세탁수로는 세제와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또는 세탁수의 종류에 대응하여 소독액, 알코올류, 유연 처리제, 표백제, 세탁풀 등의 각종 용제도 사용된다. 예컨대, 식품을 취급하는 장소 및 병원의 세탁에 있어서 소독을 하는 경우 등에는 소독액이 이용된다. 또한, 유연제나 세탁풀은 일반적으로 세탁 과정에서 이용된다. 따라서, 세탁수는 세탁의 목적에 대응하여 사용하는 약품류 일반을 의미한다. 또한, 세탁 행정에 있어서의 헹굼 행정도 세탁이기 때문에, 세탁수로서 물만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 motor is used as the rotation drive device 8. As the driving power supply device, a device necessary for driving such as a condenser (not shown) for a general purpose is generally used. In addition, detergents and water are generally used as the wash water, or various solvents such as disinfectant, alcohol, softening agent, bleach, and laundry pool are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wash water. For example, a disinfectant solution is used for disinfection in places where food is handled and in laundry in a hospital. In addition, softeners or laundry pools are generally used in the laundry process. Therefore, the washing water means the general chemicals used in response to the purpose of washing. In addition, since the rinsing stroke in the washing stroke is also washing, only water may be used as the washing wat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세탁조(1)와 구동측 기대(7) 등의 크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 용도에 대응하여, 각종 크기의 세탁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izes of the washing tub 1, the driving side base 7 and the lik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Corresponding to the intended use, washing apparatuses of various sizes can be used.

특히, 세탁조(1)가 작은 경우, 소량의 세탁수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세탁조(1) 및 구동측 기대(7)의 운반이 용이하고, 소망하는 장소에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세탁조(1)를 버킷 대신에 사용하고 운반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washing tank 1 is small, a small amount of washing water can be washed simply and easily. In addition, the washing tank 1 and the driving side base 7 can be easily transported to the desired place. The washing tub 1 can be used instead of a bucket and transported.

또한, 사용 용도에 대응하여, 큰 세탁조를 갖는 세탁 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Moreover, the washing | cleaning apparatus which has a large washing tank can also be used corresponding to a use use.

실시예 2Example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측 기대(7a)의 회전 구동 장치(8)와 제 2전달 커플링(10) 사이에, 구동 회전수 감속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회전수 감속 장치(14)의 구동축(15)에 제 2 전달 커플링(10)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 구동 장치(8)의 회전이 감속되어 제 2 전달 커플링(10)에 전해진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같은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4, the drive rotation speed reduction apparatus 14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drive apparatus 8 and the 2nd transmission coupling 10 of the drive side base 7a.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is attached to the drive shaft 15 of the drive speed reduction device 14.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 device 8 is decel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회전 구동 장치(8)가 모터에 의해 구성된 경우, 회전 구동 장치(8)의 회전수는 전원 주파수와 극수에 의해 결정된다. 회전수가 높은 경우에는, 물의 비산 및 회전 토크의 부족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교반 날개(2)를 작게 하거나 또는 교반 날개(2)의 형상을 평평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세탁에 알맞은 교반 날개(2)의 형상이나 적정 회전수가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when the rotation drive device 8 is constituted by a motor,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drive device 8 is determined by the power source frequency and the number of poles. When the rotation speed is high, since the scattering of water, lack of rotation torque, etc. occur, the stirring blade 2 should be made small or the shape of the stirring blade 2 should be flat. However,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stirring blade 2 suitable for washing | cleaning and proper rotation speed may not be obtained.

구동 회전수 감속 장치(14)는 교반 날개(2)의 회전수를 세탁에 적절한 회전수로 감속한다. 이 구동 회전수 감속 장치(14)가 구동측 기대(7a)에 마련됨으로써, 적정한 회전 구동 장치(8)의 회전수를 제 2 전달 커플링에 안정적으로 전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세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7a)의 내부에 구동 회전수 감속 장치(14)를 마련함으로써, 세탁조(1)측의 하중을 무겁게 하는 일 없이, 적정 회전수를 전달할 수 있다.The drive rotation speed reduction device 14 reduces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ing blade 2 to the rotation speed suitable for washing. By providing this drive rotation speed reduction apparatus 14 in the drive side base 7a, the appropriat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drive apparatus 8 can be stably transmitted to a 2nd transmission coupling, and, thereby, a washing effect can be exhibited. Can be. Moreover, by providing the drive rotation speed reduction apparatus 14 inside the drive side base 7a, appropriate rotation speed can be transmitted, without weighting the load on the washing tank 1 side.

또한, 구동 회전수 감속 장치(14)로는 톱니 바퀴식, 유성 기어, 또는 벨트감속기 등이 사용되며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As the drive speed reduction device 14, a cogwheel, a planetary gear, a belt reducer, or the like is used, and the same effect is obtained.

실시예 3Example 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16)은 구동측 기대(7b)에 마련되고, 제 1 전달 커플링(6)과 제 2 전달 커플링(10)에 의해 전해지는 교반 날개(2)의 회전을 제어하고, 회전 구동 장치(8)의 회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 수단(16)은 시한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2와 같고, 같은 구성 요소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means 16 is provided in the drive side base 7b, and the stirring blade 2 conveyed by the 1st transmission coupling 6 and the 2nd transmission coupling 10 is shown.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ry drive device (8). Here, the control means 16 is comprised by the time limiter.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 수단(16)을 구성하는 시한 장치에 의해, 교반 날개(2)는 동작, 휴지의 반복 또는 소정의 시간 혹은 소정의 회전 회수 등의 미리 설정한 세탁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탁에 적절한 교반 날개(2)의 동작(동작과 휴지의 시한 배분을 포함함)을 실현하고, 또한 세탁에 알맞은 세탁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7b)에 제어 수단(16)을 마련함으로써, 세탁의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취급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y the time-limiting device constituting the control means 16, the stirring blade 2 can control the preset washing time, such as operation, repetition of a pause or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rotations. Thereby, operation | movement (including time distribution of an operation | movement and a stop) of the stirring blade 2 suitable for washing is implement | achieved, and washing time suitable for washing can be set. Moreover, by providing the control means 16 in the drive side base 7b, handling can be improved, maintaining the operability of washing.

또한,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는 기계식의 타이머, 전기식의 타이머, 혹은 마이크로컴퓨터와 릴레이 등이 사용되며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th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a mechanical timer, an electric timer, or a microcomputer and a relay are used,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실시예 4Example 4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7)는 세탁조(1)의 상부 개구부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6, the handle part 17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opening part of the washing tank 1. As shown in FIG.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손잡이부(17)에 의해, 분리하여 구성한 세탁조(1)를 구동측 기대(7)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손잡이부(17)에 의해, 세탁의 준비나 세탁물의 운반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y the handle part 17, the washing tank 1 separated and comprised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drive-side base 7. In addition, the handle 17 makes it possible to simplify operations such as preparing for laundry and transporting laundry.

실시예 5Example 5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1a)의 내벽면부에 세탁조(1a)에 주수하는 세탁수의 수위를 나타내는 수위 기준선(18)을 적어도 1개(본 실시예에는 2개) 마련하고 있다. 이 수위 기준선(18)은 세탁조(1a)의 내벽면에 일주하는 단차를 이용하여 표시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to FIG. 7A and FIG. 7B, at least 1 (two in this embodiment) water level reference line 18 which shows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poured in the washing tank 1a is provided in the inner wall surface part of the washing tank 1a. Doing. This water level reference line 18 is displayed using the step | step which circumscribe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1a.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수위 기준선(18)은 탈착 가능한 세탁조(1)에 주수하는 수위의 기준을 표시하고 있고, 세탁수의 양에 따라 세탁에 알맞은 수량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간단히 수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위 기준선(18)에 의해, 구동측 기대(7)에 세탁조(1a)를 장착했을 때, 세탁조(1a)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 육안으로 경사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세탁조(1a)의 전도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The water level reference line 18 indicates a standard of water level to be poured into the detachable washing tank 1, and the water level can be easily s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sh water, and the water level can be easily adjusted. In addition, when the washing tank 1a is attached to the drive side base 7 by the water level reference line 18, when the washing tank 1a is inclined, the degree of inclination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Falling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실시예에는 수위 기준선(18)은 세탁조(1a)의 내벽면에 일주하는 단차를 이용하여 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속적인 선 또는 단차를 이용하는 일 없이 색채를 이용한 인쇄 또는 실 등이어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level reference line 18 is displayed using a step that circumscribe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1a. However, the water level reference line 18 is not limited thereto, and printing or thread using color without using an intermittent line or step is not required. The same effect is also obtained.

실시예 6Example 6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1b)는 내벽면부의 대략 저부에 대략 수직으로 배치한 적어도 1개의 세탁 보조 볼록부(19)를 갖는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8, the washing tank 1b has at least 1 washing | cleaning auxiliary convex part 19 arrange | position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substantially bottom part of an inner wall surface part.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세탁 행정에 있어서, 교반 날개(2)의 회전에 의해서 세탁조(1b)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도시하지 않음)은 세탁수(도시하지 않음) 속에서 교반되어 세탁된다. 이 때, 특히 오물이 현저할 때, 세탁수를 세탁 보조 볼록부(19)에 문지름으로써, 세탁판의 효과를 발휘하여, 강한 세탁력을 실현할 수 있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washing stroke, the laundry (not shown)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1b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2 is stirred and washed in the washing water (not shown). At this time, especially when dirt is remarkable, the washing water is rubbed on the washing auxiliary convex portion 19, thereby exhibiting the effect of the washing plate, and achieving a strong washing force.

또, 본 실시예에는 세탁 보조 볼록부(19)로서 리브 형상의 볼록부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세탁물을 문질러서 세탁 효과를 높이는 다른 형상도 사용 가능하다. 요컨대, 구동측 기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분리 독립된 세탁조(1b)의 내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세탁 효과가 향상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rib-shaped convex part is shown as the washing | cleaning auxiliary convex part 19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other shape which rubs a laundry and raises a washing effect can also be used. That is, a convex part is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ank 1b independent of the drive side base (not shown), and the washing effect is improved by this.

실시예 7Example 7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0)는 세탁조(1)의 상부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9, the cover part 20 is provided in the upper opening part of the washing tank 1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세탁조(1)의 상부 개구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부(20)를 장착함으로써, 세탁의 준비 행정 및 세탁물 또는 세탁수 등을 세탁조(1)에 넣어 운반할 때, 덮개부를 덮음으로써 물의 비산이나 이물의 침입 등이 방지된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y attaching the lid portion 2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upper opening of the washing tub 1, when the preparation stroke for washing and carrying laundry or washing water and the like into the washing tub 1 are covered, the lid portion is covered so that water splashes or foreign matter invades. Etc. are prevented.

