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105A - 토출 맥동 저감구조를 갖는 왕복동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토출 맥동 저감구조를 갖는 왕복동식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62105A KR20020062105A KR1020010011836A KR20010011836A KR20020062105A KR 20020062105 A KR20020062105 A KR 20020062105A KR 1020010011836 A KR1020010011836 A KR 1020010011836A KR 20010011836 A KR20010011836 A KR 20010011836A KR 20020062105 A KR20020062105 A KR 200200621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 cross
- diameter
- discharge
- sec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개시된 왕복동식 압축기는, 실린더 블록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토출머플러와, 한 쌍의 토출머플러 각각과 실린더헤드의 냉매토출방을 연통시키는 제 1 및 제 2 냉매유로와, 한 쌍의 토출머플러를 각각 밀폐하는 한 쌍의 머플러 커버와, 한 쌍의 머플러 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과, 한 쌍의 머플러 커버 중 제 2 냉매유로와 연통된 쪽에 연결된 냉매토출관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냉매유로는 냉매토출방과 연결된 냉매유입측의 단면적보다 토출머플러와 연결된 냉매유출측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적과, 제 2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적과, 연결관의 단면적 사이의 비율은 압축기의 배기량에 따라 변화된다. 이러한 왕복동식 압축기에 의하면, 냉매유로의 유동 저항을 크게 함으로써 냉매의 토출 맥동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 토출시 발생되는 맥동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왕복동식 압축기는 냉장고 등의 냉동장치에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왕복동식 압축기는, 크게 상부쉘(11) 및 하부쉘(12)로 이루어진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부품들로 구성된 압축기구부와, 이 압축기구부를 구동하는 전동기구부(20)를 구비한다.
상기 전동기구부(20)는 고정자(21)와, 이 고정자(21)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22)와, 이 회전자(22)의 중심부에 압입 설치된 크랭크 샤프트(33)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구부는, 케이스(10) 내부의 하측에 설치된 실린더블록(30)과, 크랭크 샤프트(33)의 하단에 편심 결합된 커넥팅로드(40)와, 이 커넥팅로드(40)의 선단에 결합되어 실린더블록(30)에 형성된 압축실(31) 내에서 직선으로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50)과, 실린더블록(30)의 전면(32; 도 2 참조) 측에 설치되어 압축실(31)을 밀폐하는 실린더헤드(60)로 구성된다. 실린더헤드(60)에는 냉매흡입방(61)과 냉매토출방(62)이 상하로 구획 형성된다. 실린더헤드(60)와 실린더블록(30)의 전면(30) 사이에는 밸브조립체(70)가 개재된다. 이 밸브조립체(70)는 냉매흡입방(61) 및 냉매토출방(62)과 압축실(31) 사이에서의 냉매 흐름을 단속한다.
한편, 실린더헤드(60)의 상부에는 냉매흡입방(61)과 연통된 흡입머플러(80)가 설치된다. 이 흡입머플러(50)에는 도시하지 않은 증발기로부터 냉매가 흡입되는 냉매흡입관(81)이 연결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블록(30)의 저면에는 토출머플러(33)가 돌출 형성되며, 이 토출머플러(33)는 머플러커버(34)에 의해 밀폐된다. 이 머플러커버(34)에는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유로가 되는 냉매토출관(35)이 연결된다. 실린더블록(32)의 전면(32)에는 냉매유로(37)에 의해 토출머플러(33)와 연통된 냉매토출공(32a)이 형성된다.
