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314A - 애니메이션 강의를 활용한 교육용 홈페이지 운영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애니메이션 강의를 활용한 교육용 홈페이지 운영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314A
KR20020068314A KR1020020045714A KR20020045714A KR20020068314A KR 20020068314 A KR20020068314 A KR 20020068314A KR 1020020045714 A KR1020020045714 A KR 1020020045714A KR 20020045714 A KR20020045714 A KR 20020045714A KR 20020068314 A KR20020068314 A KR 20020068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tion
lecture
classroom
user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경
Original Assignee
조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미경 filed Critical 조미경
Priority to KR1020020045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8314A/ko
Publication of KR2002006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314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많은 교육용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실시되고 있는 동영상 강의를 기존과는 색다른 방법으로 실시하는 시스템(System)으로서, 현재 다른 교육 사이트(Site)에서 강의하는 방법과 차별화하여 사용자(학생)들이 좋아하는 애니메이션(Animation)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User)들에게 기존과 다른 새로운 방식의 강의를 통하여, 공부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재미있는 내용연출을 구사하여 학습능률을 올리고, 부담 없는 강의를 실시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애니메이션(Animation)이란 뜻 그대로 동화적이면서 만화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으로서 이를 응용, 단순히 강의자가 사람인 현재 기본 틀에서 벗어나 강의실의 구조가 강의자는 실물 그리고 학습환경(분위기)은 애니메이션(Animation) 형식을 취하는 것(강의실 1), 학생들이 좋아하는 사이버(Cyber)공간에서 모든 표현 방식을 애니메이션(Animation)으로 구현하는 방법(강의실 2), 마지막으로 강의자만 애니메이션(Animation)인 방법을 취하는 것 (강의실 3)의 3가지 형태의 강의실에서 인터넷 교육 강의를 함으로써, 주입식 위주의 딱딱한 학습 분위기에서 탈피하여 강의를 듣는 학생들이 강의 참여에 있어 소극적 자세가 아닌 적극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훨씬 재미있고 이해하기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니메이션(Animation)강의를 시청할 수 있는 단계는, 사용자가 교육사이트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사용자가 강의를 시청할 수 있게 관련 프로그램[Shockwave Program(쇼크웨이브 프로그램)]을 내려받는(Download) 단계, 사용자가 강의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단계, 원하는 학습 분위기(강의실)가 전개되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단계, 본 애니메이션(Animation)강의가 시작되고 끝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강의 방법을 시행함으로써 학생들은 공부에 흥미를 갖게 되고, 학습효율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Description

애니메이션 강의를 활용한 교육용 홈페이지 운영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education homepage』by the animation lecture}
본 발명의 교육용 인터넷홈페이지 상에서의 동영상[애니메이션 활용]강의를운영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User)들이 다른 강의방법 보다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강의를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부담없고 편안한 마음으로 즐겁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터넷(Internet)을 통해서 세계 각국의 많은 네티즌(Netizn)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학생들이 교육인터넷(Education Internet)을 통해 학업에 관련된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알차고 다양한 콘텐츠(Contents)를 제공하는 사이트(Site)를 방문하고 있다. 종래의 동영상 강의는 유료이거나 무료라 할지라도 용량을 많이 차지해 속도에서 오는 여러 가지 장애들 때문에 유명무실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강의를 제대로 듣기 위해서는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해야 하며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강의 도중에 자주 끊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동영상 강의를 듣는데 매우 불편하고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통신기술의 발달로 대중화·보편화되고 있는 인터넷(Internet)을 학생들의 공부에 자연스럽게 응용함으로써 컴퓨터와 인터넷에 대해 친숙해 질 수 있으며, 공부에 흥미를 불어넣어 학습효율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학부모들 입장에서는 컴퓨터를 통해 자녀교육에 필요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학부모들은 사교육비(고액과외)의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알찬 교육사이트(Education Internet)에서 자녀들을 공부시키려고 하는 추세이다.
