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383A -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383A
KR20020078383A KR1020010018741A KR20010018741A KR20020078383A KR 20020078383 A KR20020078383 A KR 20020078383A KR 1020010018741 A KR1020010018741 A KR 1020010018741A KR 20010018741 A KR20010018741 A KR 20010018741A KR 20020078383 A KR20020078383 A KR 20020078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ensor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1001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383A/ko
Publication of KR2002007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3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 중에만 액정 표시부의 디스플레이나 키입력부 등의 동작을 가능토록 하고 사용중이 아닐 때는 상기 기능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 전면부에 일정 거리 이내에 물체나 인체(사용자 안면)가 있는지 없는지를 센서를 통해 센싱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 액정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등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시의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동작 및 전력소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operate control sensor}
본 발명은 액정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온/오프 등의 동작을 센서를 통해 단말기의 사용 유무를 판별하여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 전면부에 일정 거리 이내에 물체의 존재 여부를 센서를 통해 센싱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액정 표시부 및 키입력부 등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시 번거러움을 해소하고, 불필요한 동작 및 전력소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Digital Cellular System, DCS), 개인 휴대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아이엠티(Intera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2000 망 시스템 등의 휴대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 타입(bar type)과 플립 타입(flip type)이 있다. 현재는 바 타입과 플립 타입이 공존하고 있으며, 점점 플립 타입의 단말기가 일반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플립 타입의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본체에 설치된 플립 커버가 다수개의 키들을 외부환경으로 부터보호할 수 있으며, 음의 반사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플립 타입의 단말기가 기기 세트의 소형화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플립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플립 업 타입(flip up type)과 플립 다운 타입(flip down type)의 단말기가 있다. 플립 다운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플립커버가 기기 본체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고, 플립 업 타입의 휴대폰은 플립커버가 기기 본체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플립커버가 본체에 상하 양단에 설치되는 양단 플립타입의 단말기가 있다.
더욱이, 소형화에 가장 유리한 폴더 타입의 단말기가 점점 일반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향후에는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일반화되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살펴보면 플립이나 폴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말기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상기 기구적인 플립이나 폴더를 동작시켜 오프(Off)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을 줄였으며, 또한 상기 플립이나 폴더를 통해 단말기 휴대시 키입력부의 입력용 키가 우발적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플립이나 폴더를 손으로 동작시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든 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말기 사용 과정은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폰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일 예로 단순히 야간에 디스플레이를 보려고 백라이팅을 켤 때도 플립이나 폴더를 손으로 동작해야 하며, 플립이나 폴더가 없는바(BAR) 형태의 단말기에서도 백라이팅을 위해서 키를 누르는 등의 동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현재 일부 선보이고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입력 장치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도 디스플레이의 온(On)/오프(Off) 및 불필요한 동작 방지를 위해서 별도의 장치 또는 키 등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를 이용한 센싱을 통해 단말기의 사용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사용중일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및 키입력 등의 동작을 가능토록 하고, 사용중이 아닐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및 키입력 등의 동작을 차단함으로써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 및 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물체나 인체 등의 위치 또는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방을 향하여 신호(빛을 포함한 전자기파나 초음파를 포함한 진동파 등)를 발사하고 상기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신호 송수신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하고, 중간 매개체 역할을 담당하는 송수신 회로부와,
상기 송수신 회로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약 또는 지연시간 측정으로, 물체의 유무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액정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와 키입력부의 키입력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측정 회로부로 구성됨을 그 장치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물체의 형태를 감지하는 광학 센서와,
상기 광학 센서의 출력신호로 일정 거리 범위에 인체의 안면 부분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액정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와 키입력부의 키입력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측정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장치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작 제어용 센서를 부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물체 사이에서 센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키입력부
120 ..... 액정 표시부(LCD)
130 ..... 이동국 모뎀(MSM)
200 ..... 센서(sensor)
210 ..... 신호 송수신부
220 ..... 송수신 회로부
230 ..... 제어/측정 회로부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물체 사이에서 센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크게 키입력부(110)와, 액정 표시부(LCD)(120)와, 센서(sensor, 감지장치)(200)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 눈으로 단말기(100)의 액정 표시부(120)를 응시하면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눈과 단말기 사이에는 수십 센티미터(Cm) 정도의 거리가 확보되며, 눈과 단말기(100)의 액정 표시부(120) 사이에는 시야를 가리는 방해물은 없는 상태이다.
한편, 단말기(100)를 휴대중일 때에는 대부분 사용자의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들어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단말기(100)와 아주 가까운 거리에 물체(30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100)에서는 액정 표시부(120)의 전면부의 일정 거리 이내에 물체(300)가 있는지 없는지를 센싱하고, 상기 센서(200)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단말기(100)의 사용중인지 또는 휴대중인지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액정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를 온(On)/오프(Off) 시킬 수 있고 원치 않는 키입력 등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200)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부에서 일정한 각도(근접각)와 일정한 거리(근접거리) 이내에 물체(300)가 있는지를 감지하여, 물체(300)가 없는 경우를 사용중으로 인지하고, 물체(300)가 있는 경우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는 경우로 보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100)의 액정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보기 위하여 단말기(10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으면 사용 중으로 인식하고,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휴대하게 되면 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중인경우와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는 경우에 따라 액정 표시부(120)와 키입력부(110) 등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단말기의 번호를 지정하는 입력패드(0 ~ 9, *, #)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키코드를 발생하는 키입력부(110)와, 상기 키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값(영자, 숫자 및 한글 등)과 단말기(100)의 부가 기능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 표시부(LCD)(12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와 각종 제어 및 인터페이스 칩을 내장하고 있으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각 구성 블럭의 동작을 제어하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를 처리하며,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국 모뎀(Mobile Station Modem, MSM)(130)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중인 경우와 사용중이 아닌 경우를 판별하고, 물체나 인체(300) 등의 유무 및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정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 및 키입력부(110)를 제어하는 센서(2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센서(200)는 물체(또는 인체)(300) 등의 위치 또는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방을 향하여 신호(빛을 포함한 전자기파나 초음파를 포함한 진동파 등)를 발사하고 상기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210)와, 상기 신호 송수신부(210)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해주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송수신 회로부(220)와, 상기 송수신 회로부(220)로부터 전송되는정보를 이용하여 물체(300)의 유무 또는 물체(300)까지의 거리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물체(300)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의 강/약 또는 지연시간 등을 측정하고, 상기 액정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와 키입력부(110)의 키입력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측정 회로부(23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센서(200)는 송신부와 수신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송신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신호를 발사하고 물체(300)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부에서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는 빛을 포함한 전자기파나 초음파를 포함한 진동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물체의 유무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는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의 강/약 또는 지연시간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센서(200)는 단순한 반사형으로 단말기와 물체의 거리, 물체의 유무 등을 감지하여 일정한 각도와 일정한 거리 이내에 물체가 있으면 이를 휴대 중으로 인식하고 반대로 일정한 각도와 일정한 거리 이내에 물체가 없으면 이를 사용 중으로 인식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또 다른 센싱 방법으로는 반사형 센서가 아닌 물체의 형태를 감지할 수 있는 광학 센서를 사용하여 단말기의 전면부에 일정 거리 범위에 인체의 안면부분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반사형 센서와는 조금 다르게 일정 거리 범위에 인체의 안면부분이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중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플립이나 폴더 등의 제어, 또는 특정 키의 조작으로 단말기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던 기존의 방식을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구동없이 단말기가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말기 사용시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단말기 등에서는 기구적으로 설치하기 어려운 플립이나 폴더를 대신하여 간편하게 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센서를 통한 디스플레이 및 키입력 등의 동작을 자동으로 온/오프 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 및 키입력 등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

