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150A - 자기주도 독해 러닝 머신 - Google Patents

자기주도 독해 러닝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150A
KR20120006150A KR1020100066720A KR20100066720A KR20120006150A KR 20120006150 A KR20120006150 A KR 20120006150A KR 1020100066720 A KR1020100066720 A KR 1020100066720A KR 20100066720 A KR20100066720 A KR 20100066720A KR 20120006150 A KR20120006150 A KR 20120006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learning
think
display uni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남
Original Assignee
윤장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남 filed Critical 윤장남
Priority to KR102010006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150A/ko
Publication of KR2012000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대표도에 나타나 있듯 서버100은 사용자 정보 DB 102,이하 독해 원리절차 DB 103,독해연습훈련TEXT DB 103, 독해 연습 훈련 자료 DB 104, 독해 연습/실전문제DB105를 포함하며, 독해 훈련 프로그램101은 독해 원리 절차 프로그램모듈 PM1, 독해 연습 훈련 프로그램 모듈 PM2, 사용자 참여 프로그램 모듈 PM3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독해 프로그램 101를 내려받기하거나 CD 등을 통해 자신의 PC나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여 자기 주도 독해 훈련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러닝머신이다.

Description

자기주도 독해 러닝 머신{self-learning machine for reading}
개인용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개인 단말기를 활용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온라인 상의 언어 속독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Practice Service of Fast Readingby On-Line) 등록번호 1006240400000(20060907) 등 온라인 상의 언어 속독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등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컴퓨터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이라면 인터넷망을 이용한 동영상 강좌가 대부분인 것이 현실이며 이는 전통적인 칠판 강의와 마찬가지로 내용은 그대로인 채 전달 과정만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것이므로 이러한 동영상 강좌는 본격적인 의미에서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e-learning 방법으로 보기 어렵다. 최근 'www.studyfoce.co.kr''스터디 포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독해 훈련 프로그램이 본격적인 컴퓨터 기술을 활용한 e-learning의 사례로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도 국어 학습의 본질과 독해의 일반적인 원리에 입각한 훈련이 아니라 안구 운동과 집중력 학습을 중심으로 한 종래의 속독법을 컴퓨터를 활용하여 훈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본질적인 독해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오프라인상의 한국어 교육도 텍스트의 주체적인 해석 방법과 원리를 가르치기보다 해석된 내용을 가르치는 것으로, 누가 더 체계적이고 쉽게 해석된 내용을 전달하느냐에 따라 교육의 질이 평가되는 것이 한국 독해 교육의 현실이기에게 학생들에게 본질적인 텍스트 해석 능력, 곧 독해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
① 텍스트 해석과 이해에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독해의 원리와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한 독해 절차(단계)수립.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텍스트 독해 절차와 배경 지식을 익힐 수 있는 프로그램과 텍스트 해석 연습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모듈 개발
② ①번 항목을 구현하기 위해 풍부한 오프라인 교육 경험을 살려서 자기 주도 독해에서 필수적인 학습 요소를 추출해서 독해의 과정 표준화
③ 장르별 학습 요소와 독해의 과정 표준화, 표준 양식의 개발.
④ 사용자에게 일정한 보상을 가하여 텍스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사용자가 참여하는 텍스트 DB 및 학습 문제 자료 DB 구축 시스템 개발 활용

본 '자기 주도 독해 머신(self-learning machine for reading)'의 발명은 사용자에게 텍스트 독해의 일반적 절차와 원리를 습득하게 하여 이를 PC뿐 아니라 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해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연습함으로써 독해 능력을 내면화하게 하여 텍스트를 자기 주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최근 날로 다양해지는 국어(언어)시험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학습의 성과도 보장받게 될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효과는 단순히 학생들의 학습 방법 개선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 국어교육의 오랜 문제였던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진정한 의미의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방식으로 전환하는 데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며, 향후 전자(디지털)국어(언어)교재 개발에도 크게 활용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모든 언어의 표현방식과 텍스트의 구성 원리가 비슷하다는 점에서 본다면 본 발명은 한국어 외에 다른 언어-일어,영어, 중국어 - 등의 독해 훈련에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의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
Figure pat00001

