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734A -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734A
KR20020067734A KR1020010008029A KR20010008029A KR20020067734A KR 20020067734 A KR20020067734 A KR 20020067734A KR 1020010008029 A KR1020010008029 A KR 1020010008029A KR 20010008029 A KR20010008029 A KR 20010008029A KR 20020067734 A KR20020067734 A KR 20020067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all
tmsi
stored
switch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205B1 (ko
Inventor
허행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1000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2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205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단말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단말에 할당되는 번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임시로 할당되는 번호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교환 시스템의 영역으로 이동하면 미사용 테이블에 존재하는 임시 번호를 사용중 테이블로 이동하여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중 테이블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에 호가 할당되는 경우 사용중 테이블의 임시 번호를 묶임 테이블로 옮겨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호가 종료되는 경우 묶임 테이블에 저장된 임시 번호를 미사용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가 패킷 호인 경우와 일반 호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결과에 따라 각각 구비된 테이블에 이를 저장하도록 구성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단말을 관리하는 경우 사용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 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DATA-BASE MANAG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기 위해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 저장되지 않은 전화번호 데이터는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 문의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교환 시스템과 방문자 위치 등록기 및 홈 위치 등록기에서 모두 알고 있는 데이터가 된다. 이를 상술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이 최초 등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는 홈 위치 등록기에 저장된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전원이 온(on)되어 위치를 등록하거나 또는 발호를 시도할 경우 발호 요구 신호는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이때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 위치 등록이 요구된 단말 또는 발호 요구가 있는 단말의 인증을 위해 문의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를 홈 위치 등록기에 움의하여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확인이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는 상기 교환 시스템과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 소정 시간동안 저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교환 시스템, 방문자 위치 등록기 및 홈 위치 등록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형식은 기본적으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의 번호 체계를 가지고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IMSI의 번호 체계는 국제 규약에 의한 전화번호의 체계이다. 따라서 교환 시스템에서는 위치의 등록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호가 수행되는 경우에 IMSI 번호를 이용하여 인증등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은 인증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 IMSI 번호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IMSI 번호는 16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지므로 많은 자리수를 할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인증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각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마다 사용할 수 있는 번호 체계를 가지고 운용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에 임시적으로 소정의 번호를 할당하여 관리한다. 이와 같이 임시적으로 할당되는 번호는 임시 번호(TMSI :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또는 패킷 임시 번호(P-TMSI : Packet TMSI)가 된다. 상기 임시 번호는 일반적인 호를 사용하는 호의 경우에 할당되는 번호이며, 패킷 임시 번호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단말에 할당되는 번호이다.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 또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서는 임시의 번호 체계를 이용하지 않고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를 이용하여 더 효율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을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할당된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는 사용중인 경우에 다른 단말에 할당되지 못하도록 이를 묶어 둔다(Freeze). 이와 같이 번호를 묶어 둠으로 인해 하나의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동일한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가 할당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이 서비스가 종료되면 묶어둔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를 해제(release)하여 다른 번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이 비정상적인 종료, 또는 할당된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의 해제가 이루어지기 전에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신호가 없어지는 경우에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의 상기 임시 번호 또는 상기 패킷 임시번호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번호들은 다시 할당될 수 없게 된다. 즉, 다시 동일한 이동통신 단말이 다시 호를 접속하거나 또는 접속 요구가 있더라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전에 묶여 있는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와 다른 번호를 할당하게 된다. 이는 이미 할당된 번호가 묶여 있으므로 이를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즉, 이와 같이 임시 번호가 계속적으로 묶여 있게 되는 경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은 비정상적인 호가 발생할 경우마다 사용할 수 있는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은 그 수용능력과는 무관하게 호를 수용할 수 있는 수가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를 해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정상적으로 호가 종료된 경우 할당된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를 해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정상적인 호에 의해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의 수용능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임시로 할당되는 번호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교환 시스템의 영역으로 이동하면 미사용 테이블에 존재하는 임시 번호를 사용중 테이블로 이동하여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중 테이블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에 호가 할당되는 경우 사용중 테이블의 임시 번호를 묶임 테이블로 옮겨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호가 종료되는 경우 묶임 테이블에 저장된 임시 번호를 미사용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가 패킷 호인 경우와 일반 호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결과에 따라 각각 구비된 테이블에 이를 저장하도록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가 저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IMSI를 키 값으로 가지는 묶임 테이블의 매칭을 도시한 테이블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임시 번호 및 패킷 임시 번호의 묶임 및 묶임 해제 시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가 저장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번호가 저장되는 과정과, 묶임 및 해제에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본적으로 기지국(12)으로 위치의 등록 신호를 송출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하거나 채널을 할당받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은 고유한 번호를 가지며, 이는 전화번호와 단말기의 번호가 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의 고유한 번호는 IMSI를 이용한 번호가 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유선으로 기지국 제어기(BSC)(14)를 통해 이동통신 교환시스템(MSC16)과 연결된다. 즉 위치 등록 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16)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100)에 문의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만일 방문자 위치 등록기에 이동통신 단말(10)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홈 위치 등록기(HLR)(18)에 문의하고, 이를 통해서 방문자 위치 등록기(100)에 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양식은 IMSI의 국제규격에 의한 양식에 의해 저장된다.
