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058A - 절·성토 사면에의 식물정착을 위한 생육보조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절·성토 사면에의 식물정착을 위한 생육보조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058A
KR20020072058A KR1020010012024A KR20010012024A KR20020072058A KR 20020072058 A KR20020072058 A KR 20020072058A KR 1020010012024 A KR1020010012024 A KR 1020010012024A KR 20010012024 A KR20010012024 A KR 20010012024A KR 20020072058 A KR20020072058 A KR 20020072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lant growth
composition
growth aid
a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542B1 (ko
Inventor
김용규
허영진
송기서
Original Assignee
일송환경복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송환경복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송환경복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5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 및 성토 사면에 식생 정착을 위한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솜 5 내지 30중량%, 비중 0.8이하의 제지슬러지 5 내지 50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30중량%, 버미큘라이트 5 내지 30중량% 및 식물성 부엽토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을 절토 및 성토 사면에 취부하면 생육보조재 조성물의 갈라짐을 방지하고 경도를 낮추며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다른 구성 성분들을 많이 함유할 수 있고 보수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비중이 가볍기에 자체의 무게에 의한 생육보조재 조성물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어 철망이나 식물망을 설치하지 않고도 녹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절·성토 사면에의 식물정착을 위한 생육보조재 조성물{Composition of growing auxiliary material for the reforestation of devastated cut and fill slopes}
본 발명은 절토 및 성토 사면의 식생 정착을 위한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목, 도로건설 등의 대형 개발 사업에 뒤따르는 절토 및 성토 경사면의 녹화 공법 중 종자살포법에 사용되는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로서 식물망, 철망 등의 보조 용구 없이도 녹화가 가능한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형 공사시 흔히 발생하는 절토 및 성토 사면은 그대로 방치하면 풍화와 침식에 직접 노출되어 낙석 및 붕괴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측면에서도 기존의 경관을 파괴, 단절시키는 등 미관이 좋지 못하다. 이와 같은 절토 및 성토 사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절토 및 성토 사면의 안정과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도모할 수 있는 녹화 공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녹화 공법은 절토 및 성토 사면에 식물을 인공적으로 도입하여 식물로 하여금 토사의 붕괴와 유출을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절토 및 성토 사면을 푸르게 녹화하여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방안으로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녹화 공법은 인력에 의해 식재가 가능한 경사면과 불가능한 경사면에 대한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인력에 의해 식재가 가능한 경사면의 녹화 공법은 전통적인 식재 방법을 응용한 공법과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조경용 블록을 이용하여 식재하거나 종자 파종을 통해 녹화하는 공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인력에 의해 식재가 불가능한 경사면은 습식 종자살포법에 의해 녹화하는 공법이 가장 보편화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녹화 공법은 인력에 의한 식재가 가능한 경사면의 녹화 방법의 경우에는 인력에 의한 식재가 가능한 경사면에만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밖에 없었고 조경용 블록을 이용하는 경우는 붕괴와 변형의 우려가 있어 이용이 제한적이고 영구적이지 않았으며, 습식 종자살포법도 식물망을 사용하여 경사면의 침식에 대비하더라도 침식에 효과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고 식물망 설치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미관상 자연스럽지 못한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토목공사가 행해진 절토 및 성토 사면에 별도의 보조 용구 없이 식물이 직접 정착되도록 함으로써 인공 토양의 무게에 의한 침식 및 붕괴의 위험이 없고 기존 지반에 식물의 뿌리가 정착하기에 영구적이며 식물성장이 우수하고 지반이 토사인 경우뿐만 아니라 암반의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완전히 분해되어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식물 생육보조제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특허출원 제96-22306호로 출원하여 특허등록 제198981호로 등록받았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198981호에 따른 생육보조재 조성물을 풍화암, 연암, 리핑암 등의 암반 사면과 마사토, 경질토사, 일반 토사 등의 토사 사면에 적용하였더니 암반 사면과 토사 사면의 경사면 특성상 경사면에 취부된 생육보조재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기 어려워 두껍게 취부된 부분과 얇게 취부된 부분의 수분 함량의 차이가 생기고 이에 따라 습윤·건조의 정도가 달라 수축과 팽창의 정도도 서로 다르게 되어 경사면에 취부된 생육보조재가 거북의 등처럼 갈라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원지반과 생육보조재층을 유리시켜 식물의 뿌리부가 공중에 노출되어 식물이 고사되는 원인을 제공하였으며 갈라진 틈사이로 빗물이 직접 원지반에 침투되어 생육보조재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초래하였다. 