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254A -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254A
KR20020065254A KR1020010005683A KR20010005683A KR20020065254A KR 20020065254 A KR20020065254 A KR 20020065254A KR 1020010005683 A KR1020010005683 A KR 1020010005683A KR 20010005683 A KR20010005683 A KR 20010005683A KR 20020065254 A KR20020065254 A KR 20020065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
focus area
image
user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7171B1 (ko
Inventor
홍순학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17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4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adjusting position of image plane without moving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20Rangefinders coupled with focusing arrangements, e.g. adjustment of rangefinder automatically focusing camera
    • G03B13/22Rangefinders coupled with focusing arrangements, e.g. adjustment of rangefinder automatically focusing camera coupling providing for compensation upon change of camera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초점 영역 변경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값으로 자동 초점 영역을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자동 초점 영역내의 물체에 대해 자동 초점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한번 설치되어 고정된 감시 카메라에 사용되는 자동 초점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 임의대로 자동 초점 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AN INSPECTING CAMERA WHICH CAN CHANGE THE AUTO-FOCUS ZONE AND THE AUTO-FOCUS ZONE CHANGING METHOD USING THE INSPECTING CAMERA}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번 설치되어 고정된 감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 카메라는 단순히 감시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감시 기능에따른 영상 신호만을 출력하면 되었다. 그러나, 점차 디지털화 되어가면서 고기능화가 요구되어 종래에는 외부시스템에서 수행하던 기능을 카메라가 직접 수행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모션 디텍션(motion detection)이라 하여 화면상에서 움직임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이 있는데, 사용자는 상기 움직임의 유무 판단기능을 이용하여 항상 녹화하거나 감시하지 않고 움직임이 있는 순간만을 녹화하거나 경보에 의해 주의를 받을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감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은, 첨부한 도1에서와 같이, 디지털 줌을 실행할 때 사용자가 줌의 배율을 정하면 화면 중심을 확대된 화면의 중심으로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배율만큼 화면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도록 영상처리 아이씨(IC : Integrated Circuit)의 레지스터 값이 변경된다. 이러한 영상처리 아이씨의 레지스터 값의 변경으로 인해, 도1처럼 고정된 디지털 줌의 중심을 기준으로 배율에 따른 디지털 줌이 수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감시 카메라는 자동 초점 영역을 고정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않음으로써, 한번 고정된 감시 카메라의 경우 사용자가 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려면 수동으로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감시 카메라는 그 위치가 고정 설치되는 경우, 디지털 줌(zoom)을 실시할 때 화면의 중앙만 줌 동작이 실행되어 중앙에 위치하지 않은 피사체를 줌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한번 설치되어 고정된 감시 카메라에 사용되는 자동 초점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 임의대로 자동 초점 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의 디지털 줌을 실행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줌 화면의 중심위치를 메뉴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시 화면의 중심뿐만 아니라 다른 위치의 피사체에 대해서도 줌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의 구성 블록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이 화면상에서 표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시 카메라로서,
입력 영상을 조절하여 일정한 영상을 출력하는 렌즈;
상기 렌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씨씨디;
상기 씨씨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하나 이상의 블록에 의해 영상을 조절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각 레지스터를 조정하여 안정된 영상을 만들어 내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화면을 통해 표시된 자동 초점 영역이 변경될 수 있도록 키 입력을 허용하는 메뉴 선택부; 및
변경된 자동 초점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초점 영역 변경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값으로 자동 초점 영역을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자동 초점 영역내의 물체에 대해 자동 초점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의 구성 블록도 이다.
