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869A - 카탈로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카탈로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869A
KR20020066869A KR1020010007309A KR20010007309A KR20020066869A KR 20020066869 A KR20020066869 A KR 20020066869A KR 1020010007309 A KR1020010007309 A KR 1020010007309A KR 20010007309 A KR20010007309 A KR 20010007309A KR 20020066869 A KR20020066869 A KR 20020066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og
catalogue
supplier
management
auth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네트
Priority to KR102001000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6869A/ko
Publication of KR2002006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869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탈로그 관리자가 공급자의 카탈로그를 게시할 때에 작업에 대한 일정 비율 혹은 건 단위 별로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고 공급자는 카탈로그에 대한 저작과 광고 게시를 이용하여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카탈로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자가 접속함에 따라 카탈로그 관리 서버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1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인증 결과 정당한 공급자인 경우에 카탈로그 저작 기능이 구비된 화면을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공급자가 카탈로그 입력과 카탈로그 수정 중에 하나의 카탈로그 저작 방법을 선택함에 따라 카탈로그 저작 화면을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급자가 카탈로그 저작을 수행함에 따라 관리자 또는 공급자로 하여금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카탈로그를 카탈로그 저장소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관리자가 정제 과정을 수행하고, 정제 처리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제공하며, 비용을 청구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공급자가 비용을 결제하면 카탈로그를 게시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탈로그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카탈로그 관리 방법{Catalog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카탈로그 관리자가 공급자의 카탈로그를 게시할 때에 작업에 대한 일정 비율 혹은 건 단위 별로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고 공급자는 카탈로그에 대한 저작과 광고 게시를 이용하여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카탈로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상거래에서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상품정보에 대한 단순한 의사전달의 수단으로서 종이 카탈로그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카탈로그의 역할이 좀더 효율적인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 수단으로서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이고 실제 거래의 창구 역할 수행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발전되었다.
한편, 인터넷의 보편화와 함께 컴퓨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술도 급속도로 발전됨에 따라 이를 상업적으로 활용하기에 이르렀다. 이 영향으로 종이 카탈로그 형태가 컴퓨터상에서 동적으로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카탈로그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이 전자 카탈로그는 앞서 언급하였던 향후의 카탈로그 요구 사항인 상품 정보를 보고 구매 의사결정 즉 카탈로그 상에서 직접 거래가 이루어지는 창구 역할을 수행하는 일도 충분히 잘 만족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판매자와 구매자의 요구를 만족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전자 카탈로그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시대로 들어서게 되었다.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 카탈로그도 크게 나누면 세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기존의 종이 카탈로그 형태를 종이에 CD에 담아 배포함으로써 통신을 통하지 않고 CD를 컴퓨터에서 작동시킴으로써 상품 정보를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주문토록 하는 방법이 있다.
둘째, 가입된 회원들에게만 개방이 되어 있는 하이텔, 천리안, 유니텔, 나우누리 등 PC통신을 이용한 상품 카탈로그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이같은 PC 통신 카탈로그는 화면이 문자 위주로 되어 있어 그림 혹은 사진 형태의 상품을 볼 수 없는 단점과 폐쇄적 통신을 쓴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PC 통신을 이용한 상품 카탈로그의 예를 도 1이 보여주고 있다.
셋째, 인터넷의 출현과 함께 개방된 통신과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이버 상에서 상품이 소개되는 웹 기반 전자 카탈로그를 들 수 있다. 이것은 그간의 여러 종류의 카탈로그가 갖고 있던 문제점들을 많은 부분 해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소개시 제약 조건이었던 문자, 그림,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를 처리할 수 있고, 좀더 관심 있는 부분에 대해 추가적 설명이 필요하면 하이퍼 링크를 통하여 상세한 설명을 해줄 수도 있다. 또한 이것은 기존 단순한 카탈로그 개념의 차원을 넘어서 하나의 상점 혹은 쇼핑몰의 성격을 갖고 있다.
