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912A -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912A
KR20020070912A KR1020020043532A KR20020043532A KR20020070912A KR 20020070912 A KR20020070912 A KR 20020070912A KR 1020020043532 A KR1020020043532 A KR 1020020043532A KR 20020043532 A KR20020043532 A KR 20020043532A KR 20020070912 A KR20020070912 A KR 20020070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housing
gas
sealer
mount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창
Original Assignee
오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창 filed Critical 오세창
Priority to KR102002004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0912A/ko
Publication of KR2002007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91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는 압력용기의 상단부에 마운팅 컵이 고정되고, 상기 마운팅 컵의 체결부의 내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부에 가스 유입부가 형성된 하우징이 압축 체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하우징으로 유입된 가스를 유출시키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스템이 있으며, 상기 스템의 오리피스 외주연에는 하우징 내의 가스 유출을 차단하는 실러의 내주연부가 밀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실러와 마운팅 컵 사이에 상부 스프링을 설치하여 실러를 하우징 내의 걸림턱에 밀착시켜 하우징 내의 가스 배출을 차단하며, 상기 스템과 상기 하우징 가스 유입부 사이에 하부 스프링을 설치하여 스템을 상향 탄력 지지하고, 상기 마운팅 컵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가스 유입을 차단하는 가스켓이 압착 고정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규정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실러가 들어 올려져 공간부가 형성되면서 과압가스는 이를 통해 마운팅 컵과 스템 사이의 열린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내부압력이 규정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 실러는 상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의 걸림턱에 밀착되고 가스의 배출을 차단하게 되어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압력용기를 매우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A safty valve in a pressure container under overpressure}
본 발명은 압력용기에 내장된 과압 안전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압력용기 내에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압력용기 내의 스템과 마운팅 컵 사이의 공간부로 과압가스를 분출시켜 압력용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용기에는 분사할 내용물을 액화가스 또는 압축가스로 충전하고 있으며 용기내의 가스압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분출시키는 것으로서 용기 내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항상 작용하고 있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부탄가스 용기, 스프레이 용기, 소화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압력용기는 고온에서 내압이 상승되면 용기의 변형 및 파열의 위험이 항상 내재되어 있어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혹서기에 압력용기가 노출된 상태에서 직사광선 아래에 장시간 놓여 있게 되면 직사광선의 열에 의해 압력용기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되어 폭발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며, 또한 부탄가스 용기의 경우 휴대용 가스레인지보다 밑면이 넓은 솥을 올려놓고 물이나 국을 끊이는 경우 가스 불길이 솥의 밑면을 따라 옆으로 퍼져 부탄가스 용기까지 닿으면 부탄가스 용기의 온도가 상승하고 내부 압력이 높아져 폭발하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압력용기의 구조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용기(미도시)의 상부에 마운팅 컵(1)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운팅 컵(1)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체결부(2)의 내측에는 스템(4)과 하우징(7)이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7)의 내부에는 스템(4)을 상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9)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7)의 상단과 마운팅 컵(1)의 체결부(2) 사이에는 가스켓(3)의 외주연부가 밀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템(4)의 내부 상측에 가스 유출구(5)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의 일측에는 환상의 요입부(6)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6)의 중앙에 오리피스 (8)가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3)의 내측연부가 상기 요입부(8)의 내측에 밀착되게 끼워져 오리피스(8)로의 가스 배출이 차단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압력용기의 밸브장치는 외력이 작용하여 스템이 아래로 눌리게 되면 도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9)이 압축되고, 가스켓(3)이 휘어지면서 스템(4)의 오리피스(8)가 개방되고, 압력용기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가 가스 유입부(7a)와 하우징(7)의 내측부, 스템(4)의 오리피스(8) 및 스템(4)의 상측 유출구(5)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도1b의 상태에서 스템(4)의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9)이 복원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스템(4)이 도1a의 도시와 같이 돌출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고, 가스켓 (3)이 원래 상태로 펴지면서 스템(4)의 오리피스(8)를 다시 폐쇄시켜 가스의 배출이 차단된다.
