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676A - 신호 차단 및 신호 전달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차단 및 신호 전달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676A
KR20020079676A KR1020020056006A KR20020056006A KR20020079676A KR 20020079676 A KR20020079676 A KR 20020079676A KR 1020020056006 A KR1020020056006 A KR 1020020056006A KR 20020056006 A KR20020056006 A KR 20020056006A KR 20020079676 A KR20020079676 A KR 20020079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line
signal
lines
indu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614B1 (ko
Inventor
천종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딕 filed Critical (주)에이딕
Priority to KR10-2002-005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614B1/ko
Publication of KR2002007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25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improving S/N by matching impedance, noise reduction,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66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three phases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83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coupl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91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filtering and bypa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3상 전력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 및 중성라인;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에 하나씩 설치되어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가 통과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하나씩 설치되어 상기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바이패스시키는 제1 내지 제3 바이패스 필터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력라인으로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2 전력라인 및 제3 전력라인으로 전달하는 신호 결합기를 구비함으로써 제조 가격이 감소되며, 선간 신호 전달 특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신호 차단 및 신호 전달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장치{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for signal blocking and signal transfer function}
본 발명은 전기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선을 이용하여 가정용전기제품간 통신과 외부에서 가정용 전기제품의 제어를 가능케하는 신호 차단 및 신호 전달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은 데이터를 전력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수백[㎑]∼수십[㎒] 정도의 고주파 신호에 실어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전력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킹, 정보가전, 전력망 관리 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가정에 구비된 전기제품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외 통신업체나 전력 업체로부터 차세대 통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선 통신 장치(101)는 제1 내지 제3 필터부들(111∼131)을 구비한다. 제1 필터부(111)는 외부의 노이즈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 필터부(121)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노이즈를 바이패스시켜서 외부의 노이즈가 내부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3 필터부(131)는 내부의 노이즈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력선 통신 장치(10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제1 및 제3 필터부들(111∼131)에 구비되는 인덕터들의 코아들은 일자형으로서 평행하게 배열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인덕터들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인덕터들 상호간에 간섭을 일으켜서 주파수 특성이 낮아진다.
둘째, 제1 내지 제3 필터부들(111∼131)에 구비되는 인덕터의 수가 많아서전력선 통신 장치(101)의 가격이 비싸다.
셋째, 신호 결합기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신호 결합기에 구비되는 캐패시터들의 정격전압이 높아지며, 그에 따라 상기 캐패시터들의 크기가 대폭 커져서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것으로는 사용이 어려워서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전력선 통신 장치(101)의 가격이 매우 비싸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를 차단하며, 선간 신호 전달 특성을 갖는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조 가격이 감소되고 안정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노이즈가 감소되고 선간 신호 전달 특성이 향상되며 캐패시터들의 내압이 낮아지는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에 구비되는 인덕터들의 구성 및 배치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구성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전력선 통신 장치의 선간 신호 전달 특성과 신호 차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110∼140[KHz]의 주파수 특성 곡선을 확대한 그래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상 전력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 및 중성라인;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에 하나씩 설치되어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가 통과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하나씩 설치되어 상기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바이패스시키는 제1 내지 제3 바이패스 필터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력라인으로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2 전력라인 및 제3 전력라인으로 전달하는 신호 결합기를 구비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상 전력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 및 중성라인;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에 하나씩 설치되어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가 통과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하나씩 설치되어 상기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바이패스시키는 제1 내지 제3 바이패스필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은 각각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 및 제1 내지 제3 캐패시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은 각각 상기 제1 전력라인이 감긴 상태에서 상하로 세워진 제1 및 제2 철심들;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철심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3 철심; 및 상기 제1 철심과 상기 제2 철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철심들과 소정 갭을 갖는 제4 철심을 구비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은 횡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에서 발생된 자속의 일부는 상기 소정 갭을 통해서 외부로 발산되며, 그에 따라서 상기 자속이 포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3상 전력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 및 중성라인;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력라인으로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2 전력라인 및 제3 전력라인으로 전달하는 신호 결합기를 구비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3상 전력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 및 중성라인;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에 하나씩 연결된 제1 내지 제3 캐패시터들; 및 하나의 철심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캐패시터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3 인덕터들의 권선방향은 상호 동일하고, 상기 제1 및 제3 인덕터들의 권선방향과 상기 제2 인덕터의 권선방향은 반대로 형성된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며, 상기 트랜스포머에 의해 상기 제1 전력라인으로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2 및 제3 전력라인들로 전달되는 전력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제1 내지 제3 캐패시터들은 각각 300볼트 이하의 내압을 갖는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선간 신호 전달 특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전력선 통신 장치(201)는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Blocking Filter)들(211∼213), 제1 내지 제3 바이패스 필터(Bypass Filter)들(221∼223), 및 신호 결합기(Signal Coupler)(231)를 구비한다.