또, 본 실시예에는 탈착 가능한 덮개부(20)가 사용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탈착 가능 이외의 덮개부를 갖는 구성도 사용 가능하고,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Moreover, although the detachable lid part 20 was used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structure which has a cover part other than detachable is also usable, and the same effect is acquired.

실시예 8Example 8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0a)는 덮개부(20a)의 개폐 상태를 유지하는 리브 형상의 록 기구부(21)를 갖는다. 세탁조(1c)의 상부 개구부의 근방에는 록 유지부(22)를 마련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7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0A, the lid portion 20a has a rib-shaped lock mechanism portion 21 that maintain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lid portion 20a. The lock holding | maintenance part 22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opening part of the washing tank 1c.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the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세탁조(1c)의 상부 개구부를 덮개부(20a)로 막고, 덮개부(20a)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0a)에 마련한 리브 형상의 록 기구부(21)가 록 유지부(22)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덮개부(20a)의 개폐를 제한할 수 있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y closing the upper opening of the washing tank 1c with the lid 20a and rotating the lid 20a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rib-shaped lock provided in the lid 20a as shown in FIG. 10 (b). The mechanism portion 21 is held by the lock holding portion 22. Accordingly,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portion 20a can be restricted.

이에 따라, 세탁물이나 세탁수 등을 넣은 세탁조(1c)를 운반 중에, 덮개부(20a)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혹은 아이 등이 잘못 열어서 부상당하는 것이 방지된다.As a result, the lid 20a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washing tank 1c containing the laundry, the washing water, or the like, or the child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being inadvertently opened and injured.

또한, 본 실시예에는 회전에 의한 덮개의 록 기구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탁조(1c)와 덮개(20a) 사이에 록 기구가 존재하는 구성이 사용된다. 예컨대, 록 기구로는 톱니 방식, 캠, 또는 걸쇠 등도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도같은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lthough the locking mechanism of the cover by rotation was shown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structure which a lock mechanism exists between the washing tank 1c and the cover 20a is used. For example, a tooth mechanism, a cam, a clasp,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locking mechanism,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실시예 9Example 9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0b)는 세탁조(1)의 상부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세탁조(1)를 경사 또는 상하 전도했을 때, 세탁조 (1)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구멍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부(23)는 복수의 타원형의 구멍을 갖는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8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to FIG. 11A, the cover part 20b is provid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in the upper opening part of the washing tank 1. As shown in FIG. When the washing tank 1 is inclined or upside down, a hole 23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1 is provided. This hole 23 has a plurality of elliptical holes.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igh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omit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 종료 후에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서, 세탁조(1)의 상부 개구부를 덮개부(20b)로 막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울여 덮개부(20b)에 마련한 구멍부(23)로부터 세탁수를 배수한다. 이 때, 구멍부(23)는 세탁수만을 배수하고, 세탁물이 튀어나가지 않는 크기를 갖는다. 이에 의해서, 간단히 세탁물과 세탁수를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세탁수를 재이용하거나 화장실 등에 배수하거나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1B, in order to drain the wash water after the end of washing, the upper opening of the washing tub 1 is blocked by the lid portion 20b, and the hole portion provided in the lid portion 20b is tilt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 23) Drain the wash water. At this time, the hole 23 drains only the wash water and has a size that does not cause the laundry to protrude. In this way, the laundry and the wash water can be separated easily. For example, it may be easy to reuse the wash water or drain the toilet.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멍부(23)는 복수의 타원형의 구멍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멍의 수 및 형상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hole part 23 has a some elliptical hole,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number and shape of a hole can be set arbitrarily.

실시예 10Example 10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0c)는 세탁조(1)의 상부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구멍부(23a)가 덮개부(20c)에 형성되어 있다. 세탁조(1)를 경사 또는 상하 전도함으로써, 세탁조(1) 내의 세탁수가 구멍부(23a)에서 배수된다. 이 구멍부(23a)의 외곽측에 단수 리브(24)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9와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2, the cover part 20c is provided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in the upper opening part of the washing tank 1. As shown in FIG. The hole part 23a is formed in the cover part 20c. By inclining or vertically inverting the washing tank 1,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1 is drained from the hole 23a. The singular rib 24 is provided in the outer side of this hole part 23a.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9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세탁조(1)를 기울임으로써 배수를 시작했을 때 및 배수가 종료했을 때, 단수 리브(24)에 의해 물 방울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구멍부(23a)에서 세탁수가 드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세탁수가 세탁조(1)의 외벽면을 더럽히는 것이 방지된다. 세탁수가 바닥에 적하하는 것이 방지된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drainage is started by tilting the washing tank 1 and when the drainage is finished, the water droplets ar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by the singular ribs 24. Washing water is prevented from dropping out of the hole 23a. Washing water is prevented from soil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1. Washing water is prevented from dripping on the floor.

실시예 11Example 11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0d)는 세탁조(1)의 상부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부(20d)에, 구멍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세탁조(1)를 경사 또는 상하 전도함으로써, 세탁조(1) 내의 세탁수가 구멍부(23b)를 통해 배수된다. 이 구멍부(23b)의 세탁조(1)측에 볼록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25)는 구멍부(23b)가 의류에 의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볼록부(25)는 리브의 일부를 절결한 형상을 갖는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0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3, the cover part 20d is provided in the upper opening part of the washing tank 1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The hole part 23b is formed in this cover part 20d. By inclining or vertically inverting the washing tub 1,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ub 1 is drained through the hole 23b. The convex part 25 is provided in the washing tank 1 side of this hole part 23b. The convex portion 25 prevents the hole 23b from being blocked by clothes. This convex portion 25 has a shape in which part of the rib is cut out.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0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세탁조(1)를 기울임으로써, 세탁수(13)를 침지하고 있는 세탁수를 배수한다. 이 때, 볼록부(25)가 없는 경우,구멍부(23b)에 세탁물(13)이 들러붙어, 구멍부(23b)가 세탁물(13)에 의해 막히고, 세탁수를 배수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한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y tilting the washing tank 1, the washing water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13 is drained. At this time, when there is no convex portion 25, the laundry 13 sticks to the hole 23b, the hole 23b is blocked by the laundry 13, and the phenomenon that the wash water cannot be drained occurs. do.

구멍부(23b)의 세탁조(1)측에 볼록부(25)를 마련함으로써, 세탁조(1)를 기울여 배수할 때에, 세탁수는 볼록부(25)에 걸려 세탁물(13)이 구멍부(23b)를 막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볼록부(25)의 절결 부분으로부터 세탁수가 용이하게 배수된다.By providing the convex portion 25 on the washing tank 1 side of the hole portion 23b, when the washing tank 1 is inclined and drained, the washing water is caught by the convex portion 25 so that the laundry 13 is placed in the hole portion 23b. To prevent).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is easily drained from the cutout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25.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볼록부(25)는 리브의 일부를 절결한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록부(25)의 형상으로서는 리브, 핀 형상의 돌기물 또는 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세탁물(13)이 구멍부(23b)를 완전히 덮어 배수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 사용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vex portion 25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rib is cut o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the convex portion 25, ribs, pin-shaped protrusions or grooves, or the like can be used. . The shape which can prevent the laundry 13 from fully covering the hole part 23b and becoming unable to drain can be used. By this configuration, the same effect is obtained.

실시예 12Example 12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배수 구멍(26)과 하부 배수 호스(27)가 세탁조(1d)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 배수 구멍(26)은 대략 아래쪽으로 세탁수를 배수한다. 하부 배수 호스(27)는 하부 배수 구멍(26)에 접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4, the lower drain hole 26 and the lower drain hose 27 are provided in the washing tank 1d. The lower drain hole 26 drains the wash water approximately downward. The lower drain hose 27 is joined to the lower drain hole 26.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배수 호스(27)를 기울임으로써, 세탁조(1d) 내의 세탁수(12)가 배수 도랑(28) 등으로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5, by inclining the lower drain hose 27, the washing water 12 in the washing tank 1d can be easily drained to the drainage groove 28, etc., and operability improves.

실시예 13Example 13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배수 구멍(26)이 세탁조(1d)의 대략 아래쪽에 설치되고, 하부 배수 호스(27a)가 하부 배수 구멍(26)에 접합되어 있다. 하부 단수 밸브(29)가 하부 배수 호스(27a)의 배수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 배수 구멍(26)과 하부 배수 호스(27a)를 통해 세탁수가 배수된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2와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6A, the lower drain hole 26 is provided substantially below the washing tank 1d, and the lower drain hose 27a is joined to the lower drain hole 26. As shown in FIG. The lower stage water valve 29 is provided in the drain path of the lower drain hose 27a. Washing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lower drain hole 26 and the lower drain hose 27a.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wel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omit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배수 호스(27a)를 기울여, 하부 단수 밸브(29)를 열음으로써, 세탁조(1d) 내의 세탁수(12)가 배수된다.The opera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6B, the washing water 12 in the washing tank 1d is drained by tilting the lower drain hose 27a and opening the lower stage water valve 29.

이에 따라, 세탁 중에 잘못해서 하부 배수 호스(27a)가 기울어졌을 때, 또는 세탁조(1)를 운반할 때, 하부 배수 호스(27a)에서 세탁수 등이 흘러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ly, when the lower drain hose 27a is inclined inadvertently during washing or when the washing tank 1 is transported, the washing water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flowing out from the lower drain hose 27a.

또한, 본 실시예에는, 개폐식 밸브로서의 하부 단수 밸브(29)가 하부 배수 호스(27a)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단수 밸브(29)는 배수 경로의 하부 배수 구멍(26)으로부터 하부 배수 호스(27a) 사이에 설치된 구성도 사용 가능하고, 이 구성에 있어서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lthough the lower stage valve 29 as an open / close valve is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of the lower drain hose 27a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lower stage valve 29 is the lower drain hole 26 of the drainage path | route. The 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lower drain hose 27a can also be used, and the same effect is acquired also in this structure.

또한, 하부 단수 밸브(29)로는 개폐식 밸브 또는 구슬을 이용한 단수 밸브 등도 사용 가능하고, 이 구성에 있어서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As the lower stage valve 29, a shut-off valve or a stage valve using beads can also be used,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n this configuration.

