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996A -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996A
KR20020067996A KR1020020027245A KR20020027245A KR20020067996A KR 20020067996 A KR20020067996 A KR 20020067996A KR 1020020027245 A KR1020020027245 A KR 1020020027245A KR 20020027245 A KR20020027245 A KR 20020027245A KR 20020067996 A KR20020067996 A KR 2002006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upport
fixed
exerci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130B1 (ko
Inventor
권구범
Original Assignee
권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구범 filed Critical 권구범
Priority to KR10-2002-002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1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996A/ko
Priority to CA002421879A priority patent/CA242187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63B21/0005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specially adapted for head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를 한 상태에서 봤을 때 머리의 뒷부분(후방)이나 양어깨의 아래쪽(측방) 또는 이마 앞쪽(전방)에 해당되는 프레임의 임의지점에 완력기 등과 같은 상체운동수단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를 한 상태에서 상체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중에 짓눌려 손상된 연골조직이 회복될 수 있고, 나쁜 자세로 인해 굽은 등을 곧추세워 신장을 늘리는 효과가 있으며, 복부비만으로 튀어나온 배를 들어가게 하여 체형을 아름답게 교정할 수 있고, 수족냉증의 치료에도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등의 성인병을 예방/치료할 수 있으며, 스트레칭에 의한 피로회복 내지는 긴장완화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단전을 자극하여 정력증진에도 대단히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HAND-STANDING MACHINE}
본 발명은 소위 "꺼꾸리"로 불리는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를 한 상태에서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장착된 완력기를 이용하여 상체 근육을 강화할 뿐 아니라 허리와 복부 등도 단련할수 있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베드와 프레임 사이에 완충기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를 할 때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완충기가 흡수하여 사용자의 허리로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목을 지지하는 신체(발목)지지수단이 발목을 편안한 상태로 옥죌 수 있게 한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구나무를 선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양어깨가 프레임에 부딪치지 않도록, 프레임의 하부 구조물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된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효과적으로는 하부 구조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의 측면 구조물 형상이 "R"자 형으로 되고, 사용자가 눕는 베드의 양어깨쪽 부분도 일부 잘라내어, 사용자가 상체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할 때 사용자의 양어깨가 프레임이나 베드에 부딪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함과 동시에 더욱 안정된 상태에서 상체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는, 사용자가 몸을 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베드와; 상기 베드가 도립(倒立) 가능하게 고정된 프레임과; 상기 베드나 프레임에 설치된 신체고정수단; 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도립장치는, 수동식의 경우 상술한 3 가지 구성요소로만 이루어져 있고, 전기식의 경우에는 상기 베드와 프레임 사이에 전동수단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①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도립장치)는 수동식이든 전동식이든 상관없이, 사용자가 물구나무선 상태에서 간단한 비틀기 동작 정도만 수행할 수 있을 뿐 신체발달에 유익한 다른 운동은 실시할 수 없었다.
또한, ② 종래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는, 프레임의 형태가 크고 작은 파이프나 각재를 이용하여 장방형 형태로 조립한 하부 구조물에 사각기둥 형태의 부재를 수직으로 용접한 형태여서, 물구나무 선 상태로 몸 비틀기를 하면 양어깨가 프레임에 부딪힐 우려가 있었다.
또한, ③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는, 대략 4단계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원호운동을 하는 제2지지부가 발목 뒤쪽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쪽으로 정해진 단계별로 이동하여 발목의 앞쪽을 눌러서 잡아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목 굵기에 따라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발목을 제대로 붙잡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④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베드부분이 단순한 사각형 형태여서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몸을 비틀거나 할 때 양어깨부분이 베드에 부딪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의 문제점 중 상술한 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물구나무서기 이외에 다른 운동도 병행할 수 있는 도립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15650호에 개시된 바 있다.