이러한 압력용기들은 내용물을 분출시키기 위하여 항상 일정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외부 온도가 높아지면 내부압력이 상승되어 용기의 변형 및 파열의 위험이 있어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성이 항상 내재되어 있다.
전술한 경우를 피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0-35090호에서는 스템 내부가 상하로 가스가 유통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템 하측의 가스 유입구 외주연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밸브 위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압력용기 내의 가스 압력이 개폐밸브 위에 장착된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높아지면 개폐밸브가 들어올려져 가스 유입구가 개구되어 과압가스가 스템을 통하여 상측 가스 유출구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밸브장치는 내경이 1.5㎜에 불과한 스템 내부에 개폐밸브와 스프링과 같은 안전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1개의 조립치구에서 1분에 1,000개의 밸브를 생산하는 종래의 조립공정을 상당히 지연시켜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조립 단가가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9-3911호에서는 스템 내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판밸브를 설치하여 용기 내의 가스 압력이 스프링 탄성력보다 커지면 가스 흡입구가 개구되어 과압가스가 스템 내의 가스 유출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판밸브 역시 스템 내에 장착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생산성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실제 적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탄가스 용기의 경우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부탄가스 용기가 결합되고 압착 레버에 의해 스템이 눌려진 상태에서 개폐기구에 의해 스템의 가스 배출이 차단되어 있으면, 혹서기에 직사광선에 의해 온도가 높아져 압력용기의 내부압력이 높아지고 용기가 폭발하는 안전사고가 유발된다.
따라서, 스템을 통하여 과압가스를 방출하는 종래의 방식으로는 부탄가스 용기와 같은 경우의 안전사고를 해소할 수 없어 국내의 제조물 책임법 발효와 함께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전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압력용기의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스템으로의 가스 유로가 차단되어 있어도 스템과 마운팅 컵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과압가스를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압력용기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한 밸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성을 고려하여 종래 기술과 같이 스템 내의 좁은 공간에 과압 안전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스템 외주에 스프링 및 실러 (Sealer)를 장착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조립단가를 낮추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내부압력이 높아져 과압가스가 일부 방출되고 다시 가스압이 일정한 수치이하로 떨어지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유로가 자동 차단되어 불필요한 가스의 방출을 방지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1a는 압력용기에 장착된 종래의 밸브장치의 단면도,
도1b는 도1a의 밸브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과압 안전밸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과압 안전밸브장치가 나타낸 단면도,
도4a는 도3의 밸브장치가 작동시 밸브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4b는 도3의 밸브장치가 고압에서 밸브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4c 도4a의 밸브장치가 고압에서 밸브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밸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밸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밸브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도2 내지 도7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마운팅 컵 2,11: 체결부
3,12,12a: 가스켓 4,13: 스템
5,14: 가스 유출구 6,23: 요입부
7,17: 하우징 7a,20: 가스 유입부
8,16: 오리피스 9,18: 하부 스프링
15: 상부 스프링 19: 실러(Sealer)
21: 패킹부 22: 핀
24: 밀폐링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과압 안전밸브장치는, 압력용기와 결합된 마운팅 컵의 체결부 내측에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연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가스 유입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압착 고정하며, 상기 가스 유입부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스템을 하우징 내의 중앙에 설치하며, 상기 스템의 오리피스 외주에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 내의 걸림턱 위에 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마운팅 컵과 상기 실러 사이에 설치되어 실러를 일정 압력으로 눌러주는 상부스프링과 상기 스템과 상기 가스 유입부 사이에 설치되어 스템을 탄성 