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820A -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 Google Patents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820A
KR20020067820A KR1020010008172A KR20010008172A KR20020067820A KR 20020067820 A KR20020067820 A KR 20020067820A KR 1020010008172 A KR1020010008172 A KR 1020010008172A KR 20010008172 A KR20010008172 A KR 20010008172A KR 20020067820 A KR20020067820 A KR 20020067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hlorine
dust
cyclon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채현
Original Assignee
전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채현 filed Critical 전채현
Priority to KR1020010008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7820A/ko
Publication of KR2002006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82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60Methods for eliminating alkali metals or compounds thereof, e.g. from the raw materials or during the burning process; methods for eliminating other harmfu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364Avoid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cement-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인출기를 거친 배가스를 여과집진기의 운전조건에 적합하도록 냉각시키며, 조분분리 사이클론으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여과집진기 내에서의 가스의 유속을 충분히 저감시킴으로써 집진 작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된 염소성분 제거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요구부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배가스를 인출/냉각시키기 위한 인출부와, 배가스의 미분과 조분을 분리처리하기 위한 조분처리부, 배가스를 더욱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배가스에 함유된 고체상의 염소화합물을 걸러내기 위한 집진부를 포함하는 염소성분 제거설비에 있어서, 상기 조분처리부는 인출부의 배출관에 연결설치되어 배가스가 유입되는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지고, 사이클론 측면에는 배가스 유입구의 단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가변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냉각부는 배가스가 흐르도록 된 다수개의 파이프와 냉각용 송풍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지고, 열교환기 양 측면에는 냉풍의 외부유출을 막고 주변 온도에 따라 외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외기제어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Plant for bypassing chlorine}
본 발명은 시멘트 제조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 소성공정 중 염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염소성분 제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는 채광, 분쇄, 혼합, 예열, 소성, 냉각의 공정을 거치게 되는 데, 소성공정시 약 1200℃ 이상으로 가열해야 하므로 이때 소요되는 연료는 시멘트 제조원가를 좌우하는 데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각 시멘트 제조회사는 시멘트 제조원가를 낮추기 위한 노력을 다방면으로 기울이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연료 혹은 부원료로서 폐기물(폐타이어, 폐플라스틱, 하수처리장 발생 오니 등 생활쓰레기)의 사용을 적극 검토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잇점에도 불구하고 폐기물은 다량의 염소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시멘트 제조 시 상기 염소성분이 공정 상 많은 장애를 일으키는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염소성분 제거설비가 필요하게 된다.
즉, 폐기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은 시멘트 제조 공정에서 칼륨 등과 반응하여 염화칼륨(KCl) 등 염소화합물을 생성하게 된다. 염소화합물의 융점은 약 800℃ 정도이며 비등점은 약 1,400℃ 정도이다 따라서 시멘트 제조 공법 중 국내외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서스펜션 프리히터(suspension preheater)방식의 경우 600℃이하가 되는 예열탑 내에서는 염소화합물이 고체 상태이다가 1200℃ 이상이 되는 회전로(rotary kiln)로 이동하면 융해 혹은 기화하게 되고 다시 회전로의 배가스와 함께 예열탑으로 이동하고, 예열탑 내에서 다시 고체로 변한 염소화합물은 재차 회전로로 시멘트의 원료와 함께 재투입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때 예열탑 내에서 염소화합물이 고화하는 과정 중 융해 온도에 가까워 점착성이 큰 액상의 염소화합물이 예열탑의 내벽에 융착 고화하여 예열탑 내의 원료 및 가스의 유로 단면적을 축소시키고 심지어는 이를 폐쇄시키게 하여 공정의 운전을 정지시키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염소 성분이 다량 함유된 폐기물의 사용을 위해서는 염소 성분을 추출하여 라인 밖으로 제거하기 위한 염소성분 제거설비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많은 고안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염소 제거설비의 일례로서 일본 특개평 9-175847호를 살펴보면, 킬른의 요구부에 설치되어 배가스를 인출하기 위한 추기관과 배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실 및 냉각된 배가스의 고형물을 걸러내기 위한 사이클론과 집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추기관을 거치면서 냉각되어 고화된 염소화합물은 사이클론으로 이동되어 미분과 조분이 분리되고, 사이클론에서 분리된 미분은 집진기에서 포집처리된다.
