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232A -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 Google Patents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232A
KR20020062232A KR1020020020731A KR20020020731A KR20020062232A KR 20020062232 A KR20020062232 A KR 20020062232A KR 1020020020731 A KR1020020020731 A KR 1020020020731A KR 20020020731 A KR20020020731 A KR 20020020731A KR 20020062232 A KR20020062232 A KR 20020062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way
escape
pipe
water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일상
Original Assignee
황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일상 filed Critical 황일상
Priority to KR1020020020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2232A/ko
Publication of KR2002006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23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 저면으로 각각 절개홈이 형성되고, 양단 또는 양단 전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이 수로관 양측벽 상면을 에워싸며 걸쳐지는 콘크리트재의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 결합홈의 요홈에 끼워지기 위한 돌부가 상단부 저면에 형성되고, 상면 일측방을 따라 전장길이만큼 입설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수로관 바닥면에 닿는 상태를 유지하는 콘크리트재의 탈출부재로 구성되는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를 제공하여,
농업용지등의 농수를 공급 또는 배수하는 기존의 수로관을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가능하고, 생태계 보호구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설치방법 및 시공이 간단하고 이에 따른 설치시공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The ecosystem protection fitting of a watercourse}
본 발명은 생태계 보호를 위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수로관에 물의 유입 또는 배수시 양서류나 파충류등의 동물이 함께 낙수되어 수로관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죽게 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생태계의 파괴를 막기 위해 기존 설치된 수로관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각종 양서류나 파충류등의 동물이 손쉽게 수로관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지를 개간한 후에는 그 개간된 농업용지에 농업용 용수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수로관을 연속 형성하게 되는바, 종래의 자연제방에 의해 자연스런 수로가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파충류, 양서류 등 수륙양생동물 또는 수서곤충들의 서식지로서 제공되어 왔고, 인접지역으로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등 생태계 보존역할을 수행하였으나, 하천 및 농수로 정비공사시 동물들의 이동통로 및 서식지의 역할을 담당하는 원만한 경사면을 갖는 자연제방이 파괴되고 주로 콘크리트에 의한 경계벽을 갖는 상기한 수로관이 설치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자연제방을 파괴하고 설치되는 표준화되고 대량생산되는 조립형 수로 및 콘크리트에 의해 만들어지는 인위적 하천 제방은 수량의 안정적 공급이나 유수(流水)의 흐름만을 고려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인근의 동물들이 이동하기 위해 수로를 통과할 경우 높은 경계벽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거나 혹은 수로내에 갇혀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죽는 경우가 빈번하다.
즉, 종래의 수로관(1)은 도 9에서 보듯이 수량(水量)의 안정적 공급이나 용수(用水)의 원할한 흐름만을 고려하여 좌우의 경계벽 내측면(2,2')과 바닥면(3)이 경사지거나 밋밋한 상태로 매끈하게 성형제작되기 때문에 수로관(1) 안으로 떨어지는 개구리, 도룡뇽, 뱀등의 양서류 또는 파충류등의 동물이 죽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이 자연제방의 파괴로 인하여 동물들의 이동통로가 차단됨은 물론, 수로 및 하천 주변의 서식지가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동경로에 의해 형성되는 먹이사슬의 파괴등으로 인하여 농업용지 주변의 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되어 불균형의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심각하게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거나 개시되고 있는바, 실용신안등록 제 215908 호는 좌우 양측 경계벽 중 하나 이상의 경계벽을 부분적으로 비스듬하게 형성하고, 이와같이 비스듬하게 형성된 경계벽 부분의 외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외측벽을 설치하고, 수로 바닥면 일부에 유수(流水)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저류(貯溜)홈을 외측벽까지 연장되도록 설치하고, 이에 대향되는 경계벽 사이에서 저류홈 상단으로부터 외측벽 및 경게벽 상단까지 비스듬하게 뻗어나가는 경사로를 설치하되 상기 경사로는 경계벽의 비스듬한 부분부다 약간 낮은 높이로 설치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은 종래의 수로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외측벽이나 경계벽, 저류홈등을 별도 제작, 성형하여야 하는 등의 번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생산가 및 시공가가 상승될 요인을 안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실용신안 등록 제 260481 호는 수로관을 형성하되 어느 일측으로 사각형상의 홈으로 되는 어소블럭 삽입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어소블럭 삽입부에 양서류나 파충류등의 동물등이 수로관에서 용이하게 타고 올라올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어소블럭을 삽입하여서 되는 수로관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실용신안 등록 제260481호의 경우에도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밋밋한 형태의 수로관을 그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철거한 후 어소블럭 삽입부가 일체로 되는 수로관을 재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같은어소블럭 삽입부에 삽입되어지는 여러 종류의 어소블럭을 별도 제작하여 필요로 하는 적정 장소의 어소블럭 삽입부에 삽입, 설치하여야 하므로 효과에 비하여 시공가 및 설치 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없다.