실시예 14Example 14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 경로(30)가 세탁조(1e)의 위쪽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급수 경로(30)는 세탁조(1e)에 급수한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to FIG. 17A, the water supply path 30 is provided in the upper vicinity of the washing tank 1e. The water supply path 30 supplies water to the washing tank 1e.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이 구성에 있어서, 급수 경로(30)에 수도 꼭지(31)를 접속함으로써, 세탁조 (1e) 내에 수도물을 급수할 수 있다. 이 때, 수도 꼭지(31)가 세탁조(1e)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 있어서도, 급수 호스 등에 의해 급수할 때에, 급수 경로(30)에 급수 호스를 끼워 넣음으로써, 원활히 급수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tap water 31 can be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1e by connecting the tap 31 to the water supply path 30. At this time, even when the faucet 31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washing tank 1e, when water is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hose or the like, the water supply hose 30 can be smoothly supplied by inserting the water supply hose into the water supply path 30.

또는, 급수 경로(30)는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0e)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와 같이, 급수 경로(30)에 급수 호스를 끼워 넣음으로써, 원활히 급수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는 세탁조(1e)의 위쪽 근방에 급수 경로(30)를 마련하지 않아서 좋다.Or the water supply path 30 is provided in the cover part 20e, as shown in FIG. 17B. By this structure, water can be smoothly supplied by inserting a water supply hose into the water supply path 30 as mentioned above.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path 30 may not be provided near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tank 1e.

실시예 15Example 15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를 위한 상부 배수 구멍(32)이 세탁조(1 f)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배수 구멍(32)에 상부 배수 호스(33)를 접속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8, the upper drain hole 32 for drainage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ank 1f. The upper drain hose 33 is connected to this upper drain hole 32.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이 구성에 있어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1f)에 의해 헹굼 등을 하는 경우, 세탁조(1f)의 윗쪽으로부터 상부 배수 구멍(32)과 상부 배수호스(33)를 통해 배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느 정도 세탁조(1f) 내에 물을 넣은 상태로 급수하면서 헹구는, 소위 오버플로 헹굼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헹구기위해 급수와 배수를 몇 번이나 반복하는 일 없이, 세탁물을 원활히 헹굴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9, when rinsing or the like is performed by the washing tank 1f, water can be drain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tank 1f through the upper drain hole 32 and the upper drain hose 33. have. Therefore, what is called an overflow rinse which rinses while watering in the state which put water in the washing tank 1f to some extent can be performed. Thus, the laundry can be rinsed smoothly without having to repeat the water supply and draining several times to rinse.

실시예 16Example 16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배수 호스(33a)가 세탁조(1f)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배수 구멍(3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상부 배수 호스(33a)의 배수 경로에는 배수를 제어하는 상부 배수 단수 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다.As shown in FIG. 20, the upper drain hose 33a is connected to the upper drain hole 32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ank 1f. An upper drain stage valve 34 for controlling drainage is provided in the drain path of the upper drain hose 33a.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 구성에 있어서,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배수 단수 밸브(34)를 열음으로써, 급수하면서 헹구는, 소위 오버플로 헹굼을 할 수 있다. 또한, 오버플로 헹굼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배수 단수 밸브(34)를 닫음으로써, 세탁조(1f)에 물을 넣은 상태에 있어서의 운반 및 높은 수위에 있어서의 세탁 등에 있어서도, 세탁수가 기기 밖으로 흘러 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세탁수가 넘쳐 바닥면을 더럽히는 것이 방지된다.In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0A, so-called overflow rinsing, which is rinsed while supplying water, can be performed by opening the upper drain water stage valve 34. In addition, even when no overflow rinsing is carried out, as shown in FIG. 20B, by closing the upper drain water stage valve 34, the transportation in the washing tank 1f and washing at a high water level are performed. Also in the back, washing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apparatus, and washing water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the floor.

또, 본 실시예로는, 상부 배수 호스(33a)의 선단에, 개폐식 밸브로서의 상부 배수 단수 밸브(34)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배수 단수 밸브(34)는 배수 경로의 상부 배수 구멍(32)으로부터 상부 배수 호스(33a)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upper drain stage valve 34 as an open / close valve is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of the upper drain hose 33a,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upper drain stage valve 34 is the upper part of a drain path. It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drain hose 33a from the drain hole 32. As a result, the above effects are obtained.

실시예 17Example 17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34)가 구동측 기대(7c)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가이드부(34)는 세탁조(1)의 하부에 결합 가능하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21, the guide part 34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drive side base 7c, and the guide part 34 is coupleable to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tank 1. As shown in FIG.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이 구성에 있어서, 구동측 기대(7c)의 상부에 세탁조(1)를 장착할 때, 세탁조(1)를 가이드부(34)에 의해서 위치 결정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세탁조(1)의 장착성을 향상할 수 있다. 구동측 기대(7c)에 세탁조(1)를 얹어 놓기만 함으로써, 제 1 전달 커플링(6)과 제 2 전달 커플링(10)의 결합을 원활히 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ashing tank 1 is mounted on the drive side base 7c, the washing tank 1 can be positioned and mounted by the guide part 34. Therefore, the mounting property of the washing tank 1 can be improved. By simply placing the washing tub 1 on the drive side base 7c,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transfer coupling 6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10 can be smoothed.

실시예 18Example 18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1g)의 하부에 결합하기 위한 세탁조 고정 받이부(36)가 구동측 기대(7d)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세탁조(1g)를 구동측 기대(7d)에 고정하기 위한 세탁조 고정부(37)가 세탁조(1g)의 대략 밑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세탁조 고정부(37)와 세탁조 고정 받이부(36)에 의해서, 세탁조 고정 록 기구부가 구성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 고정부(37)는 볼록 형상을 갖고, 세탁조 고정 받이부(36)는 오목 형상을 갖는다. 세탁조 (1g)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측 기대(7d)의 세탁조 고정 받이부(36)에 세탁조 고정부(37)가 결합하여, 세탁조의 록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22, the washing tank fixing receiving part 36 for engaging with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tank 1g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7d of drive side parts. The washing tank fixing part 37 for fixing the washing tank 1g to the drive side base 7d is provided on the substantially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tank 1g. Here, the washing tank fixing | locking part 37 and the washing tank fixing receiving part 36 comprise the washing tank fixing lock mechanism part. As shown in FIG. 23, the washing tank fixing part 37 has a convex shape, and the washing tank fixing receiving part 36 has a concave shape. By rotating the washing tub 1g, the washing tub fixing portion 37 is coupled to the washing tub fixing receiving portion 36 of the drive side base 7d, so that the washing tub can be locked.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이 구성에 있어서, 세탁조(1g)와 구동측 기대(7d)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탈착 가능을 유지하면서, 장착시에 세탁조(1g)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록 기구부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잘못해서 세탁 중에 세탁조(1g)를 넘어뜨리는 것이 방지되고, 또는 진동 등에 의해 세탁조(19)가 구동측 기대(7d)에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washing tank 1g and the driving side base 7d are detachably configured, and a fixing lock mechanism portion capable of fixing the washing tank 1g at the time of mounting is provided while keeping the detachable. This prevents the washing tank 1g from accidentally falling over during washing, or the washing tank 19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driving side base 7d by vibration or the like.

또, 본 실시예로는, 세탁조 고정부(37)는 볼록 형상이고, 세탁조 고정 받이부(36)는 오목 형상이며, 세탁조(1g)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조 록을 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탁조(1g)측이 오목면 형상이고, 구동측기대(7d)가 볼록 형상인 구성도 사용 가능하다.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록 기구는 회전식 고정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등에 의한 록 기구도 사용 가능하고,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although the washing tank fixing part 37 was convex, the washing tank fixing receiving part 36 was concave, and the washing tank lock was shown by rotating the washing tank 1g, Not only this but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shing tank 1g side is concave-shaped, and the drive side base 7d is convex-shaped can also be used. Also in this case, the same effects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lock mechanism is not limited to rotational fixation, and a lock mechanism by a cylinder or the like can also be used,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실시예 19Example 19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검지부(38)가 세탁조(1h)의 대략 밑면의 결합면 근방에 설치되고, 결합 검지 수단(39)이 구동측 기대(7e)측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 검지 수단(39)은 구동측 기대(7e)와 세탁조(1h)와 결합한 것을 검지한다. 결합 검지 수단(39)의 출력이 제어 수단(40)에 입력되어, 회전 구동 장치(8)의 회전이 제어된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8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24, the detection part 38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ngagement surface of the substantially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tank 1h, and the engagement detection means 39 is provided in the drive side base 7e side. The engagement detecting means 39 detects the engagement with the drive side base 7e and the washing tank 1h. The output of the engagement detecting means 39 is input to the control means 40, where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 device 8 is controlle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ighteenth embodiment,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omit the description.

이 구성에 있어서, 피검지부(38)와 결합 검지 수단(39)에 의해, 세탁조(1 h)와 구동측 기대(7e)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합 검지 수단(39)의 출력에 근거하여, 제어 수단(40)은 회전 구동 장치(8)를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저속 회전수로 제어한다.In this structure, when the washing tank 1h and the drive side base 7e are separated by the detection unit 38 and the engagement detecting means 39, on the basis of the output of the engagement detecting means 39. The control means 40 controls the rotation drive device 8 not to rotate or at a low speed rotation speed.

이에 의해, 세탁조(1h)가 구동측 기대(7e)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구동측 기대(7e)의 제 2 전달 커플링(10)이 단독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 등이 회전체에 닿아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고, 세탁조(1 h)와 구동측 기대(7e)의 장착이 불완전한 경우에 잘못해서 세탁을 시작하여, 세탁조(1h)가 탈락하는 불안전인 상태가 미연에 방지된다.Thereby, when the washing tank 1h is not attached to the drive side base 7e, the 2nd transmission coupling 10 of the drive side base 7e is prevented from rotating alone, and a user's finger or When the hand or the like touches the rotating body to prevent injuries, when the washing tank 1h and the driving side base 7e are incompletely mounted, washing is started accidentally, and the washing tank 1h is unstable. It is prevented beforehand.

