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987A -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987A
KR20020076987A KR1020010021589A KR20010021589A KR20020076987A KR 20020076987 A KR20020076987 A KR 20020076987A KR 1020010021589 A KR1020010021589 A KR 1020010021589A KR 20010021589 A KR20010021589 A KR 20010021589A KR 20020076987 A KR20020076987 A KR 2002007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main body
memory
system mai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상세
황정현
Original Assignee
권상세
황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상세, 황정현 filed Critical 권상세
Priority to KR102001002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6987A/en
Publication of KR2002007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98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and a system are provided to display image data after a power source of a system main body is turned off. CONSTITUTION: A system main body includes a CPU, at least one memory,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 video creating unit(13) for processing image data to be displayed. When the system main body is operated, a display device(20) display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video creating unit(13). An independent power source device receives a power source from an external device independent of the system main body. The first memory(34) stores a predetermined image received from the video creating unit(13). If the system main body is terminated, a control unit(35) create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repeatedly. A display panel(40) displays the image stored in the first memory(34) repeatedly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시스템{DISPLAY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DISPLAY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이미지를 시스템이 동작을 정지한 이후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 predetermined image received from the system independently of the system after the system stops operating,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It is about.

현재의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질 경우 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즉 모니터는 더이상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꺼지게 된다. 즉, 모니터의 현재 기능은 컴퓨터로부터 생성되는 비디오 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용도로만 사용하는 데 국한되었다.In the case of a system having a display device such as a current personal computer, when the power of the system main body is turned off, the display device, that is, the monitor attached thereto, is turned off without performing any display function. In other words, the current function of the monitor is limited to use only for sequentially displaying computer-generated video images.

그러나 현재 보급이 보편화되고 있는 LCD 모니터의 경우, 차지하는 부피가 작고 미관이 수려함으로써 그 자체가 액자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 본체와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본체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소정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LCD monitors, which are widely used nowadays, they occupy a function as a picture frame because they are small in volume and beautiful in appearanc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even after the main body is turned off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through a display device that is powered independently of the system main body.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image data to be displayed by a user even after the power of a system main body such as a personal computer is turned off.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system having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that a user wants to display even after the system main body is turned off.

즉,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본체로부터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메모리로 전송한 후, 본체의 전원이 꺼지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독립적으로 메모리에 전송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system main body transfers an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main body to the memory in the display device, and then the main body power is turned off, the display device continuously displays the image independently transferred to the memory and the same. It is to provide a system provided.

상기의 목적은, 중앙처리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생성 수단을 갖는 시스템 본체와 상기 시스템 본체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디오 생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시스템 본체와 독립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독립 전원 장치와 비디오 생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와 시스템 본체가 동작을 종료한 경우, 소정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생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The object is a system body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t least one memory,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 video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image data to be displayed and receiv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when the system body is in operation. A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data, compris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unit that is independent of the system main body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first memory and a system main body that store a predetermined image received from a video generating means have ended And a control panel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peatedly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and a display panel for repeatedly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stored in the first memor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display device can be achieved by a display device, which can be displayed in a lip form.

또한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처리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비디오 생성 수단을 갖는 시스템 본체 및Still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ystem body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t least one memory,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video generating means for processing image data to be displayed and

(a)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본체와 독립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독립 전원 장치와 (b) 시스템 본체로 전송받은 소정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와 (c)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진 경우, 상기 소정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d)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 가능하다.(a) an independent power supply unit that is independently powered from the system main body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b) a first memo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image transmitted to the system main body, and (c) the system main body is powered off; By a display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epeatedly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and (d) a display panel for repeatedly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image stored in the first memor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s achievabl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중앙처리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을 갖는 시스템 본체 및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본체가 동작하는 정상 동작시에는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전송받는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동작 모드 및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진 후에는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동작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가능하다.The object of the invention is a system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t least one memory,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 means for generating image data for display and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image data generated from said system body.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ystem main body, a first operation mode for sequentially display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ystem main body and predetermined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ystem main body after the system main body is turned off. It is also achievable by a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evice has a second mode of operation for displaying repeatedly.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dvantages, features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nner in which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image data.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의 흐름도.4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displaying an image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변형례의 내부 블록도.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first modific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변형례의 내부 블록도.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시스템 본체 11 : 키보드10: system body 11: the keyboard

