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788A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788A
KR20020073788A KR1020010013626A KR20010013626A KR20020073788A KR 20020073788 A KR20020073788 A KR 20020073788A KR 1020010013626 A KR1020010013626 A KR 1020010013626A KR 20010013626 A KR20010013626 A KR 20010013626A KR 20020073788 A KR20020073788 A KR 2002007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ursor
image
display screen
poi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욱
김상욱
김제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3788A/ko
Publication of KR2002007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7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구비시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비스(Service) 시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는 원형의 볼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일정 부분에 상기 볼의 상단 부분이 돌출되도록 홀을 형성하고 해당 홀을 통해 돌출된 볼의 상단 부분이 해당 단말기의 덮개에 의해 눌러지지 않도록 해당 홀 주위를 함몰시켜 형성한 요부와; 상기 볼의 좌우 회전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커서가 좌우 이동되도록 하는 수평 회전 감지부와; 상기 볼의 상하 회전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커서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수직 회전 감지부와; 상기 볼을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와 수직 회전 감지부 측으로 밀어 주는 제1 볼 탄력 지지부와; 상기 볼을 상기 요부 측으로 밀어 주는 제2 볼 탄력 지지부와; 상기 볼의 엔터 시에 밀려지는 제2 볼 탄력 지지부에 의해 스위치 온(Switch On) 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이미지와 링크가 선택되도록 하는 엔터 감지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방법은 볼의 좌우 및 상하 회전에 따라 변하는 전류 세기의 변화량에 대응하는 커서의 이동 량을 기설정해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WAP 서비스 요구를 인식하여 WAP 서비스 사용 가능한 모드로 전환시켜 주는 과정과; 무선 인터넷을 접속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웹 문서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초기 설정 위치에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볼의 좌우 및 상하 회전에 따라 전류 세기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증가 또는 감소 변화인지에 따라 상기 볼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전류 세기의 변화량을 카운팅하여 이에 대응한 커서의 이동 량을 판독하는 과정과; 상기 판독한 커서의 이동 량만큼 상기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커서의 위치에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동 가능 표시를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 방법 {Structure of a Pointing Dev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dap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시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비스(Service) 시에 해당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데스크탑(Desktop) PC(Personal Computer)에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사용할 경우, 해당 사용자들은 다양한 웹 문서들을 접하게 되는데, 이러한 웹 문서들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형태뿐만 아니라 아이콘에서부터 다양한 그래픽 이미지를가지고 있으며, 또한 해당 그래픽 이미지들은 또 다른 문서를 링크하게 된다. 보통, 해당 그래픽 이미지들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들은 키보드(Key-board)를 대신하여 마우스(Mouse)를 사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그래픽 이미지로 이동한 후에 클릭(Click)하여 선택함으로써 편리하게 다른 문서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일반적인 모빌(Mobile)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다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되고 있는데, 초기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기본적인 키패드(Key-pad)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음성 서비스가 가장 중요한 역할이었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키가 필요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초기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해당 단말기의 사이즈(Size)와 비례하게 되었고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키패드에 단순한 숫자와 몇 가지 문자의 나열만이 있었으며, 이것들은 일반 유선 전화기에서 나타나는 인터페이스와 전혀 다를 바가 없었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그 동안 사용 중이던 유선 전화기에서의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구조로의 변화에 대해서 전혀 낯선 느낌이 들지 않았을 것이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초기 음성 통화의 기본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 잘 디자인되고 배열되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음성 서비스의 시작에서 조금씩 다양해지고 부가 서비스의 증가와 함께 사용자들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소형화 갈망과 요구로 인해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변화되었는데, 단문 메시지 처리와 같은 서비스 추가로 인해 단순한 숫자의 키패드에서 문자가 공용으로 사용되었으며, 개인 정보 관리의다양화는 여러 가지 기능의 펑션 키(Function Key)를 요구하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른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버튼의 추가가 어려워지게 되고 그것으로 인해 기존에 존재하는 키패드를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런 조합은 점점 사용자에게 부담스러운 면으로 다가오게 되었으며, 새로운 모델의 단말기 구입 시에 매뉴얼(Manual)을 장시간 독파해야 하는 불편한 점을 주게 되었다.
