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119A -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119A
KR20020067119A KR1020010007499A KR20010007499A KR20020067119A KR 20020067119 A KR20020067119 A KR 20020067119A KR 1020010007499 A KR1020010007499 A KR 1020010007499A KR 20010007499 A KR20010007499 A KR 20010007499A KR 20020067119 A KR20020067119 A KR 20020067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related information
analog
monit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0047B1 (ko
Inventor
유해석
한춘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0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완전한 인터페이스를 가능하도록 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PC로부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PC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메모리부와, 제 1 및 제 2 메모리부중 어느 하나와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칭부와,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선택신호 또는 PC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PC의 영상포맷(아날로그/디지털)을 파악하고 해당 영상포맷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가 PC로 출력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이중 아날로그 신호 입력이 가능하고 디지털/아날로그 신호 각각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하여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모니터와 PC간의 완전한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Apparatus for Processing Display Data of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LCD 패널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모니터와 PC간의 인터페이스가 기존의 아날로그 R/G/B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이 아닌 디지털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의 이용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LCD 모니터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방식 즉, DDWG(Digital Display Working Group)에서 규정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표준으로서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기술을 이용한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DDWG에 의해서 제안된 DVI 인터페이스 방식은 DVI-D 방식과 DVI-I방식이 있는데 DVI-D 방식은 아날로그 입력이 지원되지 않고 디지털 인터페이스만을 지원하는 반면, DVI-I 방식은 디지털 인터페이스 외에 기존의 방식인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와의 호환이 가능하도록 아날로그 R/G/B/H/V 신호를 지원하는 포맷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LCD 모니터에는 일반적으로 D-Sub 및 DVI-I 방식을 이용한 포트가 구비된다.
이때, 모니터는 상기 DVI-I 포트에 디지털 방식의 그래픽 카드를 구비한 PC가 연결되는 경우,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인 디지털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상기 DVI-I 포트를 통해 상기 PC로 전송하고, D-Sub 포트에 아날로그 방식의 그래픽 카드를 구비한 PC가 연결되는 경우, 아날로그 EDID를상기 D-Sub 포트를 통해 상기 PC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에는 모니터의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특성 등이 정의되어 있으므로 PC에서 해당 모니터의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는 PC(10)로부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PC(10)로 출력하기 위한 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22)와, 상기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부(21)와, 상기 PC(10)로부터 디지털/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그 중 하나의 해당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PC(10)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24)와, 그리고,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 중 하나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로 모니터의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특성이 정의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10)의 그래픽 카드가 디지털 방식인 경우, DVI-I 포트(24)를 통해 모니터(20)와 PC(10)를 DDC(Display Data Channel) 라인으로 연결한다.
이어서 모니터(20)는 상기 제 1 메모리부(23)에 저장된 디지털 EDID를 PC(10)로 전송한다. 그리고 PC(10)는 상기 EDID에 따라 상기 모니터(20)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도록 DVI-I(24)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모니터(20)는 상기 영상신호를 일련의 영상처리과정을 거쳐 화면상에 표시한다.
한편, PC(10)의 그래픽 카드가 아날로그 방식인 경우, D-Sub 포트(22)를 통해 모니터(20)와 PC(10)를 DDC(Display Data Channel) 라인으로 연결한다.
이어서 모니터(20)는 상기 제 2 메모리부(21)에 저장된 아날로그 EDID를 PC(10)로 전송한다. 그리고 PC(10)는 상기 EDID에 따라 상기 모니터(20)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도록 D-Sub(22)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모니터(20)는 상기 영상신호를 일련의 영상처리과정을 거쳐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때, 모니터(20) 자체의 설정메뉴를 통해 상기 두 개의 포트(DVI-I/D-Sub)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포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입력신호가 한 포트에만 연결되어 있을 경우는 상기 모니터(20)에서 자동적으로 포트를 인식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는 DVI-I 인터페이스 방식이 적용되어 디지털 신호 입력 및 아날로그 신호 입력을 지원하지만, EDID를 PC로 전송하기 위한 DDC(Display Data Channel) 라인이 하나의 채널만으로 구성되고 EDID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또한 하나이므로 디지털 EDID 또는 아날로그 EDID중 하나만을 지정하여 저장한다.