12 : 마우스 13 : 비디오 생성 수단12: mouse 13: video generation means

14 : 메모리 15 : 이미지 데이터 생성 수단14 memory 15 image data generating means

16 : 그래픽 전송부16: graphic transmission unit

20 : 디스플레이 장치 30 : 디스플레이 회로부20: display device 30: display circuit

31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32 : 이미지 스케일러부31: analog-to-digital converter 32: image scaler

33 : 프레임레이트 변환부 34 : 제 1 메모리33: frame rate converter 34: first memory

35 : 제어부 36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5 control unit 36 digital-to-analog conversion unit

37 : 인터페이스부 38 : 제 2 메모리37: interface unit 38: second memory

39 : 보조 전원 공급부 40 : 디스플레이 패널39: auxiliary power supply 40: display pane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은, 키보드(11) 및 마우스(12)와 같은 소정의 입력 수단, 운영체제 또는 기타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4)를 구비하고, 비디오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비디오 생성 수단(13)을 구비하는 시스템 본체(10) 및 비디오 생성 수단(13)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지면 소정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14 for storing predetermined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11 and a mouse 12, an operating system or other information, and a video signal. A display for display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ystem main body 10 and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having a video generating means 13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and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when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Device 20.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본체(10)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생성 수단(13)을 구비한다. 또한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졌을 때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이하 '이미지 데이터'라 한다.)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하고, 전원이 꺼지는 순간 비디오 생성 수단(13)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개인용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시스템 본체(1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컴퓨터 본체를 의미한다.The system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ovided with video generating means 13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for display to a user. In addition, an image to be displayed when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hereinafter referred to as 'image data') is set by a user's selection, and the display apparatus 20 is provided through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at the time of turning off the power. To send). A personal compute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system main body 10 means a computer main unit other than a displa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생성 수단(13)은 시스템 본체(10)에 구비되며, 시스템 본체(10)에 의한 데이터 처리의 결과에 따른 비디오 신호, 즉 통상적인 시스템 본체(10)의 동작에 따른 비디오 신호(이하 '비디오 신호라 한다.') 및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한다. 또한 비디오 생성 수단(13)은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한다. 비디오 생성 수단(13)은 일반적으로 테스크탑 컴퓨터에 꽂을 수 있는 확장보드로서 컴퓨터에서 만들어진 이미지를 모니터에서 필요한 전자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일명 비디오 어댑터, 그래픽 어댑터, 그래픽 보드, 그래픽 카드, 그래픽 콘트롤러, 비디오 디스플레이 어댑터, 비디오 디스플레이 보드, 비디오 디스플레이 카드, 비디오 디스플레이 콘트롤러, 비디오 카드, 비디오 보드, 비디오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어댑터, 디스플레이 보드, 디스플레이 카드, 디스플레이 콘트롤러, VGA 어댑터, VGA 카드, VGA 콘트롤러 등으로 지칭된다.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system main body 10, and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ata processing by the system main body 10, that is,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ormal system main body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deo signal) and image data are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20.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also has a separate memory.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is generally an expansion board that can be plugged into a desktop computer, and serves to convert the computer-generated image into the electronic signal required by the monitor. Aka video adapter, graphics adapter, graphics board, graphics card, graphics controller, video display adapter, video display board, video display card, video display controller, video card, video board, video controller, display adapter, display board, display card, It is referred to as a display controller, a VGA adapter, a VGA card, a VGA controlle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비디오 생성 수단(13)으로부터 전송받은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질 경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일반의 모니터, LCD 모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and displays image data when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As the display device, a general monitor, an LCD monitor, or the like may be used.

