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609A - 아날로그 파형으로부터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파형으로부터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609A
KR20020061609A KR1020027005216A KR20027005216A KR20020061609A KR 20020061609 A KR20020061609 A KR 20020061609A KR 1020027005216 A KR1020027005216 A KR 1020027005216A KR 20027005216 A KR20027005216 A KR 20027005216A KR 20020061609 A KR20020061609 A KR 20020061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unstable
operating point
circuit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유리안토
Original Assignee
더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싱가포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싱가포르 filed Critical 더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싱가포르
Priority claimed from PCT/IB1999/001801 external-priority patent/WO2001031784A1/en
Publication of KR2002006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609A/ko

Links

Abstract

가변 동작점(variable operating point)과, 제1 안정 영역과 제2 안정 영역과 경계를 이루는 불안정 동작 영역으로 특정되는 전달 함수를 구비한 회로를, 공지의 임의 아날로그 파형으로 여기시키는(exciting) 입력 아날로그 파형에 응답하여, 출력 펄스 또는 오실레이션을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아날로그 파형은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및 제2 정보 영역의 감지에 응답하여, 회로의 동작점은 불안정 영역과 안정 영역으로 이동된다. 이는 회로의 출력에서 진동 및 비진동 특성을 갖는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아날로그 파형으로부터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ULSES FROM ANALOG WAVEFORMS}
펄스 발생기는 예를 들어, DC 제어기 및 기타 응용에 대하여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형적인 펄스 발생기는 종래 오실레이터 또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개조한 것인데, 이들은 펄스 트리거 종결시 바람직하지 못하거나 가짜 과도응답(spurious transients)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도응답은 트레일링 펄스(trailing pulse)와 혼동을 일으켜 원하는 펄스 계수 표현을 부정확하게 한다.
통상의 펄스 발생기는 임계 레벨에 관련된 트리거에 응답하며, 즉 트리거 점에 구축되어 있는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레벨 입력이 인가될 때 펄스가 발생한다. 임계 이상의 입력 기간은 펄스열 또는 진동 주기의 기간에 대응한다.
종래 반 데르 폴(vdP, van der Pol) 오실레이터는 간단한 비선형 오실레이터 회로이며 펄스 발생기로 사용하기 위한 시작점으로 유용하다. 하지만, vdP 회로는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다.
간단하면서도 특정 응용에서 요구를 처리할 수 있는 회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파형을 펄스로 변환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의의 아날로그 파형을 펄스열로 변환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2가지 종류의 전달함수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동작점을 안정 동작 영역과 불안정 동작 영역 사이에 위치시키는 회로 배치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회로 구성이다.
도 7은 동작점과 안정 및 불안정 동작에 관련된 전달 함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원형으로부터 측정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라 기술능력을 수행하는 정보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아날로그 파형을 예시한다.
가변 동작점(variable operating point)과, 제1 안정 영역과 제2 안정 영역과 경계를 이루는 불안정 동작 영역으로 특징되는 전달 함수를 구비한 회로를,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을 구비한 공지의 임의 아날로그 파형으로 여기시키는(exciting) 입력 아날로그 파형에 응답하여 출력 펄스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정보 영역의 감지에 응답하여, 동작점의 변화율보다 큰 주파수를 갖는 진동열을 발생시키는 상기 불안정 영역에서 상기 회로가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가변 동작점을 강제로 변화시키며, 제2 정보 영역의 감지에 응답하여, 과도응답 없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진동을 종결시키도록 상기 안정 동작 영역 중 하나로 상기 가변 동작점을 강제로 이동시켜 진동의 개시 및 종결이 교번하도록 한다. 그 결과는 입력파형의 각 사이클을 무신호(silence)에 의하여 분리되는 펄스열로의 사상(mapping)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또는 장치는 비선형으로 동작하는 N자형 또는 S자형 V-I 특성 곡선을 갖는 진동 형태, 즉 불안정 동작 영역을 통하여 전류 및 전압이 왕복하면서 진동한다. 다양한 입력 파형을 특정 펄스열로 사상시킬 수 있다. 