지지하는 하부스프링과 상기 마운팅 컵과 하우징 사이를 밀폐시키는 가스켓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용기 안전밸브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4a는 도3의 밸브장치를 작동시 밸브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b는 도3의 밸브장치가 고압에서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4c는 도4a의 밸브장치가 고압에서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는 압력용기(미도시)의 상단부에 마운팅 컵(10)이 고정되고, 상기 마운팅 컵(10)의 체결부(11) 내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연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가스 유입부(20)가 형성된 하우징(17)이 압축 체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7)의 내부 중앙부에 스템(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템(13)의 일측에 하우징(17)으로 유입된 가스를 유출시키는 오리피스(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상 상태에서는 하우징(17)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스템(13)의 오리피스(16)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실러(19)의 내주연부가 상기 오리피스(16)가 형성된 스템의 외주연부를 밀착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마운팅 컵(10)과 실러(19) 사이에 상부 스프링(15)이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실러(19)를 일정 가스압 이상으로 누르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7)의 하부에는 스템(13)을 상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하부스프링(18)이 결합되어 스템이 눌려진 상태에서 복원될 때 하부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스템(13)을 상향으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운팅 컵(10)과하우징(17) 사이에 가스 유입을 차단하는 가스켓(12)이 압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는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소정의 규정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도3의 도시와 같이 스템(13)의 오리피스(16)가 실러(19)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어 오리피스(16)로의 가스 유출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상기 실러(19)의 상부에 상부스프링(15)이 설치되어 실러(19)를 일정 가스압력 이상으로 누름으로써 실러(19)와 하우징(17) 내의 걸림턱 사이를 밀폐시켜 하우징(17) 하부의 가스 유입부(20)로 유입된 가스는 유로가 차단되어 압력용기 밖으로 가스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템(13)이 눌리게 되면 도3의 도시와 같이 하우징(17) 하부의 가스 유입부(20)를 통해 하우징(17) 내로 유입된 가스는 실러(19) 아래로 노출된 스템(13)의 오리피스(16)를 통해 가스가 유출구(14)로 분사되어 정상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혹서기에 압력용기를 직사광선이나 밀폐된 차안에 놓아두었을 때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규정압력 이상으로 과도하게 올라가는 경우에는 압력용기의 내부압력이 상부스프링(15)의 탄성력보다 높아져 도4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러(19)가 상승되면 과압가스는 실러(19)와 하우징(17)의 걸림턱 사이의 공간부를 통하여 스템(13)과 마운팅 컵(10) 사이의 열린 공간부로 배출되며, 또한 스템(13)의 오리피스(16)가 개구되어 과압가스는 오리피스(16)를 통해서도 스템의 가스 유출구(14)로 배출된다.
한편, 가스 배출로 인해 압력용기 내의 가스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내려가면실러(19)를 들어올렸던 가스 내부압력이 상부스프링(15)의 탄성력보다 작아져 상부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실러(19)가 하강하여 스템(13)의 오리피스(16)가 밀폐되면서 실러(13)와 하우징(17) 걸림턱 사이의 공간부도 폐쇄되어 가스 유출이 차단된다.
또 다른 예로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부탄가스 용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스템이 가스레인지 내의 개폐기구(미도시)에 의해 눌리게 되면 스템의 가스 유출구가 개방되면서 가스가 분사되나, 밑면이 가스레인지의 면적보다 넓은 솥을 올려놓아 불길이 솥의 밑면을 따라 퍼지게 되면 부탄가스 용기에 불길이 닿아 부탄가스 용기의 내부 압력이 규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휴대용 가스레인지 내의 안정기는 압력용기의 내부압력과 상관없이 일정한 압력으로만 가스를 분사시켜, 스템을 통해 가스가 분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부압력이 높아져 압력용기가 폭발하게 된다.
또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부탄가스 용기를 결합하여 압착레버를 '온' 상태에서 스템이 눌려진 상태로 직사광선 아래에 놓으면 열에 의해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스템의 가스 유출구는 차단되어 있어 압력용기가 폭발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4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템(13)이 눌려진 상태에서 압력용기의 내부압력이 높아지면 가스 압력이 상부스프링(15)의 탄성력보다 높아져 실러(19)를 상승시키고 실러(19)와 하우징(17) 내의 걸림턱 사이의 공간부를 통하여 스템(13)과 마운팅 컵(10) 사이의 열린 공간부로 배출되며, 또한 과압가스는 오리피스(16)를 통해 스템(13)의 유출구(14)로 분사된다.