이미지 데이터는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지기 직전에 비디오 생성 수단 (13)으로부터 전송되며, 디스플레이 장치(20)에 구비되는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시스템 본체(10)가 동작할 때는 비디오 신호가 일시적인 저장 수단인 상기 메모리를 거쳐 디스플레이되므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될 수가 없다. 따라서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지는 순간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한다. 이미지 데이터에는 식별자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이러한 식별자를 통해 통상의 비디오 신호와 구분을 할 수 있게 된다.The imag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immediately before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and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memory provided in the display apparatus 20. When the system main body 10 is operated, video signals are displayed via the memory as temporary storage means, so that image data cannot be stored. Therefore, the moment the power of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the image data is received, stored in the memory and displayed. Preferably, the image data includes an identifier, and the display device 20 can distinguish it from a normal video signal through the identifier.

또한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지지 않았으나,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 절전 모드로 들어가는 경우에도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시스템 본체(10)로부터 수평동기화 또는 수직동기화와 관련된 제어 신호와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절전 모드로 들어가는 순간 전송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power of the system main body 10 is not turned off, the image data may be displayed even when the system main body 10 is not used for a long time and enters a power saving mode. In this case, the display apparatus 20 receives control signals and image data related to horizontal synchronization or vertical synchronization from the system main body 10 and then, upon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displays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display apparatus. It is displayed repeatedly.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디오 생성 수단(13)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 및 이미지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디스플레이 회로부(30)를 거쳐 디스플레이 패널(40)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 회로부 (3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 이미지 스케일러부(32), 프레임레이트 변환부 (33),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4), 인터페이스부(37), 제 1 메모리(34) 및 제어부 (35)로 구성된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n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signal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are passed through the display panel 40 through the display circuit unit 30 of the display apparatus 20. Is displayed. The display circuit unit 30 includes an analog-digital converter 31, an image scaler 32, a frame rate converter 33, a digital-analog converter 34, an interface 37, and a first memory 34. ) And the control unit 35.

이하에서는 도 2의 시스템 구성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비디오 신호는 시스템 본체(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즉 전원이 켜졌을때 비디오 생성 수단(1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전송받고, 이미지 데이터는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지기 직전에 비디오 생성 수단(13)으로부터 전송받는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ystem configura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The video signal is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when the system main body 10 is operating normally, that is,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image data is received immediately before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13) to receive.

비디오 신호 및 이미지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회로부(30)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 Analog-Digital Converter)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비디오 신호는 이미지 스케일러부(32, Image Scaler)에 입력된다. 이미지 스케일러부(32)는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드에 맞게 영상 사이즈를 변환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여러가지 종류(VGA, XGA, SVGA, SXGA, UXGA 등)가 있는데, 이미지 스케일러부가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드로 적합하게끔 변환시키는 것이다.The video signal and the image data are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by an analog-digital converter 31 of the display circuit 30. The video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is input to an image scaler 32. The image scaler 32 converts the video signal to an image size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There are various types of display modes of the display apparatus 20 (VGA, XGA, SVGA, SXGA, UXGA, etc.), and the image scaler converts the input video signal to each display mode appropriately.

이미지 스케일러부(32)를 거친 비디오 신호는 프레임레이트 변환부(33, Frame Rate Converter)에 입력된다. 프레임레이트 변환부(33)는 비디오 생성 수단(13)으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고, 주파수를 조절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미지 스케일러부(32)와 프레임레이트 변환부(33)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The video signal passed through the image scaler 32 is input to the frame rate converter 33. The frame rate converter 33 adjusts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and adjusts the frequency. Depending on the type of display device, the positions of the image scaler 32 and the frame rate converter 33 may be interchanged.

이때 이미지 스케일러 또는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본체로부터 전송받은 비디오 신호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일시적인 저장을 위해서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convert the image scaler or the frame rate, it is necessary to temporarily store the video signal or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ystem main body. For such temporary storage, a typical display device has a first memory.

시스템 본체(10)가 통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제 1 메모리(34)에 저장된 비디오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6, Digital-Analog Converter)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비디오 신호는 인터페이스부(37)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0)로 입력되고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system main body 10 normally operates, the video signal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a digital-to-analog converter 36. The video signal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is input to the display panel 4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7 and displayed.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지는 경우에는 전원이 꺼지기 직전에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는 제 1 메모리(34)에 저장한다. 이미지 데이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6)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인터페이스부(37)를 거쳐 디스플레이 패널(40)을 통해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When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the image data transmitted immediately before the power is turned off are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The image data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36 and repeatedly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40 via the interface 37.

