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459A - 내장형 리눅스 운영체제를 위한 비사용 메모리 회수기법 - Google Patents

내장형 리눅스 운영체제를 위한 비사용 메모리 회수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459A
KR20020063459A KR1020010004131A KR20010004131A KR20020063459A KR 20020063459 A KR20020063459 A KR 20020063459A KR 1020010004131 A KR1020010004131 A KR 1020010004131A KR 20010004131 A KR20010004131 A KR 20010004131A KR 20020063459 A KR20020063459 A KR 20020063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mount
return
resources
lib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건
Original Assignee
팜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팜팜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팜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3459A/ko
Publication of KR20020063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4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11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 G06F9/5016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the resource being the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53Garbage collection, i.e. reclamation of unreferenced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06Multiuser, multiprocessor or multiprocessing cache systems
    • G06F12/0842Multiuser, multiprocessor or multiprocessing cache systems for multiprocessing or multitas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눅스 운영체제를 비롯한 다중처리 운영체제에서 메모리의 부족을 방지, 해소 하기 위한 두 가지 수단을 골자로 한다. 첫째,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이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프로세스들이 가진 메모리의 일부를 자진반납하도록 요구하여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이 임계치보다 많아지도록 시도한다. 둘째,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이 부족하여 메모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세스를 안전하게 종료시킬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한 여려가지 기법을 복합하여, 적은 양의 메모리를 가진 휴대용 기기상에서 내장형 리눅스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장형 리눅스 운영체제를 위한 비사용 메모리 회수기법{Unused Page Collection Scheme for Embedded Linux Operationg System}
리눅스(Linux)는 다중처리(multitasking)를 지원하므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각 프로세스의 메모리 자원에 대한 요구량은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며, 프로세스들의 메모리 수요가 많을 때에는 메모리 자원에 대한 경쟁이 일어난다. 그러나 기존의 리눅스는 하드디스크를 가진 탁상용 컴퓨터를 대상으로 하여 설계되었으며, 하드디스크의 일부분을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스와핑(swapping) 기법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메모리의 자원의 양이 대단히 많다. 따라서 이러한 메모리 자원이 모두 고갈되었을 때를 위한 특별한 처리기법이 없이도 시스템의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핸드폰, 개인정보단말기(PDA), 스마트폰, 혹은 IMT-2000 단말기 등의 휴대용 정보 기기는 일반적인 탁상용 컴퓨터에 비하여 지극히 적은 양의 메모리를 가지고있을 뿐만 아니라, 하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보조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기존의 리눅스를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그대로 탑재하면 메모리의 고갈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그때마다 임의의 프로세스가 무작위적으로 강제종료당하여 시스템의 정상적인 운영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메모리 부족을 방지, 해소하기 위한 두 가지 수단을 골자로 한다. 첫째,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이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프로세스들에게 시그널을 보내 메모리의 자진 반납을 요구한다. 프로세스는 자신이 보유중인 메모리 자원 중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반납하거나 (UPC; Unused Page Collection), 혹은 기능에 관계없이 성능 향상에 필요한 부분을 반납한다. 이는 가용 메모리 자원의 잔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메모리 고갈을 예방한다. 둘째, 메모리 요구가 발생했을 때 이를 충족시킬 수 없으면, 사용자로 하여금 임의의 프로세스를 선택하도록 하여 그 프로세스가 작업중이던 자료를 저장하고 안전하게 종료하도록 요구한다. 종료한 프로세스가 가지고 있던 메모리는 전부 회수하여 원래의 메모리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스가 무작위적으로 종료당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부여함과 동시에, 선택된 프로세스는 자료를 저장하고 안정하게 종료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과 가용성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메모리 할당자의 동작원리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리눅스 운영체제의 각종 구성요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수정 및 추가함으로써 구성된다. 이하에서 UPC라 함은 Unused Page Collection의약자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일련의 기법들을 총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1) UPC 데몬이 호출하는 시스템콜
커널에 추가할 시스템콜이다. 프로세스가 이 시스템콜을 호출하면 두 가지 효과가 일어난다.
① 해당 프로세스가 잠든다.
② 커널은 해당 프로세스를 UPC 데몬으로 인식하다.
이 시스템콜을 호출한 프로세스는 다음 세 가지 상황에서만 깨어난다. 세 가지중 어떤 상황으로 인해 깨어났는지는 시스템콜의 반환값을 검사함으로써 알 수 있다.
① 메모리 경고 : 남아있는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이 1차 경계 수준 미만으로 떨어졌음을 의미한다.
② 메모리 위험 : 남아있는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이 2차 경계 수준 미만으로 떨어졌음을 의미한다. 2차 경계 수준은 1차 경계 수준보다 작은 값이므로, '메모리 위험'은 '메모리 경고'보다 더욱 악화된 상황이다.
