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510A -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510A
KR20020082510A KR1020010021907A KR20010021907A KR20020082510A KR 20020082510 A KR20020082510 A KR 20020082510A KR 1020010021907 A KR1020010021907 A KR 1020010021907A KR 20010021907 A KR20010021907 A KR 20010021907A KR 20020082510 A KR20020082510 A KR 2002008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file
icons
ic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1583B1 (ko
Inventor
신용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5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8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인용 정보단말기(PDA)에 화면 표시되는 아이콘(Icon) 또는 파일 항목을, 서로다른 위치 좌표 값을 갖는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의 제2 영역을 한번 선택 터치하는 경우, 해당 아이콘 또는 파일에 대한 사용자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다수의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의 제2 영역들을 드래깅(Dragging) 동작을 통해 연속 터치하는 경우, 해당 아이콘 또는 파일들을 다중 선택하는 다중 선택(Multi Selection)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키보드(Keyboard)와 마우스(Mouse)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은 소형의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도, 개인용 컴퓨터(PC)에서의 다중 선택 기능 및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 Method for transmitting a user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
본 발명은,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화면 표시되는 다수의 아이콘(Icon) 또는 파일 항목들을 다중 선택(Multi-Selection)하거나, 또는 개인용 컴퓨터(PC)의 마우스 오른 쪽 버튼과 같이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도 1은 일반적인 개인용 정보단말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개인용 정보단말기는, 사용자의 손 또는 별도의 전자 터치 펜(Touch Pen) 등을 통해 정보를 입력 수신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1); 상기 터치 스크린을 구동시키기 위한 터치 스크린 드라이버(2);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3); 상기 정보 및 키 입력에 상응하는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 상기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문자 인식부(7)와 문자 데이터 베이스(8);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선택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실행부(9)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10); 상기 터치 스크린 또는 키 입력부를 통해 요청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각 구성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 그리고 제어부의 동작제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6)가 포함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에서는, 개인용 정보단말기(PDA)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개인 일정 안내 및 계산기와 같은 전자수첩 기능, 그리고 MP3 플레이어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인용 정보단말기의 표시부(4)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펜(200)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한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 실행시키기 위한 다수의 아이콘을 화면 표시되거나, 또는 임의의 한 특정 파일을 선택 오픈(Open)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파일 항목들을 화면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화면 표시된 임의의 한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을 선택 터치(Touch)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터치 스크린(1) 상에서의 위치 좌표를 검출하게 되고, 상기 검출된 위치 좌표에 대응되는 아이콘 또는 파일을 확인한 후, 해당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선택 실행시키거나 또는 선택 오픈시키게 되므로, 결국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간단하게 선택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개인용 정보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을 위하여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개인용 컴퓨터(PC)에서와 같이 별도의 키보드 및 마우스(Mouse)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를 이용한 다중 선택 및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기능,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용 정보단말기에 화면 표시된 다수의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들을 다중 선택하거나, 또는 개인용 컴퓨터(PC)의 마우스 오른 쪽 버튼 사용시와 같이 해당 아이콘 또는 파일에 대한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인 탑 다운 메뉴 방식 혹은 탭 앤드 홀드(Tab And Hold)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탑 다운 메뉴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각 아이콘에 해당하는 메뉴를 모두 표현하기 곤란하게 되며, 상기 탭 앤드 홀드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정시간 동안 아이콘을 클릭하고 있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개인용 정보단말기(PDA)에 화면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을, 서로다른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영역 선택 터치시, 해당 아이콘 또는 파일에 대한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기능을 제공하며, 또한 드래깅(Dragging) 동작에 의해 다수의 제2 영역들을 선택되는 경우, 해당 아이콘들 또는 파일 항목들에 대한 다중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개인용 정보단말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아이콘(Icon) 표시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일반적인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파일 항목 표시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범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화면 표시되는 아이콘 및 하위 메뉴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화면 표시되는 파일 항목 및 하위 메뉴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화면 표시되는 다중 선택 아이콘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화면 표시되는 다중 선택 파일 항목들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터치 스크린2 : 터치 스크린 드라이버
3 : 키 입력부4 : 표시부
5 : 제어부6 : 메모리부
7 : 문자 인식부 8 : 문자 데이터베이스
9 : 프로그램 실행부10 :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100,300 : 개인용 정보단말기200 : 전자 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호 구분되어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성된 아이콘또는 파일 항목을 하나 이상 표시하는 1단계; 상기 화면 표시된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에 대해 전자적 접촉이 있는 경우, 그 접촉점이 제1 영역인 지 또는 제2 영역인 지를 판단하는 2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접촉된 아이콘 또는 파일 목록에 대해 서로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호 구분되어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성된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을 하나 이상 표시하는 1단계; 터치 입력 화면상에 전자적 접촉이 있는 경우, 그 접촉점의 궤적을 검출하는 2단계; 상기 검출된 궤적이, 상기 화면 표시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들의 제2 영역을 지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3단계; 및 상기 궤적 상에 제2 영역이 놓인 아이콘 도는 파일 항목들을 선택 상태로 기록하고, 이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의 제어부(5)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파일을 간단하게 터치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들이 나열되는 파일 목록을 상기 표시부(4)를 통해 화면 표시하게 된다(S1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들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다른 위치 좌표 값을 갖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 표시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보다 작은 영역으로 화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 표시되는 특정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을, 전자 펜(200) 등을 이용하여 터치 선택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5)에서는, 상기 전자 펜에 의해 터치된 특정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 중, 그 터치된 제1 또는 제2 영역의 위치 좌표를 검출 확인하게 된다(S11).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 좌표가 특정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의 제1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S12),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선택 실행시키거나, 또는 해당 파일을 선택 오픈시키는, 일반적인 프로그램 실행 및 파일 오픈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3).
