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000A -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000A
KR20020064000A KR1020010004566A KR20010004566A KR20020064000A KR 20020064000 A KR20020064000 A KR 20020064000A KR 1020010004566 A KR1020010004566 A KR 1020010004566A KR 20010004566 A KR20010004566 A KR 20010004566A KR 20020064000 A KR20020064000 A KR 20020064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ense
blower
fragrance
blowing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4769B1 (ko
Inventor
승엽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to KR10-2001-000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769B1/ko
Publication of KR20020064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8Blad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팬에 설치되어 팬이 송풍 기능을 할 때 저장된 향을 외부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향 송풍장치는 외부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회전력 전달부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송풍 기능을 하는 송풍부, 및 송풍부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내부에 저장된 향을 외부로 배출하는 향 저장부를 포함하며, 송풍부는 회전할 때 상기 향 저장부로부터 배출된 향을 외부로 송풍하게 된다.
여기서, 향 저장부는 향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몸체 내에 설치되어 향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몸체에 형성된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향 송풍장치는 일반적인 팬이 작동하는 동안 팬을 통해 향을 송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해한 첨가물이 없이도 향을 효과적으로 확신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PERFUME BLOWING DEVICE ATTACHED TO FAN}
본 발명은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팬에 향 저장부를 설치하여 팬이 송풍 기능을 할 때 향 저장부에 저장된 향을 외부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향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제 발전에 의해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서 사람들은 생활공간을 보다 쾌적한 장소로 바꾸고 싶어한다. 특히,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을 영위하다 보면 음식물 냄새, 흡연으로 인한 담배 냄새와 같은 악취가 늘 존재하는데,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생활공간에 환기시설이나 공기청정기와 같은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향기를 발생시키는 발향장치도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발향장치는 향이 나는 액체 또는 고체에 휘발성 물질을 첨가하여 용기에 담은 후 대기에 노출시켜 자연적으로 향기를 발하게 하는 구조를 이용한다. 이때 휘발성 물질로는 값이 싼 메탄올이 주로 사용되는데, 메탄올은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사람이 장시간 흡입할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 시신경 장애, 두통, 기침, 호흡곤란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캔 등에 채워진 향수를 분사하는 방식의 향 분사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향 분사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향을 분사하여 대기중으로확산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향 분사장치는 향의 대기중으로 분사된 향의 농도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사방식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프레온 가스 또는 액화프로판 가스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물질은 환경오염의 주범이며 또한 화재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유해하거나 공해를 유발하는 별도의 첨가물 없이도 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팬에 향 저장부를 부착하여, 팬이 회전할 때 향 저장부가 함께 회전하면서 향을 배출하여 팬에 의해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향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에 향 저장부를 설치하고 향 저장부에 향수를 공급하기 위한 대용량의 저장조를 구비하여, 장시간동안 향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향 송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향 송풍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도.
도 2는 도 1의 향 송풍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향 송풍장치에 사용된 향 저장부의 배출공 개폐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향 송풍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향 송풍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회전력 전달부 20..송풍부 22,62..회전판
24,64..회전날개 30,70..향 저장부 32,78..몸체
34..배출공 36..향 유입구 39,79..수용부
40..개폐부재 44..탄성부재 74..저장조
77..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 송풍장치는 외부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상기 회전력 전달부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송풍 기능을 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내부에 저장된 향을 외부로 배출하는 향 저장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송풍부는 회전할 때 상기 향 저장수단으로부터 배출된 향을 외부로 송풍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향 저장수단은 향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향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된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회전력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향 저장수단이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배출공을 막으며 상기 향 저장수단이 회전할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관성에 의한 변형에 의해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향 저장수단은 상기 송풍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향 저장수단에는 향을 재충전하기 위한 향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송풍 기능을 하는 송풍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향을 저장하는 향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향 송풍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송풍부는 회전할 때 상기 향 저장수단에 저장된 향을 외부로 송풍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향 저장수단은 상기 송풍부의 송풍방향 주변 위치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외부 전원에 의해 회전하여 송풍 기능을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향 저장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 