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001A -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 Google Patents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001A
KR20020078001A KR1020010017793A KR20010017793A KR20020078001A KR 20020078001 A KR20020078001 A KR 20020078001A KR 1020010017793 A KR1020010017793 A KR 1020010017793A KR 20010017793 A KR20010017793 A KR 20010017793A KR 20020078001 A KR20020078001 A KR 20020078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earphone
winding
wound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구
이종영
전양석
박용후
최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케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케이지
Priority to KR102001001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001A/ko
Priority to CN 01143393 priority patent/CN1379613A/zh
Publication of KR2002007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00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 사용되는 이어폰 코드를 정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 코드와 이어폰 코드가 하나의 전선으로 연결되는 무절단형이며 플러그쪽 코드는 케이스에 고정 또는 반고정시켜서 사용시 이어폰 코드만 인출하고 미사용시 이어폰 케이스 안에 자동으로 정립되도록 하는 장치를 구비한 이어폰 코드의 권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어폰 케이스 안의 내측코드 감김 공간(3e)을 콘모양의 빈 공간으로 만들어서 이어폰 코드와 플러그 코드를 하나의 연결 줄, 즉 무절단형으로 연결이 가능하게 하고, 이어폰 인출 코드(11)의 풀림 및 정립시 몸체 케이스(1)를 중심으로한 내부 쪽에 내측 코드(9)가 나선형의 모양을 이룰 수 있도록하여 사용시 이어폰 코드의 엉킴 및 꼬임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고정부(1a)와 회전축(3g)을 중심으로 코드 감김시 양쪽이 같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축(3g)을 코드 감김 보빈(3)과 같은 몸체로 만들어 보빈(3)이 회전시 회전축(3g)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순조로운 내측 감김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몸체 케이스(1)에 고정부(1a)를 구비하여 태엽 스프링(2), 코드 감김 보빈(3), 평 와셔(4) 및 케이스 커버(5)의 조립시 하나의 조립나사(6)만을 사용하여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The method of one direction rolling and unrolling of uncut wire typed ear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 사용되는 이어폰 코드를 정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8)와 이어폰(12)이 동일한 하나의 코드(8a, 9, 10, 11)로 연결되는 무절단형이고, 플러그(8)쪽 코드는 몸체 케이스(1)에 고정 또는 반고정하여서 사용시에는 이어폰쪽 인출 코드(11)만 인출하고 미사용시 케이스(1, 5) 안에 자동으로 정립되도록 하는 장치를 구비한 이어폰 코드의 권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휴대폰의 핸즈프리용이나, 휴대용 오디오기기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핸즈프리용 제품들을 보면 스피커는 이어폰 케이스에 있고 마이크는 이어폰 줄에 위치해 있거나, 이어폰 케이스에 스피커와 마이크가 함께 구비된 제품들이 있지만 이들 이어폰은 권취장치가 없으므로 이어폰 코드의 엉킴 및 꼬임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보관상의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코드를 자동으로 정립하는 장치가 있는데 그 방식은 플러그 부분의 코드는 고정되고 코드가 감길 부분은 회전을 해야하는 관계로 이어폰의 플러그 코드와 이어폰 코드는 하나의 줄로서 연결이 되지 못하고 반드시 분리되어 있어야 하고 이 분리된 부분은 다시 접점단자로 하여금 회전을 하면서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는 향후 내구성 및 접점잡음 또는 회전 마찰잡음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양측방향으로 줄을 당겨서 사용하는 이어폰의 권취방법은 비록 이어폰 케이스가 없어 경량화 되었지만 반드시 양쪽(플러그쪽, 이어폰쪽)에서 당겨야 하며 만약 한쪽 방향에서만 당길 경우 감김 접점이 흐트러져 엉키어 버리고 또한 취급상 엉킴때문에 주의해야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통신기기나 오디오에 사용되는 이어폰에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자동 권취장치를 부착하여 코드를 인출 및 정립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코드가 꼬이거나 엉키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이어폰 코드의 정립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케이스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케이스의 조립 측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코드가 정립된 상태의 단면도.(순감김)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코드가 1/2만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코드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역감김)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케이스