말하자면 고객이 구매할 상품을 결정한 후 컴퓨터 화면상의 쇼핑백에 상품을 집어 넣은 후 주문 확인 단추를 누르면 자동으로 대금 결제가 이루어지며 상품이 원하는 장소에 배달된다. 웹 기반의 전자 카탈로그의 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e마켓플레이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의 사전적 의미는 「장터」다. 따라서 e마켓플레이스는 「사이버시장」을 일컫는다. 이곳에서는 판매자와 구매자가 시공을 초월해 언제 어느 때든 직간접 접촉을 통해 실거래를 일으킬 수 있다.
최근에 기업들은 대기업과 중소업체, 온라인 IT기업이나 오프라인 굴뚝업체 등 규모와 업종에 관계없이 e마켓플레이스를 통한 e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해 경쟁과 제휴를 거듭하고 있다.
e마켓플레이스의 기원에 대해서는 전문가마다 다소 이견은 있으나 90년대 중반 GE의 TMP시스템과 같은 미국내 대기업의 전자조달구매를 현 e마켓플레이스 형태의 기원으로 보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전자상거래는 특정 기업과 수직적 관계에 있는 업체들간 거래가 전부다시피 했다. 현재 e비즈니스에 가장 빠른 적응을 보이고 있는 분야도 업종별(vertical) e마켓플레이스다. 그 후 발전적으로 철강, 섬유, 자동차, 가전 산업 등 업종별로 수직적인 e마켓플레이스를 형성하는 것이 변화의 방향이다.
이러한 e 마켓플레이스에서 관리자 또는 카테고리 공급자로 하여금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카탈로그를 고유의 저장소로 제공하고 관리자는 이에 대한 게시(정제) 권리와 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어 Market Place 측은 공급자 카탈로그를 게시하는 작업에 대한 일정 비율 혹은 건 단위별로 수익을 낼 수 있고 공급자는 카탈로그에 대한 저작과 광고 게시의 권리를 이용하여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arketplace 관리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전시 카탈로그를 별도로 등록할 수 있어 특정 공급자의 카탈로그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한 액세스 카운터별 가격 정책에 따라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필요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e 마켓플레이스에서 관리자 또는 카테고리 공급자로 하여금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카탈로그를 고유의 저장소로 제공하고 관리자는 이에 대한 게시(정제) 권리와 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어 Marketplace 측은 공급자 카탈로그를 게시하는 작업에 대한 일정 비율 혹은 건 단위별로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고 공급자는 카탈로그에 대한 저작과 광고 게시의 권리를 이용하여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카탈로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Marketplace 관리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전시 카탈로그를 별도로 등록할 수 있어 특정 공급자의 카탈로그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한 액세스 카운터별 가격 정책에 따라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카탈로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PC 통신을 이용한 상품 카탈로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웹 기반의 전자 카탈로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전자 카탈로그의 계층도이다.
도 4는 카탈로그에 대한 개념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전자 카탈로그의 저작 및 관리에 있어서 편이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카탈로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탈로그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급자 200 : 카탈로그 관리 서버
210 : 템플리트 관리부 220 : 제어부
230 : 로직 관리부 240 : 카탈로그 저장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급자가 접속함에 따라 카탈로그 관리 서버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1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인증 결과 정당한 공급자인 경우에 카탈로그 저작 기능이 구비된 화면을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공급자가 카탈로그 입력과 카탈로그 수정 중에 하나의 카탈로그 저작 방법을 선택함에 따라 카탈로그 저작 화면을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급자가 카탈로그 저작을 수행함에 따라 관리자 또는 공급자로 하여금 관리하고 제공할 수있도록 카탈로그를 카탈로그 저장소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관리자가 정제 과정을 수행하고, 정제 처리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제공하며, 비용을 청구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공급자가 비용을 결제하면 카탈로그를 게시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전자 카탈로그의 계층도로서, 전자 카탈로그는 Production layer, Core layer, Sales layer 로 나눌 수가 있다.
Production layer는 최종 소비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정보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Core layer는 상품 관련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Sales layer는 판매와 관련된 상거래정보와 배송에 필요한 정보 및 제조/판매 업체 정보를 가지고 있다.