이때, 사이클론 출구의 미분은 그 입도가 매우 작고 염소화합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상 고효율의 집진을 위하여는 전기집진기보다 여과집진기가 유리하게 되는 데(전기집진기는 염소 인출설비의 미세 분진에 의한 공간전하효과와 분진의 점착성 그리고 적은 처리 풍량에 따른 경제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매우 어렵다), 여과집진기 또한 여과포의 물리화학적 특성상 고온의 배가스를 처리할 수 없으므로 사이클론에서 여과집진기에 이르는 가스 덕트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표면적을 넓게 함으로서, 사이클론에서 여과집진기로 인출가스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여과포가 허용하는 온도 이하로 냉각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그 온도는 통상 200℃이하이며 보다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여과집진기의 운전을 위하여는 180℃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사이크론에서 여과 집진기까지의 덕트 길이는 인출 가스 온도를 충분히 낮출 수 있을 정도로 길게 잡을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덕트의 표면적을 키우기 위하여 덕트의 단면적을 키우게 되면 가스의 유속이 느려져서 곡관부나 수평부에 분진이 퇴적하여 덕트를 폐색시키게 되고, 설비투자비의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게 된다.
또한, 염소화합물이 함유된 미세 분진은 그 입도가 대부분 10㎛이하이며, 평균 입도도 약 4㎛ 이하로 매우 미세하다. 따라서 여과집진기로 분진을 포집 제거할 경우 여과집진기 내에서의 가스의 상승 가스 유속이 빠르게 되면 여과포에서 털어진 분진의 낙하력이 가스흐름에 의한 상승부력을 이기지 못하고 다시 비상하여 여과포에 재포집되게 되고, 재차 털어내기 작업을 반복하더라도 분진은 집진기 밖으로 배출되지 아니하여 심한 경우 염소인출설비 전체를 정지시켜야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출기를 거친 배가스를 여과집진기의 운전조건에 적합하도록 재차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염소성분 제거설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분분리 사이클론으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속을 조절하여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염소성분 제거설비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집진기 내에서의 상승 가스의 유속을 충분히 저감시킴으로써 집진 작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된 염소성분 제거설비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소성분 제거설비를 도시한 전체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소성분 제거설비의 사이클론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염소성분 제거설비에서 냉각탑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인출부 11 : 인출관
20 : 조분처리부 21 : 사이클론
24 : 슬라이드 게이트 30 : 냉각부
31 : 열교환기 32 : 파이프
33 : 송풍기 34 : 안내판
40 : 집진부 41 : 여과집진기
42 : 백필터 43 : 댐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요구부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배가스가 인출되고 인출된 배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인출부와, 인출부를 거친 배가스의 미분과 조분을 분리처리하기 위한 조분처리부, 조분처리부를 거친 배가스를 필터 처리온도까지 더욱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냉각부를 거친 배가스에 함유된 고체상의 염소화합물을 걸러내기 위한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분처리부는 인출부의 배출관에 연결 설치되어 배가스가 유입되는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진다.
사이클론의 측면에 설치되는 배가스 유입구는 가변수단이 더욱 설치되어 유입구의 단면적을 가변시켜 사이클론으로 투입되는 배가스의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냉각부는 배가스가 흐르도록 된 다수개의 파이프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 내부로 냉풍을 분사하기 위한 송풍수단, 냉풍의 외부유출을 막고 주변 온도에 따라 외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외기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진부는 온라인작업과 오프라인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여 배가스의 최적 유속하에서 집진 작용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소성분 제거설비를 도시한 전체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소성분 제거설비의 사이클론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염소성분 제거설비에서 냉각탑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킬른의 요구부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염소성분이 포함된 배가스를 인출하고 인출된 배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인출부(10)와, 인출부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고체화된 배가스의 염소성분에서 미분과 조분을 분리처리하기 위한 조분처리부(20), 조분처리부를 거친 배가스를 필터 처리온도까지 더욱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30), 냉각부를 거친 배가스에 함유된 고체상의 염소화합물을 걸러내기 위한 집진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출부(10)는 킬른의 요구부 일측면에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의 인출관(11)과, 인출관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인출관 내부로 냉각용 회전류를 불어넣어 배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요구부를 지나는 배가스를 인출하여 1차 냉각시키게 된다.