동 공보에 기재된 바에 따르면, 상기 도립장치는 안전벨트가 갖추어진 베드와; 상기 베드가 도립 가능하게 지지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손잡이 부분이 지면 근처까지 현수된 팔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도립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물구나무 선 상태에서 체중 전체를 손잡이 부분에 지탱한 채 몸 전체를 위·아래로 이동시켜야만 겨우 상완이두근 발달에 유용한 운동 효과를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운동을 해 나가는 과정은 대단히 힘들면서도 운동 후의 효과는 극히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팔굽혀펴기에 해당되는 한가지 운동만 할 수 있기 때문에, 균형 잡힌 신체 발달을 기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① 물구나무서기를 한 상태에서 몸을 움직이더라도 어깨가 프레임에 부딪치지 않으며, ② 도립된 상태에서 격렬한 상체운동을 할 수 있으며, ③ 발목굵기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발목을 편안한 상태로 확실히 붙잡아 줄 수 있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을 통해 손상된 연골 조직을 회복할 수 있고, 나쁜 자세로 인해 굽은 등을 곧추세움으로써 디스크환자의 허리 통증을 완화함과 동시에 성장기 청소년의 신장을 늘리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까지도 운동을 통해 교정할 수 있고, 두뇌뿐 아니라 전신으로의 혈액공급이 왕성하게 이루어져 머리가 좋아지고 치매/뇌졸증/중풍 예방에도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체 내의 혈전이나 울혈 등이 대·소변으로 배출되어 피부미용에 좋고,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등의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스트레칭을 통한 피로회복 내지는 긴장완화 효과를 볼수 있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남성의 경우에는 단전강화를 통해 정력이 증진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있어서, 베드가 거꾸로 서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신체(발목)지지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2지지부와 위치안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6a는 도5의 결합 종단면도이다.
도6b는 도5의 사용상태도중 단면도이다.
도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발목)지지수단의 간격조절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체지지수단의 제2지지부 부근을 나타낸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서 채용가능한 스프링작동형의 완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00...프레임,110...바닥부,120...측면지지부,
200...베드,300...완력기,310...스프링,
320...손잡이,400...연결관,500...발목지지수단,
510...제1지지부,520...발판,530...제2지지부,
540...위치안내부,600...완충기,610...하우징,
620...작동간,630...댐핑요소,640...돌출턱,
700...간격조절부,710...하부케이스,720...래칫,
730...스토퍼,740...탄성요소,750...상부케이스,
760...푸시로드,770...노즈부재,780...케이블통로,
800...케이블,900...캡.
상기 ① 에 기재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는, 프레임의 바닥부 형상이 사다리꼴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길이 긴 2개의 측변부재 사이에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보강부재를 연결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더욱 효과적으로는 사용자가 물구나무를 선 상태에서 봤을 때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전방 쪽이 후방 쪽보다 더 넓게 벌어지도록 2개의 측변부재를 평행하지 않게 배치하는 것이다. 이때, 양 측변부재 사이에 다수개의 보강부재를 가로질러 설치하면 더욱 튼튼하고 안정된 상태의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① 에 기재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측면지지부 형상이 "R"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개가 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측면지지부는, 예를 들면 소정 길이의 파이프를 "R" 자 형으로 구부리거나(bending) 또는 길고 짧은 다수의 파이프를 "R"자 형으로 용접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측면지지부의 양측 하단이 동일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 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지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를 구성하는 2개의 측변부재 상에 상술한 측면지지부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측면지지부의 상단부에 축받이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축받이에는 나중에 설명할 베드 양측의 회전축이 각각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프레임에 따르면, 몸을 전후 및/또는 좌우로 흔들거나 비틀어댈 수 있는 충분한 활동공간이 확보되므로 사용자가 물구나무 선 상태에서 상체운동을 하더라도 프레임에 부딪힐 염려가 없으며, 아무리 격렬하게 움직이더라도 인체의 무게중심이 양 측변부재 사이에서만 위치변동 되기 때문에 종래 장방형의 프레임을 채용했을 때보다 더욱 안정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② 에 기재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은, 베드와 프레임을 포함하는 통상의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추가로 상체운동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앞서 설명한 형태대로 제작될 수 있지만, 종래와 마찬가지로 장방형 형태의 바닥부에 사각기둥 형상의 각재를 