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297A -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 Google Patents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297A
KR20020079297A KR1020010020585A KR20010020585A KR20020079297A KR 20020079297 A KR20020079297 A KR 20020079297A KR 1020010020585 A KR1020010020585 A KR 1020010020585A KR 20010020585 A KR20010020585 A KR 20010020585A KR 20020079297 A KR20020079297 A KR 20020079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mat
plate
laminated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조
박일홍
조문제
Original Assignee
이상조
박일홍
조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조, 박일홍, 조문제 filed Critical 이상조
Priority to KR102001002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9297A/ko
Publication of KR2002007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2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Abstract

본 발명은, 최신공법에 의한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에 관한 것으로써,
알미늄 금속판의 뒷면에 발열체가 고정되는 수단으로, 발열체의 열이 윗쪽의 알미늄판에 그대로 전달되게 되어 있으며, 알미늄 금속판 전체 면에 골고루, 일정하게, 열전도되는 열 확산 현상으로써, 이로 인한 온도 차이가 전혀 없으며,
이와 같은 알미늄 금속판의 상면에는,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약돌판이나 옥(玉)가루, 맥반석가루, 숯가루, 게르마늄가루로 된 성형 고형물이 접착되고, 상기 기능성 소재들이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한 소재들로 적층되어 있으되, 강력한 접착제로 압착이 되어서,
알미늄 금속판에 추호의 공간도 없이 밀착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면에 항상 열이 골고루,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있고, 내부 공간없이 밀착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상승 시간이 실시 예, 결과 30%가 단축되며,
발열체에 의해서, 적층만 되어 있는 각각의 소재들이 데워 지는 데에 비하면, 온도편차가 전혀 없어서, 국민건강유지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고,
※ 각 소재의 적층 방법이 모두 일체화가 되어 있는데,
1.―바닥마감재와 단열재가 일체화로 되어 있고,
2.―알미늄 금속판 바닥면에는 발열체가 접착되어 있어서 일체화 되어있고,
3.―알미늄판 상면에는, 천공된 적층천이,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성 약돌들을 천공구멍에 끼워서, 일체화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세가지의 일체화된 소재를 강력한 접착제로 동시 압착하게 되는 공정이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간편하며, 능률 극대화를 이룰 수 있고,
=종전의 크고 두꺼운 1개의 매트형태를 벗어나, 2∼3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제작 후 결합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운반, 휴대, 이동, 보관관리가 종전과는 비교할 바가 못 되며,
=온도 편차가 없고, 전체온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진실되게 국민건강을 위하고, 진정으로 국민건강을 보호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의 진수를, 모든 국민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인 것이다.

Description

건강금속전열판 매트.{omitted}
본 발명은 건강금속전열판에 관한 것으로써, 지금까지 제조된 어떤 전열매트 보다, 두께도 아주 얇고, 제조공정도 간편하며, 열전도성이 전체표면에 고르게 분포되며, 최단시간내에 열효율이 아주 높은 최신공법의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인 것이다.
종전의 전열매트는, 전체가 하나로 되어 있어서 관리가 매우 힘들었다.
또한, 무게도 무거울 뿐만 아니라, 너무 두꺼워서 접을 수 없으며, 접힘으로 인한 고장의 원인이 되고, 이동이나 휴대가 거의 제외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품은 휴대가 가능하고, 이동도 편리하게 하였다.
즉, 여러개로 나뉘어졌기 때문에 간단하게 접을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다수개로 나누어졌으며,
― 기다란 방석 크기의 금속판재의 뒷면 쪽에는, 발열체가 바닥면에 접착 되어 있고,
― 그 밑에는 바닥 마감재와 단열재가 한꺼번에 일체화로 접착되어 있으며,
― 앞면 쪽에는, 천공적층천에 여러형태로 다수개의 독특한 모양이 천공되어 있어서, 이 천공 모양과 동일한 형태의 각종 약돌판이나, 이와 유사한 각종 소성 조형물이 구멍에 끼여 있는데,
이 세가지를 간단하게 한꺼번에 적층시켜 일체화로 접착시켜 주면 되는, 아주 획기적이고 간단한 구조의 금속전열판인 것이다.
종래에는, 바닥재를 기본으로 하여, 여기에 두께를 더하는 솜층, 단열층, 열선고정층, 열선, 접착물, 그 위에 각자 나름대로의 특징을 살린 각종 소재물과 그 위에 각종 약제 효능물이나, 돌판 등을 적층하고 마지막으로 망사나 천, 비닐 등으로 작업하는 아주 복잡한 공정을 거쳐 만들어져 왔다.
이렇게 하여, 현재까지 제조된 각종 전열매트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엄청난 문제점들이 잠적하고 있는 것이다.
첫째) : = 열선 위에는 따끈따끈 하지만, 나머지 부분은 전혀 다르다.
※ (실시예에 의하면),
이것은 취침시의 내부온도가 40℃를 기준으로 할 때, 열선 부분과의 온도 편차가 18℃이상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숙면이 불가하게 된다. 그 결과 몸부림이 무척 심하게 된다.
= 온도 편차를 없이 할려면, 본 발명과 같이 두꺼운 금속판재를 이용한 일체화된 금속전열판 이라야 만 된다.
둘째) : = 신경계가 불안해 지고, 장기적으로는 질병을 초래하는 원인 제공이 된다.
※ (의학관련 문헌에 의하면),
― 피부 및 근육의 말초신경계와 온도 감지 감각기능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말초신경계를 통하여 대뇌피질에 전달하게 되며, 이때, 전달되는 온도의 차이가 과다 편차일때는, 대뇌의 운동신경계에 혼란을 초래하게 되어서, 숙면을 취할 수 없게 된다.
― 온도 편차의 과다는 숙면 불안과 직결되어, 모든 휴식으로 인해 소멸될 수 있는 각종 질병의 원인 제거가 불가능 해 진다.
― 완벽한 숙면을 가능케 하는 최고의 난방 방법은, 매트 전체가 균일하고, 적당하고, 일정한 온도일 때에 한하여, 최상의 숙면을 취 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 이것은, 본 발명품과 같은 금속판재를 이용한 건강금속전열판 일때, 가능한 것이다.