도-1은 사용자와 프로그램의 연결과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대표도, 도-2는 본 발명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진행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3은 사용자 초기 화면. 도-4는 사용자 설정화면.도-5는 독해 원리 학습 초기화면이며, 도-6은 독해 연습 학습 초기화면, 도-7은 사용자 참여 프로그램으로 파일필드의 화면, 이렇게 본 발명은 총 7 개의 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독해 훈련프로그램 101을 내려받기하여 PC나 모바일 기기 등에 설치하여 실행하면 도3과 같은 사용자 초기 화면이 나타난다.사용자는 초기 화면에서 사용자 설정304를 실행하거나 곧바로 독해 원리학습 또는 독해 연습을 선택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304는 도-4와 같은 구성으로 학습시 사용자의 상황이나 취향에 따라 시작 유형,시간표시 방법,확인학습 문제 유형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독해 원리 학습은 도-5와 같이 단원 선택과 텍스트 표시부(501), 동영상 표시부(503), 학인학습 문제부(504)와 시간표시부(502)로 화면이 구성되었다. 여기서는 독해 연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중점적으로 습득해야 할 독해의 중요 원칙과 원리를 학습하는 단계로 사실적 사고, 추리 상상적 사고, 비판적 사고 이렇게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의 하위 요소는 프로그램의 보급 단계인 초기에는 사실적 사고에서는 ①화자/시점, ②대상(화제,소재), ③서술 방식 ④구성(구조)를 설정하고, 추리 상상적 사고에서는 ⑤어휘의 의미, ⑥ 태도,어조(심리),의도 두 항목을 설정하고, 비판적 사고에서는 ⑦ 주제 ⑧ 감상 두 항목을 하위 항목으로 설정하여 진행한다. 학습자는 상기 단계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으며, 독해 연습 학습 단계에서도 언제든지 링크를 활용하여 원리 학습으로 피드백(feedback)할 수 있다. 단 학습의 혼란을 방지하고,학습의 효과와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한번 선택한 파일의 과정은 사용자 설정 화면에서 설정한 점수에 따라 끝까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선택하여 내려받기 한 학습 파일의 과정을 끝마치지 못하고 중도에 포기할 경우나, 과정을 모두 끝마친 경우에는 간단한 설문에 응답하게 하여 도-7 파일필드의 파일 정보에 기록을 남겨 사용자들의 파일 선택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게 한다.
상기 ①에서 ⑦까지의 순서는 프로그램이 정착하는 초기 단계에서 임시로 제안된 것일 뿐, 상기 과정은 연구 학자나 교사에 따라 다른 견해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독해 원리 학습의 순서와 내용은 연구자 혹은 파일 제작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독해 원리학습에서 항목과 순서가 달라지면 독해연습학습과 자연스럽게 연동되어 독해 연습 학습의 사고력 학습 테스트의 항목과 순서도 자동적으로 재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렇게 다양한 컨텐츠를 유연하게 수용하고 통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구성과 내용이 발전되도록 하는 데 핵심 아이디어가 있다. 연구 제작자가 나름대로 제작해 파일필드에 올려놓은 파일의 다양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프로그램을 내려받기하는 과정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설득력 있는 독해의 원리와 절차도 자연스럽게 정해지는 중요한 부수 효과도 본 발명은 하나의 성과로 기대하고 있다.
독해 연습 학습은 도-6과 같이 텍스트 표시부와 함께 단원 선택 화면6-1, 시간표시 6-2. 6-3 및 시간 연장 6-4를 포함하여 사고력 확인학습 테스트부 6-5와 확인학습 종료 단추 6-6 및 문제부 6-7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독해 원리 학습에서 익힌 독해 원리와 절차에 따라 자신에게 필요한 텍스트를 정해진 시간 안에 이해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본격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중요한 부분이다.화면 6-1에는 단원 선택이 끝나면 독해하고자 하는 선택된 원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이 순간 다운카운트와 업카운트 시간 표시가 작동하게 되고, 학습자는 자신이 익힌 원리 학습의 절차와 방법에 따라 텍스트를 읽고 사고력 학습 텍스트부6-5의 문항에 단답형이나 객관식이거나 상용자 설정에서 선택한 유형에 따라 답을 하고, 종료 버튼6-6을 누르거나 시간이 종료되어 정해진 시간이 종료되어 종료 벨이 울리거나 종료 화면 표시가 되기 전에 시간 연장 버튼을 눌러 시간을 연장한 다음 사고력학습 테스트를 마치고, 종료 버튼(6-6)을 누르면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 채점이 이루어져, 사용자 설정에서 정한 점수 이상이 되면 다음 단원(텍스트)으로 진행된다.
사용자 프로그램인 파일 필드 도-7은 내려받기, 파일 올리기, 파일 요청(701)하기로 구성되었다. 사용자는 검색창(702)에서 자신이 필요한 파일을 검색해 보고, 만약 원하는 것이 없으면 일정한 양식에 의거하여 자신이 원하는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원시 텍스트 파일을 입력하여 올릴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이러한 행위도 프로그램에 의해 보상을 받게 된다. 또한 파일 제작 참여자는 파일 요청하기에 올라온 리스트에서 자신이 관심이 있는 부분의 파일을 제작하여 서버에 올려놓는다. 프로그램 관리자는 여기에 올라온 파일들을 검토하여 파일의 정보를 확인하고, 여기에 부합하는 고유 ID를 부여한다. 프로그램 관리자가 부여한 이 ID는 파일 정보를 담고 있고, 내려받기가 가능해진다. 이 파일 제작은 한 사람의 제작 참여자가 원리 학습부터 독해 연습 문제까지 모두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역량과 상황에 맞춰 어느 한 부분만 맡아 제작하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이 주어지는 시스템이므로 다수의 성원에 의해 우수한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독해 원리 학습 : 모든 텍스트, 시,소설, 수필, 희곡, 시나리오, 논설문 설명문 등을 독해하는 방법과 일반적인 원리를 익히는 학습.
독해 연습 학습 :독해 원리 학습에서 익힌 방법론을 바탕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주어진 텍스트를 독해하는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학습.