그러면,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조작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해서 전원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전원 공급부에서 각 구성 부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때 정상적인 전원이 형성된 경우에 화면에 날짜, 시간 등을 표시해 주게 되고 통화 가능한 형태로 나타나도록 해 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위해 해당 통화를 희망하는 번호를 누르고 마지막으로 통화 버튼을 누르게 되면, 기지국을 호출하게 되어 해당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기와 연결되도록 해 음성 통화를 가능하도록 해 준다.
한편, 사용자가 개인 정보 관리를 위해서 메뉴 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 해당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 방향키와 숫자 키를 조합으로 이용하게 되며, 개인 정보 변경 및 확인 시에도 이때마다 또 다른 키를 눌러 선택해야 한다.
또한, 현재 진행중인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서브 메뉴를 선택할 경우에 해당하는 포지션(Position)으로 방향키를 몇 번씩 선택하여 움직이도록 하거나, 또는 원하는 번호를 눌러야 하며,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할 경우에는 소프트키를 누르고 또 한 번의 메뉴를 통해 방향을 이동시켜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법으로는 현재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에 웹 문서에서 나타나는 이미지와 링크의 선택, 그리고 페이지의 이동시에 여러 번의 키패드 사용이 불가피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던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만족한 서비스를 받지 못한다고 여겨질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시켜 해당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WAP 서비스 시에 표현되는 웹 문서에서 나타나는 이미지와 링크의 선택 및 페이지의 이동을 수행하도록 해 줌으로써, 해당 이미지와 링크의 선택 및 페이지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보다 편리한 WAP 브라우저의 사용을 제공해 주며, 또한 추후에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추가하기 쉽도록 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 수평 이동 감지부 및 수직 이동 감지부의 구조를 실시 예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적용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볼(Ball) 20 : 요부
30 : 수평 회전 감지부 40 : 수직 회전 감지부
50 : 제1 볼 탄력 지지부 60 : 제2 볼 탄력 지지부
70 : 엔터 감지 스위칭부 31 : 고정 부분
32 : 저항체 33 : 회전 부분
34 : 전도선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는 원형의 볼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일정 부분에 상기 볼의 상단 부분이 돌출되도록 홀을 형성하고 해당 홀을 통해 돌출된 볼의 상단 부분이 해당 단말기의 덮개에 의해 눌러지지 않도록 해당 홀 주위를 함몰시켜 형성한 요부와; 상기 볼의 좌우 회전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커서가 좌우 이동되도록 하는 수평 회전 감지부와; 상기 볼의 상하 회전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커서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수직 회전 감지부와; 상기 볼을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와 수직 회전 감지부 측으로 밀어 주는 제1 볼 탄력 지지부와; 상기 볼을 상기 요부 측으로 밀어 주는 제2 볼 탄력 지지부와; 상기 볼의 엔터 시에 밀려지는 제2 볼 탄력 지지부에 의해 스위치 온(Switch On) 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이미지와 링크가 선택되도록 하는 엔터 감지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적용 방법은 볼의 좌우 및 상하 회전에 따라 변하는 전류 세기의 변화량에 대응하는 커서의 이동 량을 기설정해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WAP 서비스 요구를 인식하여 WAP 서비스 사용 가능한 모드로 전환시켜 주는 과정과; 무선 인터넷을 접속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웹 문서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초기 설정 위치에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볼의 좌우 및 상하 회전에 따라 전류 세기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증가 또는 감소 변화인지에 따라 상기 볼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전류 세기의 변화량을카운팅하여 이에 대응한 커서의 이동 량을 판독하는 과정과; 상기 판독한 커서의 이동 량만큼 상기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커서의 위치에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동 가능 표시를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적용 방법은 상기 커서가 위치한 초기 설정 위치에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동 가능 표시를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적용 방법은 상기 볼의 누름에 따라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0)과, 요부(20)와,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와, 제1 볼 탄력 지지부(50)와, 제2 볼 탄력 지지부(60)와, 엔터 감지 스위칭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모든동작을 제어하는 CPU와, 해당 CPU의 제어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볼(10)은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에 밀착되어 충분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표면 마찰력이 많이 발생되는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고 단말기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아주 작은 사이즈의 원형으로 제작하도록 한다.