셋째) : = 상기 각종 소재물 들이 열선 위에 적층되면서, 각 소재물과 소재물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 되어서, 열 전도율이 지극히 낮게 전달되는 것이다.
※ (열과학 관련 문헌에 의하면),
― 이것은, 열전이율이 은(銀)의 경우를 100으로 볼 때, 동(銅)은 92%, 알미늄(A/L) 49%, 일반철(鐵) 10∼15%, 천(布) 0.019%, 나무는 0.02%, 공기는 0.057%로 나타나 있다.
※ 다시 말해, ― 소재물과 소재물 사이,
즉; 적층이 되면 될수록, 그 열의 전도율은 내부공기가 뜨거워진 것 만큼, 내부공기에 의해서만, 데워지게 되는 것이다.
― 그래서, 우리가 온도감지를 할 때면, 거의 손바닥으로 눌러 보게 되는데, 이때 열선 부분에 눌려지게 되면, 따끈한 감각을 느끼게 되나, 다른 부분은 그냥 미지근함을 느낀다.
― 그래서, 아직 덜 따뜻해졌다고 하면서, 이불 등을 눌러서 새로 덮어놓는 것이다. 이것은 내부공기를 더 덮혀야 겠다는 바로 그 의미를 말하는 것이다.
― 그러나, 공기의 열전도율은 불과 0.057%에 불과 하다는 사실을,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으며, 전력이야 어떻게 되든 간에, 오래 놔 두니까 따뜻해 지더라는 것만 알고 있는 실정이다.
― 이것은 에너지 낭비의 기본이 되는 것인데, 우리는 아직 이러한 사실을 깊이 감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 그러나, 본 발명품은 금속판재의 상면에 일체화된 적층소재가 적층 되는데, 접착될때 그냥 얹어지는 것이 아니라, 강력한 접착제로써 내부 공간없이 밀착되게, 일체화 되도록 접착되기 때문에, 발열체의 열이 금속판재 전체를 고르게 데워 주며, 그 열이 손실없이 곧 바로 피부로 골고루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넷째) ; 제조공정상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은 은폐 되어지고 있다.
즉 ; 열선과 피부 접촉되는 최상면층과의 사이에 별의 별것을 다 집어 넣는다.
※ (현실적인 사레로서 예를 들어 보면),
― 숯을 넣거나,
― 각종 화려한 천을 깔거나,
― 각종 고형물이나, 가죽, 망사, 각종 합성수지재 등을 이용하여 덮어 줌으로써, 고급스러워 보이도록 하고, 보다 화려하고 두툼하게 보여, 우량 제품으로 인식되게 하고 있다.
※ 그러나, 실제 필요한 것은,
= 발열체의 열이, 빠른 시간내에 전체 표면에, 골고루, 넓게, 일정하고, 적당한 온도로 분포되어야 하는 것인데,
※ 열로 감지되는 온도의 차이가 ±4℃ 정도로 차이가 나게 되면, 건강에 유해하며, 미처 감지 못하는 미감지 상태에서, 인체에 엄청난 해로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 (특수전문의학관련 문헌에 의하면),
▶ 인체 체온을 기준으로 하여.......
(1). +4℃ 되는 곳에서 일정시간(보통 4∼5분 정도) 경과 후,
(2). 곧 바로 기준상태에서, 4∼5분 경과토록 하고,
(3). 다시 기준보다 -4℃ 되는 상태에서, 4∼5분 경과토록 한 후,
(4). 또 다시 기준상태에서, 4∼5분 경과토록 하고,
(5). 또다시 기준보다 +4℃ 되는 곳에서, 동일 시간을 체류하는 방식으로 10회, 20회 이상 계속 반복해 보게 되면, 나중에는 감각기능이 무디어져서 온도감지가 불가해지고, 결국에는 몸에 이상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특수전문의학 문헌에 의하면, 4℃의 온도편차는 인체의 대응능력 결정 한계온도라고 하여, 인체가 외부 온도에 미처 대응 할 수 있는 대처능력을 갖기 바로 직전단계의 온도로써, 「한계온도」라고도 하며, 이 온도를『살인온도』라고도 한다.
― 그런데,
취침하는 기본 8시간 동안, 우리 인체는 과연 몇 회를 계속 반복하고 있는 것일까.
그것도 매일 밤마다, 연속적으로 행한다면, 이것은 아주 중대한 건강문제인 것이다.
▶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 발열체에서 전달되는 열이 전 매트에 동일한 온도를 제공하며,
⇒ 일정온도 도달시간이 42% 까지 단축되어, 열효율이 최상급에 해당되고,
⇒ 간단하게 접을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이동, 휴대가 간편하게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 최신공법에 의한 새로운 건강금속전열판 매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1). 적층소재가 단순하고, 일체화 되어있기 때문에, 내부공간이 전혀 없어 발열체의 열이 손실없이 곧 바로 표면에 전달되고,
2). 발열체에서 전달되는 열이 전 매트에 동일한 온도를 제공하며,
3). 온도 상승 소요시간이, 종래에 비해 42%가 단축되어, 최단시간 내에 일정온도를 유지시켜 주게 되어, 열효율이 최상급에 해당되고,
4). 발열체의 열이 곧 바로 표면에 전달되므로 에너지 절약에 엄청나게 기여하게 되며,
5). 제조공정이 지극히 간단하여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에 의한 고부가 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6). 간단하게 접어서 이동 간편하게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최신공법에 의한, 새로운 건강금속전열판 매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매트전체가 길이 방향으로 직각되게, 2∼3등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필요시에는 길이 방향으로도 양등분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체를 3등분으로 나누어진 상태에 대하여 기술토록 하겠다.
이와같이 매트가 3등분으로 나뉘어 졌다는 것은 바닥마감재를 비롯하여 그위에 적층되는 단열재, 열선, 알미늄 금속판, 천공천 등이 모두 동일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품은 (1)바닥마감재, (2)단열재, (3)발열체가 부착된 알미늄 금속판, (4)천공적층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꼭 필요할 경우에 한해서, 천공적층천위에 망사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1] ― 바닥마감재의 재질은 가죽, 인조가죽, 비닐, 또는 천(布)이나 합판, 세라믹판, 목재를 사용할 수 있으되, 가능한 한 딱딱한 구조가 아니라, 보다 부드러운 재질이면 양호하다.