한편, 아래 (표 1)은 전자 카탈로그 관련 표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카탈로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운영상 표준화가 필요하다.
구 분 내 용 비 고
상품분류체계 상품 분류체계의 구축-품목 분류 코드 체계(HS, UN/SPSC)-품목 식별 코드 체계(ISIC, NAICS...) 내용적구성요소
게시표준 상품분류체계에 따른 상품 속성정보 정의(content)
전송표준 상품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프로토콜(HTTP, X.400, X.435, FTP, SMTP 등) 기술적구성요소
포맷표준 상품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형태에 관한 표준안(XML)
표현표준 전송된 상품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내기의한 스타일 시트(CSS, XSL, DSSSL 등)
디렉토리 서비스 카탈로그 및 목록 등에 사용되는 디렉토리 표준(X.500, LDAP)
한편, 쇼핑몰과 마켓플레이스 운영에서 Transactive Catalog System 운영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엔드 유저(end user)는 여기에서 거래를 할 때 항상 자신이 원하는 품목의 카탈로그가 존재하기를 바라며, 공급자의 현재 가용성(availability)과 가격을 체크하게 된다.
그래서, 카탈로그는 쇼핑몰과 마켓플레이스의 전체 트랜잭션 프로세스에 연결되어 있는 Transactive Content가 되어야 한다. 기업간의 전자구매 솔루션으로서 카탈로그 관리(Catalog Management)는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기업 내에서, 특히 지역적으로 분산된 기업에서 상호 구매정보의 부재로 인하여 비효율적인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전자카탈로그를 통하여 가격 정보 및 계약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이러한 비효율성을 제거할 수가 있으며, 구매 셀프 서비스 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하여 종업원 각자가 Catalog의 내용을 검색하고 구매를 실행, 구매 부서의 개입을 최소화해 각 구매 행위에 들어가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카탈로그에 대한 개념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한적(폐쇄적) 전자상거래(일예로 전용망, VAN망)에서는 단일성, 통일성, 수직성을 강조하였으나, 개방적 전자상거래(일예로 인터넷망)에서는 유연성(Flexibility), 호환성(Interchangeability), 편이성(Ease to use)을 강조하고 있다.
즉, 기업의 산업 특성, 구매하는 아이템의 성격에 따라 분류, 수집, 정제, 검색 관리기능을 공급자, 구매자 혹은 Third-Party aggregator 가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성을 제공하고, XML 기반의 오픈 아키텍쳐로 각 기업의 ERP, SCM, 기타 Legacy와의 Seamless한 연동이 가능하며, 외부 컨텐츠와도 호환이 가능해 글로벌한 전자카탈로그를 구축 가능하도록 하며, Self-Service 카탈로그를 통해 전문가 아닌 일반인도 웹 기반의 편리하게 저작이 가능하고, 손쉽게 관련정보의 내용을 검색하도록 하였습니다.
도 5는 전자카탈로그의 저작 및 관리에 있어서 편이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급자와 구매자 그리고 관리자가 카탈로그를 저작하고 관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카탈로그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공급자(1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카탈로그 관리 서버(CMS Server)(2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카탈로그 관리 서버(CMS Server)는 템플리트 관리부(210), 제어부(220), 로직 관리부(230), 카탈로그 저장소(2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탈로그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데, 그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카탈로그 검색(Catalog Search) 기능은 카탈로그 검색 엔진을 통한 풀 텍스트 키워드(Full text Keyword) 검색, 조건별 검색, 유의어(Thesaurus) 검색을 제공한다.
2) 카테고리 검색(Category Search) 기능은 등록된 카탈로그 정보를 카테고리(분류코드)에 의한 트리 구조 검색과 유의어 검색 및 code 검색을 지원하며, 검색한 카탈로그를 북마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 카탈로그 비교(Catalog Comparison) 기능은 검색된 카탈로그 결과에 대한 비교 기능을 제공하며, 카탈로그들 간의 속성정보(기본속성, 상세속성)를 비교할 수 있다.