1a : 코드 감김 보빈(3), 평 와셔(4), 케이스 커버의 중심축 구멍(5a) 및 조립 나사(6) 고정부
1b : 태엽 스프링(2) 내측 걸이부(2b)의 고정 가이드
1c : 이어폰쪽 코드 외부 노출홈
2 : 태엽 스프링
2a : 태엽 스프링(2) 외측 걸이부
2b : 태엽 스프링(2) 내측 걸이부
3 : 코드 감김 보빈
3a : 이어폰 코드 감김부(외부에 노출된 이어폰 코드정립시)
3b : 태엽 스프링(2) 삽입홈
3c : 태엽 스프링(2) 외측 걸이부(2a)의 고정 가이드
3d : 이어폰 코드 감김부(3a)와 내측 코드 감김공간(3e)의
연결통로 및 고정부
3e : 내측 코드 감김공간
3f : 몸체 케이스(1) 고정부(1a) 삽입구
3g : 코드 감김 보빈(3)과 한 몸체의 회전축
4 : 평 와셔(회전 마찰지수 감소용)
4a : 몸체 케이스(1) 고정부(1a) 삽입구
5 : 케이스 커버
5a : 플러그쪽 코드 외부 노출홈
5b : 케이스 커버(5) 중심축 구멍
6 : 조립 나사
7 : 내측 코드 풀림 공간
8 : 플러그
8a : 몸체 케이스(1) 중심의 플러그쪽 코드의 외부 노출구
9 : 내측 코드
10 : 케이스 커버(5)의 이어폰쪽 코드 외부 인출부
11 : 이어폰쪽 인출 코드
12 : 이어폰
13 : 내측 코드 풀린 상태
14 : 1/2 인출 상태의 이어폰쪽 외부인출 코드
15 : 역방향 감김 상태의 내측 코드
16 : 완전히 인출 상태의 이어폰쪽 외부인출 코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콘모양의 빈 공간으로 만들어진 이어폰 케이스 안의 내측 코드 감김 공간(3e)은 이어폰 코드와 플러그 코드가 하나로 연결된 줄, 즉 무절단형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이어폰 인출 코드(11)의 풀림 및 정립시 내측 코드(9)가 나선형(9)의 모양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시 이어폰 코드의 엉킴 및 꼬임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3g)을 중심으로 코드의 감김시 양쪽이 같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축(3g)을 코드 감김 보빈(3)과 같은 몸체로 만들어 보빈(3)이 회전시 회전축(3g)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순조로운 내부 감김 기능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또한 몸체 케이스(1)에 고정부(1a)를 구비하여 태엽 스프링(2), 코드 감김 보빈(3), 평 와셔(4) 및 케이스 커버(5)의 조립시 하나의 조립나사(6)만을 사용하여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조립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으로 제품의 경쟁력이 증가되며, 또한 제품의 견고성 증대로 파손에 의한 인체 손상 위험이해소되고 제품의 사용기간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시의 측단면도이다.
내측 코드(13) 풀림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코드 감김 보빈(3)과 케이스 커버(5) 사이의 공간을 활용한다. 또한 내측 코드(9)가 엉킴 없이 풀림과 정립을 하기 위하여 보빈(3)의 회전축(3g)을 중심으로 풀림과 정립시 나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이어폰 코드 감김부와 내측 코드 감김 공간의 연결 통로 및 고정부(3d)는 콘모양인 내측 코드 감김 공간(3e)의 중심쪽 바닥에 고정시키고 반대쪽 플러그쪽 코드 외부 노출홈(5a)는 케이스 커버(5)의 상측에 위치시켜 수평이 아닌 단차(도 2의 3d와 5a의 위치)를 두어 쉽게 나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코드가 정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어폰쪽 인출 코드(11)가 케이스(1, 5)에 완전히 정립되면 내측 코드(9)도 코드 감김 보빈과 한 몸체의 회전축(3g)을 중심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감긴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코드가 1/2만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어폰쪽 인출 코드(11)를 인출하기 시작하면 코드 감김 보빈(3)이 회전하면서 보빈(3)에 고정된 코드도 같이 회전하게 되어 내측 회전축(3g)에 감김 내측 코드(9)도 풀리기 시작하고, 이어폰쪽 인출 코드(11)가 1/2 인출되면 내측 코드(9)는 완전히 풀린 상태(13)가 되어서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구부러진 형태를 이룬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코드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어폰쪽 인출 코드(11)를 1/2이상 인출하게 되면 내측 코드(9)는 역방향으로 다시 회전축(3g)에 감기기 시작하여 이어폰쪽 인출 코드(11)를 완전히 인출하면 내측 코드(9)는 도 3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축에 정립되게 된다.