또한, 상기 특허에 따른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건조시 생육보조재의 경도가 30 전후를 상회하여 일반적으로 식물 생육에 적합한 토양 경도로 알려진 경도 10∼20을 훨씬 넘어서기에 강우에 의한 슬라이딩을 억제하는 면에서는 효과적이나 식물 종자의 발아와 생육을 더디게 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등록 제198981호의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에서 제지슬러지의 일부를 제지슬러지와 같은 기능을 하는 섬유질(fiber) 소재이면서도 장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솜(cotton fiber)으로 대체함으로써 종래의 생육보조재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발생하던 갈라짐 현상, 고경도 및 생육보조재의 흘러내림 현상 등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상기 특허등록 제198981호의 생육보조재 조성물 중 통기성과 배수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Na계 벤토나이트를 버미큘라이트와 제올라이트로 대체함으로써 물리적 보수력과 보비력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킴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특허등록 제198981호의 생육보조재 조성물에서 발견된 생육보조재의 갈라짐 현상과 고경도, 생육보조재의 흘러내림, 보수력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생육보조재의 갈라짐을 방지하고 경도를 낮추며 자체 무게에 의한 흘러내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물리적 보수력과 보비력을 증가시킨 절토 및 성토 사면의 원지반에 식물을 직접 정착시키기 위한 생육보조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솜 5 내지 30중량%, 제지슬러지 5 내지 50 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30중량%, 버미큘라이트 5 내지 30중량% 및 식물성 부엽토 1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솜 5 내지 30중량%, 제지슬러지 5 내지 50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30중량%, 버미큘라이트 5 내지 30중량% 및 식물성 부엽토 1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절토 및 성토 사면을 녹화하는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접착제와 물, 종자와 함께 절토 및 성토 사면에 살포되어 식물망이나 철망의 보조없이도 녹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토사 사면과 암반 사면의 환경적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에 따라 조성물의 변화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같은 토사 사면이라 할지라도 녹화 대상지의 환경 조건(기후, 배수, 경사, 향 등)에 따라 배합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지슬러지는 특허등록 제198981호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며, 이 제지슬러지는 종이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주성분이 셀룰로오스이고 단위중량이 0.76g/㎠ 이하로 가볍고 미세한 섬유질로 구성되며 함수율이 65%이고 고형분이 35%에 이른다. 고형분 중에는 펄프가 64%이고 유기물 함량이 36%이상으로 수분 흡수율과 보습 능력이 뛰어나다. 제지슬러지는 고분자 섬유질로 구성되어 물과 혼합되면 점성이 증가하여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함께 혼합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섬유질 사이에 머금고 있어 강우 등에 의한 이들 구성요소들의 유실을 최소화시켜준다. 또한 건조시 일정 경도를 유지하여 강우에 의한 토양 침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솜은 제지슬러지와 같은 섬유질 형태이고 건조시 섬유질이 잘게 부서지는 단섬유와 달리 장섬유로 구성되어 있기에 솜이 포함된 생육보조재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경사면에 취부하면 솜의 장섬유들이 서로 불규칙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매트리스를 형성하기 때문에 단섬유로 구성된 제지슬러지가 주성분인 식물 생육 보조재와는 달리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장섬유인 솜은 미세한 섬유질이 불규칙하게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어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 구조속에 많이 포함할 수 있어 물리적으로 보비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보수력도 증가된다. 또한 솜은 식물성 섬유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되어도 제지슬러지에 비해 경도를 대폭 낮출 수 있고,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자체 무게에 의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에 개발된 다른 녹화 공법과 달리 철망이나 식물망을 설치하지 않고 녹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솜은 표 1과 같은 화학적 조성을 갖는다.