4)자가 카탈로그 업로딩 제공 기능(Self-Service Upload Catalog funtion)은 공급자가 카탈로그를 Flat File 또는 Excel 포맷, XML/EDI 형태의 Bulk로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이때 카테고리 표시 방식은 Top-Down방식 또는 Tree 형태로 볼 수 있으며, Catalog Field 정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5)자가 카탈로그 입력 기능(Self-Service Catalog Input)은 공급자가 개별로 카탈로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입력 양식 또한 카테고리별(품목별)로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6)카탈로그 브라우징 기능은 회원 자신의 카테고리를 구성하고, 관심 카탈로그를 연결하여 빠르고, 쉽게 검색하여 볼 수 있도록 하였다.
7)Catalog Form Wizard는 카테고리 등록시 분류 카테고리와 상품 카테고리를 구분하여 생성하여 주게 된다.
여기에서 분류 카테고리와 상품 카테고리를 구분하여 생성하게 되는 이유는 상품 카테고리는 저장할 카테고리에 대한 템플릿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템플릿을 생성하기 위해 기 등록된 카탈로그 탬플릿을 사용하실 수 있으며, 복사버튼을 이용해 Copy and Paste로 템플릿을 수정하여 등록 또는 신규로 만들 수 있다.
카테고리에 대한 속성정의는 동적으로 추가하고 설정한 후 저장을 하면 자동으로 상품 카테고리가 생성되고 카탈로그 유형이 등록된다. 여기에서 상세 검색 항목을 지정할 수 있으며, 타 품목과 다른 D.T.D Style을 가질 수 있다.
8)정제 관리(Refinery Management) 기능은 공급자가 등록한 상품에 대한 운영자가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공급자가 등록한 상품에 대하여 운영자가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표준 카탈로그로 등록할 수 있다. 정제되지 않는 카탈로그 리스트(Unrefined Catalog list)는 공급자별로 일자별로 검색 또는 상품명, 상품ID로 검색하고, 정제 처리 버튼을 통하여 검수 승인한다.
한편, Log Management를 통해서 정제 처리에 대한 이력(History) 정보를 볼 수 있으며, 일자별 회사별로 검색하여 Status 확인이 가능하다.
9) 표준 카탈로그 관리 기능(Standard Catalog Management)은 표준 카탈로그및 카테고리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정제된 카탈로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카탈로그를 신규로 등록하거나 삭제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카탈로그에 대한 내용을 다운로드 하여 엑셀문서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업로드하여 입력, 수정할 수 있다.
업로드 기능을 사용하여 다량의 카탈로그를 업로드하여 등록 할 수 있다.
10) 스타일 시트 선택(Style Sheet Selection) 기능은 스타일 등록기를 이용하여 카탈로그에 적용될 디스플레이 정보를 자유로이 등록하고 변경할 수 있다.
스타일 시트는 적용 전에 미리 볼 수 있으며, 관리자 화면 그리고 프론트 화면에 적용할 수 있다.
11) 복구 관리 기능(Recovery Management)은 삭제된 카테고리에 대한 복구 기능을 제공하며, 삭제된 카테고리는 일단 휴지통에 들어가고 휴지통을 완전히 비우기 전까지는 다시 복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탈로그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공급자(Seller)가 통신망을 통하여 카탈로그 관리 서버에 접속하면(단계 S101),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103). 이때 사용자 인증 결과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거나 기등록된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회원 가입 화면을 제공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도록 하고,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ID와 패스워드를 재입력하도록 한다. 회원가입은 공급자와 판매자로 나누어 진행될 수 있으며 공급자인 경우에는 사업자 등록번호 등의 기입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증이 끝나고 정당한 사용자로부터 로그인이 허용된 경우에는 카탈로그 저작 기능이 구비된 웹페이지를 제공한다(단계 S105). 그리고 제공된 웹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카탈로그 저작 방법 즉 카탈로그를 입력할 것인지 또는 카탈로그를 수정할 것인지를 선택함에 따라(단계 S107), 선택된 카탈로그 저작에 있어서 일괄적으로 입력할 것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09).