2] ― 단열재는 솜, 견면, 방염처리된 합성수지재나 세라믹, 골판지로써, 불연성이고 방염처리가 된 재질이면 가능하다.
3∼1] ― 발열체로서는 보통의 열선을 규격에 맞게 쓰면 되는데, 필요시 면상 발열체를 사용하면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다.
이 열선은 접착되는 알미늄 금속판의 바닥면에, 열선 굵기의 직경 반정도 미만의 깊이로 홈이 파여져 있는데, 이 홈에 반쯤 끼워져서 알미늄 접착 테잎 등으로 고정되게 되어 있다.
※ 이와 같이......
▶열선을 상기 기술 내용과 같이 접착 고정시키는 것은, 가장 기본이 되는 방법이며,
※ 이외에.......
☞ 1. 알미늄 금속판의 바닥면에 아무런 홈이 없이, 그냥 열선,이나 면상발열체를 얹어서 접착테잎이나 접착제로써, 간단하게 붙여주는 방법과
☞ 2. 천(布)이나, 종이에 열선,이나 면상발열체를 접착시킨 후, 이것을 앞, 뒷면 관계없이 단열재와 금속판 사이에 삽입하여 넣어 주는 방법.
☞ 3. 강력 압축된 패딩 솜에 고주파 처리하여,
단열재에 열선이 끼워 질 수 있을 정도의 홈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단열재의 표면에 그냥, 열선,이나 면상발열체를 접착테잎,이나 접착제로써, 접착을 시켜서 사용하는 방법.
이상과 같은 각종 방법이 있으나,
상기의 기본방법이나 면상발열체를 금속판 바닥면에 접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열체의 전압과 전류에 의하여 방출되는 전기장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금속판과 발열체 사이에, 일반천(布)이나 종이, 또는 목재류박판을 절연물로 삽입, 적층한 후 일체화 시켜서 사용하여도 된다.
3∼2] ― 알미늄 금속판은 그 두께가 최소 1mm 이상은 되어야 하는데, 평균 1.5mm 전후의 두께를 보통 쓴다. 그러나 0.5mm 이하 두께도 쓸 수 있으나, 얇으면 얇을수록 빨리 뜨거워지는 만큼 빨리 식게 되며, 운반시 중간에 휘어지거나 꺽임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는 결점이 있다.
그런 반면, 그 두께가 2mm 정도되면 열효율 면에서 아주 좋다.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그 무게가 무거운 만큼, 운반이 불편하고 비용만 과다지출 될 뿐이다.
알미늄판 대신에 일반금속판재나 각종 도금판재, 또는 각종금속도장(스프레이 분무, 페인팅) 판재를 쓸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각종 금속판재 중에서 두께 2mm 전후의 알미늄 금속판을 주(主) 소재로 사용함에 대하여 중점 기술토록 하겠다.
일반 금속판재로는 동판재, 은판재, 금판재 들이 있으나, 너무 고가이다.
알미늄금속판을 사용해야 되는 이유로는 체적 비중이 엄청나게 적다.
즉; 체적에 따른 무게가 가장 가벼우며, 열 전도율이 49%로써, 금속판재로써는 비교적 값 싼 자재로써, 그 성능 발휘가 되는 열전도율은 가장 우수하다.
그럼으로 인해, 상당한 에너지가 절약되는 것이다. 이외에는 아연판과 갈바판이 있으며, 일반 철판에 금, 은, 동, 아연, 닉켈을 도금하여 쓸 수도 있다.
형식만 갖추게 할 경우에는 금색, 은색을 스프레이 분무 하거나, 페인팅 하여서 쓸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알미늄 금속판을 지금까지는 보편적인 금속열판으로 사용됨을 기술한 반면,
※ 지금부터는 보다 높은 열에너지 이용의 기능과 수단을 갖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토록 한다.
▷ 이세상의 모든 물체는 열에 대하여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반응을 물체에 대한 열현상이라 한다.
▷ 물체간에 일어나는 열이동 현상을 열전이라 하고,
▷ 열이동 현상이 일어나는 물체의 열기능을 열전도도, 또는 열전도율 이라 한다.
▷ 열확산이란 열에너지에 의하여, 열전이가 이루어 지는 물체의 열평준화(열평형) 현상을 말한다.
▷ 열포집이란 외부로부터 열전이가 이루어 진 물체의 열잔류 현상이며,
▷ 열포집기능은 물체가 갖는 열잔류기능(물질, 시간)이다.
▷ 열확산은 매체간(물체) 열이동 현상이 복사열과 열대류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 본 발명에서의 『집열,발열판』이라 함은,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의 열이 열이동(열전이)되어 열확산이 이루어 지는 열포집기능의 물체를 말한다.
※ 본 발명에서는 집열발열판의 주(主)소재는 알미늄금속판이나,
기타 각종 금속판들도 사용 가능하며,이들은 모두다 열포집체의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열확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집열발열판 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은(銀), 백금, 금(金), 동(銅), 아연(亞沿), 알미늄 등의 얇은(미크론 두께) 박판을 사용하며, 0.5mm ∼ 3mm 전후 두께의 알미늄판, 또는 금속판의 앞, 뒷면에 접착, 도포, 도장, 도금을 하는 방법으로, 전체를 하나가 되도록 일체화한 것이다.
※ 이러한 내용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열포집체를 알미늄금속판으로 하고, 뒷면은 은박판을, 앞면에는 동박판을 접착, 또는 도포, 도장, 도금을 하게 된 경우에는』, .......
▶ 뒷면의 발열체로 부터 발열된 열을, 뒷편의 은박판이 전량 흡수하여,
▷ 일체화로 밀착 접착되어 있는 알미늄금속판 쪽으로 전달하며,
▷ 이 열은 열이동 현상으로 인하여, 알미늄금속판에 열이 보관되고,
▷ 이 알미늄금속판은 또다시 일체화로 밀착 접착되어 있는,
▷ 앞면의 동박판으로 열이동 현상이 일어나게 됨으로써,
= 알미늄금속판 만으로 단순한 금속열판의 역할을 하는 것 보다는, 그 열효율이, 실시예 결과 30%∼43%의 에너지효율이 상승되는 기능과 효과를 갖는다.