제어부(35, Monitor Control Unit, Micom)는 이미지 스케일러부(32) 및 프레임레이트 변환부(33)의 동작 및 비디오 신호 및 이미지 데이터의 제 1 메모리(34)로의 저장 및 로드와 시스템 본체의 동작 정지를 인식한 후 반복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35 (Monitor Control Unit, Micom) operates the image scaler 32 and the frame rate converter 33, stores and loads video signals and image data to the first memory 34,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ystem main body. Afte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iteratively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회로부(30)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 이미지 스케일러부(32), 프레임레이트 변환부(33),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4), 인터페이스부(37), 제 1 메모리(34) 및 제 2 메모리(35)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 이러한 구성요소가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비디오 생성 수단(13)이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경우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1)가 필요없게 되며, 이미지의 크기 변화 및 프레임 레이트의 변환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이미지 스케일러부(32) 및 프레임레이트 변환부(33)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37)는 디스플레이 패널(40)과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므로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4)의 경우도 아날로그 방식을 채택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0)이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서 구동이 가능한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display circuit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31, an image scaler 32, a frame rate converter 33, a digital-to-analog converter 34, an interface 37, and a first. Although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a memory 34 and a second memory 35, not all of these components are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outputs a digital signal,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1 is not necessary. When the video size change and the frame rate are not necessary, the image scaler 32 and The frame rate converter 33 becomes unnecessary.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37 is for smooth data transmission with the display panel 40 and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34 may also be omitted when the analog method is adopted or when the display panel 40 can be driven by an analog signal.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data by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시스템 본체(10)에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수단(15), 메모리(14) 및 그래픽 전송부(16)가 구비된다. 시스템 본체에 구비되는 메모리(14)는 통상의 시스템 본체(10)에 구비되는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The system main body 10 includes an image data generating means 15, a memory 14, and a graphic transmitting unit 16. The memory 14 included in the system main body may be provided in the normal system main body 10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이미지 데이터 생성수단(15)은 사용자가 시스템 본체의 기능이 정지된 이후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통상적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에 식별자를 부여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14)에 저장된다. 메모리(14)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그래픽 전송부(16)에 의해서 비디오 생성 수단(13)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그래픽 전송부(16)는 시스템 종료를 감지한 후, 정상적인 동작시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모든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 후에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MS Windows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시스템을 예로 들면, MS Windows의 최종 종료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습니다. 이제 시스템의 전원을 끄셔도 됩니다."라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한 후에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하는 것이다. 즉, 운영 체제를 종료하고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한 후,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메모리(34)에 저장되므로,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계속해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있다.The image data generating means 15 generates image data to be displayed by the user after the function of the system main body is stopped. This is typically accomplished by selecting a desired image and assigning an identifier to the selected image. The image data thus generated is stored in the memory 14.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14 is transmitted by the graphic transmitting unit 16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video generating means 13. The graphic transmitter 16 functions to transmit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to the display apparatus after detecting the shutdown of the system and transmitting all the video signals to be displayed in the normal operation to th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a system using MS Windows as an operating system,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transferred to a display device after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The system has been shut down normally. You may turn off the system." 20) to send. That is, after the operating system is terminated and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20 for display,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In this case, since the transmitted image data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of the display device, the image data can be continuously displayed even after the system main body is turned off.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되며, 디스플레이 회로부(30)에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회로부(30)의 제어부(35)에서는 ID 탐지기(ID Detector)에 의해 식별자가 부가된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식별자가 부가된 경우에는 제 1 메모리(34)에 저장한 후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졌을 때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이미지 처리한 후 디스플레이한다. 선택기(Selector)는 통상적인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를 선택한다.The image data transmitted in this manner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20 and input to the display circuit unit 30. The control unit 35 of the display circuit unit 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dentifier is added data by an ID detector. If an identifier is added, the identifier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and used to display when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Otherwise, the input video signal is displayed after being processed. A selector selects whether to display a typical video signal or image data.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진다.4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displaying an image b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low.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에는 비디오 신호가 전송되고, 작업을 마친 경우 전원이 꺼지기 직전에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다.(100 단계)When the system main body 10 is powered on, a video signal is transmitted, and when the work is completed, image data is transmitted immediately before the power is turned off (step 100).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 1 메모리(34)에 저장한다.(110 단계) 시스템 본체(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는 제 1 메모리(34)에 비디오 신호가 저장되나, 작업을 종료하고 전원이 꺼지는 시점에는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display apparatus 20 stores the transmitted image data in the first memory 34 (step 110). When the system main body 10 operates normally, the video signal is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but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 image data is saved at the time of shutdown and power off.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졌는지를 판단한다.(120 단계)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of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step 120).