한편,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 터치한 위치 좌표가 특정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의 제2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S14)에는, 그 터치 입력이 계속 입력되는 지를 확인 판별하게 된다(S15).
이후, 상기 판별결과, 터치 입력이 계속 입력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펜 등을 이용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아이콘들 중 '메모장' 아이콘의 제2 영역이 한번 터치 온/오프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장' 아이콘에 대한 '열기(Open)', '이름 바꾸기(Rename)' 또는 '숨기기(Hide)' 등과 같은 사용자 하위 메뉴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자 펜 등을 이용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파일 항목들 중 '세미나' 파일 항목의 제2 영역을, 한번 터치 온/오프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미나' 파일에 대한 '열기(Open)', '이름 바꾸기(Rename)', '삭제(Delete)', 복사(Copy)', 또는 '보내기(Send)' 등과 같은 사용자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6).
한편, 상기 판별결과, 터치 입력이 계속 입력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펜 등을 이용하여, 특정 아이콘 또는 특정 파일 항목의 제2 영역을, 계속 터치하고 있는 경우(S15), 상기 제어부(5)에서는 사용자가 다수의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들을 연속적으로 선택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중 선택 모드를 설정 진입하게 된다(S17).
이후,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전자 펜이 이동하는 이동 궤적으로 추적하여, 그 이동 궤적의 경로 상에 터치된 다수의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의 제2 영역들에 대한 각각의 위치 좌표 값을 검출 저장하게 된다(S18).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화면 표시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 '일정관리' 아이콘의 제2 영역을 계속 터치한 후, 드래깅(Dragging) 동작에 의해, 상기 전자 펜을 '주소록' 아이콘의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메모장' 아이콘의 제2 영역으로 다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5)에서는, 그 이동 궤적의 경로 상에 터치된 제2 영역들에 대한 위치 좌표 값을 검출하여, 상기 '일정관리' 아이콘과, '주소록 아이콘, 그리고 '메모장' 아이콘을 다중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에서는, 다중 선택된 아이콘들의 제2 영역을 하이라이트(High Light)시키거나, 또는 다른 색(Color)을 구분 표시하여, 사용자가 다중 선택 결과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메모' 파일 항목으로 화면 표시된 다수의 파일 항목들 중 '약속장소 시간' 파일의 제2 영역을 계속 터치한 후, 드래깅 동작에 의해, 상기 전자 펜을 '사업제안서' 파일의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세미나' 파일의 제2 영역으로 다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5)에서는, 그 이동 궤적의 경로 상에 터치된 제2 영역들에 대한 위치 좌표 값을 검출하여, 상기 '약속장소 시간' 파일과, '사업제안서' 파일, 그리고 '세미나' 파일을 다중 선택하게 되고, 또한 상기 다중 선택된 파일들의 제2 영역 또는 제1 영역을 하이라이트시키거나, 또는 다른 색(Color)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다중 선택 결과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구분 표시되는 제2 영역을 선택 및 드래깅하여, 자신이 원하는 다수의 아이콘 또는 파일들을 모두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전자 펜을 터치 오프시키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어부(5)에서는 이를 검출하여(S19), 도 5 및 도 6을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선택된 아이콘들에 대한 '열기(Open)', '이름 바꾸기(Rename)' 또는 '숨기기(Hide)' 등과 같은 사용자 하위 메뉴를 표시하거나, 또는 다중 선택된 파일들에 대한 '열기(Open)', '이름 바꾸기(Rename)', '삭제(Delete)', 복사(Copy)', 또는 '보내기(Send)' 등과 같은 사용자 하위 메뉴를 표시하게 된다(S20).
