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608A -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608A
KR20020070608A KR1020010010795A KR20010010795A KR20020070608A KR 20020070608 A KR20020070608 A KR 20020070608A KR 1020010010795 A KR1020010010795 A KR 1020010010795A KR 20010010795 A KR20010010795 A KR 20010010795A KR 20020070608 A KR20020070608 A KR 20020070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customer
code value
web server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최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철 filed Critical 최병철
Priority to KR102001001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0608A/ko
Publication of KR2002007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60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고객에게 가장 적합한 선곡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객이 웹 상에서 현재의 심리상태/청취목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음악이 선곡되어 이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객이 자신의 단말기(10)로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서비스 사업자의 웹 서버(20)에 접속하면, 웹 서버(20)에서는 고객이 입력한 기본 정보에 대한 입력과 함께 고객의 현재 심리상태/청취목적에 대하여 기능적으로 분류된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고객의 단말기(10)를 통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의 코드 값과 음악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각 음악파일의 코드 값을 비교 분석하여 코드 값이 상호 일치하는 음악들이 적절히 선곡되고, 이 선곡된 일련의 음악이 웹 서버(20) 및 고객 단말기(10)를 통하여 송출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providing functional music through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각 고객에게 가장 적합한 음악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이 웹 상에서 자신의 기본 정보와 함께 현재의 심리상태/청취목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이에 상응하는 적절한 음악이 선곡되고 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음악은 그 종류에 따라 슬플 때 위로가 되기도 하고, 기쁠 때 기쁨을 배가시키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구체적인 치료목적을 가지고 적용되고 있다. 이제까지는 특정한 음악을 모든 경우에 획일적으로 제공하여 왔으나 이는 개인의 음악적 선호와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내용으로 음악의 적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음악의 적용에는 동질성의 원리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데 동질성의 원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음악에 대한 고객의 취향과 배경정보가 반드시 필요하고 특별히 음악을 요청하는 당시의 정서와 환경에 대한 정보가 반드시 필요한데 이것은 마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개인 고객의 요청에 따라 즉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웹 환경에서만 가능한 것이고 또 그 필요가 요청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음악은 단지 흥미의 차원을 넘어서 구체적인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기능음악"이란 이러한 개인의 필요를 즉각적으로 충족시키는 형태로 제공하는 음악을 말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현재 자신의 심리상태 또는 구체적인 목적에 부합하는 기능음악을 웹 상에서 제공되는 목록을 통하여 곡목별로 선택하는 것은 쉽지 않다. 더구나 개인이 부정적인 정서의 상태에서 적극적으로 음악을 선곡해 듣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개인의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과 함께 그 상황에 가장 적절한 음악을 선택해 내는 것은 전문적인 과제로 단순히 당사자가 느끼는 감정 그 이상의 많은 변인들이 고려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고객의 기본 정보와 함께 현재 심리상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음악의 각 장르별로 이미 코딩작업을 마친 곡들을 고객이 요청하는 시간과 날씨정보까지 고려하여 구축된 음악파일의 데이터베이스로 각 고객이 필요로 하는 상황적 정보에 최적한 음악파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객이 자신의 단말기로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서비스 사업자의 웹 서버에 접속하면, 웹 서버에서는 고객의 기본 정보와 현재 심리상태/청취목적에 대하여 기능적으로 분류된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의 코드 값과 음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악파일의 코드 값을 비교 분석하여 코드 값이 상호 일치하는 음악이 선곡되고, 이 선곡된 음악이 웹 서버 및 고객 단말기를 통하여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을 위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객 단말기 20. 웹 서버
21. 웹 사이트 22. 고객 데이터베이스
23. 음악 데이터베이스 24. 선곡 소프트웨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로서, 본 시스템(1)은 크게 웹 브라우저 구동 가능한 단말기(10a-10n)를 포함하는 고객 영역과 웹 사이트(21)를 운영하는 웹 서버(20)를 포함하는 서버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단말기(10a-10n)와 웹 서버(20)간에는 인터넷 망(30)을 매개로 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객영역에는 단말기(10)에 접속되어 음악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재생기 및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영역에는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 데이터베이스(22)와 다양한 음악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베이스(23) 및 선곡/출력을 지시하는 선곡 소프트웨어(24)가 포함된다.