한편, 밸브조립체(70)는, 흡입밸브(71a)가 형성된 흡입밸브 플레이트(71)와, 토출밸브(72a)가 형성된 토출밸브 플레이트(72)를 구비한다. 흡입밸브(71a)는 압축실(31)과 실린더헤드(60)의 냉매흡입방(61) 사이에서의 냉매 흐름을 단속하며, 토출밸브(72a)는 압축실(31)과 실린더헤드(60)의 냉매토출방(62) 사이에서의의 냉매 흐름을 단속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압축기에 유입된 냉매가 피스톤(50)에 의해 압축된 후 토출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크랭크 샤프트(23)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50)이 압축실(31) 내에서 하사점 방향(도 1에서 좌측 방향)으로 후퇴하면, 증발기(미도시)로부터 흡입관(81)으로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가 유입된다. 냉매는 흡입머플러(80)와 실린더헤드(60)의 냉매흡입방(6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실(31)로 유입된다. 이후, 크랭크 샤프트(23)가 더 회전하여 피스톤(50)이 압축실(31) 내에서 상사점 방향(도 1에서 우측 방향)으로 전진하면, 냉매는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된다. 압축된 냉매는 실린더헤드(62)의 냉매토출방(62)에 잠시 머문 후, 실린더블록(30) 전면(32)의 냉매토출공(32a)과 냉매유로(37)를 통하여 토출머플러(33)로 유입된다. 이후, 고온 고압의 냉매는 머플러커버(34)와 연결된 냉매토출관(35)을 통하여 응축기(미도시) 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왕복동식 압축기에서는, 압축실(31) 내에서 피스톤(50)이 왕복 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 압축한 후 토출하게 되므로, 냉매가 연속적으로 토출되지 못함으로써 토출 맥동(脈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냉매의 토출 맥동은 압축기 소음 및 진동의 원인이 된다. 특히, 냉동장치의 다른 부품들의 고유진동수에 해당하는 120 Hz ∼ 500 Hz 정도의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압축기 소음은 냉동장치의 다른 부품들과 공진 작용을 함으로써 냉동장치 전체의 소음 및 진동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냉매의 토출 맥동은 토출된 냉매의 유동저항을 크게 함으로써 저감될수 있다. 즉, 실린더헤드(60)의 냉매토출방(62)으로부터 토출머플러(33) 사이의 냉매유로(37)의 단면적을 작게하거나, 냉매유로(37)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냉매의 토출 맥동은 저감된다. 그러나, 냉매유로(37)의 단면적이 너무 작아지게 되면, 냉매토출방(62)과 토출머플러(33) 사이에 냉매가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여 압축기의 압축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냉매유로(37)는 실린더블록(30)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그 길이를 증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매의 토출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토출 맥동을 저감할 수 있는 왕복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왕복동식 압축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서 압축기구부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압축기구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에서 압축기구부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압축기구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도 5의 I-I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에서의 냉매 토출시 맥동파형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구동시 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 실린더헤드62 : 냉매토출방
130 : 실린더블록131 : 압축실
132a, 132b : 냉매토출공133a, 133b : 토출머플러
134a, 134b : 머플러커버135 : 냉매토출관
136 : 연결관137 : 제 1 냉매유로
138 : 제 2 냉매유로137a, 138a : 냉매유입측
137b, 138b : 냉매유출측170 : 밸브조립체
상기와 같은 목적은, 실린더 블록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토출머플러와, 상기 한 쌍의 토출머플러 각각과 실린더헤드의 냉매토출방을 연통시키는 제 1 및 제 2 냉매유로와, 상기 한 쌍의 토출머플러를 각각 밀폐하는 한 쌍의 머플러 커버와, 상기 한 쌍의 머플러 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한 쌍의 머플러 커버 중 상기 제 2 냉매유로와 연통된 쪽에 연결된 냉매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냉매유로는 상기 냉매토출방과 연결된 냉매유입측의 단면적보다 상기 토출머플러와 연결된 냉매유출측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배기량에 따라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적과, 상기 제 2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적과, 상기 연결관의 단면적 사이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냉매의 토출맥동을 저감하는왕복동식 압축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압축기의 배기량이 3.0 cc인 경우,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대략 2 : 2 : 1.8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냉매유로 각각의 상기 냉매유입측 단면의 직경이 6.4 mm일 때,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2.0 mm이고, 상기 제 2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2.0 mm이며,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1.78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기의 배기량이 3.7∼4.3cc인 경우,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대략 2 : 3.5 : 1.8의 비율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냉매유로 각각의 상기 냉매유입측 단면의 직경이 6.4 mm일 때,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2.0 mm이고, 상기 제 2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3.5 mm이며,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1.78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기의 배기량이 5.2∼6.2cc인 경우,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대략 2 : 3.5 : 2.2의 비율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냉매유로 각각의 상기 냉매유입측 단면의 직경이 6.4 mm일 때,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2.0 mm이고, 상기 제 2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3.5 mm이며,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2.16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머플러 커버에 삽입된 상기 연결관의 양단부는 상기 머플러 커버의 내벽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절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에 의하면,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유동 저항을 크게 함으로써, 냉매의 토출 맥동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의 구성은 압축기구부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압축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는, 실린더블록(130)과, 이 실린더블록(130)의 전면(132) 측에 설치된 실린더헤드(60)와, 실린더블록(130)과 실린더헤드(60) 사이에 개재된 밸브조립체(170)를 구비한다.