그리고 이어폰쪽 인출 코드(11)를 다시 케이스(1, 5)안으로 정립할 때는 도 5 -> 도 4 -> 도 3의 역순서로 반복한다.
또한 이어폰쪽 인출 코드(11)와 회전축(3g)에 감겨지는 내측 코드(9)의 길이는 6∼9 : 1의 비율로서 제작되고(이러한 비율은 이어폰 코드 감김부(3a)와 내측 코드(9) 감김 회전축(3g)의 굵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내측 코드(9)의 길이가 짧은 원리는 내측 코드(9)가 감겨지는 회전축(3g)이 가늘고, 이어폰쪽 인출 코드(11)는 일정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면서 인출과 정립의 동작을 하는 반면에 내측 코드(9)는 정립된 상태에서 이어폰쪽 인출 코드(11)를 1/2 인출하면 완전히 풀린 상태(13)가 되고 다시 나머지 이어폰쪽 인출 코드(11)의 1/2를 인출하면 내측 코드(9)는 처음 방향의 역방향(15)으로 감겨지게 되므로 감김과 풀림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즉 이어폰쪽 인출 코드(11)가 1회 인출, 1회 정립시 내측 코드(9)는 1회 순방향, 1회 역방향(인출) 다시 1회 순방향, 1회 역방향(정립)으로 이어폰쪽 인출 코드(11)와 내측 코드(9)의 감김 횟수가 일방향으로 1/2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 자동 권취장치는 무절단 전선인 동일한 하나의 선으로 연결됨으로 신뢰성면이나 수신 음질면에서의 장점 뿐만 아니라 기존의 권취장치에서 절단되어진 전선을 권취장치내에 있는 회로기판의 코드전선과의 연결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납땜공정을 없애므로서 납땜공정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 인한 작업자의 납중독 방지 및 제품의 폐기처분에 따른 환경보호에 일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권취방법으로서 이어폰 코드 및 자재의 상당한 원가 절감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작 및 조립과정이 기존의 일측 권취장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보다 간편할 뿐만 아니라 권취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이 가능하고 휴대용 음향기기 및 오디오 자체의 잭에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도 코드를 인출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이어폰 코드는 자동으로 정립할 수 있으므로 줄의 엉킴과 꼬임 등을 방지하여 보관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일측 권취장치와는 달리 전선을 단락을 시키지 않고 동일한 하나의 선으로 연결됨으로 신뢰성면이나 수신 음질면에서의 장점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8)

  1. 이어폰 코드의 일측(플러그쪽) 감김 장치부를 절단 후 연결부를 사용하지 않는 하나의 동일한 코드(전선)로 형성된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2. 코드 감김 보빈(3)의 내외측(내측 코드 감겨지는 회전축(3g)과 이어폰 코드 감김부(3a)) 코드 감김 부분을 외측 1회 감김시(완전인출 또는 완전정립) 내측은 순방향으로 1/2, 역방향으로 1/2 감김으로서 내외측의 회전수는 같지만 단일(한쪽) 방향(순감김 또는 역감김) 감김 길이의 1/2에 해당하는 짧은 길이의 코드를 내측 코드(9) 감김부 역할을 하는 회전축(3g)에 감을 수 있는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3. 내측 코드(9) 감김 회전축(3g)을 중심으로 코드 감김 보빈(3)이 회전시 코드 양쪽(보빈(3)의 코드 고정부(3d)를 중심으로)이 같은 비율로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어폰 코드 감김부(3a)의 직경을 크게 하고, 반면 내측 코드(9) 감김 보빈 회전축(3g)은 직경을 가늘게 하여 같은 회전수가 되더라도 내외측 감김의 길이 비율은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내측 코드 감김 공간(3e)은 내측 코드(9)가 감기고 풀릴 때 자연스럽게 나선형으로 되어지게 하고 엉킴 및 꼬임방지를 위하여 콘모양으로 제작된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내측 코드(9)가 완전히 풀린 상태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하여서 콘모양의 내측 코드 감김 공간(3e) 연장선상에 있는 회전축(3g)과 내측 코드 풀림 공간(7)이 구비된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플러그쪽 코드 외부 노출홈(5a)과 내측 코드 감김 공간(3e)를 반대쪽에 위치시켜 수평이 아닌 단차(도 2의 3d, 5a)가 주어진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7. 