본 발명 또한 상기와 같은 현 추세를 감안하여 학생들이 공부를 함에 있어서 어떤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각 개인이 좋아하는 사이버 공간에서 자유롭고 재미있게 그러면서도 부담없이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주고, 강의 후 질문을받아 그때 그때 실시간 응답을 통해 궁금증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시스템(System)을 같이 병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수많은 인터넷 교육사이트들이 난무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교육사이트들의 학습자료와 동영상강의는 사용자들에게 외면당하기 일쑤이다. 그 이유는 한정된 학습자료, 동영상강의 경우 유료강의를 하거나 무료인 경우라도 속도에서 불만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애니메이션(animation) 강의 방법을 구현하고 있는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여 사용자(User)들이 풍부하고 알찬내용으로 편하고 좋은 교육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조성에 일조하고자 함에 그 취지를 두고 있다.
풍부한 학습자료와 사용자들이 원하는 자료를 제공하여 주며 또한 그 즉시 질문에 응대하여 답을 제시해줌으로써 사용자들의 한정된 학습자료에 대한 불만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플래시(flash)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Animation)을 구현하므로 그 속도에 있어서도 용량이 작기 때문에 동영상강의 보다 훨씬 빠르며 일반 텍스트(Text)자료와 거의 같은 수준의 속도로 제공되기 때문에 속도 때문에 생기는 사용자들의 답답함을 해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할 교육사이트는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학습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학원에 다니거나 유료교육사이트에서 학습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드는 경제적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배경화면과 모든 강의 방식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기존의 학교·학원 강의 방식에서 벗어나 정신적 편안함을 얻기 때문에,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각적 미감을 구현함으로 인해 흥미유발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인터넷 홈페이지상에서의 강의 실시를 위한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사용자(User)들이 인터넷(Internet)상에서 교육 사이트(Site)에 접속·로그인(Login) 후 애니메이션(Animation)강의를 듣기 위해 쇼크웨이브 프로그램(Shockwave Program) 내려받기(DownLoad)와 강의실과 강의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3은 애니메이션(Animation)강의가 시작되면서 끝나기까지의 사용자들이 강의를 받고 테스트(Test)를 받는 등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용자(User) 2 : 정보저장서버
3 : 서버 4 : 정보제공자
도2는 사용자(User)들이 교육 사이트(Site)를 검색을 시작으로 하여 애니메이션강의를 하는 교육 사이트(Site)의Homepage(S11)에 접속 및 로그인(Login)하여 애니메이션강의를 듣기 위해 구동 프로그램인 쇼크웨이브프로그램(ShockwaveProgram)을 다운로드[Download](S12)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쇼크웨이브 프로그램이란 플래시(Flash)를 웹페이지(Webpage)에 삽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브라우저(Browser)에 액티브 엑스 컨트롤(active x control)이나 플래시(Flash) 플러그인(Plug in)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관련 플러그인(Plug in)이나 액티브 엑스 컨트롤을 내려 받을 수 있는 자바 스크립트(JABA Script)를 생성해주는 프로그램(Program)이다. 그리고 여러분의 웹 브라우저(WebBrowser) 에서 애니메이션과 오락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렇게 User가 다운로드(Download)를 받은 후 애니메이션강의를 클릭(Click)하게 되면(S13) 캐릭터가 등장하여 사이버(Cyber) 강의실을 소개 및 설명(S14)을 간단하게 하게 된다. User가 강의실1(S15)을 선택했을 경우 인터넷상에서 배경화면을 애니메이션 식으로 처리하여 애니메이션 배경화면에서 실제 강의하는 강사가 나와 학습내용을 설명하는 방법으로 구현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현실에서는 정해진 공간(학교, 도서관, 자기 방에서의 공간)에서만 공부할 수 있지만 Cyber공간에서는 배경화면을 현실공간뿐만 아니라 자기가 원하는 공간(산, 바다, 강, 우주공간, 원시시대 등)을 설정하여 학습내용을 습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버(Cyber) 야외공간에서 공부를 하고 싶으면 산, 바다, 강변 등의 배경화면을 나타내어 산인 경우에는 바람소리, 새소리 등을 바다의 경우에는 파도소리, 뱃고동소리, 갈매기 소리 등을 들음으로서 동화적이고 현실에서는 하기 어려운 것을 가상 체험함으로서 특이하고 흥미를 유발하기 때문에 학습효과가 더욱 더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User)가 원하는 배경화면을 설정하여 학습환경(S18)을 직접 선택·학습하는 방안을 말한다. 사용자가 강의실2(S16)를 선택하면 인터넷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든 학습조건(분위기)이 애니메이션으로 묘사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조건하에서 학습내용을 습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모든 등장인물(강사)이나 배경화면을 애니메이션으로 처리하여 사용자가 모든 학습조건(S19)을 선택하여 강의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말한다.