▷ 이렇게 하는 공정을 열포집체 제작 공정이라고 하며,
이 열포집체의 제작 과정에서는 ;
앞, 뒷면에 다른 종류의 금속박판을, 또는 같은 종류를 선택적으로 쓸 수 있으며, 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박판을 앞면에 쓸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나, 앞면에는 열전도율이 보다 높은 박판을 쓰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하면 발열체의 발열온도 효율을 가장 많이, 가장 높게 사용할 수 있다.
※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집열발열판』의 기능 및 열효율에 대하여 기술하면,
사례분석; 알미늄판의 앞, 뒷면에 똑같이 은(銀)박막이 되었을 경우,》
1).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은, 뒷편에 접착된, 열전도율이 100%인 은(銀)박막층으로 열전이가 이루어지고,
2). 열전이에 의한 은박막의 열은, 곧 알미늄판으로의 열이동과 열확산 현상에 따라, 알미늄판은 열포집체가 됨과 동시에, 상면에 접착되어 있는 열확산 매체소재인
3). 은박막층으로 열전이에 의한 열확산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가장 이상적인 열효율기능을 갖는 전기에너지 사용 방법의 집열발열판이 되는 것이다.
☞ 이러한 사실을 도면 제 3 도를 참고로 하여, 예를 들어 논리적으로 설명하겠다.
*도면 제 3 도 (나)에서 보면,
1). 발열체에서 발열되는 온도가, 예를 들어 섭씨 100℃라고 하면,
2). 발열체에 접착되어 있는 동(銅)에는, 동(銅)의 열전도율이 92%이니까,
3). 동(銅)의 능력대로, 흡수한 92℃를 유지시켜 준다. 이때에,
동은 열흡수기능, 즉 열확산 매체물이 되어, 고효율의 열이동 현상이 일어난다.
4). 동으로 전이 되어진, 92℃의 온도는, 접착되어 있는 알미늄판에 전달되는데,
@ 알미늄의 열전도율은 49% 이므로 92℃ x 49% = 45℃가 된다.
5). 고로 알미늄은 45℃를 유지 시키게 된다.
이때부터, 알미늄은 열저장고, 즉 열포집체의 기능을 수행한다.
6). 알미늄에 저장된 45℃ 온도는, 접착되어 있는 은(銀)에게 전달되는데,
@ 은(銀)의 열전도율은 100%이므로, 45℃를 그대로 받아서 표면으로 보내준다.
@ 이때의 은(銀)은, 열확산의 고(高)효율 열방사체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7). 이렇게 열전도가 이루어진 45℃의 온도는,
8). 발열체에서 100℃의 열이 계속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 인해,
점차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서, 50℃.....55℃......60℃로 계속 상승되어,
※ 마침내는 80℃∼90℃ 정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9). 이때 열발산 기능을 수행하는 은(銀)박판 위에, 이불이나 담요 등을 덮어두면, 보다 더 열이 상승하게 되어,
※ 실시예에 의하면, 83℃ 까지 온도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10). 즉; 이러한 것은, 지속적인 열이동 현상(열관류)에 의한 열전이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써, 열확산의 연속성에 의한 열평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11). 이와 같이, 열보관 기능을 갖는 열포집체로 집열발열판을 제작하여서, 발열체의 열효율을 극대화 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종전보다도 한차원 높은 에너지 이용법으로써, 상기 기술한 내용과 같으며, 이 방법은 곧 반도체 생산 공정 중, 하나의 공정에 해당되는 것이다.
12). 그래서, 상기 알미늄금속판의 역할은 열저장고의 역할 즉, 열포집체의 기능을 하게 되며, 열확산의 연속적인 현상에 의하여, 열이동 또한 지속적으로 계속될 때, 알미늄금속판의 열(熱)도 앞, 뒷면에 일체화로 접착되어진 동(銅),과 은(銀)에 근접하는 온도까지 온도가 상승되면서, 에너지뱅크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13). 이와 같은 집열판은, 일반철 (열전도율 10∼15%)도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나, 열전이율 및 열전도율, 열확산이 낮은 만큼 알미늄판에 비하여, 보다 많은 열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값이 싸고, 체적비중에 대비하여, 무게가 가벼운 알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4] ― 천공적층천은 일반천 중에서도 약간 두꺼운 후포지나 부직포 또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기능성 소재를 통털어 일컬음이며 어느 것이든 모두다 쓸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는 알미늄 금속판 상면을 접착제로 도포한 후, 그위에 그냥 붙이면 된다.
그러나, 단순히 부직포만을 붙이는 것 보다는 현대인들의 건강선호 기호에 맞추어서, 부직포에 독특한 모양의 천공(구멍)을 다수개 인위적으로 형성시켜서, 이 천공 모양과 동일한 형태의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약돌판이나,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소성 조형물을 구멍에 끼워서, 알미늄 금속판에 접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약돌판이나 동일한 기능의 소성 조형물로는.....
옥(玉), 금강약돌(북한산), 세라믹, 맥반석, 게르마늄, 과 이들을 분쇄한 분말가루로 만든, 약돌분말 혼합 조성물, 숯분말고형물, 황토고형물, 카본고형물을 사용하는데, 1 종류나 2 종류 이상의 분말을 섞어서 혼합한 조성물을 만들어서 사용하거나, 또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것과 혼용하여, 천공적층의 구멍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천공적층천으로 사용하는 일반 후포지나 부직포 대신에,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기능성소재를,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 그럼, 여기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대해서 간단히 기술토록 하겠다.
원적외선 이란.....
18세기 독일의 과학자 「허셀」에 의해 발견된 원적외선은, 1896년부터 의학계에서 질병 치료에 활용되기 시작하여, 국내에서도 온열 암치료 기기가 개발되어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원적외선은. . . . . . 「생명, 생육광선」이라 불리며,
3.6 ∼ 16 미크론의 긴 파장의 열에너지를 발산한다.
이 열에너지는 피부속 40mm까지 침투되어, 몸의 온열작용을 통해, 인체의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인체의 물질들을 돕는 유익한 광선이다.
이 광선은 지구상의 모든 물질에서 방사되나, 특히, 숯, 게르마늄, 황토, 제올라이트, 맥반석, 금강약돌, 옥(玉), 세라믹, 들의 방사율이 높다.