구조적으로, 상기 고객 데이터베이스(22)는 고객의 개인정보가 수록되게 되어 있다. 개인정보는 성명이나 주소 이외에 성별/나이/성격/학력/취미/직업/종교/신체특징 등을 포함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이러한 개인정보는 단순한 서지사항이 아니라 선곡시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인(factor)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악 데이터베이스(23)는 저장된 각각의 음악파일마다 코드(code) 값이 부여되어 축적된다. 코드는 음악의 기능에 따른 분류를 포함하는 일정한 분류 기준에 의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코드 값으로 이루어진다. 분류기준으로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기능에 따른 1차 분류: 슬플 때/기쁠 때/화날 때/무드있는 음악/에너지가 필요할 때/쉬고 싶을 때/두려울 때/우울할 때/걱정될 때/숙면이 필요할 때/기타
장르에 따른 2차 분류: 클래식/째즈/락(rock)/팝송/가요/뉴 에이지(new age)/가스펠(gospel)/기타
환경에 따른 3차 분류: 계절/날씨/시간/기타(부분류 포함)
고객에 따른 4차 분류: 성별/나이/성격/학력/취미/직업/종교/신체특징/기타(부분류 포함)
상기에서 분류기준은 열거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으며, 부분류란 계절: 봄/여름/가을/겨울, 성별: 남/여 등과 같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선곡 소프트웨어(24)는 고객에 의해 선택된 메뉴와 상기 음악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음악파일간의 코드 값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다.
선택 메뉴는 웹 서버(20)에 의하여 웹 사이트(21) 상에 제공되며, 음악 데이터베이스(23)에서와 같은 동일한 코드 구조 및 코드 값을 갖는다. 즉 위와 같은 음악 데이터베이스(23)의 예에서 선택 메뉴는 필요적으로 상술한 "기능에 따른 1차 분류" 목록을 제시하고, 선택적으로 장르에 따른 2차 분류 및 환경에 따른 3차 분류 등의 목록을 제시하게 된다. 다만, 고객에 따른 4차 분류는 서버영역에서의 고객 데이터베이스(22)를 이용하면 되므로 그 분류의 실행여부를 묻는 것으로 족하다.
위와 같이 구축되는 본 시스템(1)은, 고객이 자신의 단말기(10)로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서비스 사업자의 웹 서버(20)에 접속하면, 웹 사이트(21) 상에서 고객의 현재 심리상태/청취목적에 대한 선택 메뉴를 제공하게 된다.
고객의 단말기(10)를 통해 메뉴가 선택되면, 선곡 소프트웨어(24)는 상기 선택된 메뉴의 코드와 음악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음악파일의 코드를 비교 매칭하여 선곡하고, 이 때 선곡된 음악이 웹 서버(20) 및 고객 단말기(10)를 통하여 송출되는 것이다. 선곡된 곡의 수가 상당히 많을 수 있으며, 따라서 송출되는 음악파일의 수는 일정하게 제한될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시스템(1)을 이용하여 기능음악이 제공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0)로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웹 서버(20)에 접속한다(S112). 그러면 통상의 웹 사이트에서와 같이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S114), 고객 인증절차가 진행된다(S116). 고객임이 인증되지 않으면 가입절차를 거쳐 고객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다.