여기서 킬른의 요구부(rising duct)는 회전로 원료 주입구 상부로서, 가스 유속이 매우 낮아서 시멘트 원료 성분이 상대적으로 적고 염소화합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배가스의 온도가 약 1000℃가 되는 회전로와 예열탑의 연결부를 칭한다.
상기와 같이 인출관은 요구부의 특정부위에 설치됨으로서, 적은 양의 가스를 인출하는 것으로도 고농도의 염소화합물을 추출해 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분처리부(20)는 인출관의 후단에 설치된 배출관에 연결 설치되어 배가스가 유입되는 사이클론(21)으로 이루어지고, 사이클론의 측면에 설치되는 배가스 유입구(22)는 가변수단이 더욱 설치되어 유입구의 단면적을 가변시킴으로써 사이클론으로 투입되는 배가스의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사이클론으로 투입되는 배가스의 속도를 조절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조분 분리 사이클론의 입자 분리도 즉, 사이클론의 분진 포집 효율이 너무 낮으면 회전로로 되돌려지는 조분의 양이 적어지므로 시멘트 원료의 손실이 커질 수 있고, 반대로 그 효율이 너무 높으면 추출해낸 염소 성분을 다시 소성계통으로 돌려보내는 불필요한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시멘트 제조공정은 최초 설계 방식 등에 따라 조금씩 그 특성이 다르고, 동일 공장이라도 시멘트 생산량 등 소성 조건의 변화에 따라 염소 성분이 다량 농축되는 분진의 입도 한계가 달라진다.
따라서 각 공장마다 혹은 시멘트 소성조건에 따라 조분 분리 사이클론의 입자 분리도 역시 조금씩 달라져야 하므로 사이클론의 효율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사이클론(21)은 상부 측면에 인출관의 배출관과 연결되는 유입구(22)가 설치된 원통형 실린더로, 상단 중앙에는 볼텍스파인더(23;vortex finder)가 설치되어 처리된 가스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하단으로는 포집된 더스트가 배출되어 킬른으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변수단은 유입구(23)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게이트(24)와, 게이트를이동시켜 유입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게이트(24)는 유입구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가스 흐름 방향과 직각 혹은 슬라이드 게이트의 분진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직각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게 슬라이딩된다.
구동수단은 사이클론 외측면에 설치되고 슬라이드게이트 일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드게이트를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직선운동을 바로 전달할 수 있는 구동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피니언기어와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게이트의 이동에 따른 투입구의 개방정도를 달리함으로서,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속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각 공장 및 소성 조건의 변화에 따라 염소 인출설비의 염소성분 추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부(30)는 인출가스의 2차 냉각시설로서, 배가스가 흐르도록 배열된 다수개의 파이프(32)를 포함하는 열교환기(31)와, 열교환기의 파이프로 냉풍을 분사하기 위한 송풍기(33), 냉풍의 외부유출을 막고 주변 온도에 따라 외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외기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배가스는 파이프를 통과하는 동안 파이프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냉풍에 의해 열교환되어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외기제어수단은 열교환기(31) 양 측면에 배열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안내판(34)과, 각 안내판을 일정각도로 회동시켜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회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수단은 각 안내판(34)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동실린더와 구동실린더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해 각 안내판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판(34)에 의해 제한된 규모의 냉각부로도 배가스의 냉각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데, 송풍기(33)에 의해 불어나가는 바람은 안내판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파이프 사이로만 지나가게 되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로 회동된 안내판(34)에 의해 외기가 안내판 내측으로 유입되어 냉각효과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즉, 배열된 파이프(32) 사이를 송풍기에 의한 바람이 일정 속도로 흐르게 되면 창살 역할을 하게 되는 안내판(34)의 내외측에 차압이 발생하게 되고, 그 차압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안내판 내부로 유입되어 송풍기의 의한 냉각효과를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내판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송풍기의 바람의 유속 또는 외풍의 유속 변화에 따라 유도 유입되는 풍량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 되며, 동절기 등에는 송풍기에 의한 바람을 일으키지 않고 안내판 각도 조절만으로 냉각부 자체의 대류에 의해 가스 냉각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집진부(40)는 백필터(42)가 설치된 여과집진기(41)가 다수개가 병렬 설치되고, 각 여과집진기의 배출라인에는 라인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댐퍼(43)가 설치되어, 각 여과집진기가 온라인작업과 오프라인작업을 병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여과집진기는 배가스의 최적유속 하에서 집진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오프라인작업을 살펴보면, 2개소 이상 설치된 집진기(41) 중에서 털어내기 작업을 실시하는 집진기는 출구에 설치된 댐퍼를 닫아 가스흐름을 정지시킨 후 털어내기 작업을 실시하여 분진을 하부 호퍼에 완전히 침전시켜 여과집진기 외부로 배출시키고, 작업이 끝난 후에는 댐퍼를 개방하여 집진 작용을 계속하는 방식으로 운전된다.