상기 요부(20)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손에 쥐었을 경우에 가장 쉽게 키패드에 접근할 수 있는 손가락(예, 엄지손가락)으로 무리 없이 가장 쉽게 상기 볼(10)을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일정 부분(예, 상단 중앙)에 홀을 형성시켜 주며, 해당 홀을 통해 상기 볼(10)의 상단 부분이 약간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해 주며,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덮개를 덮었을 경우에 해당 홀을 통해 돌출된 볼(10)의 상단 부분이 해당 덮개에 의해 눌러지지 않도록 해당 홀 주위를 약간 함몰시켜 형성해 준다.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30)는 상기 볼(10)의 좌우 회전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상기 CPU에 상기 볼(10)의 좌우 회전을 알려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커서가 좌우 이동되도록 해 준다.
상기 수직 회전 감지부(40)는 상기 볼(10)의 상하 회전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상기 CPU에 상기 볼(10)의 상하 회전을 알려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커서가 상하 이동되도록 해 준다.
그리고,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는 일 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두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원통형의 고정 부분(31)과, 해당 고정 부분(31)의 표면에 부착되어 다른 저항 값을 가지는 다수 개의 저항체(32)와, 상기 볼(10)과 밀착되어 상기 볼(10)의 회전에 따라 해당 고정 부분(31)의 둘레를 회전하는 원통형의 회전 부분(33)과, 해당 회전 부분(33)의 내 측에 부착되어 해당 저항체(32)를 연결시켜 전류가 흐르도록 해 주는 전도선(3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다르게는,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는 압력 센서, 전기장 발생기, 광 센서 등을 이용해 형성시켜 상기 볼(10)의 좌우 및 상하 회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볼 탄력 지지부(50)는 스프링 등의 탄력체를 구비하여 상기 볼(10)이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의 각 회전 부분(33)에 밀착되도록 상기 볼(10)을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 측으로 밀어 주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2 볼 탄력 지지부(60)는 스프링 등의 탄력체를 구비하여 상기 볼(10)이 상기 요부(20)의 홀을 통해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볼(10)을 상기 요부(20) 측으로 밀어 주도록 형성한다.
상기 엔터 감지 스위칭부(70)는 WAP 서비스 시에 사용자가 상기 볼(10)을 눌러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웹 문서에서 나타나는 이미지와 링크의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볼(10)이 상기 제2 볼 탄력 지지부(60)를 밀어 스위치 온 시켜 전류를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CPU에 엔터 감지를 알려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적용 방법을 도 6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볼(10)을 회전시키게 되는 경우에 해당 볼(10)에 밀착되어 있는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의 각 회전 부분(33)이 회전하게 되며, 해당 각 회전 부분(33)의 내 측에 부착되어 있는 전도선(34)도 회전하게 되며, 해당 전도선(34)이 회전하면서 각기 다른 저항 값을 가지는 저항체(32)를 연결시켜 전류를 흐르도록 해 주며, 해당 저항체(32)는 각기 다른 저항 값을 가지므로 전류의 세기도 변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전류 세기의 변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웹 문서상에 나타난 커서의 좌우 및 상하 이동하는 량을 미리 설정해 메모리에 저장해 둔다. 즉, 해당 볼(10)의 좌우 및 상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의 각 회전 부분(33)에 의해 변하는 전류 세기의 변화량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우 및 상하 이동 량을 기설정해 해당 메모리에 저장해 둔다(단계 S1).
이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원을 온 시켜 준 후에 WAP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키패드를 통해 WAP 서비스 요구를 인가해 주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CPU에서는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WAP 서비스 요구를 인식한 후(단계 S2), WAP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일반 무선 전화 통신 모드에서 WAP 서비스 사용 가능한 모드로 전환시켜 준다(단계 S3).
이에 따라, 상기 CPU에서는 자동적으로 데이터 송수신 모듈 및 인터페이스를제어하여 WAP 게이트웨이(Gateway)에 접속을 시도하고 무선 인터넷을 접속하며, 해당 무선 인터넷 접속 후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웹 브라우저의 창을 열어 웹 문서를 띄워주게 된다. 이때, 커서는 웹 문서상에서의 초기 설정 위치에 디스플레이시켜 주게 되는데, 예로 웹 문서의 왼쪽 상단 부분, 가운데 부분, 오른쪽 하단 부분 등에 디스플레이시켜 주게 된다(단계 S4).