아울러 상기한 선행기술 이외에도 실용신안 등록 제236284호인 생태계 보호용 도배수로나, 실용신안등록 제236328호인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1998-27796(공개번호 실 2000-4189)호인 환경보호용 배수로관, 실용신안 등록 제228759호인 환경 친화용 수로관, 실용신안 등록 제250952호인 친환경 수로관,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1999-11658호인 수로등에서의 생태보호구,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0-24323호인 환경수로관,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0-22828호인 소형 동물의 탈출수단을 구비한 수로관 등이 있으나, 상기한 기술의 경우에도 기존의 수로관을 그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새롭게 제조, 제작하여 설치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최초 수로관 제작 및 설치시에는 각각의 규격에 따라 설치 시공을 자유롭게 시행할 수 있으나, 이미 부설된 기존 수로관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기존 수로관을 해체 한 후 다시 새롭게 교체 시공하여야 하므로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규격이 다른 기존 수로관의 경우에는 아예 그 설치조차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선행기술 이외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제2001-102874호인 환경 생태 통로 다리의 구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의 경우, (1)환경생태다리 발판과 힌지 결합되는 환경 생태다리의 역할에 의하여 수로관에 서식하거나 수로관에 빠진 양서류와 같은 수륙 양생동물들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환경생태다리가 부력과 수압에 의해 부상되었다가 수로관에 흐르고 있는 물이 적게 되면 환경 생태다리의 자중에 의하여 수로관 바닥에 밀착되도록 구성시켜 고갈되어 가는 자연생태계를 복원하는데 기여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과, (2)옹벽 또는 축대의 일정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환경생태다리 발판과 힌지 결합되어 수압과 부력 또는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과, (3)환경생태다리의 구성체를 진공 또는 밀폐공간으로 구성하고 환경생태다리의 하단부를 절곡되게 구성하여 수로관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을 가중하여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과, (4)수로관을 횡단하여 수로관의 일측과 타측에 상호 결합되는 횡단발판에 환경생태다리를 힌지 결합하여 구성하는 환경생태다리 구성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즉, 도 10 a에서와 같이 그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데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 수로관(7) 일측으로 볼트 등의 체결구(8)에 의해 고정되는 환경 생태다리 발판(5) 일측에 힌지(6) 결합되는 환경생태다리(4)가 물살이나 수위등에 따라 자유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도 10b에서 보듯이 수로관(7)을 횡단하며 볼트 등의 체결구(8)에 의해 고정되는 수로관 횡단 발판 겸용 체결구(9) 일측에 힌지(11)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는 환경생태다리(4)를 구성하거나, 또는 도 10c에서 보듯이 수로관(7)을 횡단하는 수로구 횡단 힌지 겸용 체결구(10)를 수로관(7) 양측벽 상면에 각각 체결구(8)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로관(7) 일측에 환경생태다리 발판(5)을 고정하고 상기 수로구 횡단 힌지 겸용 체결구(10)에 의해 힌지 회동할 수 있는 환경생태다리(4)를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할 경우, 기존의 수로관을 이용하여 환경 친화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수로관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는 있으나, 수로관 양측벽 상면으로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환경생태다리발판을 고정하여야 되는데, 통상 수로관은 콘크리트 몰드 성형에 의해 형성되므로 체결구에 의한 고정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타격에 의한 체결시 콘크리트 구조물인 수로관이 파열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작업상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수로관의 높이가 통상 500~800 cm임을 감안 할 때, 상기 종래 선행기술에 의해 수로관을 형성하였을 경우, 환경생태다리발판(5) 일측면에 환경생태다리 