병렬설치된 각 집진기는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차례로 오프라인 하에서 털어내기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온라인 작업 시에도 각 집진기 내의 가스 상승속도를 1.2m/sec 이하로 설계함으로서, 털어내기 작업에 의해 낙하하는 분진의 낙하력이 상승 가스에 의한 부력보다 충분히 커서 분진의 순조로운 낙하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염화칼륨 등 염소화합물은 약 800℃ 이상에서는 다른 물질과 유리하여 액상으로 된다. 따라서 그 온도대에서 염소화합물을 고농도로 농축하여 라인 밖으로 추출해 낼 수 있다.
즉, 회전로와 예열탑의 연결부인 요구부의 특정 부위에서 배가스를 인출함으로서 고농도의 염소화합물을 라인 밖으로 추출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인출된 배가스 내의 분진 중 입도가 큰 것에는 염소화합물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입도가 작은 것은 염소화합물의 농도가 매우 높다. 이는 염소화합물이 미세한 액적으로 존재하다가 급격히 냉각되면 미세 액적의 염소화합물이 미세 입자화하고, 일부분은 인출된 배가스에 혼입된 시멘트 원료 등의 조립자에 충돌융착한 때문이다.
요구부에 인출관(11)을 삽입 설치하여 회전로 배가스를 인출하며 동시에 인출된 가스를 급랭시키기 위하여 인출관 내의 외기를 냉각용으로 인출기 내에 불어넣어 고온(약 1000℃)의 인출가스와 외기를 혼합하여 인출 가스를 냉각한다.
이때, 인출관 측면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는 원형의 인출관 내벽면을 타고 선회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고온의 배가스는 인출관의 중심을 통과하게 되고 따라서 배가스 중에 포함된 액상 염소화합물은 인출관 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며 냉각되므로 인출관의 내벽면에 융착되지 않게 되어 내벽면에 고착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냉기에 의해 고온의 배가스는 약 300℃ 이하로 냉각되어 배가스에 함유된 염소화합물은 완전히 고화된 상태로 인출관의 출구쪽에 설치된 배출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배출관을 통해 나오는 배가스는 조분분리 사이클론(21)으로 이동되어 미분과 조분이 분리되고, 사이클론에서 분리된 조분은 회전로로 되돌려 보내지고, 미분은 냉각부(30)를 거치면서 집진부(40) 투입 가능온도까지 한차례 더 냉각시킨 후 다음 설비인 집진기(41)에서 포집되어 폐기 처리된다.
이때, 사이클론의 유입구(22)에 설치된 슬라이드 게이트(24)를 이동시킴으로써 유입구의 개방정도를 달리할 수 있는 데, 사이클론으로 투입되는 배가스는 유입구의 크기에 따라 유속을 달리하게 된다.