첨부한 도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는, 입력 영상을 조절하여 일정한 영상을 출력하는 렌즈(100); 렌즈(1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씨씨디(CCD : Charge Coupled Device, 200); 씨씨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하나 이상의 블록에 의해 영상을 조절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DCP : Digital Camera Processor, 300);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300)의 각 레지스터를 조정하여 안정된 영상을 만들어 내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400); 화면을 통해 표시된 자동 초점 영역이 변경될 수 있도록 키 입력을 허용하는 메뉴 선택부(500); 변경된 자동 초점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600); 디지털 카메라프로세서(300)로부터 영상 처리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영상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출력부(700)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300)는 씨씨디(2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이득 컨트롤러(AGC : Automatic Gain Controller)(310); 이득이 조정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자동 이득 컨트롤러(310)로부터 입력받아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 Converter, 이하 A/D 컨버터라 칭함)(320);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칭함)(330);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자동 초점 영역에 따라 렌즈(100)를 구동하여 자동으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 오토 포커싱부(Auto Focusing부, 이하 AF부라 칭함)(340); 메뉴 선택부(500)로부터 확정된 자동 초점 영역 데이터를 입력받아 확정된 영역에서 자동 초점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메인 씨피유(CPU,3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이 화면상에서 표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씨씨디(200)는 렌즈(1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300)의 자동 이득 컨트롤러(310)는 씨씨디(2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고, A/D 컨버터(320)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DSP(33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출력부(70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마이크로컨트롤러(400)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300)의 각 레지스터를 조정하여 안정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고, 영상 출력에 필요한 데이터를 메인 CPU(350)로부터 읽어들여 제어한다. 이때, 피사체에 대한 움직임 감지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300)가 씨씨디(200)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메모리(600)에 저장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씨씨디(200)로부터 입력된 다른 영상을 메모리(600)에 저장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400)는 시간 차이가 있는 두 개의 영상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300)와 메모리(600)대신에 특수 아이씨(IC : Integrated Circuit)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될 수도 있다.
감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을 위해, 사용자는 자동 초점 영역을 변경하기 위해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초기화한다(S100).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500)는 기존에 설정된 자동 초점 영역을 영상 출력부(700)에 표시하도록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300)의 레지스터의 값을 변경한다.
사용자는 메뉴 선택부(500)를 구동시켜 전체 메뉴 중에서 디지털 줌 영역(digital zoom zone)이라는 메뉴를 선택한다(S110).
영상 출력부(700)는 기존에 설정되어 있거나 기본으로 설정된 디지털 줌의 중심 위치를 화면에 표시한다(S120).
사용자는 디지털 줌 영역 메뉴에서 디지털 줌의 중심 위치의 좌표값(X, Y)을 상하 방향의 키(key)를 이용하여 설정한다(S130). 이때, 사용자는 변경된 자동 초점 영역을 영상 출력부(700)로부터 확인하면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영상 출력부(700)는 감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 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모니터의 OSD 메뉴를 통해 도3b와 같이 자동 초점 영역의 중심점의 좌표값을 선정할 수 있으며, 단위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이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OSD(On Screen Display)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나 알아야 할 정보를 모니터 화면에 직접 표시하는 기능을 말하는데, 모니터의 경우는 화면의 조정상태 등의 조정진행상태를 화면에 표시하여 주는 기능을 말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자동 초점 영역을 확인하고 메뉴 선택부(500)의 세팅키(setting key)를 이용하여 변경된 영역값을 확정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400)는 사용자의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데이터를 메뉴 선택부(500)로부터 입력받아, 입력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데이터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300)의 메인 CPU(350)에 출력한다.
메인 CPU(350)는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털 줌의 중심위치 좌표값(X,Y)에 해당하는 레지스터의 값을 사용자가 설정한 값으로 변경한다(S140).
사용자는 디지털 줌 영역 메뉴를 종료하고(S150),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줌 실행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율의 디지털 줌을 선택한다(S160).
마이크로컨트롤러(4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줌 배율 선택 데이터를 DSP(300)의 메인 CPU(350)에 전송하고, 메인 CPU(350)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줌 배율의 값에 해당하는 레지스터 값을 사용자가 설정한 줌 배율 값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오토 포커싱부(340)에 출력한다.