솜의 화학적 조성
유기물 전탄소 전질소 C/N율 섬유소 리그닌 지방 회분
92.5 56.3 0.63 85.1 73.2 5.9 7.4 3.4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솜은 대부분이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소가 73.2%를 차지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이를 분해하면 식물 생장의 영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제지슬러지 5 내지 50중량%와 솜 5 내지 30중량%를 함께 사용한다. 제지슬러지가 포함되지 않은 솜을 주성분으로 하는 생육보조재는 제지슬러지와 같은 점성과 경도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경사면에 취부된 생육보조재는 강우에 의해 구성성분들이 유실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제지슬러지와 솜의 장점을 최대로 이용하여 생육보조재의 갈라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생육보조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제지슬러지와 솜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토사 사면의 경우에는 제지슬러지 5 내지 30중량%, 솜 5 내지 20중량%, 암반 사면인 경우에는 제지슬러지 10 내지 50중량%, 솜 10 내지 3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제올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를 각각 5 내지 30중량% 포함한다. 종래의 생육보조재 조성물에서는 나트륨계 벤토나이트가 사용되었는데 이것이 기존 토양이나 암반의 틈사이에 스며들어 식물 뿌리가 정착하는데 효과적이었고 또한 알루미늄, 철, 칼슘, 마그네슘 등의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 식물 생장시 유용하고 수분 흡수율이 뛰어났으나, 미세한 입자이기에 생육보조재 혼합시 바람에 의해 분진이 날리는 시공상의 불편함과 미세한 입자가 생육보조재의 공극을 모두 메워버리기에 통기성과 배수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규산계의 다공질 점토광물인 제올라이트와 마그네슘과 철이 함유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계통의 원석을 1000℃의 고열로 처리하여 용적을 10 ∼15배 이상 증가시킨 버미큘라이트를 사용한다. 제올라이트는 물리적 흡착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보비력을 측정하는 척도인 양이온 치환능력(CEC)이 뛰어나다. 제올라이트는 온도나 수분 함유 정도에 따른 부피 변화가 없는 광물로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에 토양 개량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올라이트의 화학적 조성은 표 2와 같다.
비중 pH SiO2 Al2O3 Fe2O3 MgO CaO Na2O K2O lg-loss CEC
0.8 7∼8 65.4 13.2 1.62 0.92 3.57 2.03 1.77 11.2 70∼140(me/100g)
또한 버미큘라이트는 공극률이 94.04%에 달할 만큼 공극이 많아 수분 함유 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공극내에 영양 물질 등을 함유할 수 있어 보비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열의 전도가 작은 토양으로 원예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버미큘라이트의 화학적 조성은 표 3과 같다.
pH EC(dS/m) CEC(cmol/㎏) 가비중 진비중 공극율(%) 3상 분포비율
(g/㎤) 고상 액상 기상
7.6 0.03 0.13 2.28 94.04 4.96 46.23 45.81
상기 제올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는 토사 사면의 경우에는 각각 5 내지 30중량%, 암반 사면의 경우에는 10 내지 30중량%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식물성 부엽토 10 내지 60중량%를 포함한다. 식물성 부엽토는 부엽토, 피트모스 등으로 농업 및 원예 분양에서 이미 우수성이 입증된 식물성 유기토로서 보습, 보비력이 뛰어나며 토양의 공극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각종 미량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 식물 생육에 영향을 준다. 토사 사면의 경우에는 10 내지 50중량%, 암반 사면의 경우는 20 내지 6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N, P, K를 기본으로 하여 녹화 대상지 토양의 화학적 성분, 녹화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화학비료를 사용하며 다른 구성 요소와의 배합 관계를 고려하여야 하는데 N 18% P18% K18%인 화학비료 0.5 내지 20중량%를 사용한다. 토사 사면의 경우에는 0.5 내지 15중량%, 암반 사면의 경우에는 3 내지 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접착제 0.5 내지 10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비닐-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로 수성 에멀젼 형태로 존재하며 접착성이 뛰어나고 물과 혼합하여 살포하였을 때 얇은 필름막을 형성,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성된 얇은 피막은 물과 직접 접촉하여 수분을 흡수하기도 하고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을 흡착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 식물 생육보조재의 기존 지반에의 부착과 초기 단계의 수분 손실 방지, 보습, 흡착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사 사면과 암반 사면 모두 0.5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시공 후 천연 면네트를 설치할 수 있다. 