이후, 상기 제어부(5)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지정되는 명령을 수신하여그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21). 따라서, 사용자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 화면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의 제2 영역을 한번 선택 터치하여, 해당 아이콘 또는 파일에 대한 사용자 하위 메뉴를 확인 및 선택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다수의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의 제2 영역들을 드래깅 동작을 통해 연속 터치하여 다중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파일 항목의 제2 영역을, 해당 파일 항목의 첫 글자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아이콘의 제2 영역을, 해당 아이콘의 글자 표시 영역으로 설정하여, 제한된 크기의 표시 화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은, 개인용 정보단말기(PDA)에 화면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을, 서로다른 위치 좌표 값을 갖는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의 제2 영역을 한번 선택 터치하는 경우, 해당아이콘 또는 파일에 대한 사용자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다수의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의 제2 영역들을 드래깅(Dragging) 동작을 통해 연속 터치하는 경우, 해당 아이콘 또는 파일들을 다중 선택하는 다중 선택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키보드와 마우스(Mouse)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은 소형의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도, 개인용 컴퓨터(PC)에서의 다중 선택 기능 및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상호 구분되어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성된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을 하나 이상 표시하는 1단계;
    상기 화면 표시된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에 대해 전자적 접촉이 있는 경우, 그 접촉점이 제1 영역인 지 또는 제2 영역인 지를 판단하는 2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접촉된 아이콘 또는 파일 목록에 대해 서로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보다, 그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접촉점이 제1 영역인 경우, 해당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에 대응되는 파일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접촉점이 제2 영역인 경우, 그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에 대응되는 파일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로 구성된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5. 상호 구분되어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성된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을 하나 이상 표시하는 1단계;
    터치 입력 화면상에 전자적 접촉이 있는 경우, 그 접촉점의 궤적을 검출하는 2단계;
    상기 검출된 궤적이, 상기 화면 표시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들의 제2 영역을 지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3단계; 및
    상기 궤적 상에 제2 영역이 놓인 아이콘 도는 파일 항목들을 선택 상태로 기록하고, 이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또는 파일 항목에 대해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로 구성된 메뉴를 표시하는 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보다, 그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1-0021907A 2001-04-24 2001-04-24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10038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907A KR100381583B1 (ko) 2001-04-24 2001-04-24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907A KR100381583B1 (ko) 2001-04-24 2001-04-24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510A true KR20020082510A (ko) 2002-10-31
KR100381583B1 KR100381583B1 (ko) 2003-04-26

Family

ID=2770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907A KR100381583B1 (ko) 2001-04-24 2001-04-24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583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578B1 (ko) * 2001-12-13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 장치의 파일 탐색기와 그 파일 탐색기를이용한 파일 복사 및 이동방법
WO2008157023A1 (en) * 2007-06-12 2008-12-24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feedback display
KR100900295B1 (ko) * 2008-04-17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WO2009072778A3 (en) * 2007-12-04 2009-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fuction therein
KR100929236B1 (ko) * 2007-09-18 2009-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954324B1 (ko) * 2009-06-17 2010-04-2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퀵 메뉴 표시 방법
WO2011056353A3 (en) * 2009-10-28 2011-10-06 Google Inc. Displaying a collection of interactive elements that trigger actions directed to an item
KR101106156B1 (ko) * 2010-06-14 2012-01-2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체크박스 영역에 있는 복수의 아이템들에 대한 선택 방법
US8111244B2 (en) 2006-12-13 2012-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file transmission
KR101160384B1 (ko) * 2009-05-06 2012-06-26 (주) 비앤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N104077021A (zh) * 2013-03-27 2014-10-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使用触摸屏来选择条目的方法和系统
US9477401B2 (en) 2009-09-15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nction exec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EP2924550B1 (en) * 2013-05-24 2019-06-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lit-scre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6055A2 (en) * 2005-05-23 2006-11-30 Nokia Corporation Improved pocket computer and associated methods
KR101540779B1 (ko) * 2008-07-01 201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141574B1 (en) 2008-07-01 2017-09-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105775B1 (ko) 2009-06-23 201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4825B2 (ja) * 1989-12-05 1998-08-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制御装置
US5956030A (en) * 1993-06-11 1999-09-21 Apple Computer, Inc. Computer system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windows having an identifier within a control region on the display
KR19990010382A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통신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US6313853B1 (en) * 1998-04-16 2001-11-06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service user interface
US6462760B1 (en) * 1999-05-26 2002-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interfa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can conserve space on a computer display screen by associating an icon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s