전력선 통신 장치(201)는 가정집이나 사무실과 같은 건물에 설치된다. 전력선 통신 장치(101)는 가정집이나 사무실 내의 전기제품들간의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이들 상호간에 통신되는 신호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외부 노이즈가 상기 전기제품들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력선 통신 장치(201)에 연결된 전력라인들(241∼244)은 3상4선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력라인들 즉,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241∼243)과 중성라인(244)을 통해서 상용전압, 예컨대 110볼트 또는 220볼트의 전압을 갖는 3상 전력이 전송된다. 외부의 전력라인들(241∼243)이 전력선 통신 장치(201)로 연결되는 단자들을 각각 R, S, T 라고 명명하고, 상기 건물 내부의 전기제품들에 연결된 전력라인들(241∼243)이 전력선 통신 장치(201)와 연결되는 단자들을 U, V, W 라 하며, 중성라인(244)이 연결되는 중성 단자는 N 이라 명명한다.
제1 블록킹 필터(211)는 단자들(R,U) 사이에 연결되며, 캐패시터(C1)와 인덕터(L1)를 구비한다. 제2 블록킹 필터(212)는 단자들(S,V) 사이에 연결되며, 캐패시터(C2)와 인덕터(L2)를 구비한다. 제3 블록킹 필터(213)는 단자들(T,W) 사이에 연결되며, 캐패시터(C3)와 인덕터(L3)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211∼213)은 특정 주파수대, 예컨대 110∼140[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차단한다. 따라서, 전력라인들(241∼244)을 통하여 단자들(R,S,T)로 입력되는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들이 전력선 통신 장치(201)에 연결된 전기제품들로 전달되는 것이나, 반대로, 전력선 통신 장치(201)에 연결된 전기제품들간에 통신되는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들이 전력선 통신 장치(201)를 통과하여 상기 건물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제1 바이패스 필터(221)는 단자들(R,N) 사이에 연결되며, 캐패시터(C4)와 인덕터(L4) 및 저항(R1)을 구비한다. 제2 바이패스 필터(222)는 단자들(S,N) 사이에 연결되며, 캐패시터(C5)와 인덕터(L5) 및 저항(R2)을 구비한다. 제3 바이패스 필터(223)는 단자들(T,N) 사이에 연결되며, 캐패시터(C6)와 인덕터(L6) 및 저항(R3)을 구비한다. 제1 내지 제3 바이패스 필터들(221∼223)은 특정 주파수대, 예컨대 110∼140[KHz]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바이패스시킨다. 따라서, 전력 라인들(241∼244)을 통하여 단자들(R,S,T,N)로 입력되는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들이 전력선 통신 장치(201)에 연결된 전기제품들로 전달되는 것이나, 반대로, 전력선 통신 장치(201)에 연결된 전기제품들간에 통신되는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들이 전력선 통신 장치(201)를 통과하여 상기 건물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신호 결합기(231)는 단자들(U,V,W)과 중성단자(N) 사이 즉,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241∼243)과 중성라인(244) 사이에 설치된다. 신호 결합기(231)는 캐패시터들(C7∼C9)과 트랜스포머(Transformer)(233)를 구비한다. 트랜스포머(233)는 캐패시터들(C7∼C9)과 중성 단자(N)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들(L7∼L9)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인덕터들(L7∼L9)이 단자들(U,V,W)과 중성단자(N)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신호 결합기(231)는 단자들(U-N)로 입력되는 신호를 단자들(V-N,W-N)로 전달하고,단자들(V-N)로 입력되는 신호를 단자들(U-N,W-N)로 전달하며, 단자들(W-N)로 입력되는 신호를 단자들(V-N,U-N)로 노이즈 없이 전달한다. 또한, 인덕터들(L7∼L9)이 단자들(U,V,W)과 단자(N)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캐패시터들(C7∼C9)에는 각각 상용전압이 인가되며, 그로 인하여 캐패시터들(C7∼C9)의 내압 규격은 각각 300볼트 이하(상용전압으로써 220볼트가 사용될 경우)로 설정되며, 현재 제작되고 있는 275볼트의 내압을 갖는 캐패시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들(C7∼C9)이 전력선 통신 장치(201) 내부에 설치될 때 캐패시터들(C7∼C9) 사이의 간격이 매우 짧아도 되며, 캐패시터들(C7∼C9)이 파손되는 위험도 존재하지 않는다. 만일 인덕터들(L7∼L9)이 중성단자(N)에 연결되지 않고 단자들(U,V,W) 사이에만 연결된다면 캐패시터들(C7∼C9)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용 전압(220볼트일 때)을 초과한 전압, 예컨대 380볼트가 인가되며, 이 때의 캐패시터들(C7∼C9)의 내압은 380볼트보다 높아져야한다. 