사용자가 강의실3(S17)을 선택하게 되면 인터넷상에서의 배경화면은 실제 영상으로 처리하고 등장인물(강사)만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여 이 부분에서는 캐릭터를 학생들이 좋아할 수 있는 것으로 여러 개의 캐릭터를 전개 및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조건(분위기)을 조성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실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즉, 강의를 하는 강사를 캐릭터화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캐릭터를 선택(S20)하여 사용자 취향에 맞는 캐릭터에게 학습내용을 습득함으로써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강의실이 선택되면 User는 공부할 과목을 선택(S21)하게 됨으로써 본격적인 애니메이션 강의가 시작(S22)된다.
도3은 애니메이션(Animation) 강의가 시작(S31)되면서 예를 들어 사용자(User)가 강의실 2 또는 강의실 3 에서 공부를 한다면 사전에 캐릭터가 정해져 있으므로 캐릭터의 목소리는 캐릭터 음성 저장 시스템에 보내어지면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즉, 사용자가 여자선생님 캐릭터를 선택하였다면 캐릭터 음성 시스템에 저장된 예쁜 여자 선생님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강의를 받기 때문에 더욱 더 편안하고 친근감 있게 공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부를 하는 중간에 사용자들의 지루함을 달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퀴즈방 선택을 통해 User(학생)가 이것을 원하면(Yes) 쉬어 가는 코너(S33) - 쉽게 말하자면 쉬는 시간으로서 학생들이 휴식을 취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서 유행하는 유머를 들여주거나 재미있는 짧은 만화를 보여주고 학습·일반상식에 관련된 퀴즈(Quiz)를 풀게 하여 문제를 맞추는 학생에게는 상품을 제공함으로서 학습하는데 많은 흥미를 갖게 해줄 것이다 - 로 가게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No)에는 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계속 강의가 전개되고 나중에는 강의가 끝나게(S34)된다.
본 강의가 끝난(S34) 후 요점정리(S35)를 통해서 다시 한번 간략하게 강의받은 내용을 공부한 다음 부담 없이 간단하게모의 시험을 받을 것인지 선택(S36)할 수 있는 창이 뜨게된다. 시험을 보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Yes를 선택하면 모의Test(S37)의 창이 뜨면서 사용자는 문제를 풀게 되고 문제의 정답확인(S38)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No를 선택하면 강의시작 전으로 이동하여 다른 과목을 선택(S30)하여 강의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문제풀이 후 궁금한 점이 있으면 실시간 응답 시스템(S41)을 통해 강사에게 질문(S40)을 하면 항상 대기하고 있는 강사는 사용자(학생)에게 궁금증을 해결해 줄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바로 정답확인 후 애니메이션(Animation)강의가 끝나게(S42) 된다.
Animation 형식의 동화적이고 만화적인 기법으로 인터넷 교육 강의를 함으로써 기존의 동영상이 딱딱한 강의 방법과 주입식 위주의 교육형태와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부담 없이 강의를 듣게 함으로써 기존의 강의방법 보다 학습능률을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학생들의 학습 흥미유발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무료로 학습정보를 제공받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어 학원에 다니거나 유료교육사이트에서 학습자료를 얻는데서 오는 경제적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학부모들 입장에서는 컴퓨터를 통해 자녀교육에 필요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사용자(User)가 3가지(강의실1, 강의실2, 강의실3) 강의실 환경 중에 원하는 곳을 선택하여 강의를 들을 수 있는 방안이다. 즉, 등장인물(강사)만 실물이고 강의실 배경화면은 애니메이션으로 구현된 장소(강의실 1), 등장인물과 배경화면이 모두 애니메이션으로 구현된 장소(강의실 2), 강의실1과 반대개념인 등장인물(강사)은 캐릭터로 설정되고 배경화면은 실물로 구현된 장소(강의실 3)로 구분되어진 강의실에서 사용자의 개인 취향에 맞는 강의실을 선택할 수 있는시스템.
  2. 사용자(user)는 청구항 1의 내용에서 볼 수 있듯이 강의실을 선택하게 되면 각각 강의실의 조건 아래에서 다양한 캐릭터가 나타나게 된다.