중심부에 이격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향 저장수단은 향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내에 설치되어 향을 저장하는 수용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된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송풍부가 작동할 때에만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는 개폐스위치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향 송풍장치는 상기 향 저장수단에 향을 공급하는 향 저장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향 저장조는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할 때에만 상기 향 저장수단에 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향 송풍장치는 팬에 설치된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팬이란 송풍 기능을 하는 일반적인 송풍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일반적인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용 냉각팬, CPU 냉각팬, 하드디스크 냉각팬, 온풍기, 선풍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팬"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팬"은 회전력에 의한 송풍장치뿐 아니라 회전력을 이용하지 않는 다른송풍장치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송풍관에 의해 외부로부터 바람을 전달하는 장치 또는 유체의 고유진동수를 이용해 회전력 없이 유체의 공진현상만으로 송풍기능을 하는 송풍장치 등도 모두 본 발명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향 송풍장치는 한 예로서 CPU용 냉각팬을 이용한 구성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향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향 송풍장치는 송풍장치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부(10)를 포함한다. 회전력 전달부(1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송풍부(20)를 회전시킨다. 송풍부(20)는 이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송풍 기능을 하며, 송풍부(20)에는 향을 배출하는 향 저장부(30)가 부착된다. 향 저장부(30)는 송풍부(20)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내부에 저장된 향을 외부로 배출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력 전달부(1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분배하는 회로판(12)과 회로판(12)에 의해서 전원을 분배받는 다수의 권선 코일(14)을 구비한다. 또한, 송풍부(20)에는 영구자석(26)이 설치되는데, 권선 코일(14)은 전원을 공급받을 때 영구자석(26)과의 전자기적 성질에 의해 송풍부(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방식은 본 실시예에서 일례로서 선택한 CPU용 송풍기의 구조에따른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향 송풍장치에 사용되는 회전방식은 이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선 코일과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구조 대신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회전력 전달부(10)에는 또한 회전식 결합돌기(16)가 형성되고, 송풍부(20)에는 이에 대응하는 회전식 결합홈(27)이 형성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송풍부(20)는 상기 회전 결합돌기(16)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송풍부(20)는 회전 결합돌기(16)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판(22)과 이 회전판(2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외부로 송풍 기능을 하는 회전날개(24)를 포함한다. 회전판(22)과 회전날개(24)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송풍부(20)의 회전판(22)에는 향 저장부(30)가 부착된다. 향 저장부(30)는 나사결합 등에 의해서 송풍부(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향 저장부(30)는 송풍부(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체가 용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향 저장부(30)에는 나사(35)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구(37)가 형성되며, 송풍부(20)에는 상기 나사(35)를 나사결합에 의해서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홈(29)이 형성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결합방식만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향 저장부(30)를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회전판(22)에 부착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조임결합 등에 의해 향 저장부(30)를 회전판(22)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송풍부(20)는 또한 본체 프레임(50)과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 프레임(50)은 회전날개(24)의 회전범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회전날개(24)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회전날개(24)의 송풍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 프레임(50)은 대략적으로 회전날개(24)의 회전범위를 둘러싸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 보호부재(52)와, 회전력 전달부(10)를 고정하도록 받쳐주는 받침판(57)을 구비한다. 원통형 보호부재(52)는 부착판(56)에 결합되거나 또는 부착판(56)과 일체로 형성된다. 부착판(56)은 본체 프레임(50)이 다른 장치에 부착되는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통형 보호부재(52)의 내부영역에 해당하는 위치가 비어 있고, 보호부재(52)의 외부영역에 해당하는 곳에만 형성된다. 이는 원통형 보호부재(52)의 내부에 해당하는 위치가 송풍에 사용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공기의 유통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받침판(57)은 부착판(56)의 내부, 즉 비어있는 영역에 형성되며, 대략 회전판(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략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 받침판(57)은 연결부재(58)에 의해서 보호부재(52) 또는 부착판(56)과 고정 연결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50)에는 다수의 본체 결합부(54)가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향 송풍장치가 사용되는 다른 설비에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본체 결합부(54)에는 다른 설비와의 나사결합을 위해서 본체 결합공(5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 프레임(50)의 구조는 반드시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향 저장부(30)는 대략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32)를 구비하며, 몸체(32)는 대략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납작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향 저장부(30)는 송풍부(20)의 회전판(22)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회전날개(24)에 의한 송풍을 간섭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판형 몸체(32)는 내부에 향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38)를 수용하며, 몸체(32)의 외주면에는 향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출공(34)이 형성된다.