그러나, 현재 제작되고 있는 캐패시터 중에는 내압이 380볼트 이상의 것은 없으므로 특별히 설계하여 제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사 내압이 380볼트 이상인 캐패시터를 제작한다 하더라도 그 크기가 매우 커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내압이 너무 높아서 폭발할 위험성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였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의 구조 및 배열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L1∼L3)은 횡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제1 인덕터(L1)는 제1 내지 제4 철심들(311∼314)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철심들(311,312)에는 도전선, 예컨대 에나멜선이 감겨 있으며 수직 상태이다. 제3 철심(313)은 제1 및 제2 철심들(311,312)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철심들(311,312)을 상호 연결한다. 제4 철심(314)은 제1 및 제2 철심들(311,312)의 하부에 구비된다. 제1 및 제2 철심들(311,312)과 제4 철심(314) 사이에는 소정 갭(gap)(321), 예컨대 0.5[mm] 정도의 갭이 존재한다. 제1 내지 제3 철심들(311∼313)과 제4 철심(314)이 서로 떨어진 상태이므로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소정 갭(321)에 절연체, 예컨대 플라스틱판(323)을 삽입하고, 제3 철심(313)의 중앙부와 제4 철심(314)의 중앙부를 끈을 이용하여 묶는다. 제1 내지 제4 철심들(311∼314)은 패라이트 코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철심들(311,312)이 제4 철심(314) 사이에 소정 갭(321)이 형성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철심들(311∼313)의 내부에 흐르는 자속(331)의 일부는 소정 갭(321)을 통해서 외부로 발산되며(325), 그로 인하여 제1 인덕터(L1)에 발생하는 자속(331)이 포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인덕터(L1)는 안정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2 및 제3 인덕터들(L2,L3)도 제1 인덕터(L1)와 동일한 구조 및 효과를 갖는다.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L1∼L3)은 횡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자속(331)이 소정 갭(321)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더라도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L1∼L3) 상호간에는 직교방향의 자속이 발생하여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랜스포머(233)는 절연체로 구성된 4각통(411)에 에나멜선과 같은 도전선(441)을 감고 4각통(411) 내부 및 주위에 패라이트 코아와 같은 철심(431)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4각통(411)은 4각이 아닌 여러 가지 모양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도전선(441)은 인덕터들(도 2의 L7∼L9)을 구성한다. 즉, 4각통(411)의 표면에 도전선을 정방향으로 감아서 인덕터(L7)를 구성하며, 인덕터(L7) 위에 테이프와 같은 절연체로 감고 그 위에 다른 도전선을 인덕터(L7)고 역방향으로 감아서 인덕터(L8)를 구성하며, 인덕터(L8) 위에 다른 절연체를 감고 그 위에 또 다른 도전선을 인덕터(L8)와는 역방향이며 인덕터(L7)와는 동일한 방향으로 감아서 인덕터(L9)를 구성한다. 인덕터들(L7∼L9)은 각각 단자들(42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인덕터들(L7∼L9)을 하나의 4각통(411)에 감고, 인덕터들(L7,L9)의 권선 방향과 인덕터(L8)의 권선 방향을 반대로 하며, 패라이트 코아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인덕터들(L7∼L9)에 의해 발생된 자속은 패라이트 코아 내부를 통해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인덕터들(L7,L9)과 인덕터(L8) 사이에는 전자 부하로 인한 간섭이 상쇄되어 트랜스포머(233)의 신호 전달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단자들(도 2의 U,V,W)에 연결된 캐패시터들(도 2의 C7∼C9)과 중성단자(도 2의 N) 사이에 인덕터들(L7∼L9)을 연결함으로써 제1 전력라인(도 2의 241)을 통해서 전력선 통신 장치(201)로 입력된 신호는 제2 및 제3 전력라인들(도 2의 242,243)로, 제2 전력라인(242)을 통해서 전력선 통신 장치(201)로 입력된 신호는제1 및 제3 전력라인들(241,243)로, 제3 전력라인(243)을 통해서 전력선 통신 장치(201)로 입력된 신호는 제1 및 제2 전력라인들(241,242)로 노이즈 없이 전달된다. 따라서, 선간 신호 결합 특성이 향상된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전력선 통신 장치(201)의 선간 신호 전달 특성과 신호 차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110∼140[KHz]의 주파수 특성 곡선을 확대한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110∼140[KHz]에서 선간 신호 전달 특성 곡선(511)이 일정하며, 신호 차단 특성 곡선(521)은 거의 제로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즉, 110∼140[KHz]에서 전력라인들(도 2의 241∼244) 사이에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며, 110∼140[KHz]의 신호는 전력선 통신 장치(201)에 의해 거의 모두가 차단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 장치(201)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211∼213)과 제1 내지 제3 바이패스 필터들(221∼223)을 구비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들을 차단하기 때문에 제작비가 감소된다.