이후,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다시 규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상부스프링(15)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하우징(17)의 걸림턱과 실러(19) 사이의 공간부는 폐쇄되고 스템(13)의 오리피스(16)로만 가스가 배출되어, 다시 안전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2 내지 도4c에 도시된 스템(13)의 오리피스(16)를 밀폐시키는 실러(19)의 일단면이 'ㄱ'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일단면이 'ㄴ'자형이나 'ㅡ'자형, 'ㅓ'자형이 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는 연료용으로 사용되는 부탄가스 용기, 각종 분무제 분사용 에어로졸 압력용기 및 소화기를 포함한 각종 압력용기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마운팅 컵(10)의 체결부(11) 내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연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가스 유입부(20)가 형성된 하우징(17)이 압축 체결되어 있고, 상기 마운팅 컵(10)과 하우징(17) 사이에 가스켓(12)의 외주연부가 압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7)의 내부 중앙부에 스템(1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템(13)의 일측에는 하우징(17)으로 유입된 가스를 유출시키는 오리피스(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상 상태에서는 하우징 (17)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스템(13)의 오리피스(16)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실러(19)의 내주연부가 상기 오리피스(16)가 형성된 상기 스템(13)의 외주연부를 밀착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실러(19) 위에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패킹부(21)를 설치하며, 상기 실러(19)는 가스 유입부(20)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패킹부(21) 내의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패킹부 (21)와 마운팅 컵(10) 사이에 상부스프링(15)이 탄력 지지되어 있어 압력용기의 내부압력이 규정치 이상일 때 실러(19)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유입된 가스 압력이 상부스프링(15)의 탄성력보다 높아지면 패킹부(21)가 들어 올려지면서, 가스가 패킹부(21) 좌우로 배출되어 마운팅 컵(10)과 스템(13) 사이의 공간부로 분사되며, 상기 하우징(17)의 하부에는 스템(13)을 상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하부스프링(18)이 결합되어 스템(13)이 눌려진 상태에서 복원될 때 하부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스템(13)을 상향으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마운팅 컵(10)의 체결부(11) 내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연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가스 유입부 (20)가 형성된 하우징(17)이 압축 체결되어 있고, 상기 마운팅 컵(10)과 하우징 (17) 사이에 가스켓(12)의 외주연부가 압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7)의 내부 중앙부에 스템(1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템(13)의 상측에 스템(13)을 관통하는 핀(22)이 고정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하우징(17)으로 유입된 가스를 유출시키는 오리피스(16)가 형성되어 있어, 정상 상태에서는 하우징(17)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스템(13)의 오리피스(16)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실러 (19)의 내주연부가 상기 오리피스(16)가 형성된 상기 스템(13)의 외주연부를 밀착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핀(22)과 실러(19) 사이에 상부 스프링(15)이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일정 가스압 이상으로 상기 실러(19)를 누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템(13)이 눌리게 되면 하우징(17) 하부의 가스 유입부 (20)를 통해 하우징(17) 내로 유입된 가스는 실러(19) 아래로 노출된 스템(13)의 오리피스(16)를 통해 가스가 스템(13)의 유출구(14)로 분사되어 정상적으로 사용되게 되며, 외부의 온도가 높아져 압력용기의 내부 가스압력이 상부 스프링(15)의 탄성력보다 높아지면 상기 실러(19)는 들어 올려져서 상기 오리피스(16)가 개구되어 과압가스가 스템(13)을 통해 분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실러(19)와 하우징(17) 내의 걸림턱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과압가스는 상기 스템(13)과 상기 마운팅 컵(10) 사이의 열린 공간부로도 분사되게 된다.