와 환경생태다리의 발판을 연결해주는 경첩(유동힌지; 이하 힌지라함)(6)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데, 상기한 회동가능한 환경생태다리(4)의 회동각은 환경생태다리발판(5)의 두께와 환경생태다리(4)의 두께에 의해 상호 당접되어 있으므로, 그 두께만큼 힌지(6)의 회동이 억제되어져 상기 환경생태다리(4)의 회동각이 자유롭지 못하고 이에따라 환경생태다리(4)의 길이가 적정길이 이하일 경우 하단부가 수로관 바닥면에 닿지 못하고 환경생태다리(4)의 하단부와 바닥면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로관을 통해 유동되는 용수의 수위가 통상 바닥면에서 1~2cm임을 감안할 때 상기 종래 선행기술에 의해 실시하였을 경우 수로관 바닥면에 항상 닿아 있지 못한 환경생태다리(4)를 통해 각종 양서류나 파충류 등의 동물이 용이하게 수로관을 탈출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목적한 바를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에 해결함으로써, 수로관의 파손 및 파열을 방지하고 아울러 수로관 바닥면에 항상 위치한 상태에서 용수의 유동량이 상당할 경우에는 자연적 부력에 의해 상승되도록 하고 유동량이 작을 경우에는 바닥면에 닿아 수로관내의 각종 양서류나 파충류등이 용이하게 탈출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코자 한다.
상기한 선행기술 이외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 등록 제226453호가 개시되어 있다.(도 11a,b 참조)
상기한 선행기술 실용신안등록 제226453호는 『플룸관(수로관) 상부를 횡단하여 그 양단이 플룸관 양측벽 상단에 고정되는 가로대와, 가로대 위에 얹혀지고 플룸관의 측벽 최상부에 밀착되는 상판과, 상단이 상기 상판에 힌지된 채로 플룸관 하류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그 하단이 플룸관 바닥에 놓여짐으로써, 플룸관 바닥으로부터 상기 상판까지 완만한 경사의 생태로(生態路)를 형성하는 오름판으로 되는 것』(청구항 1항)과 『상기 상판은 플룸관의 폭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단위길이를 가지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여러 개의 상판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청구항 5항)과, 『상기 가로봉은 그 길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턴버클을 포함하는 것』(청구항 6항)과, 『상기 오름판은 그 상단에 성형된 걸고리부가 상기 가로봉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가로봉에 힌지되는 것』(청구항 8항)으로 구성되어 있다.(실용신안등록 제226453호 청구범위 일부 인용)
즉, 상기한 선행기술 실용신안 등록 제226453호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수로관(플룸관)내벽의 폭에 따라 가변적으로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분리되는 상판 (20)을 턴버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포함하는 가로대(10) 및 가로봉(11)에 의해 연결 한 후, 상단에 걸고리(30a)가 형성된 오름판(30) 및 상기 오름판(30) 하단에 천연수초나 인공수초등을 형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어류등의 서석처로서의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실용신안은 비교적 간단하게 기존의 수로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어류등의 서식처 제공과 양서류, 파충류등의 동물이 수로관에 빠졌을 때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는 탈출로를 제공하는 기존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나, 수로관 유속의 변화에 따라 경질제(輕質製)의 재질로 되는 오름판(30)이 수로관 내 물의 부력작용에 의해 자주 오르락 내리락 하는 승하강 작동이 심하여 물의 유속을 따라 유동되는 양서류나 파충류등이 손쉽게 오름판(30)으로 오르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분리되는 상판(20)을 가로대(10) 등으로 연결 고정하여 상판(20) 상면에 각종 수초 등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으나, 단위로 되는 상판(20)의 단위 길이와 전체적 수로관(플룸관)의 너비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상판(20)을 이에 맞게 제조하거나 또는 턴버클등의 수단으로 수로관의 폭에 따라 고정함과 동시에 조립되거나 일체로 된 상판(20)의 양단이 수로관내벽과 이격되는 틈을 형성할 수 밖에 없으므로, 양서류나 각종 파충류 등이 그 틈새를 통해 수로관내로 재유입되거나 그 틈이 미세할 경우 그 틈새에 끼여 죽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상기실용신안의 목적에 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름판(30)의 형상중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걸고리(30a)를 