120 단계에서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켜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통상적인디스플레이를 한다.(130 단계) 즉,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20 that the system main body 10 is powered on, a normal display is performed (step 130). That is, a video signal is received and displayed.

120 단계에서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140 단계) 상기의 이미지 데이터는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지기 직전에 전송받아 제 1 메모리(34)에 저장된 것이다.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120 that the power of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image data is displayed (step 140). The image data is transmitted immediately before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and the first memory 34 is received. ).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원이 꺼졌는지를 판단한다.(150 단계)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of the display apparatus 20 is turned off (step 150).

1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원이 꺼진 경우, 디스플레이가 멈추게 되고, 전원이 켜진 경우 이미지 데이터를 계속해서 디스플레이한다.When the display device 20 is turned off in step 150, the display stops, an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image data is continuously displayed.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변형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변형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 2 메모리(38)가 더 구비된다.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first modific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memory 38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와 같이 제 1 메모리(34)만을 사용할 경우, 비디오 신호 및 이미지 데이터의 하나의 프레임의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디오 신호는 시스템 본체(10)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전송받으므로 문제가 될 것이 없으나,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 시스템 본체(1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미리 전송받은 데이터를 저장하여 디스플레이하여야 하므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 또한 비디오 신호와 이미지 데이터가 제 1 메모리(34)에 동시에 저장될 수 없어서 시스템 본체(10)의 전원이 꺼지기 직전, 즉 비디오 신호의 전송이 종료되는 시점에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하여야 한다.When only the first memory 34 is used as shown in FIG. 2, only data of one frame of the video signal and the image data may be stored. In this case, since the video signal continuously receives the change of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main body 10, there is no problem, but in the case of the image data, the video signal is transmitted in advance without the system main body 10 operating. The video cannot be displayed because it must be saved and displayed. In addition, since the video signal and the image data cannot be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at the same time, the image data must be transmitted and stored immediately before the system main body 10 is turned off, that is, at the time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video signal is terminated.

그러나 제 2 메모리(38)가 구비될 경우, 복수개 프레임의 데이터를 저장할수 있으므로 이미지 데이터로 동영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신호가 전송되는 중에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전송하여 저장할 수가 있다. 제 2 메모리(38)를 사용할 경우에는 시스템 본체로부터 전송받는 이미지 데이터가 반드시 시스템 종료시기에 맞추어서 전송될 필요는 없다. 즉, 시스템 운영중에 식별자가 인가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전송받은 식별자가 인가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 2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가 전송되는 클럭 사이 또는 프리차지 시간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디오 신호는 제 1 메모리(34)에 저장하고, 이미지 데이터는 제 2 메모리 (38)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반면,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second memory 38 is provided, a plurality of frames of data may be stored, and thus a moving picture may be used as image data. In addition, image data may be transmitted in advance and stored while a video signal is being transmitted. When the second memory 38 is used,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system main body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termination time. That is, the image data to which the identifier is applied may be transmitted during system operation, and the display apparatus may store the image data to which the received identifier is applied to the second memory. Image data may be transmitted between clocks through which video signals are transmitted or by using a precharge time. In this case, the video signal is preferably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and the image data i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38. In the case of using the second memory, the above-mentioned advantages are provided, but additional hardware must be added.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변형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2 변형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 2 메모리(38)와 보조 전원 공급부(39)가 더 구비된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memory 38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39 in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메모리(38)의 역할 및 동작은 도 3 의 제 1 변형례의 경우와 같다. 제 1 변형례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원이 꺼지면 제 2 메모리(38)에 대한 별도의 전원 공급부가 없으므로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데이터가 지워지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이 다시 동작할 때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한다.The role and operation of the second memory 38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modification of FIG. 3. In the case of the first modification, when the display device 20 is powered off, the stored image data is deleted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power supply unit for the second memory 38. Therefore, image data must be transmitted when the system is operated again.