기존의 녹화 공법에서는 PVC로 피복된 철망이나 코코넛 섬유로 직조한 코이어네트가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암반 경사면에 인공토양을 영구적으로 붙이기 위해 PVC 코팅 철망을 이용하거나 토사면에 코이어네트를 설치하여 토사 경사면의 슬라이딩을 억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 면네트는 생육보조재 조성물이 경사면에 취부된 후 충분히 경도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강우가 내릴 때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 면으로 직조된 네트이기에 생육보조재 조성물에 의해 6개월 정도가 지나면 부식이 되는 한시적 목적의 네트이다. 또한 천연 면네트는 부식되면 유기물로 변화하여 식물의 영양원으로 이용 가능하며 초기 식물이 활착을 하면 뿌리부가 이들 면네트에 엉켜 강력한 매트리스를 형성하기에 사면안정에도 도움이 된다. 천연 면네트는 기존 지반의 상부나 생육보조재 상부보다는 생육보조재의 중간지점에 놓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2
제지슬러지를 사용하던 기존의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과 솜을 사용하는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의 경도 및 흘러내림의 정도를 알아보고 적당한 혼합비율을 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보조제 조성물에서 나머지 성분은 동일하게 하고 실시예 1은 제지슬러지를, 실시예 2는 솜을 주성분으로 하여 시험하였다.
즉, 실시예 1에서는 비중이 0.76인 제지슬러지 51중량%, 식물성 부엽토 30중량%, 제올라이트 8중량%, 버미큘라이트 5중량%, 비닐아크릴계 접착제 2중량%, N18% P18% K18%인 화학비료 4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서는 솜 51중량%, 식물성 부엽토 30중량%, 제올라이트 8중량%, 버미큘라이트 5중량%, 비닐아크릴계 접착제 2중량%, N18% P18% K18%인 화학비료 4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을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월송리 904-1번지의 암반 경사면과 토사 경사면에 폭 2m×높이 3m의 시험구를 만들어 적용하였다. 그런 다음 경도와 갈라짐 현상을 측정하였는데, 경도는 간이 토양 경도 측정계를 이용하여 1m 단위로 3지점씩 측정하여 이의 평균값을 구하였고 갈라짐 현상은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측정 및 관찰은 시공 후 일주일 후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실 시 예 1 실 시 예 2
측점 1 측점 2 측점 3 평 균 측점 1 측점 2 측점 3 평 균
1m지점 25 27 22 24.6 8 6 10 8
2m지점 18 24 28 23.3 7 6 11 8
3m지점 25 24 21 23.3 12 8 9 9.6
경도평균값 23.7 8.5
갈라짐현상 갈라짐 현상 다수 발견 갈라짐 현상은 없었으나 생육보조재 조성물이 강우에 의해 씻겨내려가는 현상 발견
위의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제지슬러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에는 생육보조재 조성물의 평균 경도값은 23.7이고 솜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에는 평균 경도값은 8.5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갈라짐 현상이 발견되었고 실시예 2에서는 갈라짐 현상은 없었으나 강우에 의해 조성물이 유실되어 탈색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한편, 토양경도 23∼30은 일반적으로 뿌리부가 물리적으로 뻗는데 영향을 주는 경도로 뿌리 생장에 장해를 받기 쉬운 경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지슬러지와 솜을 적정하게 혼합하여, 즉 제지슬러지 5 내지 50중량%와 솜 5 내지 30중량%를 혼합하여 원하는 경도 및 갈라짐과 흘러내림이 방지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비중이 0.76인 제지슬러지 18중량%, 솜 7중량%, 식물성 부엽토 45중량%, 제올라이트 12중량%, 버미큘라이트 12중량%, 비닐아크릴계 접착제 2중량%, N18% P18% K18%인 화학비료 4중량%를 혼합하여 경질 토사 및 마사토 사면용 생육보조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비용이 0.76g/㎤인 제지슬러지 20중량%, 솜 8중량%, 식물성 부엽토 45중량%, 제올라이트 15중량%, 버미큘라이트 10중량%, 비닐아크릴계 접착제 1중량%, N18% P18% K18%인 화학비료 1중량%를 혼합하여 암반 사면용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3 및 4의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과 일반 토양 및 특허 등록 제198981호의 생육보조재 조성물의 화학적 성분 및 물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보수력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및 측정은 제일분석센터 및 A&F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에서 EC는 전기전도도, CEC는 양이온 치환용량을 나타낸다.