세워 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예외적으로 지면이나 건물바닥이 상기 바닥부로 채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후술할 베드의 회전축이 지지되기 위한 축받이는 설치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베드는, 장방형의 베드프레임과 상기 베드프레임에 고정된 짧은 길이의 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상기 베드프레임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양 측변의 중간지점에는 상기 프레임의 축받이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각각 돌출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어느 일 측변에는 발판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판과 판체 사이에 드러나 있는 상기 베드프레임의 길이가 긴 양 측변에는 각각 본 발명의 발목지지수단을 구성하는 제1지지부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판에는 상기 제1지지부와 함께 발목을 협지하는 제2지지부 안내용의 위치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드의 일부분-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몸을 눕혔을 때 양 어깨가 닿는 부분-을 제거하면, 사용자가 아무리 격렬하게 운동을 하더라도 양 어깨가 프레임이나 베드에 부딪치지 않게 됨으로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상체운동수단으로는, 완력기나 체스트-프레스 또는 버터플라이가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운동구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것이 대부분 대형이므로 본 발명의 프레임에 일체화시키기 위해서는 소형으로 제작할 필요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만 분리하여 본 발명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체운동수단으로서 완력기가 채용되는 경우, 상기 완력기는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를 한 상태에서 봤을 때 베드의 전방 및/또는 측방 및/또는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물구나무 선 상태에서 윗몸 일으키기를 했을 때 머리가 진행하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를 한 상태에서 다양한 상체운동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체근육은 물론 전신을 단련할 수 있다. 또한, 완력기를 사용할 때 허리부분과 복부에 힘이 가해져 수축 및/또는 팽창이 반복되므로 복부와 대퇴부에 형성된 군살이 빠지게 되고, 나쁜 자세로 인해 굽은 등을 곧추세워 신장을 늘리는 효과가 있고, 디스크환자의 허리통증을 완화할 수 있으며, 머리 쪽으로 혈액이 모이면서 혈액순환이 원활해져 기억력 감퇴나 노인들의 치매예방에 효과적이고, 혈관에 적체된 혈전이나 울혈 등이 노폐물과 함께 체외로 배출되어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등의 성인병을 예방/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체운동을 통해 이두근/삼두근/전거근/삼각근/승모근과 같은 큰 근육이 발달되면, 근육 내에서 소비되는 체지방의 소모량이 증대됨과 동시에 신체의 기초대사량도 함께 커지게 되므로 운동하지 않는 수면상태에서도 지방분해가 일어나 뱃살이 급격히 빠지게 되어 체형이 아름답고 건강하게 교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베드와 프레임 사이에 충격완화용의 완충기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완충기로는 널리 알려진 가스작동식의 쇽-업소버나 스프링작동식의 완충기(쿠션 실린더)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만일 상기 완충기로서 가스작동식의 쇽-업소버가 채용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완충기에 장착된 가스유로조절밸브 또는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크게 힘들이지 않고 물구나무서기를 하거나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베드가 수평상태에서 도립상태로 전환될 때 가해지는 큰 충격이 상기 완충기에 의해 대부분 흡수되어 없어지기 때문에, 스무드(smooth)하게 자세를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만약 상기 완충기로서 스프링작동식의 완충기(쿠션 실린더)가 채용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프레임을 붙잡은 상태에서 몸을 약간 들거나 일으키는 것만으로도 베드의 위치가 서서히 변하여 허리에 충격이 가해지는 일 없이 물구나무서기를 하거나 원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베드와 프레임 사이에, 예컨대 모터와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전동수단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완충기는 생략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베드와 프레임 사이에 유압 실린더기구 또는 공압 실린더기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완충기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③ 에 기재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는, 발판과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와 위치안내부를 포함하는 발목지지수단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방형 형태로 조립된 베드프레임의 길이가 짧은 측변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1지지부와 함께 발목을 고정하는 제2지지부 안내용의 위치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예를 들면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 소정 직경의 파이프 양단에 소정 직경의 고무-롤을 끼우고 다시 그 바깥에 쿠션부재를 끼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파이프의 양단은 상기 발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베드프레임의 길이가 긴 양 측변에 고정된다.