③ 메모리 고갈 : 메모리 요구가 발생했는데 이를 충족시킬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시스템콜을 upcd_sleep()이라 칭한다.
(2) UPC 데몬
시스템이 부팅할 때에 UPC 데몬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이 데몬은 상기 (1)의 시스템콜을 호출함으로써 잠든다. 이 데몬은 평소에는 아무런 연산을 수행하지않고 잠들어 있으며, 가용 메모리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조치가 필요할 때에만 깨어난다. 깨어나면 상기 시스템콜의 반환값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한다.
① 메모리 경고 : 프로세스들에게 '낮은 수준의 자진반납' 시그널을 보내 각자가 보유한 메모리의 일부를 자진 반납하도록 요구한다.
② 메모리 위험 : 프로세스들에게 '높은 수준의 자진반납' 시그널을 보내 각자가 보유한 메모리의 일부를 자진 반납하도록 요구한다.
③ 메모리 고갈 : 화면에 프로세스들의 목록을 보여주고,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의 프로세스를 선택하도록 한다. 선택된 프로세스에게 '안전종료' 시그널을 보내 작업중인 자료를 저장하고 종료하도록 요구한다.
프로세스가 '낮은 수준의 자진반납' 시그널과 '높은 수준의 자진반납' 시그널에 대하여 어떻게 다르게 반응하는지는 이후에 설명한다.
시그널을 보내고 나면 UPC 데몬은 할 일을 마친 것이므로, 다시 상기 (1)의 함수를 호출하여 잠든다.
'메모리 고갈' 상황에서 화면에 프로세스들의 목록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창(window)을 미리 만들어서 숨겨놓고 있다가 필요한 순간에 보여주는 기법을 사용한다. 즉, 창을 만들기 위한 모든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함수들을 UPC 데몬이 시작된 순간에 미리 호출해서 창의 생성작업을 마쳐놓아야 한다. 그리고 '메모리 고갈' 상황이 발생하면 숨겨져있던 창을 화면에 보여주는 함수만 호출한다. 이러한 기법이 필요한 이유는, 메모리가 부족한 상황에서 여러가지 GUI 관련함수들을 호출하면 추가적인 메모리 요구로 인해 상황이 더욱 악화되기 때문이다.
(3) C 라이브러리 함수
C 라이브러리에 추가할 함수이다. C 라이브러리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메모리를 할당 받을 때에는 malloc() 함수를 사용하고, 반환할 때에는 free() 함수를 사용한다. 그러나 free() 함수를 통해서 반환한 메모리는 라이브러리 수준에서 보유하고 있다가 이후의 malloc() 호출시에 재활용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해당 프로세스로부터의 실질적인 메모리 반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프로세스가 종료할 때에만 메모리가 실질적으로 회수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메모리 반환 함수(이후, upc_free()이라 칭한다.)를 추가하고 두가지 기능을 부여한다.
① upc_free(-1);의 형태로 호출된 경우 : 재활용을 위하여 라이브러리 수준에서 보유하고 있던 메모리를 모두 커널에 반납한다. 즉, 사용하지 않고 있던 메모리 자원을 반납한다.
② upc_free(addr);의 형태로 호출된 경우 (단, addr 〉0) : addr 번지가 지시하는 메모리 영역을 C 라이브러리가 보유하지 않고 곧바로 커널에 반납하도록 강제한다. 종래의 free() 함수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4) 라이브러리에서 호출하는 시스템콜
커널에 추가할 시스템콜이다. 상기 (3)의 라이브러리 함수 내에서 이 시스템콜을 호출한다. 이 시스템콜은 메모리 영역의 시작주소와 끝주소를 넘겨받고 이 영역에 할당된 메모리 자원을 회수한다. 따라서 프로세스로부터의 실질적인 메모리반납은 이 시스템콜을 호출할 때에 이루어진다. 이 시스템 콜은 프로세스의 가상 메모리 영역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그 안에 할당되어 있는 물리적 메모리 자원만을 회수한다.
5) 시그널 핸들러
각 프로그램에는 앞서 언급한 세가지 시그널에 대한 시그널 핸들러를 추가해야 한다.
① 낮은 수준의 자진반납 : 시스템에 '메모리 경고' 상황이 발생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메모리의 일부를 자진 반납해야 한다. 프로세스가 사용중인 메모리 자원 중에는, 기능에는 상관 없이 수행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영역들이 있다. 이러한 영역들을 upc_free(addr);의 형태로 각각 반납한다.