판단 결과, 일괄 입력 방식을 선택하며 일괄 입력 방식에 따라 다량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다량의 데이터를 일괄 수신(Download)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13).
판단 결과, 단일 입력 방식을 선택하면 Validation Rule을 카탈로그 템플릿으로부터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하며(단계 S111), 단일 입력을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115).
이때 일괄 입력 및 일괄 수신에 대한 지원 형식은 카테고리 별로 관리되는 속성정보에 따라 다르게 관리되고, Tab으로 구분된 Flat File 양식과 엑셀 양식을 지원한다. 입력뿐만 아니라 수정에 대한 규칙도 일괄 입력 방법에 따라 일괄 수정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공급자가 쉽게 카탈로그를 생성할 수 있도록 Catalog Form Wizard를 제공하며, Bulk의 자료를 품목별 템플릿로 업로딩 또는 다운로딩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관리자 또는 카탈로그 공급자로 하여금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카탈로그를 고유의 저장소에 제공하며(단계 S117), 관리자는 이에 대한 게시(정제) 권리와 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어 정제 과정(Refinery Management)을 수행한다(단계 S119).
다음에, 정제 처리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고 게시 비용을 청구하게 되는데(단계 S121), 게시하는 작업에 대한 일정 비율 혹은 건 단위 별로 비용을 청구하게 된다.
이후에, 청구한 게시 비용에 대하여 비용 처리가 완료되면(결제 수단으로 다양한 수단이 있을 수 있는데 신용카드 결제, 선납 결제, 공제 결제, 현금 결제 등등)(단계 S123), 카탈로그를 게시한다(단계 S125).
한편, 공급자는 자신의 카탈로그상에 배너 광고등을 제공함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마켓플레이스 관리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전시 카탈로그를 별도로 등록할 수 있어 특정 공급자의 카탈로그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해 엑세스 카운트별 가격 정책에 따라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e 마켓플레이스에서 관리자 또는 카테고리 공급자로 하여금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카탈로그를 고유의 저장소로 제공하고 관리자는 이에 대한 게시(정제) 권리와 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어 Marketplace 측은 공급자 카탈로그를 게시하는 작업에 대한 일정 비율 혹은 건 단위별로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고 공급자는 카탈로그에 대한 저작과 광고 게시의 권리를 이용하여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Marketplace 관리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전시 카탈로그를 별도로 등록할 수 있어 특정 공급자의 카탈로그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한 액세스 카운터별 가격 정책에 따라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급자가 접속함에 따라 카탈로그 관리 서버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1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사용자 인증 결과 정당한 공급자인 경우에 카탈로그 저작 기능이 구비된 화면을 제공하는 제 2 단계;
    상기 공급자가 카탈로그 입력과 카탈로그 수정 중에 하나의 카탈로그 저작 방법을 선택함에 따라 카탈로그 저작 화면을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급자가 카탈로그 저작을 수행함에 따라 관리자 또는 공급자로 하여금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카탈로그를 카탈로그 저장소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관리자가 정제 과정을 수행하고, 정제 처리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제공하며, 비용을 청구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공급자가 비용을 결제하면 카탈로그를 게시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탈로그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제공되는 카탈로그 저작 화면에는 일괄 입력 방식과 단일 입력 방식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탈로그 관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제공하는 비용 청구는 카탈로그를 게시하는 작업에 대한 일정 비율 혹은 건 단위 별로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탈로그 관리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는 자신의 카탈로그 제공화면에 배너 광고를 유치하여 배너 광고 제공자로부터 광고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탈로그 관리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전시 카탈로그를 별도로 등록할 수 있어 특정 공급자의 카탈로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해 엑세스 카운터(Access Counts)별 가격 정책에 따라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탈로그 관리 방법.