또한, 피검지부(38)로는 마그넷, 광반사판, 돌기, 또는 볼록 형상 등이 사용된다. 이에 대응하여, 결합 검지 수단(39)은 리드 스위치, 광 센서, 또는 기계 스위치 등이 사용된다. 세탁조(1h)가 구동측 기대(7e)에 장착되어 있을 때만, 회전 구동 장치(8)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회전을 제 2 전달 커플링(10)에 전하거나 하는 어느 것에 의해,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As the detection unit 38, a magnet, a light reflection plate, a projection, a convex shape, or the like is used. Correspondingly, as the coupling detecting means 39, a reed switch, an optical sensor, a mechanical switch, or the like is used. Only when the washing tank 1h is attached to the drive side base 7e, by rotating the rotary drive device 8 or transmitting the rotation to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the rotation is controlled. It is composed. As a result, the above effects are obtained.

실시예 20Example 20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볼록부(41)가 구동측 기대(7f)의 상면에, 제 2 전달 커플링(1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다.As shown in FIG. 25, the protective convex part 41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7f so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2nd transmission coupling 10 may be enclose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전달 커플링(10)을 둘러싸도록 보호 볼록부(41)를 배치함으로써, 세탁조(1)를 장착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제 2 전달 커플링(10) 상에 물건이 놓이는 것이 방지된다. 세탁조(1)를 장착할 때에 잘못해서 제 2 전달 커플링(10)에 부딪치는 것이 방지된다. 구동측 기대(7f)를 운반 중에 떨어뜨려 제 2 전달 커플링(10)을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키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said structure, as shown in FIG. 26, when arrange | positioning the protective convex part 41 so that the 2nd transmission coupling 10 may be surrounded, 2nd transmission in the case where the washing tank 1 is not attached. Objects are prevented from being placed on the coupling 10. Accidental hitting of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10 when mounting the washing tub 1 is prevented. It is prevented that the driving side base 7f is dropped during transportation to deform or break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또한, 상기 실시예 19와 같은 결합 검지 수단(39)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조작하는 사람이 제 2 전달 커플링(10)의 측면에 손가락을 넣는 것이 방지된다. 또는, 전도 등에 의해서 제 2 전달 커플링(10) 상에 손이 닿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처를 입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engagement detecting means 39 as in the nineteenth embodiment is not provided, the manipulator is prevented from putting a finger on the side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Alternatively, even if the hand touches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by conduction or the like, the user is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실시예 21Example 21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 경로(42)가 구동측 기대(7g)의 상면에 제 2 전달 커플링(10)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배수 경로(42)는 괸 물을 배수한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20과 같다.As shown in FIG. 27, the drain path 42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2nd transmission coupling 10 in the upper surface of 7g of drive side bases. Drainage path 42 drains water.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twenty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 구성에 있어서, 세탁조(1)를 탈착할 때, 조금 물을 엎지른 경우, 혹은 조작을 잘못해서 제 2 전달 커플링(10)의 상부에 물을 쏟은 경우에, 배수 경로(42)로부터 배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전달 커플링(10)의 하부에 물이 고이는 것이 방지된다. 기체 내부에 물이 침수하여 기체를 손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사용자가 감전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ashing tank 1 is detached, when water is spilled a little, or when water is spi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by mistake, water is drained from the drainage path 42. Can be. Thus, water is prevented from accumulat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10. Water is prevented from flooding inside the gas and damaging the gas. Electric shock to the user is prevented.

실시예 22Example 22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대내 배수 경로(43)가 구동측 기대(7 h)의 내부에 설치되고, 배수 밸브(44)를 갖는 배수 구멍(45)이 세탁조(1i)에 설치되어 있다. 배수밸브(44)는 탄성체(46)를 거쳐 배수 밸브 축(47)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 밸브 축(47)을 밀어 올릴 때, 배수 밸브(44)가 개방된다.As shown in FIG. 28, the in-base drainage path 43 is provided in the drive side base 7h, and the drainage hole 45 which has the drain valve 44 is provided in the washing tank 1i. . The drain valve 44 is provided on the drain valve shaft 47 via the elastic body 46. When this drain valve shaft 47 is pushed up, the drain valve 44 is opened.

또한, 개방 핀(48)이 기대내 배수 경로(43)에 설치되어 있다. 세탁조(1 i)를 구동측 기대(7h)에 결합했을 때만, 개방 핀(48)은 배수 밸브 축(47)을 누른다. 또한, 배수구 덮개(47)가 기대내 배수 경로(43)에 설치되고, 배수구 덮개(47)는 이 기대내 배수 경로(43)를 막을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n open pin 48 is provided in the in-drain drain path 43. Only when the washing tub 1 i is engaged with the drive side base 7h, the opening pin 48 pushes the drain valve shaft 47. In addition, the drain cover 47 is provided in the in-drain drain path 43, and the drain cover 47 can block the in-drain drain path 43.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1i)를 구동측 기대(7h)에 장착했을 때, 개방 핀(48)에 의해 배수 밸브 축(47)이 눌려지고, 배수 밸브(44)가 개방되며, 배수 구멍(45)을 거쳐 세탁조(1i)와 기대내 배수 경로(43)가 연통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9, when the washing tub 1i is attached to the drive side base 7h, the drain valve shaft 47 is pressed by the opening pin 48 to drain the drain valve 44. ) Is opened, and the washing tank 1i and the in-drain drainage path 4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drainage hole 45.

이에 따라, 세탁조(1i)에 배수구나 배수 호스 등이 필요 없게 되고, 구동측 기대(7h)를 배수 가능한 장소에 고정하여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세탁조(1i)에 물을 넣어 운반하는 경우에도, 물이 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구동측 기대(7h)에 기대내 배수 경로(43)를 마련함으로써,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세탁조(1i)를 경량으로 할 수 있고, 운반을 위한 하중을 늘리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그 결과, 조작성이향상된다.This eliminates the need for drainage, drainage hoses, etc. in the washing tub 1i, and can fix the drive side base 7h at a place where water can be drained and wash it. In addition, even when water is transported in the washing tank 1i, water leakage is prevented.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in-drain drainage path 43 in the drive side base 7h, the washing tank 1i configured to be detachable can be made light in weight, and the load for transport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reased. This is improved.

실시예 23Example 23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대내 배수 경로(43a)가 구동측 기대(7i)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배수를 제어하는 배수 제어 밸브(50)가 이 기대내 배수 경로(43a)에 설치되어 있다. 배수 제어 밸브(50)는 배수 제어 장치(51)에 의해 제어된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22와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0, the in-base drainage path 43a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drive side base 7i. A drain control valve 50 for controlling drainage is provided in this inboard drain path 43a. The drain control valve 50 is controlled by the drain control device 51.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omit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세탁조(1i)에서 세탁을 한 후, 배수 제어 장치(51)에 의해 배수 제어 밸브(50)를 열음으로써, 세탁조(1i) 내의 세탁수는 기대내 배수경로(43a)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In the above structure, after washing in the washing tank 1i, by opening the drainage control valve 50 by the drainage control device 51,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1i passes through the in-drain drainage path 43a. Can be drained.

이 때문에, 세탁조(1i)를 기울여 배수하거나, 배수 호스를 기울이거나 밸브를 손으로 열어 배수하는 등의 조작의 필요가 없어진다. 배수 제어 장치(51)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7i)에 이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세탁조(1i)는 경량화된다. 그 때문에, 운반을 위한 하중을 늘리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n operation such as tilting the washing tub 1i, tilting the drain hose, or opening the valve by hand to drain. The drainage control device 51 can automatically drain the water. Moreover, by providing this structure in the drive side base 7i, the washing tank 1i comprised so that attachment and detachment is reduced in weight. Therefore, the load for conveyance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and operability improves.

실시예 24Example 24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대내 배수 경로(43b)가 구동측 기대(7j)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배수를 제어하는 배수 제어 밸브(50a)가 기대내 배수경로(43b)에 설치되어 있다. 배수 제어 밸브(50a)는 배수 제어 장치(51a)에 의해 제어된다. 수위 검지 수단(52)이 구동측 기대(7j)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수위 검지 수단(52)은 세탁조(1i) 내의 세탁수의 수위를 검지한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23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1, the in-base drainage path 43b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drive side base 7j. A drain control valve 50a for controlling drainage is provided in the in-drain drain path 43b. The drain control valve 50a is controlled by the drain control device 51a. The water level detection means 52 is provided inside the drive side base 7j.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52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1i.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wenty-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omit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세탁조(1i)에서 세탁을 한 후, 배수 제어 장치(51a)에 의해 배수 제어 밸브(50a)를 열음으로써, 세탁조(1i)내의 세탁수를 기대내 배수경로(43b)를 통해 배수한다. 수위 검지 수단(52)에 의해 세탁조(1i) 내의 세탁수가 없어진 것을 검지하면 배수를 정지한다. 이에 따라, 세탁조(1i)를 기울여 배수하거나, 배수 호스를 넘어뜨리거나, 밸브를 손으로 여는 등의 조작의 필요가 없어진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washing in the washing tank 1i, by opening the drain control valve 50a by the drain control device 51a, the wash water in the washing tank 1i is transferred through the in-drain drain path 43b. Drain. When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52 detects that the wash water in the washing tank 1i has disappeared, drainage is stopped.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n operation such as tilting the washing tank 1i, draining the drain hose, or opening the valve by hand.

또한, 운전 중에 수위 정도 검지 수단(52)이 세탁수가 적절한 양보다 많은 것을 검지한 경우는 배수 제어 장치(51a)에 의해 배수 제어 밸브(50a)를 열음으로써, 자동적으로 세탁수를 배수한다. 또한, 세탁 도중에 배수 제어 밸브(50a)를 개방하여, 세탁 효과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세탁수의 자동 조절(감량)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7j)가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세탁조(1i)를 경량으로 할 수 있고, 운반을 위한 하중을 늘리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degree detecting means 52 detects that the washing water amount exceeds the appropriate amount, the washing water is automatically drained by opening the drainage control valve 50a by the drainage control device 51a. In addition, the drain control valve 50a is opened during washing to enable adjustment of the washing effect. In this way, automatic adjustment (reduction) of the washing water can be simplified. Moreover, when the drive side base 7j has such a structure, the washing tank 1i which can be detachably comprised can be made light, and the load for conveyance can be prevented, and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로는, 수위 검지 수단(52)이 세탁조(1i) 내의 세탁수가 없어진 것을 검지할 때, 배수가 정지된다. 세탁수가 적절한 양보다 많은 것을 검지한 경우, 자동적으로 세탁수가 배수된다.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배수 시간을 설정한 배수 시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배수를 자동적으로 하는 구성도 사용 가능하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52 detects that the wash water in the washing tank 1i has disappeared, the drainage is stopped. If more washing water is detected than the proper amount, the washing water is automatically drained. Not only this structure but the structure which automatically discharges water by arranging the drainage time limiter which set the predetermined drainage time can also be used. Also in this structure, the same effect is acquired.