② 높은 수준의 자진반납 : 시스템에 '메모리 위험' 상황이 발생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메모리의 일부를 자진 반납해야 한다. '낮은 수준의 자진반납' 시그널을 받았을 때에 하는 작업과 동일한 작업을 하고 나서, 라이브러리 수준에서 재활용을 위해 보유하고 있던 비사용' 메모리까지 모두 반납하기 위해 upc_free(-1);을 호출한다.
③ 안전종료 : 시스템에 '메모리 고갈' 상황이 발생해서 사용자가 이 프로세스에게 종료를 요구했으므로, 현재까지 작업중이던 자료를 저장하고 종료해야 한다. 프로세스가 종료하면 메모리 자원의 회수가 커널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6) UPC 데몬을 위해 예약된 메모리 자원
'메모리 고갈' 상황에서 UPC 데몬이 프로세스들의 목록을 출력할 때에, 숨겨져 있던 창을 화면에 보여주기 위해서는 GUI 함수를 한번 호출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때에 필요한 소량의 메모리 자원을 시스템 부팅시에 미리 확보하여 별도로 예약한다. '메모리 고갈' 상황에서 어떤 프로세스가 메모리 자원을 요구했다면, 해당 프로세스가 UPC 데몬인지 확인한 후에 예약해두었던 메모리 자원을 할당해준다.
(7) 수정된 메모리 할당자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리눅스는 메모리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메모리 요구를 무시해버리기 때문에, 프로세스들이 사용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무작위적으로 종료당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기존의 메모리 할당자의 이러한 행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을 추가한다.
① 메모리 할당이 성공할 때마다 남아있는 메모리 자원의 양을 검사한다. 그 양이 1차 경계 수준 미만으로 떨어졌으면 '메모리 경고' 상황을 발동하여 UPC 데몬을 깨운다.
② 메모리 할당이 성공할 때마다 남아있는 메모리 자원의 양을 검사한다. 그양이 2차 경계 수준 미만으로 떨어졌으면 '메모리 위험' 상황을 발동하여 UPC 데몬을 깨운다.
③ 메모리 할당에 실패해서 프로세스로부터의 메모리 요구를 충족할 수 없으면, 해당 프로세스를 일단 기다리게 하고 '메모리 위험' 상황을 발동하여 UPC 데몬을 깨운다. 다른 프로세스들의 메모리 자진 반납이 모두 끝날 때까지 기다린 뒤에도 여전히 메모리 요구를 충족할 수 없으면, 해당 프로세스를 계속 기다리게 하고'메모리 고갈' 상황을 발동하여 UPC 데몬을 다시 깨운다. 다른 프로세스가 '안전종료'를 하고 난 뒤에도 여전히 메모리 요구를 충족할 수 없으면, 반복적으로 '메모리 고갈' 상황을 발동하여 UPC 데몬을 깨우면서 메모리 요구가 충족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메모리 부족이 자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메모리가 심각하게 부족해져도 사용자에게 상황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Claims (5)

  1. 리눅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메모리 관리기법에 관한 것으로,
    - 프로세스로부터 메모리 할당 요구가 들어올 경우 현재 시스템에 남아 있는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을 확인하여 요구량보다 많은 양의 가용 메모리 자원이 남아 있으면 메모리 할당을 허락하는 제 1 단계;
    - 상기 제 1 단계의 메모리 할당으로 인해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이 미리 정해진 최소 여유치보다 낮아졌을 때에는 현재 시스템에서 수행중인 프로세스들에게 메모리 반납을 요구하는 시그널을 보내는 제 2 단계; 및
    - 상기 제 2 단계에서 시그널을 받은 프로세스들이 보유하고 있던 메모리 자원의 일부를 시스템에 반납함으로써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을 높여주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기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 메모리를 반납함에 있어서 반납된 메모리 자원을 라이브러리가 보유하지 않고 곧 바로 시스템에 반납하도록 요청하는 제 1 과정;
    - 라이브러리가 시스템콜을 호출하여 실질적으로 메모리 자원을 반납하는 제 2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기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 라이브러리가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 풀(memory pool)을 모두 반납할 것을 요청하는 라이브러리 함수를 호출하는 제 1 과정;
    - 라이브러리가 시스템콜을 호출하여 메모리 풀을 실질적으로 시스템에 반납하는 제 2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기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이 1차 여유치보다 낮아졌을 때에는 현재 시스템에서 수행중인 프로세스들로 하여금 상기 제 2 항의 기법을 이용하여 메모리를 반납하도록 요구하는 시그널을 보내는 단계;
    - 가용 메모리 자원의 양이 2차 여유치(2차 여유치는 1차 여유치보다 작은 값으로 정함)보다 낮아졌을 때에는 현재 시스템에서 수행중인 프로세스들로 하여금 상기 제 2 항과 제 3 항의 기법을 모두 이용하여 메모리를 반납하도록 요구하는 시그널을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기법.