(보건 관련 문헌에 의하며) ;
숯이 방사하는 원적외선의 방사율 기준을 100으로 놓고 볼 때, 게르마늄, 맥반석, 제올라이트, 금강약돌, 옥(玉), 세라믹, 들의 방사율이 93이나 된다고 기술하였다.
음이온 이란.....
통칭하여, 「생체이온」이라고도 부르며,
공기중에 존재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별하고,
전기 성질을 띈 미립자로 존재하고 있으며, 1,000만분의 1 mm 정도라는 아주 미세한 크기로 지구상의 대기 속의 모든 곳에 무한히 널려 있다.
▷ 음이온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세계 최초로 학술적으로 발표한 분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독일의 레너드 박사이다.
그는 폭포주위가, 가장 음이온이 많이 존재하는 장소라고 발표 하였다.
일본 동경대학 의학부의 야마노 이노보루 공학박사는 「음이온을 많이 호흡하면 세포가 활성화 된다」고 발표 하였고, 일본의 음이온 의학회장인 호리구찌 노보루 의학박사는 음이온 열치료기를 발명하여 4개국 특허까지 받았다.
이와 같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 등은 너무나 많이 알려져 있는 사실로써,
순수 물질인 금, 은, 동, 암미늄에서도, 음이온이 온도 변화에 의한 이온 이동현상에 의하여 방출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주위에서 이를 적용한 사례로는, 실내 폭포 조경, 음료수를 차게하여 먹는것, 은단(銀丹), 금(金)가루술, 은(銀)주전자, 동(銅)주전자, 이외에도 많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다같이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 이와 같이, 음이온이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성 소재 로는 아래와 같다.
☞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성 소재 (1);
=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은박지(대체소재로는 알미늄박지, 동박지)와
숯화이버(대체소재로는 게르마늄화이버, 맥반석화이버, 옥화이버, 제올라이트화이버)와 동사원단(대체소재로는 금사원단, 은사원단, 닉켈도금원단)
이들 3종류를, 사용 목적에 따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적층소재로 만든 후, 알미늄금속판과 일체화로 접착시켜서 사용.
☞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성 소재 (2);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맥반석가루, 숯가루, 금강약돌가루, 세라믹가루, 옥(玉)가루와 카본가루, 황토가루를 사용목적에 따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한 것을 응고제 나, 접착제로써 금속판 상면에 직접 도장(도색), 도포, 또는 접착하여 사용 하거나, 또 다른 적출소재에 도장, 도포 또는 접착제로 접착시켜서, 일체화 된 적층소재를 만든 후, 알미늄금속판과 또다시 일체화로 접착시켜서 사용.
☞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성 소재 (3);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황토물이나 한약재 추출물에 면(광목)을 침적시켜서, 건조시킨 것을, 필요 수량만큼 접착제로써, 일체화된 적층 소재물을 만든 후, 개별적으로, 또는 사용 목적에 따른 순서대로 혼용하여, 알미늄금속판과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
☞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성 소재 (4);
상기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소재(1)로 만든 소재와,
상기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소재(2)로 만든 소재를,
사용 목적에 따른 순서에 의해, 접착제로 일체화된 적층 소재를 만든후.
알미늄금속판과 또다시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
☞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성 소재 (5);
상기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소재(1)로 만든 소재와,
상기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소재(3)로 만든 소재를,
사용 목적에 따른 순서에 의해, 접착제로 일체화된 적층 소재를 만든후.
알미늄금속판과 또다시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
☞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성 소재 (6);
상기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소재(1)로 만든 소재와,
상기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소재(2)로 만든 소재와,
상기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소재(3)로 만든 소재를,
사용 목적에 따른 순서에 의해, 접착제로 동시접착시켜 일체화된 적층 소재를 만든후.
알미늄금속판과 또다시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
☞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성 소재 (7);
상기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소재(2)로 만든 소재와,
상기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접착시키는 기능소재(3)로 만든 소재를,
사용 목적에 따른 순서에 의해, 접착제로 일체화된 적층 소재를 만든 후.
알미늄금속판과 또다시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
이상과 같이 만들어서 사용하는 7가지의 기능성소재는, 부직포를 사용 할 때와 마찬가지로 적층소재 전체를 접착시키거나, 또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천공을 뚫어서, 사용 목적에 적합한 약돌판이나 소성 조형물을 접착시켜 사용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부직포나 적층 소재에 천공을 뚫지 않고, 그 자리를 압착 함몰시켜서, 그 함몰된 자리에 약돌판이나 소성 조형물을 투입하여, 비닐 고주파 접착을 하여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이렇게 압착 함몰된 자리의 뒷면은, 압착되지 않는 면과 동일하게 평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금속판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 시키는 데는 아무 문제가 없다.
다만, 투입되는 약돌판이나 소성 조형물의 높이가, 함몰된 깊이 보다 길면, 차이만큼 접착 후 표면이 돌출될 뿐이다.
이 경우에는, 주로 옥(玉)을 많이 이용하며,
이외에도, 알미늄금속판 상면 전체를 옥판이나 그외 맥반석판, 금강약돌판, 세라믹판, 들과 같은, 천연원석인 약돌판을 그대로 알미늄금속판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하여, 완전히 일체화로 접착 시키기도 한다.
이렇게 적층 완료한 후에는,
미관을 화려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 한해, 상면을 망사로 덮어서 마감처리 할 수 있다.
망사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대체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망사를 많이 이용하며,
이외에는 금(金)망사, 은(銀)망사, 동(銅)망사 들이 있다.
이런 다음, 최종적으로 테두리 둘레 전체를 마감재로 둘러 주게 된다.
테두리 마감재로는 주로 가죽을 많이 이용하는데, 인조가죽이나, 천, 비닐을 포함한 합성수지재로써 마감을 해 줄 수도 있는데, 그 테두리가 두껍게 처리되지 않아야 하며, 재질이 부드러우면 된다.
이렇게 마감 처리된 금속판전열매트는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기 기술내용과 같이 3개를 연결시켜서 사용하여야 되는데,
테두리의 끝단에는, 매트와 매트 사이의 틈 간격을 형성 시키도록 하여, 마감처리할 때, 차량용 안전벨트나 배낭의 벨트와 같이, 두꺼운 재질의 벨트가 테두리 마감재 끝단에 형성되어 있어서, 매트와 매트 사이를 연결시켜 주고 있다.