즉, 아날로그 EDID가 지정되어 있으면 디지털 신호 입력시 부팅이 되지 않고 디지털 EDID가 지정되어 있으면 아날로그 신호 입력시 부팅이 되지 않으므로 PC 및 모니터간에 정확한 데이터 인터페이싱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 EDID에 대한 각각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입력 영상신호의 포맷(아날로그/디지털)에 따라 해당 EDID가 출력되도록 하여 디지털/아날로그 신호에 상관없이 모니터와 PC간의 완전한 인터페이스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PC 200: 모니터
210: 제 3 메모리부 220: D-Sub
230: 제 1 메모리부 240: 제 2 메모리부
250: 스위칭부 260: DVI-I
270: 마이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는 PC로부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PC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메모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중 어느 하나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칭부와,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선택신호 또는 상기 PC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PC의 영상포맷(아날로그/디지털)을 파악하고 해당 영상포맷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가 상기 PC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는 PC로부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PC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와 공통 연결된 제 1 및 제 2 메모리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를 포함한 모니터 각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선택신호 또는 상기 PC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PC의 영상포맷(아날로그/디지털)을 파악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중 해당 영상포맷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구성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구성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 제 1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는 PC(100)로부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PC(100)로 출력하기 위한 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220)와, 상기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3 메모리부(210)와, 상기 PC(100)로부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PC(100)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260)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메모리부(230, 240)와,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230, 240)중 어느 하나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260)를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칭부(250)와,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선택신호 또는 상기 PC(100)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PC(100)의 영상포맷(아날로그/디지털)을 파악하고 해당 영상포맷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가 상기 PC(100)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250)를 제어하는 마이컴(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220)는 D-Sub 포트이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260)는 DVI-I 포트이며, 모니터 자체의 설정메뉴를 통해 상기 두 개의 포트(D-Sub/DVI-I)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포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입력신호가 한 포트에만 연결되어 있을 경우는 상기 모니터(200)에서 자동적으로 포트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모니터의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특성을 정의하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로 PC(100)로부터 DVI-I(260)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디지털/아날로그 EDID는 각각 제 1 메모리부(230)와 제 2 메모리부(240)에 저장되고, D-Sub(220)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 EDID는 제 3 메모리부(21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PC(100)의 그래픽 카드가 아날로그 방식인 경우, D-Sub 포트(220)를 통해 모니터(200)와 PC(100)를 DDC(Display Data Channel) 라인으로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모니터(200)는 제 3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아날로그 EDID를 PC(100)로 전송하고 상기 PC(100)는 상기 아날로그 EDID에 따라 모니터(200)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도록 D-Sub(220)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200)는 상기 영상신호를 일련의 영상처리과정을 거쳐 화면상에 표시한다.
한편, PC(100)의 그래픽 카드가 디지털 방식인 경우, DVI-I 포트(260)를 통해 모니터(200)와 PC(100)를 DDC(Display Data Channel) 라인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PC(100)에서 DVI-I(260)를 통해 디지털/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270)은 OSD를 통한 사용자 외부입력 및 외부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PC(100)로부터 입력된 영상포맷(디지털/아날로그 신호)을 파악하여 스위칭부(2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PC(100)의 영상포맷이 디지털 신호인 경우, 상기 마이컴(270)의 제어신호에 따라 DDC 라인이 상기 스위칭부(250)를 통해 제 1 메모리부(230)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디지털 EDID는 상기 PC(100)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PC(100)의 영상포맷이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상기 마이컴(270)의 제어신호에 따라 DDC 라인이 상기 스위칭부(250)를 통해 제 2 메모리부(240)로연결되고 상기 제 2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아날로그 EDID는 상기 PC(100)로 전송된다.
이어서, 상기 PC(100)는 상기 모니터(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EDID에 따라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도록 DVI-I(260)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200)는 상기 영상신호를 일련의 영상처리과정을 거쳐 화면상에 표시한다.
- 제 2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는 PC(300)로부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PC(300)로 출력하기 위한 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420)와, 상기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3 메모리부(410)와, 상기 PC(300)로부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PC(300)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450)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450)와 공통 연결된 제 1 및 제 2 메모리부(430, 440)와,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430, 440)를 포함한 모니터(400) 각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60)와,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선택신호 또는 상기 PC(300)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PC(300)의 영상포맷(아날로그/디지털)을 파악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430, 440)중 해당 영상포맷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460)를 제어하는 마이컴(4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420)는 D-Sub 포트이며,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450)는 DVI-I 포트이며, 모니터 자체의 설정메뉴를 통해 상기 두 개의 포트(D-Sub/DVI-I)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포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입력신호가 한 포트에만 연결되어 있을 경우는 상기 모니터(400)에서 자동적으로 포트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PC(300)의 그래픽 카드가 아날로그 방식인 경우, 그 세부동작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PC(300)의 그래픽 카드가 디지털 방식인 경우, DVI-I 포트(450)를 통해 모니터(400)와 PC(300)를 DDC(Display Data Channel) 라인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PC(300)에서 DVI-I(450)를 통해 디지털/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470)은 OSD를 통한 사용자 외부입력 및 외부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PC(300)로부터 입력된 영상포맷(디지털/아날로그 신호)을 파악하여 전원공급부(4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PC(300)의 영상포맷이 디지털 신호인 경우, 상기 마이컴(470)의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460)는 제 1 메모리부(430)에 전원을 공급하여 DDC 라인이 상기 제 1 메모리부(430)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메모리부(430)에 저장된 디지털 EDID를 상기 PC(3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PC(300)의 영상포맷이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상기 마이컴(4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460)는 제 2 메모리부(440)에 전원을 공급하여 DDC 라인이 상기 제 2 메모리부(440)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메모리부(440)에 저장된 아날로그 EDID를 상기 PC(3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46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메모리부는 오프된 상태이다.