  5. 다중처리(multitasking)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메모리 관리기법에 있어서,
    - 임의의 순간에 발생한 메모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에, 현재 시스템에서 수행중인 프로세스들의 목록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제 1 단계;
    - 상기 제 1 단계에서 사용자가 종료시킬 프로세스를 목록에서 선택하여 입력하는 제 2 단계;
    - 상기 제 2 단계에서 선택된 프로세스에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료할 것을요구하는 시그널을 보내는 제 3 단계;
    - 상기 제 3 단계에서 시그널을 받은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종료하는 제 4 단계; 및
    - 상기 제 4 단계에서 종료한 프로세스가 보유중이던 메모리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단계의 메모리 요구를 충족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관리기법.
KR1020010004131A 2001-01-29 2001-01-29 내장형 리눅스 운영체제를 위한 비사용 메모리 회수기법 KR20020063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131A KR20020063459A (ko) 2001-01-29 2001-01-29 내장형 리눅스 운영체제를 위한 비사용 메모리 회수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131A KR20020063459A (ko) 2001-01-29 2001-01-29 내장형 리눅스 운영체제를 위한 비사용 메모리 회수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459A true KR20020063459A (ko) 2002-08-03

Family

ID=2769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131A KR20020063459A (ko) 2001-01-29 2001-01-29 내장형 리눅스 운영체제를 위한 비사용 메모리 회수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34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39B1 (ko) * 2006-12-05 2009-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메모리 부족상황 관리 방법 및장치
WO2013028019A2 (en) * 2011-08-23 201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based on memory state changes
KR20190046995A (ko) * 2016-09-27 2019-05-0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메모리 반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036A (ja) * 1993-01-29 1994-08-19 Nec Corp メモリ不足時におけるリカバリ援助方法
JPH1185540A (ja) * 1997-07-23 1999-03-30 Bull Sa 情報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割り当ての動的制御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000026038A (ko) * 1998-10-16 2000-05-06 서평원 메모리의 블록 할당 방법
JP2000215099A (ja) * 1996-01-31 2000-08-0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の資源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036A (ja) * 1993-01-29 1994-08-19 Nec Corp メモリ不足時におけるリカバリ援助方法
JP2000215099A (ja) * 1996-01-31 2000-08-0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の資源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管理方法
JPH1185540A (ja) * 1997-07-23 1999-03-30 Bull Sa 情報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資源割り当ての動的制御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000026038A (ko) * 1998-10-16 2000-05-06 서평원 메모리의 블록 할당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39B1 (ko) * 2006-12-05 2009-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메모리 부족상황 관리 방법 및장치
WO2013028019A2 (en) * 2011-08-23 201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based on memory state changes
WO2013028019A3 (en) * 2011-08-23 201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based on memory state changes
KR20190046995A (ko) * 2016-09-27 2019-05-0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메모리 반환 방법 및 장치
US11099900B2 (en) 2016-09-27 2021-08-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mory reclamation method and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9611B2 (en) Cooperative memory resource management via application-level balloon
US6128713A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nabling application programs to control allocation of physical memory in a virtual memory system
US8056081B2 (en) Controlling memory usage in systems having limited physical memory
US62470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oring the state of physical memory as the focus changes among application programs in a computer
US6134602A (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nabling application programs to group code and data to control allocation of physical memory in a virtual memory system
US7886118B2 (en) Detecting illegal reuse of memory with low resource impact
US8775749B2 (en) Demand based memory management of non-pagable data storage
CN115016894A (zh) 一种线程的内存访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6799253B1 (en) Stochastic scratchpad storage management technique
US65324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emaphores in an object-oriented multi-tasking computer system
KR20020063459A (ko) 내장형 리눅스 운영체제를 위한 비사용 메모리 회수기법
CN117170872A (zh) 内存管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2642387B1 (en) Method, memory management unit and computer system for managing memory of computer system
US7434021B2 (en) Memory allocation in a multi-processor system
CN111679914A (zh) 一种内存管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162864A (zh) 一种云资源分配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020038195A (ko) 휴대용 정보 기기에 다중 처리 운영 체제를 탑재한 경우의메모리 관리 기법
KR100401560B1 (ko) 운영체제의 커널 스택 동적 할당 방법
CN115993996B (zh) 一种基于rtos实现休眠模式的方法和系统
CN117311822A (zh) 一种双操作系统热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ong et al. An Efficient Stack Management by The Selective Revocation of Mapping from Virtual Memory to Physical memory
JP2666785B2 (ja) プロセス終了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CN115934276A (zh) 内存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6991584A (zh) 资源分配系统和控制方法、装置、介质、硬件加速引擎
CN115098244A (zh) 内核栈的分配方法、电子设备、芯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