실시예 25Example 25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대내 급수 경로(53)및 급수 밸브 등의 급수 수단(54)이 구동측 기대(7k)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급수 경로 밸브(55)를 갖는 세탁조 급수 경로(56)가 세탁조(1j)에 설치되어 있다. 세탁조(1j)를 구동측 기대(7k)에 장착했을 때에, 급수 경로 밸브(55)가 개방되고, 급수 경로 밸브(55)를 거쳐, 세탁조(1j)와 기대내 급수 경로(53)가 서로 연통된다.As shown in FIG. 32, water supply means 54, such as an inboard base water supply path 53 and a water supply valve, is provided in the drive side base 7k. A washing tank water supply path 56 having a water supply path valve 55 is provided in the washing tank 1j. When the washing tank 1j is attached to the drive side base 7k, the water supply path valve 55 is opened, and the washing tank 1j and the in-base water supply path 5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water supply path valve 55. do.

수위 검지 수단(57)이 기대내 급수 경로(53)에 마련되고, 수위 검지 수단(57)에 의해, 세탁조(1j) 내의 세탁수의 수위가 검지된다. 급수 시한 장치(58)는 소정의 급수 시간을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수위 검지 수단(57) 또는 급수 시한 장치(58)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됨으로써, 세탁조(1j) 내로 급수가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57 is provided in the in-water supply path 53,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1j is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57. The water supply time limiting device 58 has set a predetermined water supply time. Here, by supplying at least on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means 57 or the water supply time limiting device 58, the water supply is automatically executed into the washing tank 1j.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세탁조(1j)에서 세탁을 할 때, 급수 수단(54)을 열어 수도 꼭지(31)로부터, 기대내 급수 경로(53), 급수 수단(54), 세탁조 급수 경로(56), 급수 경로 밸브(55)를 통해서, 세탁조(1j) 내에 급수한다. 그리고, 수위 검지 수단(57)에 의해 소정의 수위가 검지된 경우, 또는 급수 시한 장치(58)에 설정한 소정의 급수 시간이 경과할 때, 급수가 정지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washing in the washing tank 1j, the water supply means 54 is opened to open the water supply path 53 in the base, the water supply means 54, the washing tank water supply path 56, Water is supplied into the washing tank 1j through the water supply path valve 55. Then, whe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is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57 or when the predetermined water supply time set in the water supply time limiting device 58 elapses, the water supply is stopped.

또한, 운전 중에 수위 검지 수단(57)에 의해 세탁수가 적절한 양이 아니고, 적은 것을 검지한 경우, (i)자동적으로 물을 급수하고, (ii)세탁에 있어서 미리 소정 시간만큼 급수 수단(54)을 제어하여 자동적으로 급수하고, (iii)세탁 도중에 급수수단을 개방하여 세탁 효과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등, 세탁수의 자동 조절(증량)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측 기대(7k)가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세탁조(1j)를 경량으로 할 수 있고, 운반을 위한 하중을 늘리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57 detects that the washing water is not a proper amount and is small, (i) the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and (ii) the water supply means 54 in adv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washing.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automatic adjustment (increase) of the washing water b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and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and (iii) opening the water supply means during washing to enable adjustment of the washing effect. Moreover, when the drive side base 7k has such a structure, the washing tank 1j which can be detachably comprised can be made light, and the load for conveyance can not be increased, and operability is improved.

실시예 26Example 26

도 3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1k)는 구동측 기대(7m)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기대(7m)는 세탁조(1k)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3A, the washing tank 1k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drive side base 7m. The drive side base 7m can be accommodated in the washing tank 1k.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종래의 통상의 소형 세탁 장치는 세탁시는 편리하지만, 그러나 구동측 기대가 세탁조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조가 비어 있어도, 세탁 장치의 수납시에는 세탁 기본체의 크기가 그대로이므로, 넓은 수납 장소를 필요로 하고, 수리 장소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Conventional small washing machines are convenient at the time of washing, but since the driving side bas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shing tank, even if the washing tank is empty, the size of the washing basic body remains the same at the time of storing the washing apparatus, so the wide storage A place is necessary, and a repair place may be difficult.

이에 대해, 본 실시예로는, 도 3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세탁조(1k)에 구동측 기대(7m)를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세탁 장치는 세탁조(1k)만의 크기가 되고, 그 때문에 세탁장치의 수납성이 매우 좋게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3B, the driving side base 7m can be stored in the washing tank 1k configured to be detachable, so that the washing apparatus is not used when the washing apparatus is not used. Becomes the size of only the washing tank 1k, and therefor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washing apparatus becomes very good.

또한, 본 실시예로는 수납하는 구동측 기대(7m)는 세워진 상태로 수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측 기대(7m)는 반전한 상태 또는 횡전한 상태로 수납되는 구성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세탁조(1k)의 내부에 수납하는 효과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although the drive side base 7m accommodated in this embodiment is accommodated in an upright posi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structure in which the drive side base 7m is accommodated in the inverted state or the transverse state can also be used. . By such a structure, the effect which accommodates in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1k has the outstanding effect as mentioned above.

또한, 도 33은 덮개(20)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20)가 없는 구성도 사용 가능하고, 이 구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수납성이 얻어진다.In addition, although FIG. 33 shows the lid | cover 20, the structure which is not limited to this and without the lid | cover 20 is also usable, and the outstanding storage property is obtained also in this structure.

실시예 27Example 27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측 기대(7n)는 세탁조(1k) 내에 수납 가능하다. 수납 손잡이부(59)가 구동측 기대(7n)에 병설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26)와 같다.As shown in FIG. 34, the drive side base 7n can be accommodated in the washing tank 1k. The storage handle 59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driving side base 7n.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26 described above.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구동측 기대(7n)를 세탁조(1k)에서 꺼낼 때 또는 세탁조(1k) 내에 수납할 때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수납 손잡이부(59)를 쥠으로써, 그 수납 작업을 원활히 실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수납성이 향상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driving side base 7n is taken out of the washing tank 1k or stored in the washing tank 1k, the user can remove the storage handle 59 to smoothly execute the storing operation. As a result, the storage performance is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에는 구동측 기대(7n)가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며 수납 손잡이부(59)는 구동측 기대(7n)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측 기대(7n)의 수납 상태는 임의의 방향으로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수납 방향에 의해 가장 꺼내기 쉬운 방향으로 수납 손잡이부(59)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원활한 수납이 실현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drive side base 7n is accommodated in the upright position, and the storing handle part 59 is loc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7n,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storage state of the drive side base 7n is not limited to this. Can be stored in any direction. In this case, the storing handle part 59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which is most easy to take out by the storing direction. As a result, smooth storage is realized.

실시예 28Example 28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측 기대(7m)는 세탁조(1m) 내에 수납가능하다. 구동측 기대(7m)를 유지하는 유지 볼록부(60)가 세탁조(1m) 내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26과 같다.As shown in FIG. 35, the drive side base 7m can be accommodated in the washing tank 1m. The holding convex part 60 holding the drive side base 7m is provided in the inner wall surface in the washing tank 1m.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26 described above.

상기 구성에 있어서, 구동측 기대(7m)를 세탁조(1m) 내에 수납할 때, 구동측 기대(7m)는 세탁조(1m) 내에서 유지 볼록부(60)에 의해 유지된다. 이 상태로 구동측 기대(7m)를 세탁조(1m) 내에 수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놓아 둔 경우, 또는 차 등에 의해 세탁 장치 전체를 수송한 경우에 있어서, 구동측 기대(7m)가 세탁조(1m)의 내부로 깊이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그 결과, 구동측 기대(7m)가 꺼내지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driving side base 7m is accommodated in the washing tank 1m, the driving side base 7m is held by the holding convex portion 60 in the washing tank 1m. In the state where the drive side base 7m is stored in the washing tank 1m in this state while being left for a long time, or when the whole washing apparatus is transported by a car or the like, the drive side base 7m becomes the washing tank ( Falling deep into 1m) is prevented, and as a result, the drive side base 7m is prevented from being taken out.

또, 세탁조(1m) 내의 내벽면에 마련한 유지 볼록부(60)를 세정 보조 볼록부를 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탁 행정에 있어서의 교반 날개의 회전에 의해 의류를 유지 볼록부(60)에 문지름으로써, 세탁판의 효과가 향상된다. 이에 따라, 더욱 강한 세탁력이 얻어짐과 동시에 구성이 간단해진다.Moreover, by constructing the holding convex part 60 provided in the inner wall surface in the washing tank 1m so that it may serve as a washing | cleaning auxiliary convex part, by rubbing a garment by the holding convex part 60 by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in a washing stroke, The effect of the washing plate is improved. As a result, a stronger washing force is obtained and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실시예 29Example 29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61)는 구동측 기대(7p)에 설치되어 있다. 전지(61)는 회전 구동 장치(8)에 전력을 공급한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6, the battery 61 is provided in the drive side base 7p. The battery 61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rotation drive device 8.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 구동 장치(8)에 전지(61)로부터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세탁을 하는 장소에 전원이 없는 경우 및 옥외에서의 사용의 경우 등, 세탁장소를 한정하지 않고 세탁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by supplying electric power from the battery 61 to the rotation drive device 8, washing can be performed without limiting the washing place, such as when there is no power source at the washing place or when using outdoors. .

실시예 30Example 30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측 기대(7q)는 바닥 밑(62)에 수납 가능하고, 세탁조(1)는 구동측 기대(7q)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7, the drive side base 7q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ttom 62, and the washing tank 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rive side base 7q.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예컨대 기저귀 등의 오물을 세탁하는 경우, 화장실의 바닥밑(62)에 구동측 기대(7q)를 바닥면 근방까지 수납하고, 이 구동측 기대(7q)에 세탁조(1)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다. 이에 따라, 아이의 배설물을 화장실에 버리고, 그 후, 더러워진 세탁물을 이동시키지 않고, 그 자리에서 더러워진 세탁물을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washing dirt such as a diaper, for example, the driving side base 7q is stored in the bottom 62 of the toilet to the vicinity of the floor surface, and the washing tank 1 is placed in the driving side base 7q. Removably mounted. Thereby, the waste of the child can be thrown into the toilet, and the dirty laundry can be easily washed on the spot without moving the dirty laundry thereafter.