또한,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스템을 관통하는 핀(22) 대신 스템(13)의 상측 외주연에 스프링 지지턱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마운팅 컵(10)의 체결부(11) 내측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주연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가스 유입부 (20)가 형성된 하우징(17)이 압축 체결되어 있고, 상기 마운팅 컵(10) 하우징(17) 사이에 관로가 형성된 가스켓(12a)의 외주연부가 압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7)의 내부 중앙부에 스템(1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템(13)의 상측에 상기 가스켓(12a)의 내주연부를 밀착 고정시키는 요입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하우징(17)으로 유입된 가스를 유출시키는 오리피스(16)가 형성되어 있어, 정상상태에서는 하우징(17) 내부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스템(13)의 오리피스(16)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실러(19)의 내주연부가 상기 오리피스(16)가 형성된 상기 스템(13)의 외주연부를 밀착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가스켓(12a)과 실러 (19) 사이에 상부 스프링(15)이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일정 가스압 이상으로 상기 실러(19)를 누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템(13)이 눌리게 되면 하우징(17) 하부의 가스 유입부 (20)를 통해 하우징(17) 내로 유입된 가스는 실러(19) 아래로 노출된 스템(13)의 오리피스(16)를 통해 가스가 스템(13)의 유출구(14)로 분사되어 정상적으로 사용되게 되며, 외부의 온도가 높아져 압력용기의 내부 가스압력이 상부 스프링(15)의 탄성력보다 높아지면 상기 실러(19)는 들어 올려져서 상기 오리피스(16)가 개구되어 과압가스가 스템(13)을 통해 분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실러(19)와 하우징(17) 내의 걸림턱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과압가스는 상기 가스켓(12a)의 관로를 통해 상기 스템(13)과 상기 마운팅 컵(10) 사이의 열린 공간부로도 분사되게 된다.
도8은 도2 내지 도7의 다른 예로서, 하우징(17)의 걸림턱 위에 설치된 실러 (19)가 탄성력이 작은 재질일 경우 실러(19)와 하우징(17)의 걸림턱 사이의 완전한 밀폐를 위하여 하우징(17)의 걸림턱 위에 탄성력이 큰 재질의 밀폐링(24)을 고정 설치하여 가스의 유출을 차단한다.
도2 내지 도8의 실러 및 하우징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세탈, 나이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템의 재질로는 다이 캐스팅, 철, 나이론, 아세탈 등이 사용되고, 가스켓의 재질로는 엔티알, 부나, 네오프렌, 바이톤, 부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이 규정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실러가 들어 올려지면서 과압가스가 마운팅 컵과 스템 사이의 열린 공간으로 자동으로 배출되어 규정압력 이하로 떨어지게 되므로 압력용기를 매우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종래 기술은 스템 공간 사이에 밸브 및 스프링 등을 장착하도록 하여 생산성에 심각한 문제점이 제기되었으나 본 발명은 스템 외주에 실러와 스프링을 장착하게 되어 있어 조립 생산성이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탄가스 용기가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결합되어 사용하는 경우 스템이 가스레인지 내의 개폐기구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 부탄가스 용기에 불길이 닿아 부탄가스 용기의 내부 압력이 규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종래 기술은 가스를 스템을 통해서만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휴대용 가스레인지 내부에 장착된 안정기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만 배출하도록 기능을 하고 있어 고온에 의한 압력용기의 과압가스의 폭발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스템과 마운팅 컵 사이의 열린 공간부를 통해 과압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외부의 온도가 고온이 되었을 때 압력용기의 밸브장치가 스템이 눌려진 상태 또는 눌려지지 않은 모든 상태에서 과압가스를 배출시키고 내부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배출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압력용기의 밸브장치의 안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마운팅 컵의 중앙에 밸브체를 고정시키는 체결부가 형성된 압력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가스 유입부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일측에 하우징 내의 가스가 유입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스템;
    상기 스템의 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실러;
    상기 실러와 상기 마운팅 컵 사이에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스프링;
    상기 스템을 상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하부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상기 마운팅 컵 사이를 밀폐시키는 가스켓;으로 이루어진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2. 마운팅 컵의 중앙에 밸브체를 고정시키는 체결부가 형성된 압력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가스 유입부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일측에 하우징 내의 가스가 유입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스템;
    일측에 관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템의 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실러;
    상기 실러 위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패킹부;
    상기 패킹부와 상기 마운팅 컵 사이에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스프링;