이어서, 상기 PC(300)는 상기 모니터(400)로부터 전송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EDID에 따라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도록 DVI-I(450)를 통해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400)는 상기 영상신호를 일련의 영상처리과정을 거쳐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는 디지털/아날로그 영상신호 입력에 상관없이 모니터와 PC간의 완전한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PC로부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PC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메모리부;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중 어느 하나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칭부;
    사용자의 입력선택신호 또는 상기 PC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PC의 영상포맷(아날로그/디지털)을 파악하고 해당 영상포맷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가 상기 PC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는 DVI-I 포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4. PC로부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해당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상기 PC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관련정보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 입/출력부와 공통 연결된 제 1 및 제 2 메모리부;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를 포함한 모니터 각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사용자의 입력선택신호 또는 상기 PC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PC의 영상포맷(아날로그/디지털)을 파악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부중 해당 영상포맷에 따른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KR10-2001-0007499A 2001-02-15 2001-02-15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KR100370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499A KR100370047B1 (ko) 2001-02-15 2001-02-15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499A KR100370047B1 (ko) 2001-02-15 2001-02-15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119A true KR20020067119A (ko) 2002-08-22
KR100370047B1 KR100370047B1 (ko) 2003-02-06

Family

ID=2769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499A KR100370047B1 (ko) 2001-02-15 2001-02-15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04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436A (ko) * 2002-12-06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카드 접속장치 및 방법
KR100436183B1 (ko) * 2002-10-09 2004-06-12 한국과학기술원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그래픽 처리용 후-정렬시스템
KR100471062B1 (ko) * 2001-12-08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인터페이스를 갖는 lcd모니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78111A (ko) * 2004-01-30 2005-08-04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 처리를 위한 디지털 비디오인터페이스 인테그레이션 컨넥터 시스템
CN100349144C (zh) * 2003-09-23 2007-11-14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单元及其控制方法
KR100796174B1 (ko) * 2006-12-26 2008-01-21 주식회사 에이텍 디지털/아날로그 영상신호 케이블
WO2008023914A1 (en) * 2006-08-21 2008-02-28 Opticis Co., Ltd. Ddc communication module
KR100910910B1 (ko) * 2002-11-14 2009-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US8558757B2 (en) 2004-01-19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62B1 (ko) * 2001-12-08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인터페이스를 갖는 lcd모니터 및 그 제어방법
KR100436183B1 (ko) * 2002-10-09 2004-06-12 한국과학기술원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그래픽 처리용 후-정렬시스템
KR100910910B1 (ko) * 2002-11-14 2009-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KR20040049436A (ko) * 2002-12-06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카드 접속장치 및 방법
CN100349144C (zh) * 2003-09-23 2007-11-14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单元及其控制方法
US8558757B2 (en) 2004-01-19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KR20050078111A (ko) * 2004-01-30 2005-08-04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디스플레이 데이터 채널 처리를 위한 디지털 비디오인터페이스 인테그레이션 컨넥터 시스템
WO2008023914A1 (en) * 2006-08-21 2008-02-28 Opticis Co., Ltd. Ddc communication module
KR100796174B1 (ko) * 2006-12-26 2008-01-21 주식회사 에이텍 디지털/아날로그 영상신호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0047B1 (ko)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4202B2 (ja) 表示装置
JP3942986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
US20060114248A1 (en) Displ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3668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setting a display information if optionally changed display information is not suitable for extended display information data (EDID) of a monitor
US7123248B1 (en) Analog multi-display using digital visual interface
KR20040032271A (ko) 커넥터 타입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식 정보 출력 장치 및방법
KR20010011958A (ko) 컴퓨터 시스템의 영상정보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370047B1 (ko)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KR10052661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저장매체
US8427392B2 (en) Circuit for detecting an external display device adapted to notebook computer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KR10045272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26825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418882B1 (ko) Lcd 모니터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45865B1 (ko) 모니터 및 이를 이용한 해상도 조절 방법
KR10037722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04410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88525B1 (ko) 컴퓨터
KR100910910B1 (ko)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처리장치
KR100873134B1 (ko) 모니터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신호 표시 방법
KR20040032384A (ko) 컴퓨터로 디스플레이 장치 설정 상태를 조정하는 방법과그 장치
KR20040049436A (ko) 그래픽 카드 접속장치 및 방법
KR20000009309A (ko) 모니터 제어 장치
KR2006000440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50039428A (ko)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20030021936A (ko) 모니터 및 그 가시화면 조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