사이클론의 포집 한계 입자경은 사이클론의 입구 유속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사이클론의 입자분리도는 사이클론의 입구 유속이 빠른 경우 증가하게 되어 작은 입자까지 포집이 가능하게 되고, 입구 유속이 느리게 되면 사이클론의 입자 분리도는 감소하여 작은 입자는 포집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게이트(24)로 입구유속을 변화시킴으로서 염소성분 추출 정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드 게이트(24)의 개방정도를 달리하여 시멘트 소성조건에 따라 조분 분리 사이클론(21)의 입자 분리도를 달리할 수 있고 염소성분 추출정도를 합리적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이클론(21)을 거친 미분은 사이클론 상부의 볼텍스파인더(23)를 통해 2차 냉각설비인 열교환기(31)로 보내져 열교환기의 배열된 파이프(32)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송풍기(33)에 의해 불어 나와 파이프(32)로 보내지는 바람에 의해 약 180℃ 이하로 냉각된다.
여기서 파이프의 양측면에 위치한 안내판(34)이 동일한 각도를 이루며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어 송풍기(33)에서 불어 나오는 바람의 유출을 차단하게 되고, 외기를 파이프(32)쪽으로 유입시켜 냉각효율을 높이게 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내판(34)은 송풍기로부터 나오는 바람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일정 경사각을 이루게 되며, 이 상태로 바람이 파이프(32)로 불어나가게 되면, 안내판(34) 내측과 외측 사이에 차압이 발생하게 되어 외기는 각 안내판(34) 사이로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압력이 낮아진 내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에 의해 파이프(32)의 냉각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겨울철과 같이 외기만으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34)을 완전히 회동시켜 안내판에 의해 이루어지는 틈새를 최대한 개방시킴으로서 외기가 자유롭게 파이프(32)쪽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안내판의 각도 조절에 따라 외기의 유입을 조절함으로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열교환기(31)를 거친 배가스는 최종적으로 여과집진기(41)를 거치면서 염소성분이 제거되는 데, 병렬 설치된 각 여과집진기를 거치면서 여과집진기 내의 가스 상승속도는 1.2m/sec 이하로 관리된다.
따라서 여과집진기(41) 내부의 상승가스 흐름에 의한 부력을 분진의 낙하력보다 충분히 작게 함으로서 각 여과집진기의 털어내기 작업 후 분진의 낙하가 순조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분진의 털어내기 작업은 오프라인으로 수행될 수 있는 데, 털어내기 작업이 수행되는 여과집진기는 출구의 댐퍼(43)를 닫아 가스 흐름을 정지시키고 나머지 여과집진기는 계속 라인을 가동시키게 된다.
가스흐름이 정지된 여과집진기는 털어내기 작업을 통해 백필터에 걸러진 분진을 하부로 떨궈내게 되고 떨궈진 분진은 여과집진기 하부의 이송스크류를 통해 호퍼로 배출된다.
분진이 배출되면 다시 댐퍼를 개방하여 다른 여과집진기와 더불어 집진 작용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에 의하면, 첫째 사이클론의 입자 분리 효율을 가변시켜 소성조건이나 공장여건에 따라 염소성분 추출정도를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송풍기와 외기의 적절한 유입으로 적은 공간에서 배가스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된다.