또한,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측 기대(7q)를 수납고(63)의 서랍에 수납하거나 또는 부엌의 싱크(도시하지 않음)에 수납함으로써, 더러워진 세탁물이 발생할 때, 구동측 기대(7q)에 세탁조(1)를 장착하여, 그 자리에서 간단히 세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조(1)만을 준비함으로써, 간단히 그 자리에서 세탁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8, when the dirty side laundry generate | occur | produces by storing the drive side base 7q in the drawer of the storage 63, or a storage sink (not shown), the drive side base ( The washing tank 1 is attached to 7q) and can be washed easily on the spot. Thus, by preparing only the washing tank 1, it can wash easily on the spot. As a result, convenience is improved.

실시예 31Example 31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수 가변 수단(64)과 시한 가변 수단(65)이 구동측 기대(7r)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수 가변 수단(64)은 회전 구동 장치(8)의 회전수를 가변으로 한다. 시한 가변 수단(65)은 회전 구동 장치(8)의 회전의 온·오프 시한을 가변으로 한다. 세탁조(1)는 탈착 가능하게 구동측 기대(7r)에 장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9, the rotation speed variable means 64 and the time limit variable 65 are provided in the drive base 7r. The rotation speed variable means 64 makes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drive apparatus 8 variable. The time limit variable 65 makes the on / off time limit of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 apparatus 8 variable. The washing tank 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rive side base 7r.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mentioned above,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예컨대 복수의 회전수가 가변 가능하고, 높은 회전수가 강수류를 발생하고 회전수가 낮아짐에 따라서, 중수류 및 약수류 등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회전수의 고저를 표시한다. 그 회전수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 구동 장치(8)에 의해, 간헐 동작을 시킨다. 복수의 휴지 시한과 동작 시한을 갖는다. 동작 시한이 긴 경우에는 일반적인 의류를 세탁한다. 휴지 시한이 긴 경우는 섬세한 의류를 세탁한다. 이와 같이, 다채로운 세탁을 실현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rotational speeds are variable, and as the high rotational speed generates precipita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decreases, heavy water flow, weak water flow and the like are generated. In this way, the height of the rotational speed is displayed. The rotation speed can be switched. In addition, the rotation drive device 8 causes the intermittent operation. It has a plurality of rest periods and operation time periods. If the deadline is long, wash general clothing. If the deadline is long, wash delicate clothing. In this manner, various washings can be realized.

또한, 구동측 기대(7r)에 회전수 가변 수단(64)과 시한 가변 수단(65)을 마련함으로써,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세탁조(1)를 경량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운반을 위한 하중을 늘리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rotation variable means 64 and the time limit variable 65 in the drive side base 7r, the washing tank 1 comprised so that attachment and detachment can be made lightweight. Therefore, the load for conveyance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and operability improves.

실시예 32Example 32

본 발명의 세탁수의 세탁 방법의 일 실시예의 공정도가 도 40에 도시된다. 또한, 그 구성도가 도 1에 도시된다.A process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washing method of the wash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diagram is shown in FIG.

도 1과 도 40에 있어서, 세탁수의 세탁 방법은,1 and 40, the washing method of the wash water,

(a)회전 구동 장치(8)를 갖는 구동측 기대(7)를 준비하는 공정과,(a) preparing a drive-side base 7 having a rotation drive device 8,

(b)교반 날개(2)를 갖는 세탁조(1)를 준비하는 공정과,(b) preparing the washing tank 1 having the stirring blades 2,

(c)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상기 세탁조를 장착하는 공정으로서, 여기서,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교반 날개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가 서로 연결되는, 공정과,(c) mounting the washing tub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wherein the stirring vane and the rotary drive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d)상기 세탁조 속에 세탁수와 세탁수를 넣은 공정과,(d) the process of putt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into the washing tank,

(e)상기 세탁물과 상기 세탁수를 수납한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장치를 구동하는 공정으로서, 이에 따라, 상기 교반 날개가 구동하여, 상기 세탁수와 상기 세탁물이 교반되는, 공정과,(e) a step of driving the rotary drive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laundry containing the laundry and the wash water is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whereby the stirring vane is driven, The laundry is stirred, and

(f)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된 상기 세탁조를, 상기 구동측 기대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f) a step of separating the washing tub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from the drive side base.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구동측 기대(7)는 또한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설치된 제 2 전달 커플링(10)을 갖고,The drive side base 7 also has a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상기 세탁조(1)는,The washing tank 1,

상기 세탁조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축부(5)와,A shaft portion 5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상기 세탁조의 바닥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설치된 제 1 전달 커플링(6)을 갖고,On the outside of the bottom part of the said washing tank, it has the 1st transmission coupling 6 provided in the said shaft part,

상기 (c)공정에 있어서,In the step (c),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전달커플링(6)과 제 2 전달 커플링(10)이 서로 걸어 맞추어져,When the washing tub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the first transfer coupling 6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교반 날개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가 상기 제 1 전달 커플링과 상기 축부와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을 거쳐 서로 연결된다.The stirring vane and the rotary driv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first transmission coupling, th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세탁조 속에 투입한 후에, 그 세탁조를 구동측 기대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세탁조를 구동측 기대에 장착한 후에, 세탁물 또는 세탁수를 세탁조 속에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laundry or the washing water is put into the washing tank,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washing tank on the base of the driving side. Alternatively, after the washing tank i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driving side, laundry or washing water can be put into the washing tank.

또한, 본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31에 기재한 구성과 같은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In the thirty-second embodiment, the same method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to thirty-first embodiments can also be used.

이러한 세탁 방법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 1로부터 실시예 31에 기재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By this washing method, the same effects as those described in Example 31 can be obtained from Example 1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세탁 장치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탁의 준비 및 세탁 후의 처리 등의 조작성이 향상된다.As mentioned above, with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handling of a washing | cleaning apparatus can be made easy, and operability, such as preparation for washing and the process after washing, improves.

예컨대, 버킷 등의 별도의 용기 속에 세탁물을 넣지 않고, 세탁물을 세탁조에 넣고, 세탁물을 운반할 수 있어, 세탁물을 버킷으로부터 세탁조에 옮길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간단히 세탁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세탁물을 종류마다 분류하여, 각각의 분류마다 세탁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위생적으로 더러워진 세탁물, 적은 오물을 갖는 세탁물, 현저히 더러워진 세탁물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 별도로 세탁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변형이나 색이 바래기 쉬운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소량의 세탁물을 손 빨래하지 않고, 이 세탁 장치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세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 거칠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세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수납하는 경우, 세탁조와 구동측 기대를 분리하여, 각각을 작게 하고, 소망하는 장소에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탁 장치를 수납하기 위해서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laundry can be put in the washing tank and the laundry can be transported without putting the laundry in a separate container such as a bucket,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to transfer the laundry from the bucket to the washing tank. In addition, washing can be performed easily. For example, laundry is sorted for each kind, and washing is easy for each sort. It is easy to wash the laundry separately by classifying it as sanitary dirty laundry, laundry with a small amount of dirt, laundry which is significantly dirt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laundry which is easy to deform | transform and fades can be divided and can be washed. In addition, since a small amount of laundry can be easily washed using this washing apparatus without hand washing, the user's hand is prevented from being rough. Moreover, when storing, without using a washing apparatus, a washing tank and a drive side base can be isolate | separated, each can be made small, and it can be stored in a desired place. For this reason, a large place is not needed in order to accommodate a washing apparatus.

Claims (44)