향 저장부(30)의 몸체(32)는 송풍부(20)의 회전판(22)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회전판(22)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게 된다. 향 저장부(30)의 몸체(32)가 회전하게 되면, 몸체(32)의 외주면에 있는 배출공(34)은 빠른 선속도로 움직이게 된다. 이는, 배출공(34)의 상면으로 강한 유속을 가진 유체가 지나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며, 따라서 배출공(34) 내부의 압력이 급속하게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체역학적 원리에 의해 몸체(32) 내부에 저장된 향은 배출공(34)을 통해서 밖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향은 회전날개(24)의 송풍기능에 의해서 외부로 고르게 확산된다.
향 저장부(30)의 수용부(38)는 스펀지와 같은 유체를 함유하는 물질에 향을 유발하는 향수 등을 적셔놓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향을 보유하여 발산하는 모든 형태의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향 저장부(30)의 몸체(32)에는 또한 향 유입구(36)가 형성되어 향을 재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 유입구(36)는 몸체(32)의 노출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일반적인 주사기 등을 이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 저장부(30)는 몸체(32)에 형성된 배출공(34)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40)는 복원력을 가진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개폐부재(40)는 향 저장부(30)가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배출공(34)을 막으며, 향 저장부(30)가 회전할 때에는 변형되어 배출공(34)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향 저장부(30)에 설치된 개폐부재(40)의 일례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도시하면, 개폐부재(40)의 일단부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4)에 연결된다. 탄성부재(44)는 향 저장부(30)의 몸체(32) 중심부에 형성된 나사결합부(39)에 설치되는데, 나사결합부(39)는 향 저장부(30)를 송풍부(20)에 결합하기 위해서 형성된 결합구(37) 주변에 형성된다. 개폐부재(40)의 타단부에는 각각의 배출공(34)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편(42)이 형성된다. 차단편(42)은 배출공(34)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크기로 형성되어, 배출공(34)을 완전히 덮으면서 몸체(32)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44)는 나사결합부(39)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이 나선형 탄성부재(44)는 일측이 나사결합부(39)에 고정되어 향 저장부(30)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사결합부(39)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선형 탄성부재(44)는 자체적으로 바깥 방향으로 소정의 복원력을 발휘하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탄성부재(44)가 바깥쪽으로 복원력을 발휘함에 의해 차단편(42)이 몸체(32)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탄성부재(44)의 길이는 최소한 360도 이상이 되어서, 다수의 배출공(34)에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개폐부재(40)를 모두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향 저장부(3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탄성부재(44)는 관성에 의해서 향 저장부(30)의 회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때, 나선형 탄성부재(44)는 향 저장부(30)와 반대방향으로 약간 선회되면서, 나선형 구조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드는 형태로 변형한다. 따라서, 개폐부재(40)를 통해서 탄성부재(44)에 연결된 차단편(42)은 탄성부재(44)의 변형에 따라서 몸체(32)의 내주면과 약간 떨어지면서 옆으로 이동하게 되어, 배출공(34)을 개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송풍장치가 송풍을 중단하기 위해 회전을 멈추면 향 저장부(30)도 따라서 회전을 멈추게 된다. 그러면, 탄성부재(44)는 복원력에 의해 다시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가서 차단편(42)이 다시 배출공(34)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차단편(42)이 처음의 위치로 정확하게 되돌아가게 하기 위해서 몸체(32)의 내주면에 걸림턱(45)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턱(45)은 차단편(42)의 초기 위치와 최대 변형위치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향 저장부(30)의 회전시 차단편(42)이 지나치게 이동하여 인접한 다른 배출공(34)을 가로막거나 또는 탄성부재(44)가 탄성한계 이상으로 지나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림턱(45)은 탄성부재(44)의 복원시 차단편(42)이 본래의 위치를 지나쳐서 배출공(34)을 차단하는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향 송풍장치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향 저장부가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실시예에서의 향 저장부가 송풍부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식'이었다면, 제2 실시예의 향 저장부는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고정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향 저장부는 회전하지 않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의 "팬" 또한 회전하지 않는 송풍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향 저장부(70) 및 이와 관련된 구조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대체적으로 유사하며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향 송풍장치는 대략적으로 본체프레임(60)과, 회전판(62) 및 회전날개(64)를 포함하는 송풍부와, 향 저장부(70)를 포함한다. 또한, 회로판(12), 권선 코일(14) 및 영구자석(26)을 이용하는 송풍부 회전 메커니즘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향 저장부(70)는 본체프레임(60)에 고정 연결된다. 즉, 향 저장부(70)는 상부 및 하부 고정부재(72, 73)에 의해서 본체프레임(60)의 상하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향 저장부(70)의 위치는 송풍부의 회전중심, 즉 회전판(62)이 설치되는 곳에 회전판(62)과 약간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향 저장부(70)는 회전판(62)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회전날개(64)에 의한 송풍을 간섭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행 배출부(70)는 내부에 향을 수용하는 수용부(79)를 구비하며, 향 저장부(70)의 외주면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배출공(71)이 형성된다.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배출공(71)은 상부 및 하부 고정부재(72, 73)와 서로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회전날개(64)가 송풍할 때 향 저장부(70)의 배출공(71)은 주변의 유체 흐름에 의해서 내부압이 낮아지게 되어 향 저장부(70)의 수용부(79)에 저장된 향을 밖으로 배출하며, 이렇게 배출된 향은 회전날개(64)의 송풍에 의해서 외부로 확산된다.