형성하고, 상단의 걸고리(30a)는 상판부재(21)의 홈(21b)으로 통과되는 가로대(10)와 힌지 결합되도록 하고, 하단의 걸고리(미도시)는 습판(40)에 형성되는 힌지(미도시)에 결합되어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 습판(40)과 오름판(30)간 항상 균일한 각을 유지하여 습판(40)이 평활상태를 유지하기 보다는 유속의 흐름 및 유량의 조건등에 따라 상하 이동이 심하고, 습판(40)의 평활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 양서류나 파충류등의 서석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고리부(30a)에 걸려져 오름판(30)을 회동시키게 되는데, 유속의 흐름이 상당할 경우에는 유속의 방향과 대향되는 위치에 오름판(30)을 설치하였을 경우 오름판(30)의 걸고리부(30a)가 오름판(30)의 각을 유지하며 상승되게 되면 가로대(1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걸고리부(30a)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속 및 유량과 부력등 유체역학적 힘 분배에 따라 걸고리부(30a)가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항상 걸고리부(30a)의 위치는 유속을 등에 등지는 위치상으로 설정되어야 목적한 바를 이룰 수 있어, 설치 장소 및 유속과 유량 및 부력의 작용에 따라 설치 가능한 선택폭이 줄어들 수 밖에 없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일부부재가 파손되거나 파열되었을 경우, 모든 부재의 탈거작업 또는 부분적 탈거작업 후 재 조립하여야 하는 등 유지 보수작업이 번잡하게 될 수 있는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한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를 제공하여 어느 위치에서나 자유자재로 기존의 수로관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비 및 이에 따른 부가비용 및 보수 유지작업의 단순화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등을 절감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수로관내에 빠진 양서류나 파충류 등의 각종 동물등이 수로관내에서 손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여 먹이사슬 보존에 따른 생태계의 보호에 그 근본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속의 흐름방향 및 유속, 유량 및 수위등에 구애되지 않고 유속의 흐름방향과 등지는 방향 또는 유속의 흐름방향과 맞서는 방향 등 작업자 및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본 발명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로의 흐름방향 및 유량 및 유속에 구애되지 않고 설치 선택폭을 넓히도록 하여 최상의 환경보존 및 생태계 보존 조건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 구성을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수로관에 채택, 실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4는 도 2의 변형된 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타실시예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도 5의 변형된 실시예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일반적 수로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a,b,c는 종래기술에 의한 생태보호를 위한 수로관에 관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 a,b는 종래의 또다른 선행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수평부재 110; 절개홈 120; 결합홈
121; 요홈 130; 난간부재 200; 탈출부재
210; 돌부 220; 입설부재 200'; 탈출부재
201'; 평활면 202'; 직각면 220'; 입설부재
200";반구형상 탈출부재 201"; 탈출로 202"; 테이퍼면
203"; 바닥면 204"; 결합돌부 205"; 결합홈
300,300'; 수로관 301; 바닥면 302; 내측벽면
310; 결합돌부 320; 결합요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 저면으로 각각 절개홈(110)이 형성되고, 양단 또는 양단 전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121)을 갖는 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110)이 수로관(300) 양측벽 상면을 에워싸며 걸쳐지는 콘크리트재의 수평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100) 결합홈(120)의 요홈(121)에 끼워지기 위한 돌부(210)가 상단부 저면에 형성되고, 상면 일측방을 따라 전장길이만큼 입설부재(220)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수로관(300) 바닥면에 닿는 상태를 유지하는 콘크리트재의 탈출부재(200)로 구성된다.