실린더블록(130)의 전면(132)에는 실린더헤드(60)의 냉매토출방(62; 도 1 참조)과 연통된 한 쌍의 제 1 및 제 2 냉매토출공(132a)(132b)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실린더블록(130)의 저면에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토출머플러(133a; 도 4 참조)(133b)가 돌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토출머플러(133a)(133b)에는 반구형의 제 1 및 제 2 머플러커버(134a)(134b)가 각각 설치되며, 제 1 머플러커버(134a)와 제 2 머플러커버(134b)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연결관(136)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제 1 머플러커버(134a)에는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유로가되는 냉매토출관(135)이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냉매토출공(132a)과 제 1 토출머플러(133a)는 실린더블록(130)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냉매유로(137)에 의해, 제 2 냉매토출공(132b)과 제 2 토출머플러(133b)는 제 2 냉매유로(138)에 의해 각각 연통된다. 제 1 및 제 2 냉매유로(137)(138)는 각각의 냉매유입측(137a)(138a) 단면적보다 냉매유출측(137b)(138b)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36)의 양단에는 제 1 및 제 2 머플러커버(134a)(134b)의 내벽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절곡된 절곡부(136a)가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관(136)의 양단은 제 1 및 제 2 머플러커버(134a)(134b)에 절곡부(136a)의 길이만큼만 삽입됨으로써, 이들 머플러커버(134a)(134b)에서 추가적인 맥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압축실(131)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린더헤드(60)의 냉매토출방(62; 도 1 참조)에 잠시 머문 후, 제 1 및 제 2 냉매토출공(132a)(132b)을 통하여 각각 제 1 및 제 2 냉매유로(137)(138)의 냉매유입측(137a)(138a)으로 분산되어 유입된다. 유입된 냉매는 단면적이 작은 냉매유출측(137b)(138b)를 따라 흐르면서 토출 맥동이 저감되며, 제 1 및 제 2 토출머플러(133a)(133b)로 흘러 들어간다.
이후, 제 2 토출머플러(133b)로 유입된 냉매는 연결관(136)을 통하여 제 1 토출머플러(133a)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다시 맥동이 저감된다. 즉, 제 2 토출머플러(133b) 내의 냉매는 제 1 토출머플러(133a) 내의 냉매보다 이동 경로가 길어지는데에 따른 유동 저항의 증가로 인하여 맥동이 저감되는 것이다.
특히, 제 1 및 제 2 냉매유로(137)(138)의 냉매유입측(137a)(138a) 단면적이 일정한 상태에서, 압축기의 배기량에 따라 제 1 냉매유로(137)의 냉매유출측(137b) 단면적과, 제 2 냉매유로(138)의 냉매유출측(138b) 단면적과, 연결관(136)의 단면적 사이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냉매의 토출맥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제 1 냉매유로(137)의 단면 직경 및 제 2 냉매유로(138)의 단면 직경, 연결관(136)의 내경이 각각 다음의 표 1에서와 같이 형성될 때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냉매의 맥동 저감 효과가 크게 된다.