  1. 액정 표시부와,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물체나 인체 등의 위치 또는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방을 향하여 신호(빛을 포함한 전자기파나 초음파를 포함한 진동파 등)를 발사하고 상기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신호 송수신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하고, 중간 매개체 역할을 담당하는 송수신 회로부와;
    상기 송수신 회로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약 또는 지연시간 측정으로, 물체의 유무 또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액정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와 키입력부의 키입력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측정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물체의 형태를 감지하는 광학 센서와;
    상기 광학 센서의 출력신호로 일정 거리 범위에 인체의 안면 부분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액정 표시부의 디스플레이와 키입력부의 키입력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측정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10018741A 2001-04-09 2001-04-09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78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741A KR20020078383A (ko) 2001-04-09 2001-04-09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741A KR20020078383A (ko) 2001-04-09 2001-04-09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383A true KR20020078383A (ko) 2002-10-18

Family

ID=2770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741A KR20020078383A (ko) 2001-04-09 2001-04-09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3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79B1 (ko) * 2005-06-13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리/각도 측정 장치 및 이의 게임지원방법
KR100823870B1 (ko) * 2007-10-04 2008-04-21 주식회사 자티전자 근접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절전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156153B1 (ko) * 2008-03-07 2012-06-18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통신단말
KR101478477B1 (ko) * 2010-12-31 2014-12-31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근접 검출 검증을 위한 모바일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79B1 (ko) * 2005-06-13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거리/각도 측정 장치 및 이의 게임지원방법
KR100823870B1 (ko) * 2007-10-04 2008-04-21 주식회사 자티전자 근접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절전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156153B1 (ko) * 2008-03-07 2012-06-18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통신단말
KR101478477B1 (ko) * 2010-12-31 2014-12-31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근접 검출 검증을 위한 모바일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3948B1 (en) Wireless handheld device and method with gui control
US6535461B1 (en) Communication device
EP1630587A1 (en) HMD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6418325B1 (en) Handheld device having an optical data reader
US2013028116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with an orientation detector
EP1867958A2 (en) Position Sensor
KR100590526B1 (ko) 손가락 움직임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2526280A (ja) 赤外線除去のためのカラーセンサ及びクリアセンサを有する光感知装置
US200200849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olling electrical power to display device
CN110825223A (zh) 一种控制方法及智能眼镜
KR20020078383A (ko) 동작 제어용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WO2014192583A1 (ja) 端末装置
KR20020092057A (ko) 휴대형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방법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JP3037170B2 (ja) 携帯電話機
CN107526522A (zh) 黑屏手势识别方法及装置,以及移动终端、存储介质
KR940027406A (ko) 스마트 카드 전화기 보조장치
KR20080068489A (ko) 개인휴대단말기용 광 포인팅 장치
US6571085B1 (en) Portable telephone which can carry out optical communication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and avoiding erroneous operation without complex operation
JP2002314667A (ja) 携帯端末装置
KR20010064795A (ko) 휴대폰의 전력 소모 감축 방법
KR200315274Y1 (ko) 마우스 기능을 갖춘 모바일 단말기
KR20060120762A (ko) 거리 센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9990049847A (ko) 휴대폰의 온도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50090619A (ko) 무선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