본체프레임(60)은 내부에 회전날개(64)가 회전하기 위한 원형 공간을 구비한 사각기둥 형상을 가져서, 상부에 후술되는 저장조(74)가 설치되기 위한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프레임(60)은 외부의 설비에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본체결합부(68)를 구비한다.
저장조(74)는 다량의 향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향 저장부(70)의 수용부(79)에 지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미량의 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저장조(74)와 향 저장부(70)의 수용부(79)는 향 공급라인(7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향 공급라인(76)은 상부 고정부재(72)를 통해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향 저장부(70)의 몸체(78)에 형성된 배출공(71)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폐스위치는 외부전원에 의해서 배출공(71)을 개방 및 폐쇄하는 기능을 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개폐스위치가 가능하다. 이 개폐스위치는 향 송풍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 전원이 공급될 때, 즉 회전날개(64)를 회전시켜 송풍기능을 하고자 할때 배출공(71)을 개방하고, 향 송풍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즉 향 송풍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회전날개(64)가 멈춘 상태로 있을 때에는 배출공(71)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수용부(79)로 향을 공급하는 저장조(74)에도 별도의 스위치(77)를 설치할 수 있다. 저장조(74)에 설치된 스위치(77) 또한 향 송풍장치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될 때에만 저장조(74)에 저장된 향을 향 저장부(7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향 송풍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향을 배출하는 배출공을 모두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향 송풍장치를 작동시킬 때 또는 다른 설비의 부수적 기능을 위해 향 송풍장치가 작동될 때에만 향을 공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장치가 회전날개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는 본 실시예의 "팬"이 제1 실시예외 동일한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회전장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회전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다른 송풍장치로도 변형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회전력을 이용하지 않는 송풍장치에 본 발명의 향 저장부가 설치될 경우, 송풍장치에는 회전판과 회전날개가 사용되지 않게 된다. 회전판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향 저장부는 송풍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보다는 송풍위치의 주변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송풍방향을 안내하는 본체프레임(60)에 향 저장부를 설치하게 되면, 향 저장부가 송풍을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유체의 이동에 의한 압력강하로 인해 향이 송풍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본체프레임(60) 내에 향 배출관을 형성하여 저장조(74)로부터 직접 향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변형예에서도 향 저장부에 개폐스위치를 추가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제2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 다만, 개폐스위치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향의 임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향에 휘발성 물질을 넣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향 송풍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향 송풍장치를 개인용 컴퓨터의 전원공급장치용 냉각팬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컴퓨터의 전원을 켜게 되면 동시에 전원공급장치가 작동하고, 이와 함께 전원공급장치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팬이 작동된다. 일단 향 송풍장치인 냉각팬이 작동하기 시작하면, 향 저장부(70)에 형성된 배출공이 개방되고,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향은 냉각팬에 의해 주변으로 확산되게 된다. 냉각팬의 강한 바람에 의해서 확산된 향은 주변으로 넓게 퍼지게 되어 컴퓨터 사용자에게까지 전달된다. 그러면, 컴퓨터 사용자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도중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향을 맡게 되어, 상쾌한 기분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컴퓨터 사용자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동안 보다 즐거운 기분으로 일을 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향 송풍장치는 단지 향을 송풍한다는 것 이상의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 송풍장치는 일반적인 팬이 작동하는 동안 팬을 통해 향을 송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해한 첨가물이 없이도 향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향 송풍장치는 팬이 작동하지 않는 동안에는 향을 배출하지 않고 팬이 동작하는 시기에만 향을 공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기기를 사용할 때에만 팬이 동작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향 송풍장치가 다른 설비에 종속된 부품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향 송풍장치를 별도로 작동시킬 필요 없이 단지 향 송풍장치가 설치된 설비를 동작시키는 것만으로도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외부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
    상기 회전력 전달부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송풍 기능을 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에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며 내부에 향을 저장하는 향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회전할 때 상기 향 저장수단에 저장된 향을 외부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 저장수단은
    향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향을 저장하는 수용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된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회전력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향 저장수단이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배출공을 막으며 상기 향 저장수단이 회전할 때에는 관성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에 의해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 저장수단은 상기 송풍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 저장수단에는 향을 재충전하기 위한 향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6.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송풍 기능을 하는 송풍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향을 저장하는 향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는 회전할 때 상기 향 저장수단에 저장된 향을 외부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향 저장수단은 상기 송풍부의 송풍방향 주변 위치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외부 전원에 의해 회전하여 송풍 기능을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향 저장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 중심부에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향 저장수단은
    향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향을 저장하는 수용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된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송풍부가 작동할 때에만 상기 배출공을 개방하는 개폐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11.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 저장수단에 향을 공급하는 향 저장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향 저장조는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할 때에만 상기 향 저장수단에 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송풍장치.