코드 감김 보빈(3)의 내측 코드(9) 감김 회전축(3g)이 보빈(3)과 한 몸체로 이루어진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8.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 자동 권취장치는 무절단 전선인 동일한 하나의 선으로 연결됨으로서 제조상 납땜공정 불필요에 의한 작업자의 납중독 방지 및 제품의 폐기처분에 따른 환경보호에 일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1020010017793A 2001-04-04 2001-04-04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KR20020078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793A KR20020078001A (ko) 2001-04-04 2001-04-04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CN 01143393 CN1379613A (zh) 2001-04-04 2001-12-21 具备自动整理装置的无切断型耳机线单侧卷线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793A KR20020078001A (ko) 2001-04-04 2001-04-04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001A true KR20020078001A (ko) 2002-10-18

Family

ID=2769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793A KR20020078001A (ko) 2001-04-04 2001-04-04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0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6098A (zh) * 2013-11-25 2014-02-19 刘建兵 可伸缩耳机线
CN103716726A (zh) * 2014-01-06 2014-04-09 徐鸿 一种收纳耳机线的卷线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6098A (zh) * 2013-11-25 2014-02-19 刘建兵 可伸缩耳机线
CN103716726A (zh) * 2014-01-06 2014-04-09 徐鸿 一种收纳耳机线的卷线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40945A1 (en) Retractable cable assembly
JP2000502981A (ja) 改良コードリールアセンブリ
US6305632B1 (en) Telecommunications cord reel
KR20020078001A (ko) 무절단형 이어폰 코드의 일측 권취방법
KR100490353B1 (ko) 이어폰 권취 장치
KR200385089Y1 (ko) 이어폰 줄 수납장치
KR100655682B1 (ko) 이어폰전선 자동감개
KR19980071968A (ko) 이어폰 코드 자동감김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
CN103716726A (zh) 一种收纳耳机线的卷线轮
KR101147853B1 (ko) 코드 및 목걸이 줄 권취 장치
KR20030056058A (ko) 이어마이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56253Y1 (ko)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200262893Y1 (ko) 이어폰 줄 및 플러그 단자 수납 케이스
KR20035618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악세사리 겸용 이어마이크폰수용캡
TW200526058A (en) Flat compact-type earphone line case, reel assembly thereof, and method for connecting earphone line to jack line
KR200244998Y1 (ko) 줄 감김 자동장치
KR200181887Y1 (ko) 이어폰 권취장치
KR200175162Y1 (ko) 이어폰 코드의 권취장치
KR100500226B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KR200321973Y1 (ko) 이어폰 줄 및 전선의 수납이 가능한 휴대용 음향장치컨트롤러
KR200185633Y1 (ko) 휴대폰 또는 카세트 플레이어용 이어폰/마이크로폰
KR200233029Y1 (ko) 핸즈프리용 송화기를 갖는 수화기의 권취장치
KR200321350Y1 (ko) 이어폰 및 플러그에 적용되는 와이어 권취구조
KR20000019150U (ko) 다중 스프링식 케이블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