Claims (4)

  1. 본 발명에서 핵심 아이디어인 독해 원리 학습과 독해 연습 학습의 이원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독해력 향상 훈련 시스템
  2. 상기 청구항1과 관련하여 독해 원리 학습의 단계와 항목을 개방적으로 처리하여 독해 연습 단계에 자동으로 반영되는 프로그램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방안
  3. 독해 연습 프로그램에서 텍스트 표시부, 시간표시부, 사고력 학습 테스트부, 문제부로 이루어지는 화면 구성과 학습이 진행되고 종료되는 시스템
  4. 사용자 참여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파일요청과 제작자의 파일 제작, 관리자가 ID를 부여하여 학습 컨텐츠를 유통하게 하는 시스템과 참여자에게 보상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시스템
KR1020100066720A 2010-07-12 2010-07-12 자기주도 독해 러닝 머신 KR20120006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720A KR20120006150A (ko) 2010-07-12 2010-07-12 자기주도 독해 러닝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720A KR20120006150A (ko) 2010-07-12 2010-07-12 자기주도 독해 러닝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150A true KR20120006150A (ko) 2012-01-18

Family

ID=4561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720A KR20120006150A (ko) 2010-07-12 2010-07-12 자기주도 독해 러닝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1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609B1 (ko) * 2020-09-14 2021-05-18 정해영 하이브리드 독해력 학습 증진 시스템
CN113807512A (zh) * 2020-06-12 2021-12-17 株式会社理光 机器阅读理解模型的训练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7512A (zh) * 2020-06-12 2021-12-17 株式会社理光 机器阅读理解模型的训练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3807512B (zh) * 2020-06-12 2024-01-23 株式会社理光 机器阅读理解模型的训练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2253609B1 (ko) * 2020-09-14 2021-05-18 정해영 하이브리드 독해력 학습 증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mur Kes Sesi: A mobile game designed to improve kindergarteners' recognition of letter sounds
Hikmah et al. Quizlet: A digital media for learning informatics terms
Suprianti Powtoon animation video: A learning media for the sixth graders
Bogdanović Growing importance of distance education
Abidin et al. Low-fidelity prototype design for serious game for slow-reading students
Ma et al. Digital game-based after-school-assisted learning system in English
Abd Majid et al. Learners’ perspective of using 360-degree video in reading classroom
Sofiana Developing 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based role-playing game application as an alternative media in the reading learning
Rodrigues et al. Expanding the mosaic of transmedia learning experiences: Application of a transmedia storyworld in ESL formal learning environments
Zhang Interactive course design and development for cognitively inspired distance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Rani et al. Arabic Language Learning Based on Technolog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the Digital Era)
Bang et al. Testing a Research-Based Digital Learning Tool
Bardovi-Harlig et al. Preventing Attrition and Promoting Retention.
KR20120006150A (ko) 자기주도 독해 러닝 머신
Al-Otaibi et al. MLab: A Mobile Language Learning Lab System for Language Learners.
Wu et al. A digital library of language learning exercises
Molnár et al. Modern digital Web 2.0 devices and services supporting the teaching of Technology and Informatics
Joaquim Web-based language class activities: contexts of uses and background methodologies
Rau et al. Digital Transmission of Language and Culture: Rethinking Pedagogical Models for E-Learning
Cheng Integrat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to Chinese education: An observation from nine cases
Chirkova et al. Edubreak with Augmented Reality in a Foreign Language Class at a Non-linguistic University
Pristiyaputri et al. Development of GUVO (Guess the Vocabulary), an Android-Base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ppli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Roy The use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students to learn ESL grammar and vocabulary
Aronin et al. Twenty ways to assess students using technology
Mantoro et al. The Use of Emerging Technologies by EFL Teachers in Primary Sch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