상기 위치안내부는, 예컨대 발뒤꿈치 쪽에서 발가락 쪽으로 상향 경사져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양측의 브래킷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스퍼기어와; 상기 스퍼기어와 대면하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구멍을 통해 출몰되는 볼 타입의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구멍 아래에 내장되는 스프링 및 받침판과; 상기 하우징의 바깥으로 말단부가 노출되고, 그 반대쪽의 쐐기형 말단부는 상기 받침판과 스토퍼 사이로 입출되는 조절간과; 상기 조절간을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스프링; 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위치안내부를 따라 움직이는 제2지지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와 협업하여 발목을 옥죄게 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과 스퍼기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소정 두께의 판체에 제1지지부와 동일한 구조의 롤 조립체가 고정되고 상기 판체의 양면에는 각각 상기 스퍼기어에 맞물리는 치형과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 조립체 대신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 발목형상의 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③ 에 기재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발판과;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제1지지부 쪽으로 끌어당기는 간격조절부와; 제2지지부와 간격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제1지지부로부터 제2지지부를 멀어지게 하는 탄성요소를 포함하는 발목지지수단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상기 발판은 베드프레임의 하측변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재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발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서 상기 지지부재의 임의지점에 제1지지부가 고정된다.
상기 제1지지부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발목지지수단과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발판에 힌지고정 되어 후술한 간격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일정범위 내에서 상기 제1지지부에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R자형 측면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 고정된 래칫과; 상기 래칫을 에워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부분이 자루(손잡이) 형태로 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자루부분에 삽입된 푸시로드와; 상기 상부케이스 내에 설치되되 상기 래칫과 인접되게 내장된 탄성요소와; 상기 탄성요소에 일단부가 맞닿아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래칫의 톱니와 톱니 사이에 끼워지며 중간지점이 상기 상부케이스에 회동 자유롭게 힌지고정 되되 이 힌지고정 부위에 인접하여 상기 푸시로드의 일단이 힌지결합 된 스토퍼와; 상기 상부/하부케이스의 내부를 지나는 케이블통로;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와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는 통상의 케이블을 채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제2지지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간격조절부에 형성된 케이블통로를 관통하여 상부케이스의 바깥쪽에 캡으로 고정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베드프레임에서 연장된 지지부재의 내부를 지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발목지지수단에서 채용하는 탄성요소로는 통상의 스프링이 채용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부재와 제2지지부 사이로노출된 케이블에 끼워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2가지 예의 발목지지수단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목 굵기에 상관없이 발목을 편안한 상태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요소 중 프레임 부분은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철 또는 비철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경량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용이한 설계변경적 사항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상기 도1의 베드가 도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의 프레임(100)은 지면 또는 건물바닥에 지지되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에 입설된 좌우 양측의 측면지지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바닥부(110)는,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설된 2개의 긴 측변부재(111)와 이들 측변부재(111) 사이를 연결하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보강부재(1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평면형상이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다.