KR1020010007309A 2001-02-14 2001-02-14 카탈로그 관리 방법 KR20020066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309A KR20020066869A (ko) 2001-02-14 2001-02-14 카탈로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309A KR20020066869A (ko) 2001-02-14 2001-02-14 카탈로그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869A true KR20020066869A (ko) 2002-08-21

Family

ID=2769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309A KR20020066869A (ko) 2001-02-14 2001-02-14 카탈로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68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894A (ko) * 2001-06-28 2003-01-08 이철우 네트 워크를 통한 홍보물 제작 방법 및 그 장치
US11797316B2 (en) 2021-10-08 2023-10-2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feature level application director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490A (en) * 1992-04-10 1996-06-18 Charles E. Hill & Associates, Inc. Electronic catalog system and method
US6072481A (en) * 1997-09-10 2000-06-06 Comnes Co., Ltd Electronic catalog data creating and/or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00036762A (ko) * 2000-03-28 2000-07-05 김기횡 인터넷 상에서의 사이버 광고게시판을 이용한 광고방법
KR20000073435A (ko) * 1999-05-11 2000-12-05 김진호 웹카탈로그 및 관리자 메뉴를 이용한 네트웍크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9580A (ko) * 2000-04-29 2001-11-09 조운제 대화식 3차원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카탈로그의편집 발송 방법 및 장치
KR20020009312A (ko) * 2000-07-26 2002-02-01 전창오 전자상거래를 위한 디지털 상품 카탈로그 라이브러리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66719A (ko) * 2001-02-13 2002-08-21 주식회사 매크로 이십일 전자 카탈로그 식별 및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490A (en) * 1992-04-10 1996-06-18 Charles E. Hill & Associates, Inc. Electronic catalog system and method
US6072481A (en) * 1997-09-10 2000-06-06 Comnes Co., Ltd Electronic catalog data creating and/or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00073435A (ko) * 1999-05-11 2000-12-05 김진호 웹카탈로그 및 관리자 메뉴를 이용한 네트웍크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36762A (ko) * 2000-03-28 2000-07-05 김기횡 인터넷 상에서의 사이버 광고게시판을 이용한 광고방법
KR20010099580A (ko) * 2000-04-29 2001-11-09 조운제 대화식 3차원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카탈로그의편집 발송 방법 및 장치
KR20020009312A (ko) * 2000-07-26 2002-02-01 전창오 전자상거래를 위한 디지털 상품 카탈로그 라이브러리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66719A (ko) * 2001-02-13 2002-08-21 주식회사 매크로 이십일 전자 카탈로그 식별 및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894A (ko) * 2001-06-28 2003-01-08 이철우 네트 워크를 통한 홍보물 제작 방법 및 그 장치
US11797316B2 (en) 2021-10-08 2023-10-2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feature level application directo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13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AU2011276949B2 (en) A system for electronic transactions
US201201977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US20110125611A1 (en) Optimized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KR20010088125A (ko) 인터넷 상에서의 매스미디어의 광고필드 판매방법
WO20121034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KR20200137146A (ko) 고유url 코드를 이용한 판매업체와 마케터간 기간제 마케팅 시스템
KR101124346B1 (ko) 전자창고를 이용한 오픈마켓형 전자 상거래 방법
KR101603009B1 (ko)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6766A (ko) 편집형 온라인 소호몰 구축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00037057A (ko) 통일된 연결도메인을 통한 다자대 다자간 인터넷컨텐츠제공 및 전자상거래 통합운용 방법
KR101870938B1 (ko) 사업자 전용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KR20010000091A (ko) 인터넷 철강자재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66869A (ko) 카탈로그 관리 방법
KR101505031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0399587B1 (ko)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마케팅/전자상거래 지원 시스템및 방법, 그 프로그램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242522B1 (ko) 1인 블로그형 소셜오픈마켓 마켓블로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10025494A (ko) 멀티레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9159B1 (ko) 모듈화된 개별 제품에 대한 콘텐츠 기반의 제품 판매 편의 제공방법
KR20030000260A (ko) 쇼핑몰 시스템 및 그 중개방법
JP2003331189A (ja) バナー広告掲載システム、及びバナー広告掲載プログラム
KR102507209B1 (ko) 정기구독 플랫폼 서비스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4075288A1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20020008355A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적립금 관리방법
KR20010081548A (ko) 전자 상거래를 위한 보험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