아울러 수로관 내측벽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일체로 내측방 돌출 성형 몰드 되고 수로관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전장길이만큼 입설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 형상의 탈출부재로 구성된다.
한편 단위로 분리되는 수로관과 수로관사이에 개재되는 반원구상의 탈출부재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다.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가장 간단한 구성에 의한 구성요소에 의해 수로관 내외 생태계의 보존 및 기존의 수로관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치 시공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로관(300) 상단을 가로지르며 얹혀지는 수평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100)로부터 수로관(300) 바닥면으로 놓여지는 탈출부재(200)로 구성되는바, 수평부재(100) 및 탈출부재(200)의 재질은 수로관(300)의 재질과 동일한 콘크리트로 몰드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로관(300)은 통상의 일반적 수로관(300)을 이용하는데 평활한 바닥면(301) 양측방으로 일체 입설되는 내측벽면(302)이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수로관(300)의 단위 길이는 보통 2M 정도이고 높이는 약 300~1500 mm, 폭은 300~1500 mm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다.
이와같은 수로관(300) 양단부에는 각각 타 수로관과 결합 가능하기 위한 결합돌부(310) 및 결합요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로관(300) 내부로 유동되는 물의 유속 및 유량 등에 따라 탈출부재 (200)가 손쉽게 들어올려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물의 흐름방향으로의 탈출부재(200)의 설치는 물론이거니와, 물의 흐름방향에 역행되는 방향으로도 탈출부재(200)의 설치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수평부재(100)는 양서류나 파충류등의 동물이 탈출부재(200)를 이용하여 이동된 후 수로관(300) 양측 지면상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면에서 보듯이 양단 저면부측에 각각 절개홈(110)을 형성하고 수평부재(100) 상면에 결합홈(120)을 형성하고 재차 상기 결합홈(120)에 후술하는 탈출부재(200)의 돌부(210)가 끼워질 수 있는 요홈(12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의 수평부재(100)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20)은 도 2에서 보듯이 수평부재(100)의 일측에만 형성할 수도 있고, 도 3에서 보듯이 엇갈리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4에서 보듯이 수평부재(100)의 양단측 전후방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로관(300)내 생태계의 조건 즉 양서류나 파충류등 상당한 수의 동물이 서식하는 장소일 경우 또는 서식하는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 등, 조건에 따라 동일한 수로관(300)이라 하더라도 지엽적 조건등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홈(120)을 형성하여 탈출부재(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탈출부재(200)는 수로관(300)내에 빠진 동물등이 용이하게 수로관 (300)으로부터 탈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수평부재(100)의 결합홈(120)에 탈출부재(200)의 상단부가 얹혀지되, 수평부재(100) 결합홈(120)내에 재차 이중으로 형성되는 요홈(121)으로 탈출부재(200) 상단부측 하단면으로 일체 돌출되는 돌부(2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으며, 탈출부재(200)의 하단부는 수로관(300)의 바닥면에 닿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탈출부재(200)의 일측면, 즉 탈출부재(200)의 타측면이 당접 위치되는 수로관(300) 내벽면에 비스듬하게 당접되며 설치되는 탈출부재(200)의 타측면으로부터 대향되는 탈출부재(200) 일측(수로관 내측방) 상면을 따라 그 전장길이만큼 입설부재(220)가 도 1 등 에서 보는바와 같이 입설 형성된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개구리나 두꺼비 등 양서류의 경우에는 비스듬하게형설된 탈출부재(200)를 타고 용이하게 올라탄 후 이동하여 수로관 상부 지면으로 탈출 가능하지만, 뱀이나 도마뱀과 같은 파충류의 경우 행보가 "S"자 형상을 이루므로 상기한 입설부재(220)가 형성되어 난간기능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뱀등의 머리가 탈출부재(200)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그대로 다시 낙하되어 수로관(300)에 빠지는 현상이 반복될 수 있어, 자연친화적·생태계 보존적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로 적정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결합부재(220)의 상단이 수평부재(10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20)에 끼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수평부재(100) 상면을 따라 그 길이방향만큼 난간부재(130)를 일체로 형성하여 탈출부재(200)의 입설부재 (220)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형성할 