상기 측변부재(111)에 양측 하단이 각각 용접된 "R"자 형의 측면지지부(120)는, 상기 측변부재에 근접할수록 양측 하단부 사이가 벌어져 있으며 둥글게 절곡된 상단부분에 축받이(1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축받이(113)는 중간지점에 회전축 삽입용 구멍이 형성된 파이프로 도시되었는데, 통상의 베어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1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베드(200)의 양 측변에는 상기 축받이(113)에 결합되는 회전축(210)이 돌출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판체가 한쪽에 치우친 형태로 베드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드프레임의 양 측변을 가로질러 롤 타입의 제1지지부(510)가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적당한 간격을 두고 상기 베드프레임에 발판(52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발판의 중간지점에는 위치안내부(5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안내부를 따라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원호운동을 하는 제2지지부(530)가 상기 위치안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체운동수단으로 채용된 완력기(300)는,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지지된 스프링(310)과 그 끝에 장착된 손잡이(3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보강부재(112)나 상기 측면지지부(120) 또는 사이간격이 가장 넓은 양 측변부재(111)의 말단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보강부재와 양 측변부재와의 교차지점(측방)에 설치되는 완력기는, 상기 측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는 연결관(400)을 채용하여 상기 스프링(310)의 끝 부분을 이 연결관(400)에 고정시켜 놓았다. 또한, 상기 완력기의 스프링은 후술하는 스프링 작동형의 완충기(쿠션 실린더)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는, 도4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베드(200)의 후면과 프레임(100) 사이에 가스작동형의 완충기(60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지점에 돌출턱(640)이 형성된 작동간(620)과; 상기 작동간의 양측에 끼워진 스프링 등의 댐핑요소(630)와; 상기 작동간과 댐핑요소가 내장되되 상기 작동간의 양 끝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게 내장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작동형의 완충기도 채용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5 내지 도6b에는 상기 도3에서 채용하고 있는 다른 실시예의 발목지지수단(500)이 도시되어 있는데, 특히 발목지지수단을 구성하는 제2지지부와 위치안내부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안내부(540)는 발뒤꿈치 쪽에서 발가락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하우징(550) 양측에 각각 브래킷(551)이 돌출되어 있고, 이 브래킷 사이에 스퍼기어(552)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퍼기어와 대면하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는 볼 타입의 스토퍼(560)가 출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 아래에 스프링(561)과 받침판(562)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바깥으로 일부분이 노출된 조절간(570)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말단부가 쐐기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대략 중간지점에 상기 조절간을 하우징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스프링(571)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위치안내부(540)를 따라 움직이는 제2지지부(530)는, 상기하우징의 표면과 스퍼기어(552) 사이에 끼워지는 소정 두께의 판체 양면에 각각 치형(581)과 다수의 홈(5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제1지지부와 동일한 구조의 롤 조립체(583)가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도1과 도4 내지 도6b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도5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안내부(540)의 조절간(570) 끝을 바깥쪽으로 잡아 당겨 스토퍼(560)와 홈(582) 사이의 결합을 해지시킨 다음, 상기 제2지지부(530)를 조절간이 이동되어 간 방향으로 밀어 올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30) 사이에 확보되어 있는 빈 공간 안으로 발을 넣어 발바닥을 발판(520)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조절간(570)을 조작하여 스토퍼와 홈 사이의 결합을 해지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2지지부(530)를 발등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발목을 붙잡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만약 채용되어 있는 완충기(600)가 가스작동형 완충기인 경우에는 상기 완충기에 연결되어 있는 가스유동방향 조절밸브나 조절스위치를 조작하고, 만약 채용된 완충기가 도8에 도시된 스프링작동형의 완충기(쿠션 실린더)인 경우에는 상기 베드에 눕힌 몸을 약간 들어 올림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측면지지부(120)를 손으로 붙잡아 당겨 체중을 어느 한쪽으로 쏠리게 함으로써 베드가 도립되거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베드가 빠른 속도로 도립될 때 가해지는 큰 충격력이 상기 완충기 내에 채워진 가스나 스프링에 흡수/감쇠되고 동시에 천천히 도립되므로,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 자세로 들어갈 때 느낄 수 있는 불안감이 해소되고 도립시 발생되는 충격력이 대폭으로 줄게 된다.
이어 물구나무서기를 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프레임의 적당한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완력기(300)를 붙잡고 상체 및 전신단련 운동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머리 뒤쪽에 위치한 완력기를 두 손으로 붙잡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 앞쪽으로 잡아당기거나, 양 어깨쪽에 설치되어 있는 완력기를 붙잡아 전후좌우로 흔들어 대면서 몸 가까이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몸 바깥으로 밀어 낼 수 있으며, 이마 앞쪽에 설치된 완력기를 붙잡아 가슴쪽으로 끌어 당기거나 팔을 오므리는 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즉, 상체운동을 위한 모든 형태 및/또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운동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만큼 원하는 횟수로 반복하여 시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예컨대 후방에 설치된 완력기를 머리 앞쪽으로 잡아당기면 삼각근과 상완이두근 및 상완삼두근이 발달되고, 측방에 설치된 완력기를 어깨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밀어내거나 단전 쪽으로 잡아당기면 전거근과 상완삼두근이 발달되며, 전방에 설치된 완력기를 단전 쪽으로 잡아당기면 승모근과 삼각근 등이 발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는 사다리꼴 형상이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R"자 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격렬한 운동을 하더라도 어깨가 프레임에 부딪치지 않으며 몸을 이리저리 흔들어대더라도 인체의 무게중심이 양 측변부재 사이에서만 위치변동 됨으로 종래 도립장치에서 운동을 할 때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끝으로, 운동이 모두 끝나면, 사용자는 완충기에 연결·설치된 가스유동방향 조절밸브나 조절스위치를 종전과 반대방향으로 조작하여 베드와 함께 초기 정립위치로 되돌아간다.