    상기 스템을 상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하부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상기 마운팅 컵 사이를 밀폐시키는 가스켓;으로 이루어진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3. 마운팅 컵의 중앙에 밸브체를 고정시키는 체결부가 형성된 압력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가스 유입부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측에 핀이 관통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하우징 내의 가스가 유입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스템;
    상기 스템의 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실러;
    상기 실러와 상기 핀 사이에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된 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마운팅 컵 사이를 밀폐시키는 가스켓;으로 이루어진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4. 마운팅 컵의 중앙에 밸브체를 고정시키는 체결부가 형성된 압력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가스 유입부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측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하우징 내의 가스가 유입되는 오리피스가 형성된 스템;
    상기 하우징의 상단과 상기 마운팅 컵 사이에 외주연부가 밀착 고정되고 상기 스템의 요입부에는 내주연부가 밀착 고정되며 일측에 관로가 형성된 가스켓;
    상기 스템의 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실러;
    상기 실러와 상기 가스켓 사이에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의 걸림턱 위에 탄성 재질의 밀폐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요입부 밑에 스프링 지지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KR1020020043532A 2002-07-24 2002-07-24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KR20020070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532A KR20020070912A (ko) 2002-07-24 2002-07-24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532A KR20020070912A (ko) 2002-07-24 2002-07-24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912A true KR20020070912A (ko) 2002-09-11

Family

ID=2772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532A KR20020070912A (ko) 2002-07-24 2002-07-24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09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82Y1 (ko) * 2013-06-24 2013-10-29 코원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다기능 안전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166A (ja) * 1995-02-10 1996-08-27 Seiichi Kitabayashi エアゾールバルブとエアゾールバルブを有するエアゾー ル噴射容器の残留ガスの自動放出方法
KR20020078891A (ko) * 2001-04-11 2002-10-19 박진하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
KR20030032784A (ko) * 2001-10-20 2003-04-26 박진하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166A (ja) * 1995-02-10 1996-08-27 Seiichi Kitabayashi エアゾールバルブとエアゾールバルブを有するエアゾー ル噴射容器の残留ガスの自動放出方法
KR20020078891A (ko) * 2001-04-11 2002-10-19 박진하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
KR20030032784A (ko) * 2001-10-20 2003-04-26 박진하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82Y1 (ko) * 2013-06-24 2013-10-29 코원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다기능 안전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0733B2 (en) Aerosol valve assembly and aerosol vessel
CN108884971B (zh) 液化气罐安全阀
RU2516741C1 (ru) Взрывобезопасный клапан для газового контейнера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JP4316570B2 (ja) ガス燃料容器の過圧安全装置
KR101523974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CN108884970B (zh) 安全阀和具有安全阀的液化气罐
KR100914620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912704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유로차단식 안전밸브
KR20020070912A (ko)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AU2022283780B2 (en) Pressure vessel and method for filling it
KR20160090157A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KR20020070913A (ko) 압력용기의 과압 안전밸브장치
KR102087334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폭발방지를 위한 유로차단 기능이 강화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안전장치
KR100416469B1 (ko)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
KR20180019343A (ko) 폭발 방지용 가스 용기
JP3208723B2 (ja) 安全弁兼用加圧充填バルブとその安全使用方法及び加圧充填方法
KR100714075B1 (ko) 가스렌지의 용기 과압 안전장치
KR100441633B1 (ko) 압력용기의 안전밸브장치
JP2538835B2 (ja) 圧力充填可能な防爆エアゾ―ルバルブ
KR100461514B1 (ko) 압력용기의 안전밸브장치
KR100437957B1 (ko)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
KR20180072958A (ko) 가스용기용 밸브의 개폐용 씰 구조
KR101396896B1 (ko) 폭발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스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0158A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JPH021509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