오토 포커싱부(34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100)를 구동하여, 첨부한 도4에서와 같이, 변경된 디지털 줌 중심위치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줌 배율에 따라 자동으로 초점을 맞춤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를 뚜렷이 보이도록 디지털 줌을 실행한다(S170). 마이크로컨트롤러(400)는 확정된 변경 자동 초점 영역 데이터를 메모리(60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실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은 한번 설치되어 고정된 감시 카메라에 사용되는 자동 초점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 임의대로 자동 초점 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의 디지털 줌을 실행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줌화면의 중심위치를 메뉴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시 화면의 중심뿐만 아니라 다른 위치의 피사체에 대해서도 줌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시 카메라에서,
    입력 영상을 조절하여 일정한 영상을 출력하는 렌즈;
    상기 렌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씨씨디;
    상기 씨씨디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하나 이상의 블록에 의해 영상을 조절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각 레지스터를 조정하여 안정된 영상을 만들어 내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화면을 통해 표시된 자동 초점 영역이 변경될 수 있도록 키 입력을 허용하는 메뉴 선택부; 및
    변경된 자동 초점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자동 초점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2.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에서,
    하나 이상의 초점 영역 변경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값으로 자동 초점 영역을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자동 초점 영역내의 물체에 대해 자동 초점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단계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초기화하면, 기 설정된 자동 초점 영역을 화면 출력부에 표시하도록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레지스터의 값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여 특정 방향의 키를 이용해 자동 초점 영역 값을 변경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자동 초점 실행 단계가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사용자의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데이터를 메뉴 선택부로부터 입력받아, 입력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데이터를 메인 씨피유에 전송하는 단계;
    입력받은 자동 초점 영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메인 씨피유가 영역 변경 데이터를 입력받아 오토 포커싱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확정된 변경 자동 초점 영역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5. 제3항에서, 상기 자동 초점 영역 값 변경 단계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동 초점 영역의 중심 위치 값을 변경하면, 상기 메인 씨피유의 디지털 줌 중심 위치값에 해당하는 레지스터의 값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디지털 줌 중심 위치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줌 배율을 선택하면, 상기 줌 배율에 해당하는 레지스터의 값을 이용하여 디지털 줌에 활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KR1020010005683A 2001-02-06 2001-02-06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KR10071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683A KR100717171B1 (ko) 2001-02-06 2001-02-06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683A KR100717171B1 (ko) 2001-02-06 2001-02-06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254A true KR20020065254A (ko) 2002-08-13
KR100717171B1 KR100717171B1 (ko) 2007-05-10

Family

ID=2769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683A KR100717171B1 (ko) 2001-02-06 2001-02-06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471B1 (ko) 2016-06-22 2021-05-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141179B1 (ko) 2020-03-09 2020-08-04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자동 초점 기반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617A (ja) * 1998-06-05 1999-12-2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器付きカメラ
KR100316612B1 (ko) * 1999-03-04 2001-12-12 이종수 영상감시 시스템용 씨씨티브이 제어방법
KR100356186B1 (ko) * 2000-04-25 2002-10-12 주식회사 씨앤비텍 줌 카메라의 자동 포커스 제어 방법
KR100358859B1 (ko) * 2000-05-19 2002-10-31 주식회사 씨앤비텍 카메라 수동초점 모드에서의 자동 포커스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171B1 (ko)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8612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363439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7573522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on-screen display when a shutter mechanism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is half-pressed
JP5173453B2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EP1850579A2 (en) Image reproducing device, image reproducing method, image reproducing program and image capturing device
JP4715865B2 (ja) 撮像装置、プログラム
US20090007020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thereof
WO2007086571A1 (ja) 撮影装置、表示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312242A (ja) 撮像装置
JP2009251658A (ja) 携帯型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397482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1027847A (ja) Af枠自動追尾システム
JP2011030008A (ja) 撮像装置
JP4403903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5339802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2053313A (ja) 撮像装置、オートズー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64435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4442344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717171B1 (ko)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
JP4475044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113466A (ja) 電子カメラ
US2023015632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9165299A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27846A (ja) Af枠自動追尾システム
JP5686869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