실시예 2
첨부된 도2는 제2 실시예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프레임(100)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장방형 형태로 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대한 사용방법 및/또는 작용·효과도 실시예 1과 동일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첨부된 도3은 제3 실시예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레임(100)은 바닥부(110)에 2개의 보강부재(112)가 채용되어 제1 실시예의 장치보다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 특징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몸을 지지하는 베드(200)도 양 어깨가 닿는 부분을 제거하여 , 사용자가 상체운동을 할 때 어깨의 움직임이 베드에 의해 어떤 제약을 받거나 또는 베드에 부딪치거나 다치는 일이 없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발목지지수단도 그 구조를 개량하여 앞서 설명한 2가지 실시예에서보다 더욱 용이하게 사용자의 발목이 고정되게 하였다.
이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지지부(120)의 일측(사용자 측에서 봤을 때 왼쪽)에, 제2지지부(530)를 제1지지부(510)쪽으로 끌어당기는 간격조절부(700)가 새로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의 구조 내지는 결합형태도 달라져 있다.
도7b는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30)와 발판(520) 사이의 결합관계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발판은 베드프레임의 하측변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지지부재(580)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서 상기 지지부재의 임의지점에 제1지지부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반면, 상기 제2지지부(530)는 상기 발판(520)에 힌지고정 된 상태로 도7a에 도시된 간격조절부(700)의 조작에 따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상기 제1지지부에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첨부된 도7a는 상술한 간격조절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측면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된 하부케이스(710)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 고정된 래칫(720)과; 상기 래칫을 에워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부분이 손잡이 형태로 된 상부케이스(750)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자루부분에 삽입된 푸시로드(760)와; 상기 상부케이스 내에 설치되되 상기 래칫과 인접되게 내장된 탄성요소(740)와; 상기탄성요소에 일단부가 맞닿아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래칫의 톱니와 톱니 사이에 끼워지며 중간지점이 상기 상부케이스에 회동 자유롭게 힌지고정 되되 이 힌지고정 부위에 인접하여 상기 푸시로드의 일단이 힌지결합 된 스토퍼(730)와; 상기 상부/하부케이스의 내부를 지나는 케이블통로(780)와; 상기 푸시로드의 타단측에 손가락 보호 및 감촉을 좋게 하기 위해 씌워진 노즈부재(770)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서, 상기 간격조절부와 제2지지부는 통상의 케이블(800)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케이블(800)의 일단은 제2지지부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간격조절부에 형성된 케이블통로(780)를 관통하여 상부케이스의 바깥쪽에서 캡(900)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베드프레임에서 연장된 지지부재의 내부를 지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지지부를 제1지지부에서 밀어내는 탄성요소(590)로서 스프링이 채용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제2지지부 사이로 노출된 케이블에 끼워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베드에 몸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간격조절부의 상부케이스(750)에 마련된 손잡이 부분을 잡고 마치 사이드 브레이크를 넣듯이 잡아 당기면, 상기 스토퍼(730)가 래칫(720)의 표면 위를 요구된 거리만큼 활주하게 되고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에 캡(900)으로 고정된 케이블(800)이 상기 제2지지부(530)를 제1지지부쪽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발목 굵기에 맞게 적당한 간격으로 상기 상부케이스의 손잡이 부분을 잡아당기면, 발목이 편안한 상태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운동이 끝나 발목의 고정상태를 해제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노즈부재(770)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푸시로드(760)의 한쪽 끝을 손가락으로 눌러 상기 푸시로드를 상부케이스 안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푸시로드의 다른쪽 끝부분에 장착된 스토퍼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벽에 고정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래칫의 톱니와 맞물려 있던 스토퍼의 어느 한 쪽 끝부분이 들려지게 되고, 따라서 상부케이스가 발목을 더욱 옥죄거나 또는 발목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발목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부케이스의 손잡이를 이동시키면, 케이블(800)이 느슨해짐과 동시에 상기 제2지지부(530)와 상기 지지부재(580) 사이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590)이 원래의 위치 또는 발목을 더욱 옥죄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케이스의 