또한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의 방문자 위치 등록기는 이동통신 단말(10)에 채널을 할당하여 호를 수행하는 경우 이를 관리하기 위한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를 구비하며 상기 임시 번호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사용 테이블(112)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미사용 테이블은 사용할 수 있는 임시 번호 및 패킷 임시 번호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도 1에서는 임시 번호와 패킷 임시 번호를 구분하지 않고 미사용 테이블을 도시하였다. 미사용 테이블(112)의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는 호가 형성되는 경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사용중 테이블(113)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중 테이블(113)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테이블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미사용 테이블(112)에서 삭제하고 묶임 테이블(114)에 저장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의 호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중 테이블(113)에 저장된 데이터는 삭제된다. 그리고 묶임 테이블(114)에 저장된 데이터는 다시 삭제되어 미사용 테이블에 저장된다. 상기 사용중 테이블(113)에서는 이동통신 단말(10)의 호가 정상적인 종료인 경우와 비정상적인 종료인 경우 등 호가 종료되는 경우 삭제된다. 이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111)에서 수행한다. 또한 묶임 테이블(114) 해제는 상기 사용중 테이블(113)에 존재하지 않는 번호가 저장된 경우 IMSI를 인덱스로 하여 이를 검색하고 삭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묶임 테이블의 자료 구조를 C++로 구성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면 하기 <표 1>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 include <string># include <map>const unsigned char IDS_TMSI = 0;const ubsigned char IDS_PTMSI - 1;typedef map <string, long, less<string> > FrozenIdentityListType;FrozenIdentityListType frozenIdList[2];
상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C++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묶임 테이블(114)이 C++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tandard Template Library(STL)인 맵(MAP)을 사용하여 묶임 테이블(114)의 임시 또는 패킷 임시 번호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를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묶임 테이블(114)를 구성하는데 있어 그 등록 및 검색에 IMSI를 키로 사용하므로 임시 번호와 패킷 임시 번호가 서로 다르게 구비되어야 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여기서 IMSI의 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이미 미사용 테이블(112)에서는 TMSI나 PTMSI가 이미 삭제된 상태이므로 저장되어 있는 IMSI 번호를 이용하여 검색을 해야만 한다.
이를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상기 IMSI를 키로 사용하기 위해 string class를 포함한다. 그리고 STL 맵을 사용하기 위해 맵을 포함하며, 키를 IMSI로 하고 그 값을 TMSI로 하는 자료 구조 맵 타입을 정의하였다. 또한 TMSI, P-TMSI의 데이터를 별개로 구성하기 위해 정의한 맵 구조를 배열(array)로 표현하며, 그 인덱스 값으로 사용하기 위해 IDS_TMSI, IDS_PTMSI를 정의하였다.
상기한 자료 구조는 도 2의 (a) 내지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며,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IMSI를 키 값으로 가지는 묶임 테이블의 매칭을 도시한 테이블도이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도면은 TMSI의 묶임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도 2의 (a)에 도시한 자료 구조에 따라 IMSI와 TMSI를 맵 객체에 pair<const strnig, long> 객체(object)로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각 pair(쌍)의 객체들은 IMSI 값으로 소트되어 재배열되고, 키 값을 IMSI로 검색 가능하며 맵 객체는 삽입, 삭제 검색 등의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 2의 (b)에 도시한 도면은 PTMSI의 묶임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의 (b)에 도시한 자료 구조에 따라 맴 객체는 pair<const strnig, long> 객체로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각 객체들은 IMSI 값으로 소트(sort)되어 재배열되며, 키 값으로 IMSI로 검색 가능하며 맵 객체는 삽입 삭제 및 검색 등의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임시 번호 및 패킷 임시 번호의 묶임 및 묶임 해제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임시 번호 및 패킷 임시 번호의 묶임 또는 묶임 해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200단계에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초기화 과정은 최초 전원이 투입되거나 또는 시스템에 실장되는 경우 또는 리셋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과정이다. 상기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 제어부(111)는 2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미사용 테이블(112)과 사용중 테이블(113) 및 묶임 테이블(114)을 검사하고, 변화 상태를 검사한다. 이때 변화 상태의 제어도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변화는 호의 위치 등록 또는 호의 연결 및 해제 등의 과정에 따라 상기 각 테이블들을 이동하며 저장된다. 즉, 이벤트가 발생하여 호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 미사용 테이블(112)에 저장되어 있는 TMSI 번호 중 하나를 읽어와 이를 사용중 테이블(11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202단계에서 테이블을 비교하며, 204단계로 진행하여 묶임 테이블(114)에 저장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묶임 테이블(114)에 저장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2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14단계로 진행한다. 묶임 테이블에 저장이 필요한 경우는 호를 진행하는 경우가 된다. 즉, 상기 사용중 테이블(113)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번호가 호를 진행한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1)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중 테이블(113)에 저장된 임시 번호가 패킷 호인가의'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패킷호인 경우 2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20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중 테이블(113)중 임시 번호가 저장되어 영역에서 해당하는 TMSI 번호를 삭제한다. 이와 달리 상기 진행중인 호가 패킷 호인 경우 21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중 테이블(113)에서 패킷 임시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에서 해당하는 PTMSI 번호를 삭제한다. 이와 같이 해당하는 번호가 삭제한 후 상기 제어부(111)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묶임 테이블(114)에 TMSI를 기록한다. 