둘째,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L1∼L3)에 구비되는 철심들에 소정 갭들(321)이 존재함으로써 자속(331)이 포화되지 않으며, 그로 인하여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L1∼L3)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셋째, 신호 결합기(231)를 구비함으로써 단자들(U,V,W,N)에 연결된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241∼244) 사이의 신호 전달이 용이하다.
넷째, 인덕터들(L7∼L9)은 단자들(U,V,W)과 중성 단자(N)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선간 신호 전달 특성이 향상되고, 노이즈 특성이 개선된다. 또한, 신호 결합기(231)에 구비되는 캐패시터들(C7∼C9)의 내압이 낮아지며, 캐패시터들(C7∼C9)의 파손 위험이 감소된다.

Claims (7)

  1. 3상 전력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 및 중성라인;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에 하나씩 설치되어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가 통과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하나씩 설치되어 상기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바이패스시키는 제1 내지 제3 바이패스 필터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력라인으로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2 전력라인 및 제3 전력라인으로 전달하는 신호 결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2. 3상 전력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 및 중성라인;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에 하나씩 설치되어 특정 주파수대의 신호가 통과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하나씩 설치되어 상기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바이패스시키는 제1 내지 제3 바이패스필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블록킹 필터들은 각각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 및
    제1 내지 제3 캐패시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은 각각
    상기 제1 전력라인이 감긴 상태에서 상하로 세워진 제1 및 제2 철심들;
    상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철심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3 철심; 및
    상기 제1 철심과 상기 제2 철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철심들과 소정 갭을 갖는 제4 철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은 횡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에서 발생된 자속의 일부는 상기 소정 갭을 통해서 외부로 발산되며, 그에 따라서 상기 자속이 포화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5. 3상 전력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 및 중성라인;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력라인으로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2 전력라인 및 제3 전력라인으로 전달하는 신호 결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6. 3상 전력이 전송되는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 및 중성라인;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라인들에 하나씩 연결된 제1 내지 제3 캐패시터들; 및
    하나의 철심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인덕터들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캐패시터들과 상기 중성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3 인덕터들의 권선방향은 상호 동일하고, 상기 제1 및 제3 인덕터들의 권선방향과 상기 제2 인덕터의 권선방향은 반대로 형성된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며,
    상기 트랜스포머에 의해 상기 제1 전력라인으로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2 및제3 전력라인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캐패시터들은 각각 300볼트 이하의 내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 장치.