이와 동시에, 상기 커서가 위치한 포인트(Point), 즉 초기 설정 위치에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단계 S5), 이때 해당 제5단계(S5)에서 상기 커서가 위치한 포인트에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이 있는 경우에 해당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을 반전시키거나, 색깔을 변환시켜 주는 등으로 다른 메뉴, 이미지 또는 문서로 이동이 가능함을 표시해 주게 된다(단계 S6).
한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웹 문서상에 나타난 커서를 희망하는 포인트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볼(10)을 회전시키게 되면, 해당 볼(10)에 밀착되어 구동되는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에서는 해당 볼(10)의 좌우 및 상하 회전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상기 CPU에 상기 볼(10)의 좌우 및 상하 회전을 알려주게 된다.
이에, 상기 CPU에서는 상기 볼(10)의 좌우 및 상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에 의해 변하는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는데(단계 S7), 이때 해당 제7단계(S7)에서 전류의 세기에 변화가 있으면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세기의 변화가 증가인지 아니면 감소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볼(10)의 회전 방향을 인식한다(단계 S8).
이와 동시에,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세기의 변화량을 카운팅하며(단계 S9), 해당 카운팅한 전류 세기의 변화량에 대응하는 상기 제1단계(S1)에서 기설정된 커서의 좌우 및 상하 이동 량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며(단계 S10), 해당 판독한 커서의 좌우 및 상하 이동 량만큼 디스플레이 화면의 웹 문서상에 나타난 커서의 위치를 좌우 및 상하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해 준다(단계 S11).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볼(10)을 좌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볼(10)과 밀착되어 있는 수평 회전 감지부(30)의 회전 부분(3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해당 회전 부분(33)의 내 측에 부착되어 있는 전도선(34)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해당 전도선(3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기 다른 저항 값을 가지는 저항체(32)를 연결시켜 전류를 흐르도록 해 주는데, 이때 만약 시계 방향으로 저항 값이 점차 커진다고 가정하면, 해당 저항체(32)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일정 크기까지 점차 감소되었다가 다시 일정 크기로 되었다가 다시 감소하는 식으로 변하게 될 것이다.
이에, 상기 CPU는 해당 수평 회전 감지부(3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세기의 변화량을 카운팅하며, 이와 동시에 해당 수평 회전 감지부(3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세기가 감소 변화이므로 상기 볼(10)이 좌측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해당 카운팅된 전류 세기의 변화량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측 이동 량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며, 그런 후에 해당 판독한 커서의 좌측 이동 량만큼 디스플레이 화면의 웹 문서상에 나타난 커서의 위치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해 준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및 상하로 이동되는 커서가 위치한 포인트에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단계 S12), 이때 해당 제12단계(S12)에서 커서가 위치한 포인트에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이 있는 경우에 해당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을 반전시키거나, 색깔을 변환시켜 주는 등으로 다른 메뉴, 이미지 또는 문서로 이동이 가능함을 표시해 주게 된다(단계 S13).