제 1 냉매유로 | 제 2 냉매유로 | 연결관 | |||
유입측 | 유출측 | 유입측 | 유출측 | ||
30 GRADE | Φ6.4㎜ | Φ2.0㎜ | Φ6.4㎜ | Φ2.0㎜ | Φ1.78㎜ |
37∼43 GRADE | Φ6.4㎜ | Φ2.0㎜ | Φ6.4㎜ | Φ3.5㎜ | Φ1.78㎜ |
52∼62 GRADE | Φ6.4㎜ | Φ2.0㎜ | Φ6.4㎜ | Φ3.5㎜ | Φ2.16㎜ |
여기서, 'GRADE'는 배기량에 따른 압축기의 사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30 GRADE는 배기량 3.0 cc의 압축기를, 37 GRADE는 배기량 3.7 cc의 압축기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압축기의 배기량이 3.0 cc인 경우, 제 1 냉매유로(137)의 냉매유출측(137b) 단면의 직경과, 제 2 냉매유로(138)의 냉매유출측(138b) 단면의 직경과, 연결관(136)의 내경은 대략 2 : 2 : 1.8의 비율로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냉매유로(137)(138) 각각의 냉매유입측(137a)(138a) 단면의 직경이 6.4 mm일 때, 제 1 냉매유로(137)의 냉매유출측(137b) 단면의 직경은 2.0 mm로, 제 2 냉매유로(138)의 냉매유출측(138b) 단면의 직경은 2.0 mm로,연결관(136)의 내경은 1.78 mm로 형성된다.
한편, 압축기의 배기량이 3.7∼4.3 cc인 경우, 제 1 냉매유로(137)의 냉매유출측(137b) 단면의 직경과, 제 2 냉매유로(138)의 냉매유출측(138b) 단면의 직경과, 연결관(136)의 내경은 대략 2 : 3.5 : 1.8의 비율로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냉매유로(137)(138) 각각의 냉매유입측(137a)(138a) 단면의 직경이 6.4 mm일 때, 제 1 냉매유로(137)의 냉매유출측(137b) 단면의 직경은 2.0 mm로, 제 2 냉매유로(138)의 냉매유출측(138b) 단면의 직경은 3.5 mm로, 연결관(136)의 내경은 1.78 mm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의 배기량이 3.7∼4.3 cc인 경우의 제 1 냉매유로(137)의 냉매유출측(137b) 단면 직경 및 연결관(136)의 내경은 배기량이 3.0 cc인 경우와 동일하며, 제 2 냉매유로(138)의 냉매유출측(138b) 단면 직경만이 배기량이 3.0 cc인 경우보다 크다.
또한, 압축기의 배기량이 5.2∼6.2 cc인 경우, 제 1 냉매유로(137)의 냉매유출측(137b) 단면의 직경과, 제 2 냉매유로(138)의 냉매유출측(138b) 단면의 직경과, 연결관(136)의 내경은 대략 2 : 3.5 : 2.2의 비율로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냉매유로(137)(138) 각각의 냉매유입측(137a)(138a) 단면의 직경이 6.4 mm일 때, 제 1 냉매유로(137)의 냉매유출측(137b) 단면의 직경은 2.0 mm로, 제 2 냉매유로(138)의 냉매유출측(138b) 단면의 직경은 3.5 mm로, 연결관(136)의 내경은 2.16 mm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의 배기량이 3.7∼4.3 cc인 경우의 제 1 및 제 2 냉매유로(137)(138) 각각의 단면 직경은 배기량이 3.7∼4.3 cc인 경우와 동일하며, 연결관(136)의 내경만이 배기량 5.2∼6.2 cc인 경우보다 크다.