KR10-2002-0056006A 2002-09-14 2002-09-14 신호 차단 및 신호 전달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장치 KR10047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006A KR100471614B1 (ko) 2002-09-14 2002-09-14 신호 차단 및 신호 전달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006A KR100471614B1 (ko) 2002-09-14 2002-09-14 신호 차단 및 신호 전달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676A true KR20020079676A (ko) 2002-10-19
KR100471614B1 KR100471614B1 (ko) 2005-03-10

Family

ID=2772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006A KR100471614B1 (ko) 2002-09-14 2002-09-14 신호 차단 및 신호 전달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570B1 (ko) * 2005-04-30 2008-07-21 (주)에이딕 신호 차단 및 누설 신호 흡수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장치
CN103944610A (zh) * 2014-04-30 2014-07-23 杭州再灵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三相电plc的信号接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8393B2 (ja) * 1994-03-03 2003-01-20 三菱電機照明株式会社 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
KR100266342B1 (ko) * 1998-06-02 2000-09-15 이기원 양방향 아날로그 전력선 통신 중계기
JP4639289B2 (ja) * 2001-01-26 2011-02-23 ネッツエスアイ東洋株式会社 電力線ブリッジ装置
KR200271881Y1 (ko) * 2002-01-08 2002-04-12 주식회사 엠에이티 전력선 통신용 필터
KR20030073077A (ko) * 2002-03-08 2003-09-19 (주)파워플러스 블로킹 필터 및 페이즈 커플러를 일체화한 통합형블로킹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570B1 (ko) * 2005-04-30 2008-07-21 (주)에이딕 신호 차단 및 누설 신호 흡수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장치
CN103944610A (zh) * 2014-04-30 2014-07-23 杭州再灵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三相电plc的信号接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1614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2178A (en) High voltage signal coupler for a distribution network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CN102629881A (zh) 包括交流电源插座的电力线通信装置
EA005560B1 (ru) Подключение широкополосных модемов к линиям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JP2003533092A (ja) 高速データ伝送用の電気建物配線を条件付ける方法及び装置
CN1509526A (zh) 电力线连网装置和方法
JP4757123B2 (ja) 電力線搬送通信の伝送機器、コンセントプラグ、コンセントプラグボックス、テーブルタップ、結合装置、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3925728A (en) Induction watthour meter for power systems transmitting carrier communication signals
US9350315B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filter for multiple conductors
BRPI0412518B1 (pt) circuito de acoplamento indutivo e método para a transmissão de comunicações através de cabos de energia elétrica blindados de uma rede de distribuição de energia elétrica
CZ305996A3 (en) Method of transmitting telecommunication signals and a telecommunication network for making the same
KR100471614B1 (ko) 신호 차단 및 신호 전달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 장치
JP2003283390A (ja) 電力線搬送通信用インダクタ装荷器
US7064624B2 (en) Power conditioners and pseudo isolation for a two-wire processing network
US4835516A (en) Arrangement for introducing audio-frequency signals into a power supply line
CN210609172U (zh) 用于电网系统的载波通信的三相耦合电路
JP4729455B2 (ja) フィルタ回路
EP1603249A1 (en) High frequency bypass unit
KR100454106B1 (ko) 전력선 통신용 필터
WO2024007902A1 (zh) 一种隔离器、通信设备及通信系统
KR102371761B1 (ko) 전력선 통신용 필터
CN112260412B (zh) 基于多屏蔽层的通信电路、供电电路、通信及供电电路
EP3399654B1 (en)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via an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pathway, and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6455428A (zh) 一种用于plc三相耦合的装置以及一种照明设备
JPH03296313A (ja) 電力線搬送通信用の単相三線式ブロッキングフィルタ
US9136909B2 (en) Apparatus for MIMO coupling power line signals into a three-conductor power supply network via two ch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