매트와 매트의 틈 간격은 매트의 구성 두께에 따라 벨트자리를 꺾을수 있어야 되며, 매트와 매트를 접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벨트는 매트와 매트가 연결되어, 접을 수 있는 테두리에는 모두 형성되어 있으며, 접기 간편을 위해서는 필요시 중간에 지퍼로 처리하여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매트와 매트 사이에 전원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잭이나, 프러그 장치가 짧게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매트와 매트를 탈, 부착시키지 않고, 그냥 벨트로 연결하여 고정화 할때는, 벨트자리에 음료수를 음용할 때 사용하는, 빨대 정도의 굵기에, 자바라 형태로, 임의 꺽임이 가능한 가느다란 파이프가, 매트와 매트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서, 이 가느다란 파이프 내부로 전선이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 상기한 기능성 소재들을 일체화로 접착시켜서, 내부공간을 완전히 없애 줌으로써,
▶ 열 전도율을 극대화 시켜 주고,
▶ 매트 전체를 일정한 온도 유지가 되게 하고,
▶ 단시간 내에 열 손실없이 원하는 온도까지 상승시켜주는 최신공법에 의한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인 것이다.
그리고, 매트 1개의 크기를, 베니어 합판 크기와 같은 알미늄금속판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며, 알미늄금속판의 크기와 관계없이 만들 수 있는데, 제조공법이 아주 간단하고, 단순해서, 이렇게 합판크기로 만든 매트는, 거실이나, 마루, 또는 문간방이나 안방에 까지도 여러장을 연결하여 설치 할 수 있는데, 접속코드만 연결하면, 손쉽게 조립 설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것들은,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연수원이나, 양로원, 경로당, 유아원, 군부대막사, 해안초소, 각종 마루바닥, 병원, 산후조리원, 해외수출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많은 곳에서 사용가능하며,
특히, 종전까지 사용되든, 각종 전열매트 중에서 열전도가 불량하거나, 온도편차가 심한 매트의 대체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요사이는 카페트를 각종 세균이나 진드기의 온상으로 취급하여 잘 사용하지 않으나, 본 발명품을 합판크기의 전후의 크기로 제작하여, 카페트 밑에 넣어둘 경우, 매트의 뜨거운 열기에 의해, 각종 세균이나 진드기등이 탈수, 건조되어 사멸되게 되며, 겨울철 외출후 귀가시 전원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수분이내에 따끈한 온열이 카페트 전체에 그대로 나타나게 되는, 획기적인 건강을 위한 발명품인 것이다.
이렇게 대형으로 제작되는, 본 발명품은
조립 연결시켜서 설치되기 때문에, 테두리 마감이 불필요하며, 접속코드만 연결되면, 여러장을 아무리 큰 거실이나 마루에도, 간단하게 설치 할 수 있으며, 다만 테두리쪽에 불편하지 않고, 편리한 형태의 손잡이만 있으면 되는, 아주 간편하고,깔끔한 형태의 신개발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최신공법의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의 조립 전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의 조립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의 집열발열판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2: 바닥마감재 3: 단열재
4: 알미늄 금속판 5: 열선 6: 천공적층천
7: 각종 약돌 8: 망사 9: 테두리마감재
10: 벨트 11: 은 12: 동 13: 집열발열판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특징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발명에 따른 최신공법의 건강금속전열판 매트(1)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조립전 사시도이다.
도2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가 조립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일 밑바닥에는 바닥마감제(2)가 있고, 그 위에는 단열재(3)가 고르게 펼쳐저 있으며, 또다시 그 위에는 알미늄금속판(4)이 적층되게 된다. 이 알미늄금속판(4)은 단열재(3)와 접착되는 면에 열선(5)이 알미늄 접착 테잎으로 밀착되게 접착되어 있다.
이 방법은, 지금까지 사용되어 오고 있는 방법과는 완전히 다른 방법인 것이다.
이렇게 하여, 1차적인 조립이 간단하게 끝나게 되는데,
이 알미늄금속판(4)의 상면이, 메트의 기본적인 표면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 추가로,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기능을 발휘하는 소재들과, 이 소재에 뚫려지게 되는 천공구멍들의 형태를 선택 결정하여 적층한 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알미늄금속판(4)위에 얹혀지는 상기 기능성 소재들은,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하되, 그냥 그대로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구멍이 뚫린 천공적층천(6)을 적층하여 사용하게 된다.
천공적층천(6)의 뚫린 구멍에는, 기능성 약돌(7)이나 기능성 소성 조형물들이 끼어져서, 천공적층천(6)과 함께 알미늄금속판(4)의 상면에 강력한 접착제로 접착하게 된다.
이와 함께, 천공적층천(6) 위에, 이를 보호하거나, 또는 미관을 위해 망사(8)를 덮어줄 수 도 있다.
그 후, 테두리마감재(9)로써, 마감을 하면 모든 조립이 완성된다.
그러나, 이렇게 완성된 것은 단지 전체 매트의 3등분 중 하나에 해당 하므로, 나머지도 상기 내용과 같이 조립한 후, 먼저 조립한 것과 같이 동일한 마감재 로써, 연결 작업을 하면 되는 것이다.
테두리마감재(9)의 끝단에는 벨트(11)가 끼여져 있어서, 매트끼리 연결되게 된다.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 전체가 하나인 매트를 2∼3 등분하여 연결되게 하였기 때문에________
_____▶ 간단하게 접을 수 있고,
※ 제조공법이 종전에 비하여,________▶ 반가량 줄어 들었고,
※ 열 전도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어서,________
_____▶ 열 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되었으며,
※ 알미늄금속판의 두께가 2mm전후로 되어 있기 때문에,_______
_____▶ 바닥면이 완전 평면이 되어있어서, 취침시 허리를 보호하여 곧게 펴 주며,
※ 열선이 알미늄금속판의 밑면에 완전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_______
_____▶발열체의 발열량이 그대로 알미늄금속판에 직접 전달되고,
※ 알미늄금속판 위에 적층되는 소재 또한, 그냥 적층되어 공기층을 중간에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알미늄금속판 상면에 강력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서,______
_____▶ 여기에 적층되는 소재가 완전히 밀착되어서, 일체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거의 100%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_____▶ 단시간 내에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고, 발끝에서부터 어깨까지 일정하게 온도가 유지 됨으로써,
국민건강에 확실한 방향을 제시해 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 휴대가능, 2∼3등분으로 접을 수 있어, 보관 관리가 용이하며, 온도상승 시간단축, 일정온도유지 가능하여, 종전까지 갖고 있든, 전열매트의 잘못된 인식을 완전히 바꾸어 놓을 수 있는,
획기적이면서도 최신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전열판 매트이며,
이러한 건강금속전열판 매트를, 전 국민에게 널리 보급 코자 하는 것이 근본 목적임.