    캐릭터들 중에 사용자가 마음에 드는 캐릭터를 선택, 각각의 개성을 가진 캐릭터의 형상과 음성으로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시스템.
  3. 쉬어 가는 코너로서 사용자가 애니메이션 강의를 받는 시간 중간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간 즉, 휴식을 취하는 잠시의 시간을 할애하여 휴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최근 유행하는 유머(유머를 글로서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애니메이션으로 표현), 재미있는 만화를 더욱 더 재미있게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여 사용자(학생)들의 긴장감을 풀어주고 지루함을 동시에 달래주는 것이다. 학업과 일반상식에 관련된 퀴즈를 애니메이션으로 전개하여 사용자들이 학업과 일반상식을 접하면서도지루하거나 거부감을 가지지 않게 하여 퀴즈를 재미있게 즐길 수 있게 함으로써 휴식이 끝난 후 더욱 더 강의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정답을 맞추는 사용자에게는 상품 또는 사이버머니[차후에 다른 상품과 바꿀 수 있는 인터넷 공간 속의 머니(Money)]를 줌으로써 휴식시간이 재미있으면서 또 다른 한가지를 배울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시스템.
KR1020020045714A 2002-08-01 2002-08-01 애니메이션 강의를 활용한 교육용 홈페이지 운영방법 및시스템 KR20020068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714A KR20020068314A (ko) 2002-08-01 2002-08-01 애니메이션 강의를 활용한 교육용 홈페이지 운영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714A KR20020068314A (ko) 2002-08-01 2002-08-01 애니메이션 강의를 활용한 교육용 홈페이지 운영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314A true KR20020068314A (ko) 2002-08-27

Family

ID=2772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714A KR20020068314A (ko) 2002-08-01 2002-08-01 애니메이션 강의를 활용한 교육용 홈페이지 운영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8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380B1 (ko) * 2016-02-26 2016-12-13 김종진 여행아이큐 테스트를 이용한 여행정보 제공 장치 및 여행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380B1 (ko) * 2016-02-26 2016-12-13 김종진 여행아이큐 테스트를 이용한 여행정보 제공 장치 및 여행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ghih et al. User interface design for e-learning software
Albantani et al. " Musyahadat Al Fidyu": YouTube-Based Teaching and Learning of Arabic as Foreign Language (AFL).
Schugar et al. Teaching with interactive picture e‐books in grades K–6
Coutinho Storytelling as a strategy for integrating technologies into the curriculum: An empirical study with post-graduate teachers
Felix Teaching languages online: Deconstructing the myths
Santosa et al. Developing android-base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material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Sanjanaashree et al. Language learning for visual and auditory learners using scratch toolkit
Nielson et al. Effective online foreign language courses: Theoretical framework and practical applications
Lavín-Mera et al. Development of educational videogames in m-Learning contexts
Dara-Abrams Applying multi-intelligent adaptive hypermedia to online learning
Hennig Mobile learning trends: Accessibility, ecosystems, content creation
KR20000064134A (ko) 교육 인터넷상의 애니메이션 강의
Minihan Transmedia Storytelling for the Digital Generation: A Guide for Self-Publication with the Adobe® Digital Publishing Suite.
Buhu et al. Developing interactive elearning courses based on HTML5 for students in textile engineering
Tsai An action research study exploring the effects of augmented reality for English vocabulary learning in an elementary school in Taiwan
KR20020068314A (ko) 애니메이션 강의를 활용한 교육용 홈페이지 운영방법 및시스템
Frank Walking Simulators and Interactive Fiction in the Composition Classroom
KR20070098977A (ko) 에니메이션을 활용한 영어교육 학습 시스템
Lukhtina About warming-up as an important part of an english lesson in non-language university
Epitropova et al. The Project “Inclusive Classroom-Play and Learn-Conception, Design and Soft Ware Architecture”
Pogrebnyi et al. A game-based learning model for English classes in a secondary school
Borgstrom Developing story-time: The importance of interactivity in encouraging childhood reading
Li Using the websites in interactive-based English language learning
Kohnke A New Professional Development Recipe–The ICT Bootcamp
KR20120006150A (ko) 자기주도 독해 러닝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