수도 있는데, 예컨데 제1실시예와는 달리 수로관(300) 어느 하나의 내측벽면에 "" 형상의 탈출부재(200')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탈출부재(200') 일측면 즉 수로관(300) 내측방측의 탈출부재(200') 상면의 일면 전장길이만큼 입설부재(2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의 탈출부재(200') 상단부에 평활면(201')을 형성하여 수로관(300)에 빠진 각종 동물등이 탈출부재(200')를 타고 상승한 후 평활면(201')을 타고 지표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평활면(201')의 높이와 수로관(3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높이가 동일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평활면(201')의 외주면측 즉 수로관(300)과 당접되는 부위면 및 탈출부재(200')와 만나는 면부위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갖는 입설부재(220')를 형성하고, 탈출부재(200)의 일측면을 따라 전장길이만큼 입설부재(220')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뱀등의 파충류가 탈출부재 (200')를 "S"자 형상으로 오를때 재차 수로관(300) 내부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수로관(300)내 물의 방향을 감안하여 물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탈출부재(200') 일단(즉, 평활면(201')의 위치부분)에서 수로관(300) 내측벽면(302)까지 테이퍼지는 테이퍼면(20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도 도 6에서 보듯이 "" 형상의 탈출부재(200')를 상호 당접시키도록 하여 "" 같은 형상의 탈출부재(200')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7a에서 보듯이 "" 형상의 탈출부재(200')를 각각 수로관(300) 양측 내벽면에 일체 형성할 수도 있는바, 수로관(300)이 지나가는 지역적 특성 즉 각종 동물등의 서식량이 상당하거나 또는 서식량이 미비할 경우등 수로관(300) 통과 지역의 지엽적 생태 조건에 따라 여러가지로 채택 적용할 수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도 7b에서와 같이 양측 내벽면에 형성된 각각의 탈출부재(200')간을 연결하는 수평부재(100)를 형성하여 탈출부재(200')를 타고 오른 동물이 원하는 방향의 지면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상기한 실시예는 일정길이의 단위로 되는 수로관(300)과 수로관(300')을 벌린 상태에서 그 사이에 반구형상 탈출부재(200")를 삽입 개재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8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탈출부재(200")를 이용하여 양서류 또는 파충류 등의 동물이 용이하게 수로관(300,300')으로부터 탈출 할 수 있거나 서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반구형상 탈출부재(200")는 도면에서 보듯이 반구형상을 갖는데 상단 내주연으로부터 바닥면(203")으로 테이퍼지며 각종 동물등이 수로관(300,300')에서 탈출 용이하도록 탈출로(201")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203") 단부측에서 수로관(300)내측으로 전방 및 측방면이 테이퍼지는 테이퍼면(202")을 형성하여 수로관(300,300')내를 떠돌던 각종 동물등이 테이퍼면(202")을 타고 올라와 바닥면(203")을 거쳐 탈출로(201")를 이용하여 지면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테이퍼면(202")으로부터 수로관(300,300')을 횡단하여 형성되는 수로면(207")을 형성하고, 타측방의 수로관(300,300') 내측벽면에 이르러 상기한구성에 의한 동일한 반구형상 탈출부재(200")가 일체로 대향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반구형상 탈출부재(200")의 양단부측은 수로관 (300,300') 각각의 양단부와 결합되어야 하는데, 수로관(300,300')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부(310,310') 및 결합요홈(320,320')과 체결되는 형상을 갖도록 대응되는 결합돌부(204")와 결합요홈(205")가 형성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반구형상 탈출부재(200")는 일측면의 수로관(300)(300')에 형성하게 되면 타측 대향되는 수로관(300,300')의 이격틈을 여타의 동일 부재로 메꾸거나 또는 동일한 상기의 반구형상 탈출부재(200")를 결합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출로(201")의 양단으로도 상기한 난간부재(206")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농업용지등의 농수를 공급 또는 배수하는 기존의 수로관을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가능하고, 생태계 보호구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설치방법 및 시공이 간단하고 이에 따른 설치시공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양단 저면으로 각각 절개홈(110)이 형성되고, 양단 또는 양단 전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121)을 갖는 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110)이 수로관(300) 양측벽 상면을 에워싸며 걸쳐지는 콘크리트재의 수평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100) 결합홈(120)의 요홈(121)에 끼워지기 위한 돌부(210)가 상단부 저면에 형성되고, 상면 일측방을 따라 전장길이만큼 입설부재(220)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수로관(300) 바닥면에 닿는 상태를 유지하는 콘크리트재의 탈출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로관(300) 내측벽면(302) 일측 또는 양측면에서 일체로 내측방 돌출 성형 몰드 되고 수로관(300) 상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전장길이만큼 입설부재(2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면이 테이퍼면(202')을 이루고 상면은 수로관(300)으로부터 돌출된 폭만큼 평활면(201')을 갖는 "" 형상의 탈출부재를 포함하는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3. 