(a)회전 구동 장치(8)를 갖는 구동측 기대(7)와,(a) a drive side base 7 having a rotation drive device 8, (b)교반 날개(2)를 갖고, 세탁수를 수납하기 위한 세탁조(1)를(b) having a stirring blade (2), washing tank (1) for storing the wash water 구비하되,But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 구동이 상기 교반 날개에 전달 가능한 세탁기.The washing machine which can transmit the rotational drive of the said rotation drive apparatus to the said stirring blade when the said washing tank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drive side base. (a)회전 구동 장치(8)와 제 2 전달 커플링(10)을 갖는 구동측 기대(7),(a) a drive side base 7 having a rotation drive device 8 and a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은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is rotatable connected to the rotational drive, (b)세탁수를 수납하기 위한 세탁조(1)를 구비하며,(b) having a washing tub 1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상기 세탁조는,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와,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tub, 상기세탁조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회전 가능한 축부(5)와,A rotatable shaft portion 5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서 상기 축부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교반 날개(2)와,A rotatable stirring blade (2) mounted to the shaft portion in 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의 상기 바닥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제 1 전달 커플링(6)을 가지며,On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it has a first transmission coupling (6) installed in the shaft portion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drive, 상기 세탁조는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 가능하고, 또한 상기 세탁조는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며,The washing tank is mounta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and the washing tank is detachabl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전달 커플링과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이 서로 걸어 맞추어지고,When the washing tub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the first transfer coupling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가 구동했을 때, 상기 교반 날개가 회전하는In the state where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the stirring blade rotates when the rotating device is driven. 세탁 장치.Laundry uni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교반 날개은 상기 축부의 상단에 장착되고,The stirring blade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haft portion, 상기 제 1 전달 커플링은 상기 축부의 하단에 결합되고,The first transfer coupling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가 구동했을 때,When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drive side base, and the rotary device is driven, 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 구동은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과 상기 제 1 전달 커플링을 거쳐, 상기 교반 날개에 전달되고, 그에 의해 상기 교반 날개가 회전하는 세탁 장치.The rotary drive of the rotary drive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tirring blade via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and the first transmission coupling, whereby the stirring blade rotate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상기 회전 구동 장치와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의 사이에 설치된 구동 회전수 감속 장치(14)를 갖는 세탁 장치.The drive side base also has a laundry speed reduction device (14)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drive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상기 교반 날개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6)을 갖는 세탁 장치.The drive side base also has a washing device hav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vane.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세탁조는 또한 상기 개구의 근방에 설치된 손잡이부(17)를 갖는 세탁장치.The washing tub also has a handle portion (17)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세탁조는 그 내벽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위 기준선(18)을 갖고, 상기 수위 기준선은 상기 세탁조에 주수하는 세탁수의 수위를 나타내는The washing tank has at least one water level reference line 18 formed on an inner wall thereof, and the water level reference line indicates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poured into the washing tank. 세탁 장치.Laundry un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세탁조는 그 내벽면의 대략 바닥부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세정 보조 볼록부(19)를 갖는 세탁 장치.The washing tank has at least one cleaning auxiliary convex portion (19) which is install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a bottom port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thereof.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세탁조는 또한 그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부(20)를 갖는 세탁 장치.The washing tub also has a lid portion (20)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its opening.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덮개부는 그 덮개부의 개폐 상태를 유지하는 록 기구(21)를 갖는 세탁 장치.And said lid portion has a lock mechanism (21) for maintaining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lid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덮개부(20b)는 상기 세탁조 안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구멍부(23)를 갖고,The cover portion 20b has a hole portion 23 for draining the wash water in 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가 경사 또는 상하 전도됨으로써, 상기 세탁조 속의 상기 세탁수가 배수되는 세탁 장치.The washing device is inclined or upside down to drain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덮개부(20c)는 또한 상기 구멍부의 외곽측에 설치된 단수 리브(24)를 갖는 세탁 장치.The cover unit (20c) also has a singular rib (24)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le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덮개부(20d)는 또한 상기 구멍부의 상기 세탁조측에 설치된 볼록부(25)를 갖고,The lid portion 20d also has a convex portion 25 provided on the washing tank side of the hole portion, 상기 볼록부는 세탁물에 의해 상기 구멍부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The convex portion prevents the hole portion from being blocked by laundry. 세탁 장치.Laundry un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세탁조(1d)는 또한 그 세탁조의 대략 아래쪽으로 설치된 하부 배수 호스(26)를 갖고,The washing tub 1d also has a lower drain hose 26 installed approximately below the washing tub, 상기 하부 배수 호스는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의 밖으로 배수하는 세탁 장치.The lower drain hose drains the washing water out of the washing tank.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세탁조(1d)는 또한 상기 하부 배수 호스의 배수 경로에 설치된 하부 단수 밸브(29)를 갖고,The washing tub 1d also has a lower stage valve 29 installed in the drainage path of the lower drain hose, 상기 하부 단수 밸브는 배수를 제어하는 세탁 장치.The lower stage valve is a laundry device to control the drai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세탁조(1e)는 또한 상기 세탁조의 위쪽 근방에 설치된 급수 경로(30)를 갖고,The washing tank 1e also has a water supply path 30 installed near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tank, 상기 급수 경로는 상기 세탁조에 급수하는 세탁 장치.Washing apparatus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y path to the washing tank.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세탁조(1f)는 또한 상기 세탁조의 위쪽 근방에 설치된 상부 배수 구멍(32)과, 상기 상부 배수 구멍에 접속한 상부 배수 호스(33)를 갖는 세탁 장치.The washing tank (1f) further includes an upper drain hole (32) provided near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tank, and an upper drain hose (33) connected to the upper drain hole.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세탁조는 또한 상기 상부 배수 호스(33a)의 배수 경로에 설치된 상부 배수 단수 밸브(34)를 갖고,The washing tank also has an upper drainage stage valve 34 installed in the drainage path of the upper drainage hose 33a, 상기 상부 배수 단수 밸브는 배수를 제어하는 세탁 장치.The upper drainage stage valve is a laundry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ainag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7c)는 그 구동측 기대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부(34)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7c has a guide portion 34 provided above the drive side base,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상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세탁조의 하부에 결합하는In the state where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the gu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ank. 세탁 장치.Laundry unit.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구동측 기대(7d)는 또한 세탁조 고정 받이부(36)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7d also has a washing tub fixing receiving portion 36, 상기 세탁조(19)는 또한 세탁조 고정부(37)을 갖고,The washing tub 19 also has a washing tub fixing 37, 상기 세탁조 고정 받이부와 상기 세탁조 고정부는 세탁조 고정 록 기구부를 형성하고,The washing tank fixing receiving portion and the washing tank fixing portion to form a washing tank fixing lock mechanism, 상기 세탁조 고정 받이부와 상기 세탁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세탁조가 구동측 기대에 고정되는The washing tank is fixed to the driving side base by the washing tank fixing receiving part and the washing tank fixing part. 세탁 장치.Laundry un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7e)는 또한 결합 검지 수단(39)과 제어 수단(40)을 갖고,The drive side base 7e also has a engagement detecting means 39 and a control means 40, 상기 결합 검지 수단은 상기 구동측 기대와 상기 세탁조(1h)의 결합·분리를 검지하고,The engagement detecting means detects the engagement and separation of the driving base base and the washing tank 1h, 상기 제어 수단은 전 결합 검지 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에 의해, 상기 회전 구동 장치(8)의 회전을 제어하는 세탁 장치.Said control means is a washing apparatus which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said rotation drive device (8) by the output from a previous engagement detection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7f)는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10)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설치된 보호 볼록부(41)를 갖는 세탁 장치.The drive side base (7f) has a protective convex portion (41) provided at a position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7g)는 그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설치된 배수 경로(42)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7g has a drain path 4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상기 배수 경로는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의 근방에 괴인 물을 배수하는 세탁 장치.The drainage path drains congested water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7h)는 또한 그 구동측 기대의 내부에 설치된 기대내 배수 경로(43)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7h also has an in-base drainage path 43 provided inside the drive side base, 상기 세탁조(1i)는 또한 배수 밸브를 갖는 배수 구멍(45)을 갖고,The washing tub 1i also has a drain hole 45 having a drain valve,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했을 상태에 있어서만 상기 배수 밸스가 개방되고, 그리고 상기 배수 구멍을 거쳐서 상기 세탁조와 상기 기대내 배수 경로가 연통하는The drainage balance is opened only when the washing tub is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and the washing tub and the in-drain drainage pat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drainage hole. 세탁 장치.Laundry unit.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기대내 배수 경로(43a)는 배수를 제어하는 배수 제어 밸브(50)와, 상기 배수 제어 밸브를 제어하는 배수 제어 장치(51)를 갖는 세탁 장치.And said drainage passage (43a) has a drain control valve (50) for controlling drainage and a drain control device (51) for controlling said drain control valve.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구동측 기대(7j)는 또한 상기 세탁조(1i) 속의 세탁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 수단(52)과, 소정의 배수 시간을 설정한 배수 시한 장치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7j further has at least one of water level detecting means 52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1i, and a draining time limiter for setting a predetermined drainage time. 상기 수위 검지 수단과 상기 배수 시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검지에 의해서, 배수가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세탁 장치.Washing apparatus which performs drainage automatically by the det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said water level detection means and the said drainage time limit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7k)는 또한 상기 구동측 기대의 내부에 설치된 기대내 급수 경로(53)와, 급수 수단(54)과, 상기 기대내 급수 경로에 설치된 검지수단(57)과 급수 시한 장치(58)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7k further includes an in-base water supply path 53 provided inside the drive side base, water supply means 54, detection means 57 provided on the in-base water supply path, and a water supply time limiting device ( 58),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세탁조내의 세탁수의 수위를 검지하고,The detection means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상기 세탁조(1j)는 급수 경로 밸브(55)를 갖는 세탁조 급수 경로(56)를 갖고,The washing tank 1j has a washing tank water supply path 56 having a water supply path valve 55, 상기 세탁조를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했을 때의 상태에 있어서만, 상기급수 경로 밸브가 개방되고, 그리고 상기 급수 경로 밸브를 거쳐 상기 세탁조와 상기 기대내 급수 경로가 연통하고,Only when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the water supply path valve is opened, and the washing tank and the in-water supply pat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water supply path valve. 상기 수위 검지 수단과 상기 급수 시한 장치 중 적어도 한쪽 검지에 의해서, 급수가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세탁 장치.A washing apparatus in which water supply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means and the water supply time limiting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7m)와 상기 세탁조(1k)는 상기 구동측 기대가 상기 세탁조 속에 수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세탁 장치.The drive side base (7m) and the washing tank (1k) has a shape in which the drive side base can be accommodated in the washing tank.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구동측 기대(7n)는 또한 수납 손잡이부(59)를 갖는 세탁 장치.The drive side base (7n) also has a receiving handle (59).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세탁조(1m)는 상기 세탁조의 내벽면에 설치된 유지 볼록부(60)를 갖고, 상기 유지 볼록부는 상기 구동측 기대를 유지하는 세탁 장치.The washing tank (1m) has a holding convex portion (60) provid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and the holding convex portion holds the driving side base. 제 3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유지 볼록부는 세정 보조 볼록부를 겸하는 형상을 갖는 세탁 장치.Washing | cleaning apparatus which has a shape which serves as the said maintenance convex par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7p)는 또한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61)를 갖는 세탁 장치.The drive side base (7p) also has a battery (61) for supplying power to the rotary drive uni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7q)는 마루 밑(62) 또는 수납고(63)의 서랍 부분에 수납 가능한 형상을 갖는 세탁 장치.The drive side base (7q) has a shape that can be stored in the bottom of the floor (62) or the drawer portion of the storage (6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측 기대(7r)는 또한 상기 회전 구동 장치(8)의 회전수와 회전의 온·오프 시한을 적어도 2단계 이상 가변으로 하는 가변 장치(64, 65)를 갖는 세탁 장치.The drive side base (7r) further comprises a variable device (64, 65) for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drive device (8) and the on / off time limit of the rotation at least two or more step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세탁조는 사용자가 손으로 운반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세탁 장치.The washing tub has a size that can be carried by the user by han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세탁조는 플라스틱 성형체 및 금속 가공체 중 적어도 하나로 제조되어 있는 세탁 장치.The washing tank is a laundry device is made of at least one of a plastic molded body and a metal workpiece. (a)회전 구동 장치(8)를 갖는 구동측 기대(7)를 준비하는 공정과,(a) preparing a drive-side base 7 having a rotation drive device 8, (b)교반 날개(2)를 갖는 세탁조(1)를 준비하는 공정과,(b) preparing the washing tank 1 having the stirring blades 2, (c)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상기 세탁조를 장착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교반 날개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가 서로 연결되는, 공정과,(c) a step of attaching the washing tub to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wherein the stirring vane and the rotary drive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washing tank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side base; (d)상기 세탁조 속에 세탁수와 세탁물을 넣는 공정과,(d) putting washing water and laundry in the washing tank, (e)상기 세탁물과 상기 세탁수를 수납한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장치를 구동하는 공정으로서, 이에 따라, 상기 교반 날개가 구동하여, 상기 세탁수와 상기 세탁물이 교반되는, 공정과,(e) a step of driving the rotary drive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laundry containing the laundry and the wash water is mounted on the driving side base, whereby the stirring vane is driven, The laundry is stirred, and (f)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된 상기 세탁조를, 상기 구동측 기대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한 세탁물의 세탁 방법.(f) The laundry method of the laundry provided with the process of isolate | separating the said washing tank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drive side base from the said drive side base. 제 3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구동측 기대(7)는 또한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설치된 제 2 전달 커플링(10)을 갖고,The drive side base 7 also has a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1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e side base, 상기 세탁조(1)는,The washing tank 1, 상기 세탁조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축부(5)와,A shaft portion 5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상기 세탁조의 바닥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설치된 제 1 전달 커플링(6)을 갖고,On the outside of the bottom part of the said washing tank, it has the 1st transmission coupling 6 provided in the said shaft part, 상기 (c)공정에 있어서,In the step (c),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전달커플링(6)과 제 2 전달 커플링(10)이 서로 걸어 맞추어지고,When the washing tub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the first transfer coupling 6 and the second transfer coupling 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교반 날개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가 상기 제 1 전달 커플링과 상기 축부와 상기 제 2 전달 커플링을 거쳐 서로 연결되는 세탁 방법.And the stirring vane and the rotary driv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first transmission coupling, the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upling. 제 3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 세탁조 고정부(36)를 갖고,The drive side base also has a wash tub fixing portion 36, 상기 세탁조(1g)는 세탁조 고정부(37)를 더 갖고,The washing tank 1g further has a washing tank fixing portion 37, 상기 세탁조 고정 받이부와 상기 세탁조 고정부는 세탁조 고정 록 기구부를 형성하고,The washing tank fixing receiving portion and the washing tank fixing portion to form a washing tank fixing lock mechanism, 상기 (c)공정에 있어서,In the step (c), 상기 세탁조 고정 받이부와 상기 세탁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세탁조가 구동측 기대에 고정되는 세탁 방법.And a washing tank fixed to the driving side base by the washing tank fixing receiving portion and the washing tank fixing portion. 제 3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세탁조는 또한 손잡이부(17)를 갖고,The wash tub also has a handle 17, 상기 (c)공정과 상기 (f)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해 들려져서, 상기 세탁조가 상기 구동측 기대에 탈착(분리/장착)되는 세탁 방법.The washing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teps (c) and (f), wherein the handle part is lifted by the user so that the washing tank is detached (separated / mounted) from the base of the drive side. 제 3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세탁조는 또한 상기 세탁조의 개구에 장착과 분리 가능한 덮개부(20)를 갖고,The wash tub also has a lid 20 detachable from the opening of the wash tub, 상기 덮개부는,The cover part, (i)그 덮개부의 개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록 기구(21)와,(i) the lock mechanism 21 for maintain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cover part, (ii)상기 세탁조 속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구멍부(23)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세탁 방법(ii) a washing method having at least one of the holes 23 for draining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제 3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세탁조는 또한,The wash tub is also, (ⅰ)상기 세탁조의 대략 하부에 설치된 하부 배수 호스(26)와,(Iii) a lower drain hose 26 installed at an approximately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ub, (ⅱ)상기 세탁조의 대략 상부에 설치된 급수 경로(30)와,(Ii) a water supply path 30 provided at an upper part of the washing tank, (ⅲ)상기 세탁조의 대략 상부에 설치된 상부 배수 구멍(32)과(Iii) an upper drainage hole 32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ank and (ⅳ)상기 세탁조의 내벽면에 설치된 유지 볼록부(60)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Iii) hav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lding convex portions 60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세탁 방법.How to wash. 제 3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The drive side leaning is also (ⅰ)상기 구동측 기대와 상기 세탁조의 결합과 분리를 검지하기 위한 결합 검지 수단(39)과,(Iii) coupling detecting means 39 for detecting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driving base base and the washing tank, (ⅱ)상기 회전 구동 장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40)과,(Ii) a control means 40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e device, (ⅲ)상기 세탁조 속의 세탁수의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수위 검지 수단(52)과,(Iii) water level detecting means 52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ⅳ)소정의 배수 시간을 설정하는 배수 시한 장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세탁 방법.(Iii) A washing method hav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rainage time limiter for setting a predetermined drainage time. 제 3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구동측 기대는 또한,The drive side leaning is also (ⅰ)상기 구동측 기대의 상면에 설치된 배수 경로(42)와,(Iii) a drain path 42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ide base, (ⅱ)상기 구동측 기대의 내부에 설치된 기대내 배수 경로(43)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세탁 방법.(Ii) A washing method having at least one of the in-drain drainage paths (43) provided inside the drive-side base.
KR10-2001-0060785A 2001-04-25 2001-09-28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washing laundry KR10051724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7438 2001-04-25
JP2001127438A JP3397204B2 (en) 2001-04-25 2001-04-25 Wash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733A true KR20020082733A (en) 2002-10-31
KR100517240B1 KR100517240B1 (en) 2005-09-28