또 다른 한편, 사용자가 상기 볼(1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나타난 웹 문서의 중간 중간에 위치한 메뉴나 이미지로 커서를 이동시켜 준 후에 상기 볼(1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볼(10)의 하단 부분에 밀착되어 있는 제2 볼 탄력 지지부(60)를 누르게 되며, 이에 해당 제2 볼 탄력 지지부(6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엔터 감지 스위칭부(70)가 온 되어 전류를 상기 CPU로 인가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CPU는 상기 엔터 감지 스위칭부(7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단계 S14), 해당 제14단계(S14)에서 상기 엔터 감지 스위칭부(7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있는 경우에 상기 볼(10)의 누름을 인식하여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예, 메뉴, 문서, 페이지 등)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해 준다(단계 S1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시켜 해당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WAP 서비스 시에 표현되는 웹 문서에서 나타나는 이미지와 링크의 선택 및 페이지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이미지와 링크의 선택 및 페이지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편리하도록 해 주며, 보다 편리한 WAP 브라우저의 사용을 제공해 주며, 추후에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쉽게 추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원형의 볼(10)과;
    단말기의 키패드 일정 부분에 상기 볼(10)의 상단 부분이 돌출되도록 홀을 형성하고 해당 홀을 통해 돌출된 볼(10)의 상단 부분이 해당 단말기의 덮개에 의해 눌러지지 않도록 해당 홀 주위를 함몰시켜 형성한 요부(20)와;
    상기 볼(10)의 좌우 회전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커서가 좌우 이동되도록 하는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상기 볼(10)의 상하 회전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커서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수직 회전 감지부(40)와;
    상기 볼(10)을 상기 수평 회전 감지부(30)와 수직 회전 감지부(40) 측으로 밀어 주는 제1 볼 탄력 지지부(50)와;
    상기 볼(10)을 상기 요부(20) 측으로 밀어 주는 제2 볼 탄력 지지부(60)와;
    상기 볼(10)의 엔터 시에 밀려지는 제2 볼 탄력 지지부(60)에 의해 스위치 온 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이미지와 링크가 선택되도록 하는 엔터 감지 스위칭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2. 볼의 좌우 및 상하 회전에 따라 변하는 전류 세기의 변화량에 대응하는 커서의 이동 량을 기설정해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WAP 서비스 요구를 인식하여 WAP 서비스 사용 가능한 모드로 전환시켜 주는 과정과;
    무선 인터넷을 접속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웹 문서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초기 설정 위치에 커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볼의 좌우 및 상하 회전에 따라 전류 세기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증가 또는 감소 변화인지에 따라 상기 볼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전류 세기의 변화량을 카운팅하여 이에 대응한 커서의 이동 량을 판독하는 과정과;
    상기 판독한 커서의 이동 량만큼 상기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커서의 위치에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동 가능 표시를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적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위치한 초기 설정 위치에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동 가능 표시를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적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누름에 따라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문서의 메뉴나 이미지에 링크된 구성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적용 방법.
KR1020010013626A 2001-03-16 2001-03-16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방법 KR20020073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626A KR20020073788A (ko) 2001-03-16 2001-03-16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626A KR20020073788A (ko) 2001-03-16 2001-03-16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788A true KR20020073788A (ko) 2002-09-28

Family

ID=2769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626A KR20020073788A (ko) 2001-03-16 2001-03-16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37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73B1 (ko) * 2004-06-12 2005-05-18 (주)모비솔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이동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657788B1 (ko) * 2005-04-13 2006-12-14 (주)리치콤전자 트랙볼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0754688B1 (ko) * 2006-01-09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포인팅 장치로 사용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73B1 (ko) * 2004-06-12 2005-05-18 (주)모비솔 포인팅 장치를 구비한 이동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구동 방법 및 장치
WO2005122416A1 (en) * 2004-06-12 2005-12-22 Mobiso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of mobile terminal having pointing device
KR100657788B1 (ko) * 2005-04-13 2006-12-14 (주)리치콤전자 트랙볼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0754688B1 (ko) * 2006-01-09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포인팅 장치로 사용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049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element
US6546231B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rotary operation key
US6600936B1 (en) Terminal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s on a display of such a terminal
US20050125570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60073859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operation mode
EP0901262A2 (en) Menu navigation key for a portable telephone
RU2421774C2 (ru) Компактный поворот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KR100454865B1 (ko) 휴대용통신장치
FI109731B (fi) Elektroniikkalaite ja ohjauselin
US20050124387A1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JP2001236859A (ja) ロータリ・スイッチ
TW200810501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ymbol input
JP2004070654A (ja) 携帯用電子機器
JP2000036856A (ja) 携帯電話用のコンテクスト感知ポップアップウインドウ
WO2006015514A1 (fr) Clavier inductif du terminal portable et son mode de commande
US20090023478A1 (en) Navigational tool with drag-based tactile feedback on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H11195353A (ja) 通信端末装置
US20030223576A1 (en) Portable telephone
US7705838B2 (en) Movable user interface
EP1722538A1 (en) Sliding-type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operation mode and two keyboards
KR2002007378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포인팅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 적용방법
US20070123320A1 (en) Key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20040252819A1 (en) Input unit and input method using it
KR100685218B1 (ko) 로테이션 앤 클릭 타입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입력 방법
JP4347117B2 (ja) 操作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