그러나 보조 전원 공급부(39)가 구비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전원이꺼져도 제 2 메모리(38)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지 않는 한, 즉 다른 이미지 데이터로 바꾸지 않는 한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가 보존된다.However, when the auxiliary power supply 39 is provided,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38 may be preserved even when the display apparatus 20 is turned off. Therefore, the stored image data is preserved unless the previously stored image data is updated, that is, replaced with other image data.

보조 전원 공급부(39)로는 소정의 배터리 또는 캐패시터(Capacitor)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auxiliary power supply 39, a predetermined battery or a capacitor may be used.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은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짐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적으로 유지하여 표현하므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활용도를 높이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디지털 액자 또는 광고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arkable effect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display device by maintaining and expressing a predetermined image or video desired by the user, even when there is no input to the display device due to the power off of the system main body. There is. In other words, even after the power of the system main body is turned off, the user can display the desired image through the display devic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digital picture frame or advertising means.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미지나 동영상을 입력함에 있어서 별도의 외부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시스템 본체 내에서 가공한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이용이 간단하다.In particular, in inputting an image or a video into a display device, the data is processed in the system main body, instead of using an external input device, and thus is easy to u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s, such description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Should be done.

Claims (14)

중앙처리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비디오 생성 수단을 갖는 시스템 본체와 상기 시스템 본체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디오 생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A system main body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t least one memory,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 video generating means for processing image data to be displayed; and when the system main body is operating, display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In the display device,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본체와 독립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독립 전원 장치;An independent power supply unit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independently of the system main body; 상기 비디오 생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A first memo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image receiv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상기 시스템 본체가 동작을 종료한 경우, 상기 소정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repeatedly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image when the system main body ends the operation; And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소정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display panel for repeatedly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image stored in the first memor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independently displayed even after the system body is turned of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data, 상기 비디오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소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predetermined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video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emory, 상기 시스템 본체의 동작 중에는 비디오 생성 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시스템 본체가 동작을 종료하는 순간에는 상기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sequentially storing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main body, and storing the predetermined image data when the system main body ends the operation. 제 1 항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복수 프레임의 저장이 가능한 제 2 메모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메모리의 사이즈가 상기 제 1 메모리의 사이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econd memory capable of storing a plurality of frames, wherein the size of the second memory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memory.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독립 전원이 꺼진 후에도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소정의 전원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unit for holding image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even after the independent power is turned off. 제 1 항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상기 비디오 생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 analog-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predetermined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의 사이즈를 변환하는 이미지 스케일러부;An image scaler which converts a size of the digitally converted image data;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 및 주파수를 조절하는 프레임레이트 변환부;A frame rate converter to adjust a frame rate and a frequency of the digitally converted image data; 상기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A digital-analog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converted image data into an analog signa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n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with the display panel. 중앙처리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비디오 생성 수단을 갖는 시스템 본체; 및A system body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t least one memory,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video generating means for processing image data to be displayed; And (a)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시스템 본체와 독립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독립 전원 장치;(a) an independent power supply unit that is power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independently of the system main body; (b) 상기 시스템 본체로 전송받은 소정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b) a first memo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image transmitted to the system main body; (c) 상기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진 경우, 상기 소정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c)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repeatedly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image when the system body is powered off; And (d)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panel for repeatedly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stored in the first memor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를 구비하는 시스템.System having 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mage data, 상기 비디오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소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a predetermined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video sig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memory, 상기 시스템 본체의 동작 중에는 비디오 생성 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시스템 본체가 동작을 종료하는 순간에는 상기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sequentially store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main body, and store the predetermined image data when the system main body ends the operation. 제 7 항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The display device of claim 7, 복수 프레임의 저장이 가능한 제 2 메모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메모리의 사이즈가 상기 제 1 메모리의 사이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a second memory capable of storing a plurality of frames, wherein the size of the second memory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memory.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독립 전원이 꺼진 후에도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소정의 전원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for maintaining image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even after the independent power is turned off. 제 7 항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The display device of claim 7, 상기 비디오 생성 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 analog-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predetermined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video generating means into a digital signal;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의 사이즈를 변환하는 이미지 스케일러부;An image scaler which converts a size of the digitally converted image data;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 및 주파수를 조절하는 프레임레이트 변환부;A frame rate converter to adjust a frame rate and a frequency of the digitally converted image data; 상기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A digital-analog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converted image data into an analog signa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an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with the display panel. 상기 제 7항의 시스템 본체는,The system body of claim 7,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 수단; 및Image data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상기 시스템 본체의 종료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비디오 생성 수단으로 전송하는 그래픽 전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a graphic transmitter for detecting an end of the system body and transmitting the image data to a video generating means. 중앙처리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을 갖는 시스템 본체 및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A system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t least one memory,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 means for generating image data for display and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image data generated from said system body, 상기 시스템 본체가 동작하는 정상 동작시에는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전송받는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동작 모드; 및A first operation mode of sequentially displaying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system main body in a normal operation of the system main body; And 상기 시스템 본체의 전원이 꺼진 후에는 상기 시스템 본체로부터 전송받은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동작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nd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repeatedly displays predetermined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ystem main body after the system main body is turned off.
KR1020010021589A 2001-04-21 2001-04-21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 KR200200769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589A KR20020076987A (en) 2001-04-21 2001-04-21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589A KR20020076987A (en) 2001-04-21 2001-04-21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987A true KR20020076987A (en) 2002-10-11