생육적정 조건 일반토양 특허등록제198981호
토사용 암반용 실시예 3 실시예 4
pH(1:5) 5.5∼7.5 5.5 6.24 6.52 7.7 7.56
유기물(%) 3∼7 3.2 21.72 32.58 19.61 18.7
전질소(%) 0.2∼0.5 0.15 1.55 1.16 0.4 0.41
유효인산(ppm) 20이상 26.6 6034.8 3611.5 1527.9 1892.8
EC(me/㎝) 9.10 6.27
CEC(me/㎎) 17 11.34 35.18 28.74 16.17 16.92
K(me/100㎎) 0.5 0.21 18.74 11.40 0.36 0.38
Ca(me/100㎎) 6 3.51 30.83 31.88 4.03 3.59
Mg(me/100㎎) 2 1.56 5.62 5.90 1.29 1.13
Na(me/100㎎) 3.55 3.14 0.0045 0.0046
보수력(%) 11 32 36 87.5 88
위의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종전의 특허 등록 제198981호의 조성물이 6.24와 6.52로 산성인데 반하여 생육적정범위라고 알려진 5.5∼7.5에 근접한 범위로서 중성을 띠고 있기에 식물 생육에는 지장이 없으면서 산성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유기물은 종래의 조성물, 즉 특허등록 제198981호에 비해서는 낮은 값이지만 생육적정조건의 기준치를 훨씬 상회하며, CEC는 기준치에 근접한 값을 가지고 유효인산 역시 기준치를 훨씬 상회하는 값을 나타낸다. 또한 K, Ca, Mg, Na 등의 미량원소역시 기준치에 근접한 값을 가진다. 또한 보수력 역시 일반 토양에 비해서는 8배, 종래의 특허등록 제198981호의 조성물에 비해서는 토사 사면용의 경우에는 2.7배, 암반 사면용의 경우에는 2.5배 정도 보수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실시예 3 및 4의 조성물을 실시예 1,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현장에 적용한 결과 갈라짐 현상과 흘러내림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경도값 역시 13∼18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식물 생육에 유리한 생육보조재로서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솜, 제지슬러지, 제올라이트와 버미큘라이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은, 토사 사면 및 암반 사면에 적용하는 경우, 생육보조재의 갈라짐 현상을 방지하고 경도를 낮추며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다른 구성 성분들을 많이 함유할 수 있고 보수력을 증가시키며 비중이 가벼워 자체의 무게에 의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기에 철망이나 식물망을 설치하지 않고도 절토 및 성토 사면의 원지반에 녹화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6)

  1. 솜 5 내지 30중량%, 비중 0.8이하의 제지슬러지 5 내지 50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30중량%, 버미큘라이트 5 내지 30중량% 및 식물성 부엽토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
  2. 제1항에서, 접착제 0.5 내지 10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N 18% P 18% K 18%인 화학비료 0.5 내지 2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
  4. 제3항에서, 일반 토사 사면에 적용하는 것으로, 제지슬러지 5 내지 30중량%, 솜 5 내지 20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30중량%, 버미큘라이트 5 내지 30중량%, 식물성 부엽토 10 내지 50중량%, 접착제 0.5 내지 10중량% 및 N 18% P 18% K 18%인 화학비료 0.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
  5. 제3항에서, 암반 사면에 적용하는 것으로, 제지슬러지 10 내지 50중량%, 솜 10 내지 30중량%, 제올라이트 10 내지 30중량%, 버미큘라이트 10 내지 30중량%, 식물성 부엽토 20 내지 60중량%, 접착제 0.5 내지 10%중량% 및 N 18% P 18% K 18%인 화학비료 3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
  6. 절토 및 성토 사면에 제1항에 따른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을 살포한 다음 천연 면네트를 설치하고 천연 면네트 상부에 다시 제1항에 따른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을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절토 및 성토 사면에 습식 종자살포법으로 제1항에 따른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을 살포하는 녹화 공법.