이렇게 압축기의 배기량이 커질수록 제 2 냉매유로(138)의 냉매유출측(138b) 단면 직경 또는 연결관(136)의 내경을 크게하는 이유는, 제 2 냉매유로(138)와 연결관(136)을 통하여 냉매가 적절한 유량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압축기 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냉매유로(137)를 따라 제 1 토출머플러(133a)에 유입된 냉매(A)의 맥동파형과, 제 2 냉매유로(138)와 제 2 토출머플러(133b) 및 연결관(136)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 1 토출머플러(133a)로 유입된 냉매(B)의 맥동파형은 약 90°의 위상차를 갖게 된다. 이러한 위상차에 의해 이들 냉매(A)(B)의 맥동파가 제 1 토출머플러(133a) 내에서 간섭됨으로써, 제 1 토출머플러(133a)에서 합쳐진 냉매(C)는 그 맥동파의 진폭과 진동수가 저감된 상태로 냉매토출관(135)으로 토출된다.
상기 표 1에서의 치수에 따라 제 1 냉매유로(137), 제 2 냉매유로(138), 연결관(136)을 각각 형성하여 압축기의 소음을 측정한 결과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냉동장치의 다른 부품들과 공진을 일으키는 175 ㎐ 부근의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약 23 ㏈ 정도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에서는 냉매 토출시의 맥동이 저감됨으로써 175 ㎐ 부근의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약 7 ㏈ 정도로 현저하게 감소 하였다.
한편, 제 1 토출머플러(133a)에서 합쳐진 냉매는 제 1 머플러커버(134a)와 연결된 냉매토출관(134a)을 통하여 응축기(미도시) 방향으로 토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냉매유로(137)(138) 각각의 냉매유입측(137a)(138a) 단면적보다 냉매유출측(137b)(138b) 단면적을 작게 형성하는 한편, 압축기의 배기량에 따라 제 1 냉매유로(137)의 냉매유출측(137b) 단면적과, 제 2 냉매유로(138)의 냉매유출측(138b) 단면적과, 연결관(136)의 단면적 사이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압축기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냉매의 토출 맥동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매의 토출 맥동이 저감됨으로써 압축기의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저주파 대역의 소음이 저감됨으로써 냉동장치 전체의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냉매유로(137) 및 제 2 냉매유로(138)를 각각 통과하여 제 1 토출머플러(133a)에서 합쳐지는 냉매의 맥동 파형이 서로 위상차를 갖게 됨으로써, 이들 2개의 맥동 파형이 서로 간섭되어 냉매의 토출 맥동이 저감되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 실린더 블록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토출머플러와, 상기 한 쌍의 토출머플러 각각과 실린더헤드의 냉매토출방을 연통시키는 제 1 및 제 2 냉매유로와, 상기 한 쌍의 토출머플러를 각각 밀폐하는 한 쌍의 머플러 커버와, 상기 한 쌍의 머플러 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한 쌍의 머플러 커버 중 상기 제 2 냉매유로와 연통된 쪽에 연결된 냉매토출관을 포함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냉매유로는 상기 냉매토출방과 연결된 냉매유입측의 단면적보다 상기 토출머플러와 연결된 냉매유출측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며,배기량에 따라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적과, 상기 제 2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적과, 상기 연결관의 단면적 사이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냉매의 토출맥동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대략 2 : 2 : 1.8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냉매유로 각각의 상기 냉매유입측 단면의 직경은 6.4 mm이며,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2.0 mm이고, 상기 제 2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2.0 mm이며,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1.7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대략 2 : 3.5 : 1.8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냉매유로 각각의 상기 냉매유입측 단면의 직경은 6.4 mm이며,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2.0 mm이고, 상기 제 2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3.5 mm이며,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1.7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과,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대략 2 : 3.5 : 2.2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냉매유로 각각의 상기 냉매유입측 단면의 직경은 6.4 mm이며, 상기 제 1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2.0 mm이고, 상기 제2 냉매유로의 상기 냉매유출측 단면의 직경은 3.5 mm이며, 상기 연결관의 내경은 2.16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머플러 커버에 삽입된 상기 연결관의 양단부는 상기 머플러 커버의 내벽 방향으로 소정 각도 만큼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9/946,296 US6547536B2 (en) | 2001-01-19 | 2001-09-04 |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discharge pulsation |