※ 그 사용 대상처로는,
종전까지 사용되든 각종전열 매트 중에서, 열전도가 불량하거나, 온도 편차가 심한 매트들의 대체품으로 활용되어, 국민건강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것이 그 첫번째 이고, 그 다음으로, 합판 크기로도 제작할 수 있는 본 발명품은,
거실이나 마루는 물론, 문간방이나 안방까지도 여러 장을 접속코드로 연결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연수원, 숙박업소, 양로원, 경로당, 유아원, 군부대막사, 해안초소, 식당 등의 각종 마루바닥, 병원, 산후 조리원, 그 외, 해외 수출 등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카페트 밑에 넣어 두면, 각종 세균이나 진드기 등이 열기에 의해 탈수, 건조되어 완전 사멸하게 되며, 진드기 없는 카페트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카페트의 세탁에도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고, 물이 쏟아져도 열기에의해 자체 건조가 되며, 특히 장마철 같은 때의 빨래 건조에는, 다른 무엇보다도 비교 할 수 가 없을 정도로 편리하게 쓸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건강금속전열판 매트를 전 국민에게 널리 보급 코자 하는 것이 근본 목적임.

Claims (17)

  1. 금속판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에 있어서,
    금속판의 뒷쪽 바닥면에는,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가 고정 접착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금속판의 바닥쪽에는, 동일 크기의 바닥마감재와 단열재가 적층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금속판의 앞쪽 상면에는, 천공적층천이 접착제로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로써,
    바닥재, 단열재, 발열체, 금속판, 천공적층천이 한꺼번에 접착제로 압착되어, 일체화로 형성하여, 매트 전체에 평준화된 온도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으로는,
    알미늄판과 같이 열 전도율이 높은 동(銅)판, 아연(亞鉛)판, 갈바판, 스텐판, 과 일반철판에 도포, 도금, 도장, 한 것을 사용하며,
    금속판의 크기는 -- 보통매트의 크기나, 합판크기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또는
    -- 제작 완료 후, 접을 수 있도록 2∼3등분으로 되어 있고,
    금속판의 두께는 0.5mm ∼ 3mm 전, 후가 되고, 바닥면에는 발열체(면상발열체, 열선)를 접착제나, 접착 테잎으로 그냥 접착하거나, 또는 일정하게 파여 진 홈을 따라, 열선을 끼워서 접착 테잎으로 접착하여서, 전열매트의 발열판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3.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금속판 또는 비철금속판의 열효율 극대화를 위하여, 열포집 기능과 열방사 기능을 갖는 집열판이 되는 금속판, 또는 비철금속판의 앞, 뒷면에, 열전도율이 높은 은, 백금, 금, 동, 아연의 얇은 박판을, 같은 종류 또는 각각 다른 종류를,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한 후, 접착 또는 도포, 도장, 도금 등의 수단으로 하나의 일체화된 집열판의 구성과 기능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발열체를 고정이나, 접착 시킴에 있어서, 1개 이상의 별도의 방염처리된 천(布)이나, 방염처리된 종이에 발열체(열선, 면상발열체)를 접착시킨 후, 이것을 단열재와 금속판 사이에, 삽입, 적층하여, 일체화로 고정이나,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일반 천(布)이나 종이, 또는 목재류 박판을 사용목적에 따라, 금속판과 발열체 사이의 중간에 삽입, 적층하여, 절연체 기능을 갖도록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6.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의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되는 적층천에는,
    독특한 모양의 다수개의 천공이 인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천공구멍과 동일모양의 원적외선과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약돌판이나, 동일한 기능을 갖는 소성 조형물을 합체하여 끼운 후, 금속판의 상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에 의해 일체가 되게 압착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7. 제1항과 제6항에 있어서,
    천공적층천의 천공 구멍에 끼워지는 기능성 약돌판이나, 기능성 소성 조형물로는, 옥(玉), 맥반석, 금강약돌(북한산), 세라믹, 게르마늄, 과 이들을 분쇄한 분말가루로 만든 약돌분말 혼합 조성물, 숯분말고형물, 황토고형물, 카본고형물, 각종 한약재 추출 고형물을 사용하는데,
    1종류나 2종류이상의 천연 약돌판을 그냥 사용하거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약돌분말 혼합 조성물을 만들어 쓰거나, 또는
    1종류나 2종류 이상을 본 청구항에 기술한 소재중에서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것과 혼용하여 쓸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8.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시키는 부직포외의 기능성 소재로는,
    은박지 (대체소재로는 ; 알미늄박지, 동(銅)박지)와,
    숯화이버 (대체소재로는 ; 맥반석화이버, 옥(玉)화이버, 제올라이트화이버)와,
    동사원단 (대체 소재로는 ; 금사원단, 은사원단, 닉켈도금원단)이 있으며,
    이들, 세 종류와 대체소재를 포함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독립적으로 또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적층소재물로 만든 후, 금속판과 일체화로 접착시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9.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시키는 또 다른 기능성 소재로는,
    세라믹가루, 숯가루, 옥가루, 맥반석가루 게르마늄가루를 사용 목적에 따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한 것을, 각종 응고제나 접착제로써, 금속판 상면에 직접 도장, 도포, 또는 접착하여 사용하거나,
    금속판 상면에, 또 다른 소재를 적층할 경우에는, 본 청구항 에 기술한 소재를 도장, 도포, 또는 접착제로 일체화된 적층소재물을 만든 후, 이를 금속판과 일체화로 접착시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10.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시키는 또 다른 기능성 소재로는,
    황토물이나 각종 한약제 추출물에 면(광목)을 침적시켜서,
    필요 수량 만큼 적층하여, 일체화 된 적층소재물을 만든 후,
    개별적으로,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혼용하여,
    금속판과 일체화로 재접착 시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11.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시키는 또 다른 기능성 소재로는,
    청구항 8항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적층소재물과,
    청구항 9항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적층소재물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순서대로, 접착제로써, 일체화된 또 다른 적층소재물을 만든 후, 이것을 금속판과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12.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시키는 또 다른 기능성 소재로는,
    청구항 8항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적층소재물과,