Family

ID=1897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785A KR100517240B1 (en) 2001-04-25 2001-09-28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washing laundry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157190A1 (en)
JP (1) JP3397204B2 (en)
KR (1) KR100517240B1 (en)
CN (2) CN1223717C (en)
GB (1) GB237487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60421C (en) * 2002-04-29 2006-06-21 江门市洗衣机厂 Portable split washing machine
US20030221463A1 (en) * 2002-05-28 2003-12-04 Chung-Ming Chen Structural improvement of portable clothes washer
CN2705636Y (en) * 2004-06-16 2005-06-22 江门市汉宇电器有限公司 Centrifugal water discharge pump
CN101225593B (en) * 2008-02-05 2010-06-02 俞文豹 Minisize automatic washer
US8056171B2 (en) * 2008-07-14 2011-11-15 Alliance Laundry Systems Llc Leak and poor drainage detection for electronic laundry machine
WO2010108444A1 (en) * 2009-03-27 2010-09-30 Shun Pui Andrew Chiu Small-size test paint pot assembly
CN104596926B (en) * 2013-08-27 2018-12-14 东阳市天杨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A kind of fastness to washing detection device of structure improved socks
CN105002695B (en) * 2014-04-23 2019-05-3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detachable interior bucket, the washing machine with the interior bucket and its interior bucket method for dismounting
CN106319838B (en) * 2015-06-30 2019-05-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The water discharge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CN105544141B (en) * 2016-02-01 2017-08-01 北京明月创造科技有限公司 Split type public washing machine
CN105780388B (en) * 2016-04-27 2017-09-12 湖北工业大学 Old man's detachable washing machine
CN105951373B (en) * 2016-06-30 2019-07-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Washing machine
IL256031B (en) * 2017-11-30 2021-02-28 Yosef Akrav Pinhas Automatic system for separating and identifying insects on leaves
CN109056262B (en) * 2018-06-28 2020-07-10 谭博 Underwear cleaning machine
CN110592873A (en) * 2019-08-05 2019-12-20 义乌市宏博机械科技有限公司 Clamping jaw type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629461A (en) * 2019-08-05 2019-12-31 义乌市宏博机械科技有限公司 Washing machine inner barrel dismounting and mounting method
CN113249921A (en) * 2020-02-11 2021-08-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Washing machine
WO2022082101A1 (en) 2020-10-18 2022-04-21 Monotony.ai, Inc. Robotic laundry sort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13476199B (en) * 2021-07-02 2023-04-18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Improved perianal ostomy ba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4787A (en) * 1939-10-03 Washing machine
US2156541A (en) * 1936-12-15 1939-05-02 Paul K Misenhimer Portable washing machine
GB683909A (en) * 1949-12-08 1952-12-10 Robert Charles Lightbourne An improved method of and machine for washing clothes and like articles
US2756580A (en) * 1952-07-22 1956-07-31 Speed Flex Inc Apparatus for washing clothes
US3951351A (en) * 1974-06-13 1976-04-20 Oster Corporation Multi-purpose kitchen appliance
GB1600984A (en) * 1978-05-26 1981-10-21 Hotpoint Ltd Clothes washing machines
US4293008A (en) * 1979-12-10 1981-10-06 The Coca-Cola Company Ratio graduate for use with post-mix beverage dispenser
JPS57142296A (en) * 1981-02-27 1982-09-02 Takao Gotou Small-sized electric washing machine
KR0170254B1 (en) * 1992-12-28 1999-03-30 윤종용 Rotational conveyer
KR960001786U (en) * 1994-06-15 1996-01-19 최성무 Detachable Mini Washer
US6027242A (en) * 1995-09-01 2000-02-22 24Th & Dean Food preparation blender with mixing blades oscillating between larger and smaller volumes
US6012837A (en) * 1999-01-13 2000-01-11 Thuma; Michael C. Integrated dual mixing action stirring blender
GB9906926D0 (en) * 1999-03-26 1999-05-19 Kenwood Marks Ltd Drive system for domestic appliances
US6092922A (en) * 1999-06-29 2000-07-25 Whirlpool Corporation Food blender with a balanced blade
US6609821B2 (en) * 2001-04-13 2003-08-26 Sunbeam Products, Inc. Blender base with food processor capabi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74875B (en) 2003-07-09
CN2539761Y (en) 2003-03-12
GB0203815D0 (en) 2002-04-03
KR100517240B1 (en) 2005-09-28
US20020157190A1 (en) 2002-10-31
CN1223717C (en) 2005-10-19
CN1382858A (en) 2002-12-04
JP2002320791A (en) 2002-11-05
JP3397204B2 (en) 2003-04-14
GB2374875A (en)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240B1 (en)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washing laundry
US6886371B2 (en) Washer having a partial washing apparatus, and washing apparatus
US4637230A (en) Clothes washing machine
JP7113165B2 (en) washing machine
EP3663456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spray arm assembly
US20060260366A1 (en) Laundry appliance for washing small quantities of clothing
US5937677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spraying nozzle assembly
CA2169814A1 (en) Liquid fabric softener dispenser for automatic washing machines
US5823018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spraying nozzle assembly
US5749248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detachable washing bucket
GB2322140A (en) Pulsator for a washing machine
JP3397207B2 (en) Washing equipment
JP4042252B2 (en) Washing machine
CN115884836B (en) Washing machine
JP3397208B2 (en) Washing equipment
JP3397206B2 (en) Washing equipment
US4522045A (en) Portable small-sized washing machine
JP2002331186A (en) Washing method
JP2002369995A (en) Washing apparatus
JPH11319380A (en) Washing machine
US5809807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movable spin tub cover assembly
CN115867394B (en) Ultrasonic clean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JP2017158602A (en) Washing machine
KR100268278B1 (en) Apparatus for dispersion cleaning material of a washing machine
KR0142391B1 (en) A detergent division inser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