KR10-2001-0012024A 2001-03-08 2001-03-08 절·성토 사면에의 식물정착을 위한 생육보조재 조성물 KR10042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024A KR100427542B1 (ko) 2001-03-08 2001-03-08 절·성토 사면에의 식물정착을 위한 생육보조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024A KR100427542B1 (ko) 2001-03-08 2001-03-08 절·성토 사면에의 식물정착을 위한 생육보조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058A true KR20020072058A (ko) 2002-09-14
KR100427542B1 KR100427542B1 (ko) 2004-04-27

Family

ID=2769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024A KR100427542B1 (ko) 2001-03-08 2001-03-08 절·성토 사면에의 식물정착을 위한 생육보조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5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89B1 (ko) * 2007-08-09 2007-11-05 (주)우주엔지니어링 친환경 조경 녹화블록 설치구조
KR100852358B1 (ko) * 2007-05-28 2008-08-14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임목 폐기물 등의 식물 발생재를 재활용한 식물 생육보조재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616B1 (ko) * 1993-10-20 1996-08-24 삼호종합개발 주식회사 부식토조성물
JPH07138957A (ja) * 1993-11-17 1995-05-30 Lock Kensetsu Kk 植生材
KR0176631B1 (ko) * 1994-07-13 1999-05-01 김광호 자동 미세 조정회로
KR100198981B1 (ko) * 1996-06-19 1999-06-15 조동만 식생 정착을 위한 단기 식물 생육보조재 조성물
KR100276125B1 (ko) * 1998-07-07 2000-12-15 김홍근 솜털망에 의한 법면 유실 방지방법
KR20000037364A (ko) * 2000-04-20 2000-07-05 최상진 제지슬러지의 농업적 이용방법과 그 제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358B1 (ko) * 2007-05-28 2008-08-14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임목 폐기물 등의 식물 발생재를 재활용한 식물 생육보조재조성물
KR100773489B1 (ko) * 2007-08-09 2007-11-05 (주)우주엔지니어링 친환경 조경 녹화블록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542B1 (ko) 2004-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06573B (zh) 一种用于边坡生态修复的方法
CN108353563A (zh) 一种利用废弃物为土壤改良剂治理沙漠化土壤的方法
CN105028011B (zh) 高原地区树木种植坑及树木种植方法
KR100428513B1 (ko) 식물배지용 코팅 퍼라이트
CN111955309A (zh) 一种用于边坡生态修复的人工海绵基质及施工方法
DE4012286C2 (de) Verfahren zur ingenieurbiologischen Sicherung und Begrünung, insbesondere von Böschungen und Hängen, im Garten-, Landschafts- und Sportplatzbau und zur Dachbegrünung
CN112681343A (zh) 一种用于边坡生态修复的聚合物喷播辅助材料、喷播材料及施工方法
KR100427542B1 (ko) 절·성토 사면에의 식물정착을 위한 생육보조재 조성물
CN110892857A (zh) 一种用于边坡绿化的污泥改良基材及其制备方法
KR100950047B1 (ko) 경사면 녹화용 식생토
DE19822621A1 (de) Kultursubstrat für Pflanzen
KR100970189B1 (ko) 그린복합토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CN113412696A (zh) 一种煤矸石边坡浅层加固与生态恢复的方法
KR101201999B1 (ko) 법면 녹화용 토종 기반토
KR101239202B1 (ko) 어분을 이용한 법면식생 녹화재 조성물
CN109386005B (zh) 苔藓藤本植物混合生态砖
KR20060043975A (ko) 박층의 사면녹화용 배양토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JP3183854B2 (ja) 斜面保護用組成物及び斜面保護工法
KR100733917B1 (ko) 절토 및 성토면 안정을 위한 녹화공법
KR100517277B1 (ko) 배합토 조성물
NL2032811B1 (en) Growth promoting matrix material of bank protection plants of ecological river
JPH0777522B2 (ja) 緑化植生材料
KR20000055278A (ko) 잔디 살포기를 이용한 초지 조성방법
KR100817258B1 (ko) 녹화용 식생토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JP3389113B2 (ja) 人工地盤用土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