Cited B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578B1 (ko) * 2001-12-13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 장치의 파일 탐색기와 그 파일 탐색기를이용한 파일 복사 및 이동방법
US8638309B2 (en) 2006-12-13 201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file transmission
US8111244B2 (en) 2006-12-13 2012-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file transmission
US9529497B2 (en) 2006-12-13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file transmission
WO2008157023A1 (en) * 2007-06-12 2008-12-24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feedback display
US8074178B2 (en) 2007-06-12 2011-12-06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feedback display
US8584043B2 (en) 2007-09-18 2013-11-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ncluding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0929236B1 (ko) * 2007-09-18 2009-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WO2009072778A3 (en) * 2007-12-04 2009-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fuction therein
WO2009096646A1 (en) * 2008-02-01 2009-08-0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method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271907B2 (en) 2008-02-01 2012-09-18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method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00295B1 (ko) * 2008-04-17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101160384B1 (ko) * 2009-05-06 2012-06-26 (주) 비앤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0954324B1 (ko) * 2009-06-17 2010-04-21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퀵 메뉴 표시 방법
US9477401B2 (en) 2009-09-15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nction execu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8627120B2 (en) 2009-10-28 2014-01-07 Google Inc. Delayed execution of operations
US9195290B2 (en) 2009-10-28 2015-11-24 Google Inc. Navigation images
US8260999B2 (en) 2009-10-28 2012-09-04 Google Inc.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dock
US8255720B1 (en) 2009-10-28 2012-08-28 Google Inc. Delayed execution of operations
US8250278B2 (en) 2009-10-28 2012-08-21 Google Inc. Dock-specific display modes
US8250277B2 (en) 2009-10-28 2012-08-21 Google Inc. Dock-specific display modes
US8200847B2 (en) 2009-10-28 2012-06-12 Google Inc. Voice actions on computing devices
US8700300B2 (en) 2009-10-28 2014-04-15 Google Inc. Navigation queries
US8744495B2 (en) 2009-10-28 2014-06-03 Google Inc. Determining a geographical location
US11768081B2 (en) 2009-10-28 2023-09-26 Google Llc Social messaging user interface
US10578450B2 (en) 2009-10-28 2020-03-03 Google Llc Navigation queries
US9766088B2 (en) 2009-10-28 2017-09-19 Google Inc. Social messaging user interface
US8914652B1 (en) 2009-10-28 2014-12-16 Google Inc. Delayed execution of operations
US8260998B2 (en) 2009-10-28 2012-09-04 Google Inc.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dock
WO2011056353A3 (en) * 2009-10-28 2011-10-06 Google Inc. Displaying a collection of interactive elements that trigger actions directed to an item
US9239603B2 (en) 2009-10-28 2016-01-19 Google Inc. Voice actions on computing devices
US9323303B2 (en) 2009-10-28 2016-04-26 Google Inc. Determining a geographical location
US9405343B2 (en) 2009-10-28 2016-08-02 Google Inc. Social messaging user interface
KR101106156B1 (ko) * 2010-06-14 2012-01-2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체크박스 영역에 있는 복수의 아이템들에 대한 선택 방법
US9213435B2 (en) 2013-03-27 2015-12-1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items using touchscreen
KR101459447B1 (ko) * 2013-03-27 2014-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항목 선택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92725A1 (en) * 2013-03-27 2014-10-02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items using touchscreen
CN104077021A (zh) * 2013-03-27 2014-10-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使用触摸屏来选择条目的方法和系统
EP2924550B1 (en) * 2013-05-24 2019-06-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lit-scre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591509A1 (en) * 2013-05-24 2020-01-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lit-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1583B1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9788B2 (ja) マルチポイント感知装置を用いたジェスチャリング
KR100381583B1 (ko)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US9239673B2 (en)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US9292111B2 (en)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US7023428B2 (en) Using touchscreen by pointing means
US20160062467A1 (en) Touch screen control
US10223057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anagement of virtual input device interactions
US20120212420A1 (en) Multi-touch input control system
CN111625158B (zh) 电子交互平板、菜单展示方法及书写工具属性的控制方法
US20180039395A1 (en) Interface scanning for disabled users
KR102228335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을 선택하는 방법
US20170255357A1 (en) Display control device
JP2015050755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43275A1 (en)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Han et al. Push-push: A drag-like operation overlapped with a page transition operation on touch interfaces
US10228892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anagement of virtual input device interactions
KR20150098366A (ko)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KR100379917B1 (ko) 핫키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U2016238971B2 (en)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US20210141528A1 (en) Computer device with improved touch interface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210029175A (ko) 즐겨찾기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AU2014201419B2 (en)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KR20160107139A (ko)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