고객임이 인증되면 웹 서버(20)는 웹 사이트(21)를 통하여 선택 메뉴를 제공한다(S118). 특징적으로 선택 메뉴는 기능음악을 듣고자 하는 고객의 현재 심리상태/청취목적을 포함하며, 장르의 종류나 환경의 상태 등을 부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후 선택된 메뉴는 웹 서버(20)에 전송되고 선곡 소프트웨어(24)가 구동되어 선택된 메뉴의 코드와 음악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각각의 음악파일의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이 있는 지를 분석한다(S122). 만약 일치하는 것이 없으면 다시 선택 메뉴 제공단계(S118)로 되돌리고, 일치하는 것이 있으면 이를 선택하여 웹 서버(20)에 송출을 지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웹 서버(20)에서는 송출될 기능음악의 수를 제한하는 단계(S124)를 거쳐 고객의 단말기(10)에 기능음악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객의 현재 심리상태 또는 청취목적에 따라 최적의 음악을 선택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객은 예컨데 슬프거나 화가 날 때 어떤 음악이 자신에게 효과적인지, 또는 두려움증이나 우울증의 치료방법으로 어떤 음악이 자신에게 효과적인지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더라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자신의 심리상태 또는 청취목적에 적합한 기능음악을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청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음악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객이 자신의 단말기(10)로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서비스 사업자의 웹 서버(20)에 접속하면, 웹 서버(20)에서는 적어도 고객의 현재 심리상태/청취목적에 대하여 기능적으로 분류된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고객의 단말기(10)를 통해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의 코드 값과 음악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각 음악파일의 코드 값을 비교 분석하여 코드 값이 상호 일치하는 음악이 선곡되고, 이 선곡된 음악이 웹 서버(20) 및 고객 단말기(10)를 통하여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각 음악파일은 음악의 기능에 따른 분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분류 기준에 의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코드 값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선곡된 음악은 웹 서버(20)에서 송출 곡 수를 제한하여 송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4. 제 1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 구동 가능한 단말기(10a-10n)를 포함하는 고객 영역과 웹 사이트(21)를 운영하는 웹 서버(20)를 포함하는 서버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단말기(10a-10n)와 웹 서버(20)간에는 인터넷 망(30)을 매개로 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영역에는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 데이터베이스(22)와, 각 음악파일이 코드 값을 갖도록 저장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베이스(23), 및 웹 사이트(21)를 통하여 고객에 의하여 선택된 메뉴의 코드 값과 음악파일의 코드 값을 비교 분석하여 선곡/송출을 지시하는 선곡 소프트웨어(2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 시스템.
KR1020010010795A 2001-03-02 2001-03-02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70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795A KR20020070608A (ko) 2001-03-02 2001-03-02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795A KR20020070608A (ko) 2001-03-02 2001-03-02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608A true KR20020070608A (ko) 2002-09-10

Family

ID=2769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795A KR20020070608A (ko) 2001-03-02 2001-03-02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06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782B1 (ko) * 2015-01-05 2016-06-2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매칭형 음원 제공시스템 및 음원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782B1 (ko) * 2015-01-05 2016-06-2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매칭형 음원 제공시스템 및 음원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lvestrini “It’s not something I can shake”: The effect of racial stereotypes, beauty standards, and sexual racism on interracial attraction
Zweigenhaft A do re mi encore: A closer look at the personality correlates of music preferences
Taruffi et al. The paradox of music-evoked sadness: An online survey
Sheridan et al. Celebrity worship, addiction and criminality
Janata et al. Characterisation of music-evoked autobiographical memories
Horst et al. The importance of therapist/client ethnic/racial matching in couples treatment for domestic violence
Timmerman et al. A review and meta-analysis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music content with sex, race, priming, and attitudes
DE202017104849U1 (de) Systeme und Medien zum Darstelle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die für eine vorhergesagte Benutzeraktivität kundenspezifisch ist
Hiller et al. The selection of music experiences in music therapy
JP2007334732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情報送受信方法
Krause et al. How do location and control over the music influence listeners’ responses?
Szameitat et al. Vocal expression of affective states in spontaneous laughter reveals the bright and the dark side of laughter
de Boise Music and misogyny: A content analysis of misogynistic, antifeminist forums
Nichols et al. What’s in a name? Benefits and challenges of anti-trafficking language in social service provider perspective
KR20060002780A (ko) 양방향 스트리밍 티커
CN107844562B (zh) 智能化咨询服务方法
KR20020070608A (ko) 인터넷을 통한 기능음악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arada-Cabaleiro et al. The perception of emotional cues by children in artificial background noise
Lozon et al. The mutual enhancing effect of music and drugs and its eventual cessation in the lives of people coping with substance abuse: A qualitative inquiry
CN110381097B (zh) 一种语音分享音频的方法、系统及车载终端
Fiebig Soundscape: A Construct of Human Perception
Lezine Suicide prevention through personal experience
Siegel et al. Influencing inhalant intentions by changing socio-personal expectations
Sjoberg et al. The impact of electric hearing on children's timbre and pitch perception and talker discrimination
Strähle et al. Music in fashion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