Family

ID=2770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589A KR20020076987A (en) 2001-04-21 2001-04-21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698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5753A2 (en) * 2003-02-04 2004-08-1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splayed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653A (en) * 1992-01-24 1994-03-04 Nec Corp Image display device
JPH10239073A (en) * 1997-02-28 1998-09-11 Sony Corp Display method, image information storage method, display device, navigation system and automobile
KR19990049443A (en) * 1997-12-12 1999-07-05 윤종용 Screen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display monitor
KR20020057505A (en) * 2001-01-05 2002-07-11 구자홍 Device for reproducting last screen in the moni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653A (en) * 1992-01-24 1994-03-04 Nec Corp Image display device
JPH10239073A (en) * 1997-02-28 1998-09-11 Sony Corp Display method, image information storage method, display device, navigation system and automobile
KR19990049443A (en) * 1997-12-12 1999-07-05 윤종용 Screen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display monitor
KR20020057505A (en) * 2001-01-05 2002-07-11 구자홍 Device for reproducting last screen in the moni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5753A2 (en) * 2003-02-04 2004-08-1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splayed data
EP1445753A3 (en) * 2003-02-04 2007-02-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splayed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1117B2 (en) Display controller architecture for portable computers
US6097437A (en) Format converter
US2003010756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USB device thereof
KR20090037224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0029052A (en) Processing module for a computer system device
US20030011534A1 (en) Display privacy for enhanced presentations with real-time updates
GB2331438A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having on-screen-display function
KR100471057B1 (en)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for reproducing video signal on screen thereof
EP1521236A2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display device
US7327355B2 (en) LCD monitor with dual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0076987A (en)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
KR2002006711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splay Data of Monitor
KR100598415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04667B1 (en) Display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45865B1 (en) Monitor and control method of resolution using it
KR1004188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ual Signal of LCD Monitor
KR100762802B1 (en) Moni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30093879A (en) Portable digital assistant capable of connecting exter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1005430A (en) Information processor
KR20060004410A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00050759A (en) Overhead projector
KR200142986Y1 (en) Flat panel display driving apparatus using feature connector
KR20010057334A (en) Graphic adaptor including double output ports
KR960004732B1 (en) Devices for processing continuous picture signal data
KR100402903B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