손잡이를 해제쪽으로 밀면 자연스레 제2지지부가 제1지지부에서 멀어져서 발목의 고정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예컨대 프레임이나 베드프레임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구성소재(봉재나 각재 등)의 재질 및/또는 사용개수를 바꾼다든지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완충기의 설치개수 및/또는 설치위치 등도 생산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장치의 사이즈도 임의로 축소하거나 대형화 할 수 있으며,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적당한 구성요소끼리 일체로 조립하거나 또는 각 구성요소를 분해/조립이가능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변형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는, 물구나무서기를 한 상태에서 몸을 움직이더라도 어깨가 프레임에 부딪치지 않으므로 물구나무 선 상태에서 비교적 격렬한 상체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개선된 발목지지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발목이 확실히 협지됨으로 운동중에 느끼는 추락에 대한 불안감을 불식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기를 채용함으로써 도립시 느끼는 불안감이 해소되고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를 사용하면, 체중에 짓눌려 손상된 연골조직이 회복될 수 있고, 나쁜 자세로 인해 굽은 등을 곧추세워 신장을 늘리는 효과가 있으며, 복부비만으로 튀어나온 배를 들어가게 하여 체형을 아름답게 할 수 있고, 디스크환자의 허리통증을 완화할 수 있으며, 두뇌로의 혈액공급이 왕성하게 이루어져 머리를 좋아지게 할 뿐 아니라 치매예방과 중풍예방에도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체내의 혈전이나 울혈 등을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등의 성인병을 예방/치료할 수 있으며, 스트레칭에 의한 피로회복 내지는 긴장완화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13)

  1. 베드와, 상기 베드가 도립(倒立) 가능하게 고정된 측면지지부 및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단이 고정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갖는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바닥부는,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단이 고정되는 양 측변부재와 상기 양 측변부재 사이에 연결된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드의 도립 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전방 쪽이 후방 쪽보다 넓도록 상기 양 측변부재와 보강부재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2. 베드와, 상기 베드가 도립(倒立) 가능하게 고정된 측면지지부 및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단이 고정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갖는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하부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R"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3. 베드와, 상기 베드가 도립(倒立) 가능하게 고정된 측면지지부 및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단이 고정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갖는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체운동수단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운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일측이 지지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타측에 장착된 손잡이 를 포함하는 완력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력기는
    상기 베드가 도립된 상태에서 봤을 때, 상기 베드의 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력기는
    상기 베드가 도립된 상태에서 봤을 때, 상기 베드의 측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력기는
    상기 베드가 도립된 상태에서 봤을 때, 상기 베드의 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후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완충기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베드에 고정된 제1지지부와;
    상기 발판에 설치된 위치안내부와;
    상기 위치안내부를 따라 움직이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함께 발목을 협지하는 제2지지부; 를 포함하는 발목지지수단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전동수단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기구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12. 베드와, 상기 베드가 도립(倒立) 가능하게 고정된 측면지지부 및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단이 고정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갖는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드를 구성하는 베드프레임의 하측변 중앙에서 연장된 지지부재의 타단에 고정된 발판과;
    상기 발판과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부재의 임의지점에 고정된 제1지지부와;
    상기 발판에 힌지고정 된 제2지지부와;