KR10-2001-0004566A 2001-01-31 2001-01-31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 KR100404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566A KR100404769B1 (ko) 2001-01-31 2001-01-31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566A KR100404769B1 (ko) 2001-01-31 2001-01-31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352U Division KR200261157Y1 (ko) 2001-10-31 2001-10-31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000A true KR20020064000A (ko) 2002-08-07
KR100404769B1 KR100404769B1 (ko) 2003-11-10

Family

ID=2769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566A KR100404769B1 (ko) 2001-01-31 2001-01-31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7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710B1 (ko) * 2019-06-19 2019-12-02 김세출 동작 인식을 통한 아로마 휘산 기능을 구비한 선풍기 블레이드 시스템
KR20200145620A (ko) * 2019-06-19 2020-12-30 (주)넘버원1스포우드 동작 인식을 통한 아로마 휘산 기능을 구비한 덤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5859A (ja) * 1987-12-14 1989-06-19 Seikosha Co Ltd 芳香発生装置
JPH01178796A (ja) * 1988-01-04 1989-07-14 Akihiro Nishiyama 芳香剤発散扇風機
JPH01190993A (ja) * 1988-01-25 1989-08-01 Akihiro Nishiyama 芳香剤発散扇風機
JP2773959B2 (ja) * 1990-07-10 1998-07-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大腸内放出性固形製剤
KR200261157Y1 (ko) * 2001-10-31 2002-01-19 주식회사 비에스텍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710B1 (ko) * 2019-06-19 2019-12-02 김세출 동작 인식을 통한 아로마 휘산 기능을 구비한 선풍기 블레이드 시스템
KR20200145620A (ko) * 2019-06-19 2020-12-30 (주)넘버원1스포우드 동작 인식을 통한 아로마 휘산 기능을 구비한 덤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4769B1 (ko)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9492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oilet paper roll holder vapor dispenser
US6481639B1 (en) Volatile substance diffuser without persistence
JP2017502813A (ja) 化学物質を拡散する装置および方法
WO2006023561A3 (en) Methods and devices for aromatherapy
JP6314441B2 (ja) 芳香装置
US2014016142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manating Liquids
KR100404769B1 (ko)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
WO2007045835A3 (en) Air freshener with removable cartridge
KR200261157Y1 (ko) 팬에 부착된 향 송풍장치
ATE347384T1 (de) Lufterfrischungsgerät
US20190275188A1 (en) Electrical plug-incorporated aerosol perfume dispenser
KR20120014269A (ko) 휘산장치
KR100473446B1 (ko) 향 발현장치
US10413629B1 (en) Electrical wall socket mounted aromatic gas emitting device
WO2007046692A1 (en) Air freshener device
KR200313800Y1 (ko) 개폐 장치를 가지는 향 발현장치
KR200327468Y1 (ko) 개폐 장치를 가지는 향 발현장치
KR200289638Y1 (ko) 향 발현장치
KR100898761B1 (ko) 방향제 휘산장치
KR200343890Y1 (ko) 도어의 향기배출장치
KR200227714Y1 (ko) 발향기능을 갖는 스탠드
CN221045240U (zh) 一种香薰装置
KR200387783Y1 (ko) 방향제용 향 발산장치
JP2007297107A (ja) 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気化装置
KR200345543Y1 (ko) 향 발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