    청구항 10항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적층소재물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순서대로 접착제로써, 일체화한 또 다른 적층소재물을 만든 후, 이것을 금속판과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13.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시키는 또 다른 기능성 소재로는,
    청구항 8항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적층소재물과,
    청구항 9항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적층소재물과,
    청구항 10항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적층소재물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순서대로 접착제로 동시 접착시켜, 일체화된 적층소재물을 만든후, 이것을 금속판과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14.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시키는 또 다른 기능성 소재로는,
    청구항 9항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적층소재물과,
    청구항 10항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적층소재물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순서대로, 접착제로서 일체화된 또다른 적층소재물을 만든후, 이것을 금속판과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15. 제l항에 있어서,
    금속판의 상면에,
    일체화로 접착되기 전의 적층천에는 천공을 뚫지 않고,그 자리를 압착 함몰시켜서, 청구항 7항에 명시된 것과 같은 소재의 약돌이나 소성 조형물로써,
    그 함몰된 자리에 투입하여, 비닐 고주파접착을 한 후, 이것을 금속판과 일체화로 재접착시켜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16.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작 완료된, 접을 수 있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의 테두리에는, 도면 제1도에 명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마감제에는, 매트와 매트를 연결해 주는 벨트가 형성되어 있고, 벨트의 끝단에는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전선 연결통로(음료수 빨대형의 자바라 구조)를 갖는, 특징의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17.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작 완료된, 접을 수 있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의 테두리에는, 도면 제1도에 명시된 바와 같이, 매트와 매트를 연결해 주는 벨트 자리에 탈, 부착이 가능한 지퍼 장치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KR1020010020585A 2001-04-12 2001-04-12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KR20020079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585A KR20020079297A (ko) 2001-04-12 2001-04-12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585A KR20020079297A (ko) 2001-04-12 2001-04-12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297A true KR20020079297A (ko) 2002-10-19

Family

ID=2770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585A KR20020079297A (ko) 2001-04-12 2001-04-12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92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130A (ko) * 2001-11-21 2003-05-28 정정자 온열매트및 그 제조방법
KR100656804B1 (ko) * 2005-01-31 2006-12-13 주식회사 동성실리콘 실리콘을 포함하는 기능성 카페트
KR100665705B1 (ko) * 2003-06-12 2007-01-09 김규탁 도전성 금속섬유와 기능성화합물을 이용한 시트형 발열체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3531B1 (ko) * 2023-01-03 2023-08-31 김선미 기능성 전도성 물질을 갖는 온열패드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24A (ko) * 1997-10-23 1999-05-15 최원규 건강매트
KR19990023398U (ko) * 1997-12-05 1999-07-05 김영건 매트리스
KR20000000088A (ko) * 1999-09-06 2000-01-15 김이교 참숯판재를 이용한 전열 휄스 매트
KR200172845Y1 (ko) * 1999-09-22 2000-03-15 한일의료기주식회사 건강 매트리스
KR200226749Y1 (ko) * 2000-10-25 2001-06-15 김상현 방향제 내장 및 음이온 공기청정 기능의 온도조절기를가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24A (ko) * 1997-10-23 1999-05-15 최원규 건강매트
KR19990023398U (ko) * 1997-12-05 1999-07-05 김영건 매트리스
KR20000000088A (ko) * 1999-09-06 2000-01-15 김이교 참숯판재를 이용한 전열 휄스 매트
KR200172845Y1 (ko) * 1999-09-22 2000-03-15 한일의료기주식회사 건강 매트리스
KR200226749Y1 (ko) * 2000-10-25 2001-06-15 김상현 방향제 내장 및 음이온 공기청정 기능의 온도조절기를가진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130A (ko) * 2001-11-21 2003-05-28 정정자 온열매트및 그 제조방법
KR100665705B1 (ko) * 2003-06-12 2007-01-09 김규탁 도전성 금속섬유와 기능성화합물을 이용한 시트형 발열체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56804B1 (ko) * 2005-01-31 2006-12-13 주식회사 동성실리콘 실리콘을 포함하는 기능성 카페트
KR102573531B1 (ko) * 2023-01-03 2023-08-31 김선미 기능성 전도성 물질을 갖는 온열패드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820Y1 (ko) 건강 기능성 침구류
KR200356207Y1 (ko) 인체 친화 소재를 갖는 매트리스 및 매트리스 일체형온돌침대
CN202858757U (zh) 智能发热地毯
KR20020079297A (ko) 건강금속전열판 매트.
JP2000139624A (ja) 機能可変式の布団セット
KR200434778Y1 (ko) 황토 매트리스
KR200240426Y1 (ko) 온돌을 이용한 난방침대
KR100814352B1 (ko) 화산석과 황토를 이용한 온돌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50982B1 (ko) 다기능성 건강 매트리스 및 침대
KR102418928B1 (ko) 건강매트리스
KR101117487B1 (ko) 침대용 보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284666Y1 (ko) 셋트 전열기구
KR100557249B1 (ko) 세라믹을 이용한 온열전위 침대커버
KR101850976B1 (ko) 다기능성 건강 매트리스 및 침대
KR200167852Y1 (ko) 수맥, 전자파 차단매트
KR200398091Y1 (ko) 온열장치가 내장된 대자리
KR200275636Y1 (ko) 건강보조용 매트리스
JP2000201775A (ja) 暖房ベッド
KR200304433Y1 (ko) 매트의 매트용부재 고정구조
KR200339612Y1 (ko) 원적외선방사 나무온열침대
KR200309506Y1 (ko) 피착물에 탄소열판이 고정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제품
KR200231402Y1 (ko) 건강보조용 매트의 옥 결합구조
KR200282733Y1 (ko) 셋트 전열기구
KR200337039Y1 (ko) 인조석 설치구조
KR200163892Y1 (ko) 방사체를 구비하는 자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