CNB011364092A CN1162619C (zh) | 2001-01-19 | 2001-10-15 | 具有排放脉动降低结构的往复式压缩机 |
BR0104893-7A BR0104893A (pt) | 2001-01-19 | 2001-10-30 | Compressor alternado com uma estrutura de redução de pulsação de descarg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10003270 | 2001-01-19 | ||
KR1020010003270 | 2001-01-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62105A true KR20020062105A (ko) | 2002-07-25 |
KR100398678B1 KR100398678B1 (ko) | 2003-09-19 |
Family
ID=1970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11836A KR100398678B1 (ko) | 2001-01-19 | 2001-03-07 | 토출 맥동 저감구조를 갖는 왕복동식 압축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2242830A (ko) |
KR (1) | KR100398678B1 (ko) |
IT (1) | ITMI2002005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1228A (ko) * | 2002-02-28 | 2003-09-03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 |
US7014430B2 (en) | 2003-03-05 | 2006-03-21 |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 Cylinder assembly for compressors, compressor with the cylinder assembly, and apparatus having refrigerant circulation circuit including the compress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73449B (zh) * | 2016-03-25 | 2018-06-08 | 芜湖欧宝机电有限公司 | 一种降噪节能活塞式压缩机 |
-
2001
- 2001-03-07 KR KR10-2001-0011836A patent/KR1003986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12-06 JP JP2001372993A patent/JP2002242830A/ja active Pending
-
2002
- 2002-01-15 IT IT2002MI000058A patent/ITMI20020058A1/it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1228A (ko) * | 2002-02-28 | 2003-09-03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 |
US7014430B2 (en) | 2003-03-05 | 2006-03-21 |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 Cylinder assembly for compressors, compressor with the cylinder assembly, and apparatus having refrigerant circulation circuit including the compr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2242830A (ja) | 2002-08-28 |
ITMI20020058A1 (it) | 2003-07-15 |
ITMI20020058A0 (it) | 2002-01-15 |
KR100398678B1 (ko) | 2003-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5231317A (ja) | 気密冷蔵コンプレッサ | |
US6935848B2 (en) | Discharge muffler placement in a compressor | |
US20060045762A1 (en) | Suction muffler for compressor | |
KR20050059494A (ko) | 밀폐형 압축기 | |
US5703336A (en) | Exhaust noise suppressing apparatus for hermetic compressor | |
KR100382453B1 (ko) | 토출 맥동 저감구조를 갖는 압축기 | |
KR20040049306A (ko) | 밀폐형 전동 압축기 | |
US6547536B2 (en) |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discharge pulsation | |
US20040009077A1 (en) |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discharge pulsation reducing structure | |
KR100398678B1 (ko) | 토출 맥동 저감구조를 갖는 왕복동식 압축기 | |
US8529224B2 (en) | Hermetic compressor having auxiliary communication tube | |
KR100436766B1 (ko) | 왕복동식 압축기 | |
US6374943B1 (en) | Baffle plate of discharge muffler for hermetic reciprocating compressor | |
US20050042114A1 (en) | Hermetic compressor | |
KR100397560B1 (ko) |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 |
KR100244379B1 (ko) | 밀폐형압축기의흡입머플러장치 | |
KR100575844B1 (ko) | 밀폐형 압축기 | |
KR100308646B1 (ko) |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 |
KR0162439B1 (ko) |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흡입소음기구조 | |
JP3566933B2 (ja) | 圧縮機の吸込マフラー | |
KR200160526Y1 (ko) | 왕복동압축기의 흡입머플러 흡입관 접속구조 | |
KR0122435Y1 (ko) | 밀폐형압축기의 흡입밸브구조 | |
JPH04219488A (ja) | 密閉型回転圧縮機 | |
KR19990038448A (ko) |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 |
KR20060118904A (ko) |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62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