셋째, 라인을 계속 가동하면서 집진된 염소성분을 확실히 제거함으로서 공정 흐름을 연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요구부 일측면에 연결설치되어 배가스가 인출되고 인출된 배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인출부와, 인출부를 거친 배가스의 미분과 조분을 분리처리하기 위한 조분처리부, 조분처리부를 거친 배가스에 함유된 고체상의 염소화합물을 걸러내기 위한 집진부를 포함하는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에 있어서,
    상기 조분처리부는 인출부의 배출관에 연결설치되어 배가스가 유입되는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지고, 사이클론 측면에는 배가스 유입구의 단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가변수단이 설치되며,
    조분처리부와 집진부 사이에 조분처리부를 거친 배가스를 필터 처리온도까지 더욱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가 더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사이클론의 유입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게이트와, 게이트를 이동시켜 유입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배가스가 흐르도록 된 다수개의 파이프와 냉각용 송풍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지고, 열교환기 양 측면에는 냉풍의외부유출을 막고 외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외기 제어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 수단은 열교환기 양 측면에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안내판과, 각 안내판을 일정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백필터가 설치된 여과집진기가 다수개가 병렬 설치되고, 각 여과집진기의 배출라인에는 라인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댐퍼가 설치되어, 각 여과집진기가 온라인작업과 오프라인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집진기는 온라인 작업 시 내부에서의 가스 흐름의 상승 속도가 1.2m/se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KR1020010008172A 2001-02-19 2001-02-19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KR20020067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172A KR20020067820A (ko) 2001-02-19 2001-02-19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172A KR20020067820A (ko) 2001-02-19 2001-02-19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820A true KR20020067820A (ko) 2002-08-24

Family

ID=2769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172A KR20020067820A (ko) 2001-02-19 2001-02-19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782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136A (ko) * 1995-12-11 1998-07-15 히라가카 즈츠구 염소바이패스에 의한 킬른 배기가스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H1135354A (ja) * 1997-07-16 1999-02-09 Chichibu Onoda Cement Corp 塩素バイパス設備の運転方法
JPH11130490A (ja) * 1997-10-24 1999-05-18 Kawasaki Heavy Ind Ltd セメント焼成装置からの有害物質の制御・除去方法及び装置
JPH11130489A (ja) * 1997-10-24 1999-05-18 Kawasaki Heavy Ind Ltd セメント焼成装置からの有害物質の除去方法及び装置
JP2000034143A (ja) * 1998-07-15 2000-02-02 Kawasaki Heavy Ind Ltd 流動層セメント焼成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2136A (ko) * 1995-12-11 1998-07-15 히라가카 즈츠구 염소바이패스에 의한 킬른 배기가스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H1135354A (ja) * 1997-07-16 1999-02-09 Chichibu Onoda Cement Corp 塩素バイパス設備の運転方法
JPH11130490A (ja) * 1997-10-24 1999-05-18 Kawasaki Heavy Ind Ltd セメント焼成装置からの有害物質の制御・除去方法及び装置
JPH11130489A (ja) * 1997-10-24 1999-05-18 Kawasaki Heavy Ind Ltd セメント焼成装置からの有害物質の除去方法及び装置
JP2000034143A (ja) * 1998-07-15 2000-02-02 Kawasaki Heavy Ind Ltd 流動層セメント焼成方法及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2612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processgaser.
US4349367A (en) Method of recovering waste heat from furnace flue gases using a granular heat exchange means
JP5407262B2 (ja) セメント焼成設備の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処理システム
CN101269813B (zh) 微硅粉提纯回收工艺
US5290334A (en) Apparatus for batch preheating and pollution abatement in glass manufacture
JP5157841B2 (ja) セメント焼成設備の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処理システム
CN108793237A (zh) 一种高温四氯化钛含尘气体的处理系统及方法
TWI625210B (zh) 水泥窯抽出氣體之處理方法、氯旁通系統及水泥燒成裝置
WO2018219269A1 (zh) 铁水脱硫渣的渣铁分离、冷却装置的总体结构
US4366855A (en) Self-cleaning recuperator
CN107019974A (zh) 过滤介质清灰装置和高温气体过滤除尘系统
KR20020067820A (ko)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제거설비
JPH11130489A (ja) セメント焼成装置からの有害物質の除去方法及び装置
JPH11130490A (ja) セメント焼成装置からの有害物質の制御・除去方法及び装置
CN106402845B (zh) 锅炉燃烧系统
KR20110071647A (ko) 고온 배기가스의 처리방법 및 장치
US4189299A (en) Direct cooler for calcining apparatus
KR200236113Y1 (ko) 시멘트 소성공정에서의 염소성분 인출기
CA279100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exhaust gas
US42551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n aggregate material with a flowing gas
WO19960365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igh-grade alumina from low-grade aluminum oxide fines
JPH0336413A (ja) 多段式旋回溶融炉
CN104388692B (zh) 一种低品位铜冶炼优质阳极板的环保方法
CN113294790B (zh) 一种危险废物玻璃化调控系统及方法
CN104313344B (zh) 一种低品位铜冶炼上引电工铜杆的环保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