    상기 측면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제1지지부 쪽으로 끌어당기는 간격조절부와;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간격조절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상기 제2지지부를 멀어지게 하는 탄성요소; 를 포함하는 발목지지수단이 설치된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측면지지부의 일측에 고정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 고정된 래칫과;
    상기 래칫을 에워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부분이 손잡이 형태로 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자루부분에 삽입된 푸시로드와;
    상기 상부케이스 내에 설치되되 상기 래칫과 인접되게 내장된 탄성요소와;
    상기 탄성요소에 일단부가 맞닿아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래칫의 톱니와 톱니 사이에 끼워지며 중간지점이 상기 상부케이스에 회동 자유롭게 힌지고정 되되 이 힌지고정 부위에 인접하여 상기 푸시로드의 일단이 힌지결합 된 스토퍼와;
    상기 상부/하부케이스의 내부를 지나는 케이블통로와;
    상기 제2지지부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연결수단의 타단을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KR10-2002-0027245A 2002-05-17 2002-05-17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KR100388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245A KR100388130B1 (ko) 2002-05-17 2002-05-17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CA002421879A CA2421879A1 (en) 2002-05-17 2003-03-13 Hand-standing exercis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245A KR100388130B1 (ko) 2002-05-17 2002-05-17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996A true KR20020067996A (ko) 2002-08-24
KR100388130B1 KR100388130B1 (ko) 2003-06-18

Family

ID=2772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245A KR100388130B1 (ko) 2002-05-17 2002-05-17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88130B1 (ko)
CA (1) CA242187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220B1 (ko) * 2007-12-14 2010-04-15 이강문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CN102802741A (zh) * 2009-11-13 2012-11-28 小勒罗伊·R·佩里 旋转的可调节健身设备
CN115212530A (zh) * 2022-07-11 2022-10-21 金陵科技学院 一种具有大众健身及体操教学训练多功能倒立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47B1 (ko) * 2010-07-27 2010-12-28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66923Y1 (ko) 2011-08-24 2013-05-14 박광현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1485502B1 (ko) * 2013-04-23 2015-01-23 기 석 우 키 성장 촉진 기구
KR101985027B1 (ko) * 2013-05-06 2019-05-31 허재숙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한 물구나무형 척추 운동 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220B1 (ko) * 2007-12-14 2010-04-15 이강문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CN102802741A (zh) * 2009-11-13 2012-11-28 小勒罗伊·R·佩里 旋转的可调节健身设备
CN102802741B (zh) * 2009-11-13 2015-05-20 小勒罗伊·R·佩里 旋转的可调节健身设备
CN115212530A (zh) * 2022-07-11 2022-10-21 金陵科技学院 一种具有大众健身及体操教学训练多功能倒立架
CN115212530B (zh) * 2022-07-11 2023-04-18 金陵科技学院 一种具有大众健身及体操教学训练多功能倒立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130B1 (ko) 2003-06-18
CA2421879A1 (en) 200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92B1 (ko) 재활운동장치
US7361128B2 (en) Exercising apparatus
CN101415387B (zh) 用于理疗的锻炼器械
AU2017349489B2 (en) Neckpillow
KR100527457B1 (ko)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KR100388130B1 (ko)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JP3829257B2 (ja) 腹部腰部諸筋トレーニング器具
KR200388193Y1 (ko) 스트레칭 머신
US8328702B2 (en) Lower back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CN209899826U (zh) 一种具有复能功能的多功能椅
CN100431645C (zh) 心血管脊柱锻炼器
WO1995021664A1 (en) Gymnastic means
CN114377354A (zh) 一种护理康复锻炼装置
KR200446384Y1 (ko) 개량 하체운동기구
CN107982855A (zh) 一种增强四肢协调能力的健身康复器械
WO2024009742A1 (ja) トレーニング器具用負荷伝達機構部及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器具
JP4004242B2 (ja) 健康促進器具
KR20100043129A (ko) 허리 유연성 및 근기능 강화용 운동기구
CN209612114U (zh) 一种神经内科临床调节式四肢复健器
CN213664525U (zh) 一种睡卧角度可调节户外休闲床
CN208260072U (zh) 一种亲子健骑机
WO2023021720A1 (ja) トレーニング器具用負荷伝達機構部及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器具
CN209004363U (zh) 一种动态颈椎牵引器
JP2022104452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200306451Y1 (ko) 다기능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