이를 통해 사용중인 번호에 대하여 다른호가 동일한 TMSI 또는 PTMSI 번호를 사용할 수 없게 한다. 이때 저장되는 형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임시 번호 또는 패킷 임시 번호와 함께 IMSI 번호를 저장하며, IMSI 번호를 키로 사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저장된다. 즉, 상기 도 2의 (a) 또는 (b)와 같은 형식으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묶임 테이블(114)도 임시 번호와 패킷 임시 번호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상기 번호는 해당하는 테이블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11)는 묶임 테이블에 기록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2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21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묶임 테이블(214)에 저장된 데이터 중 삭제가 필요한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이와 같은 검사는 상기 묶임 테이블(114)에 저장된 번호와 동일한 IMSI 번호의 호가 진행되는 경우 또는 위치 등록이 요구되는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21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216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묶임 테이블(114)에서 해당하는 번호를 삭제하고, 상기 삭제된 번호를 미사용 테이블(112)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비정상적으로 호가 종료되는 경우에도 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묶임 테이블에 저장된 번호의 삭제를 요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방법으로 시스템의 운용자가 묶임 테이블(114)에 저장된 번호를 미사용 테이블(112)로 옮겨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임시로 할당되어 사용되는 번호를 묶임 테이블을 이용하여 동일한 번호의 재할당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비정상적으로 처리되는 경우에도 임시적으로 할당되는 번호를 검출하여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임시로 할당되는 번호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교환 시스템의 영역으로 이동하면 미사용 테이블에 존재하는 임시 번호를 사용중 테이블로 이동하여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중 테이블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에 호가 할당되는 경우 사용중 테이블의 임시 번호를 묶임 테이블로 옮겨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호가 종료되는 경우 묶임 테이블에 저장된 임시 번호를 미사용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가 패킷 호인 경우와 일반 호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결과에 따라 각각 구비된 테이블에 이를 저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번화 번호 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KR20010008029A 2001-02-17 2001-02-17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KR10040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8029A KR100401205B1 (ko) 2001-02-17 2001-02-17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8029A KR100401205B1 (ko) 2001-02-17 2001-02-17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734A true KR20020067734A (ko) 2002-08-24
KR100401205B1 KR100401205B1 (ko) 2003-10-10

Family

ID=2769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08029A KR100401205B1 (ko) 2001-02-17 2001-02-17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5580A1 (en) * 2003-02-18 2004-09-02 Ktfreetel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number ser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5580A1 (en) * 2003-02-18 2004-09-02 Ktfreetel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number service
GB2413923A (en) * 2003-02-18 2005-11-09 Kt Freetel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number service
GB2413923B (en) * 2003-02-18 2006-06-14 Kt Freetel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number service
CN100361543C (zh) * 2003-02-18 2008-01-09 客得富移动通信股份有限公司 用于提供虚拟号码业务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1205B1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1006C (zh) 用于获得通信网络中被监控用户的识别信息的方法和系统
US6381456B1 (en) Method for managing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084578C (zh) 用于电信系统中的人工访问者的归属位置登记器
KR10026933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홈위치등록기관리시스템및이를이용한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KR100735341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의 데이터 리드 속도 개선 방법 및 장치
CN100488203C (zh) 提高数据处理速度的方法和设备
CN1100469C (zh) 移动通信终端设备地区相关地登记的方法
KR100401205B1 (ko)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 번호데이터 베이스 관리 방법
US6415160B1 (en) Device for managing data in a mobile telephone
EP2431880A1 (en) Database device, database matching system, and database matching method
KR100564755B1 (ko) 연속적인 usim카드 응용 로딩 방법
JPH0563640A (ja) 移動通信ローミング方式およびローミング番号管理方式
EP1435188B1 (en) Method for retaining subscriber data contained in msc/vlr after system restart
CN1197423C (zh) 在移动通信系统中管理用户位置信息的方法
CN100417237C (zh) 移动通信系统中拜访用户数据的分布式处理方法
KR100308409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자원관리구조및이를이용한자원관리방법
EP0827354A2 (en)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s
US8725155B2 (en) Process for updating location information
CN1278986A (zh) 用于无绳电信的装置、网络和方法
KR10031375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페이징 처리방법
JP3245788B2 (ja) 移動端末の契約情報キャッシュ方法
KR10057546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hlr의 esn 정보 관리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EP1156691A1 (en) Method and devices for the location upd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02438A (ko) 방문자 위치 등록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분산 방법
KR20020024670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국제이동가입자식별 정보 관리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