상단 내주연으로부터 바닥면(203")으로 테이퍼지는 탈출로(201")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203") 단부측에서 수로관(300)내측으로 전방 및 측방면이 테이퍼지는 테이퍼면(202")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면(202")으로부터 수로관(300,300')을 횡단하여 형성되는 수로면(207")을 형성하고, 타측방의 수로관(300,300') 내측벽면에 이르러 상기한 구성에 의한 동일한 반구형상 탈출부재(200")가 일체로 대향 형성하여 수로관(300)과 수로관(300')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KR1020020020731A 2002-04-16 2002-04-16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KR20020062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731A KR20020062232A (ko) 2002-04-16 2002-04-16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731A KR20020062232A (ko) 2002-04-16 2002-04-16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487U Division KR200286643Y1 (ko) 2002-04-16 2002-04-16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232A true KR20020062232A (ko) 2002-07-25

Family

ID=2772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731A KR20020062232A (ko) 2002-04-16 2002-04-16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22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9291A (zh) * 2022-07-25 2022-11-29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适用于堤坝的一体式双向生物通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9291A (zh) * 2022-07-25 2022-11-29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适用于堤坝的一体式双向生物通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2180B (zh) 用于网笼的模块化浮力系统和漂浮元件
US9359737B2 (en) Environmentally-friendly safe weir comprising both water way and fishway
KR100541631B1 (ko) 유속 안내판과 어도 덮게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의 구성방법
US4998847A (en) Drainage conduit which is resistant to clogging by beavers
KR200286643Y1 (ko)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KR20020062232A (ko)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구
KR101718425B1 (ko) 수로 탈출장치
US9476185B2 (en) Pond water diversion apparatus for flood control and prevention of castor infestation
KR10073240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한 이중어도의 구성방법
KR10068889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100578541B1 (ko) 산사면 사이 도로에 설치되는 동물이동대
DE102010021606B4 (de) Vorrichtung zur Habitaterschließung im Unterwasserbereich eines Offshore-Bauwerks
KR200389675Y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
KR20060081452A (ko) 생태복원 수로관
KR200497306Y1 (ko) 수로관 사이에 설치되는 소형동물 탈출장치
KR100976973B1 (ko)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KR200283238Y1 (ko) 환경 생태 통로 다리
KR100992377B1 (ko) 하천에서 제방용 보호 블럭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KR20010102874A (ko) 환경 생태 통로 다리의 구성 방법
KR102455207B1 (ko) 암거형 생태통로용 관 및 이를 이용한 양서류를 위한 생태통로 조립체
KR20100111552A (ko) 유량손실을 방지하며 양 방향으로 상시 이동이 용이한 어도
KR200447370Y1 (ko) 하천용 인공어초
KR200197750Y1 (ko)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KR20010097305A (ko)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