디코딩은 입력 파형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목적은 아니다. 하나의 응용은 파형으로 나타낸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문자 세트(character set)는 하나 이상의 주기 파형으로 사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도 1a에 도시한 S형 또는 도 1b에 도시한 N형을 갖는 전달함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목적으로, 회로의 "전달함수"는 회로의 임의의 2 상태 변수 사이의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전자 회로는 I-V 곡선으로 특징되며, 이는 전류 및 전압의 두 상태 변수를 관련시킨다. 이러한 곡선은 하나의 상태변수가 다른 상태변수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달함수(102)는 여기서는 "불안정" 영역이라 불리는 영역(104) 내에 위치한 부분을 포함한다. 불안정 영역은 여기서는 "안정" 영역이라 불리는 각각의 영역(106, 108)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전달함수(102) 상에서 위치로 정의되는 연관 "동작점(operating point)"을 갖는다. 회로의 출력특성은 동작점의 위치에 따른다. 동작점이 영역(104) 내에 위치하는 전달함수 부분을 따라 위치하는 경우, 회로의 출력은 진동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달함수 부분이 발견되는 영역(104)을 불안정 영역이라 한다. 동작점이 영역(106, 108)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전달함수 부분을 따라 위치하는 경우, 회로의 출력 특성은 시변이지만 비진동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영역(106, 108)은 안정 영역이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회로의 동작점을 변화시키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은 입력(203, 205)을 갖는 회로(202)를 도시한다. 용량성 소자(204)가 입력(205)의 한 단에 연결된다. 임의 아날로그 파형원(210)은 입력(203)과 용량성 소자(204)의 한 단에 연결되어 회로를 완성시킨다. 이러한 토의를 목적으로, 회로(202)는 S형 전달함수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회로 배치는 임의 파형 발생기(210)의 기울기를 불안정 영역(104) 내외로 출입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임의 파형 발생기(210)의 함수로서 회로(202)의 출력에서 진동 특성의 시작과 종료를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회로의 동작점을 변경시키는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이 경우, 회로(302)는 N형 전달함수를 갖는다. 용량성 소자 대신에 유도성 소자(304)를 제공한다. 도 2와 마찬가지로 임의 아날로그 파형원(210)은 회로를 완성시킨다.
S형 전달함수를 나타내는 회로의 일례는 연산증폭기 출력과 비반전 입력 사이에 궤환 저항을 갖는 연산증폭기 구성이다. 도 4는 그러한 회로를 도시한다. 연산증폭기(402)는 연산증폭기 출력이 비반전 입력으로 궤환하는 양의 궤환 경로를 포함한다. LM-358 연산증폭기와 같은 통상의 오프 더 셀프 연산증폭기(off-the-shelf-op amp)를 사용할 수 있다.
N형 전달함수를 갖는 회로는 연산증폭기 출력을 반전 입력에 연결한 궤환(feedback) 저항을 갖는 연산증폭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구성을 도 5에 도시하며, 연산증폭기(502)는 저항(504)을 통한 반전 입력으로의 궤환 경로를 포함한다.
N형 전달함수를 갖는 회로의 다른 예는 도 6에 도시한다. 여기서, 터널 다이오드(602)는 유도성 소자(606)를 통하여 임의 파형 발생기(210)에 연결된다. 출력(Vout)은 다이오드의 다른 단에 연결된 저항(604) 양단의 전압이다.
다시 도 4에 도시한 회로의 S형 전달함수를 참조한다. i의 변화율이 0일 때 V와 i의 관계는 V = Ψ(i)로 나타낸다. Va는 임의의 아날로그 파형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회로의 전달함수이다. 연산증폭기(402)의 출력 포화 전압은 전압차(V+- V-)가 0 이상인 경우에 E+에 비례한다. 역으로, 출력 포화 전압은 전압차가 0 미만일 경우에는 E-에 비례한다.
전압 Va, Vc, V와 전류 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L은 소자의 배선 형태로 존재하는 기생 인덕턴스(parasiticinductance)이다.
도 4의 회로는 전달함수 곡선을 따라 중요한 동작점을 갖는다. 이러한 동작점은 식(2)에서 dV/dt = 0으로 하고 식 (3)에서 di/dt = 0으로 하면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V = Ψ(i)인 경우, di/dt = 0 이다. 해석을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Va는 삼각파라고 가정한다. 이 파형의 시간 미분은 V0가 상수일 때 ±V0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작점은 i = +CV0와 전달함수의 구분 선형 함수의 교차점과 i = -CV0와 구분 선형 함수의 교차점에서 발생한다. 동작점이 양의 기울기선(1 또는 3) 중의 하나(즉, 안정 영역)에 있는 경우, 회로의 출력은 비진동이다. 하지만, 동작점이 음의 기울기선(2), 즉 불안정 영역에 있는 경우, 지속적인 "점핑(jumping)"현상이 발생한다. 시간 영역에서, 이는 회로의 출력에서 일련의 진동으로 보여진다. 즉, 기울기(1, 3)를 따르는 동작점은 안정 동작점이고, 기울기(2)를 따르는 동작점은 불안정 동작점이다. 도 7에 도시한 전달 함수에 대하여, 기울기(2)는 i = -CV0선과만 교차할 수 있다. 이는 dVa/dt가 음일 경우에만 진동이 관찰된다는 의미이다. dVa/dt가 양일 때에는 진동이 관찰되지 않는다. 임의 아날로그 신호의 기울기를 변경시켜 동작점을 불안정과 안정 영역 사이로 이동(강제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진동 구간과 비진동 구간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S형 전달 함수를 갖는 회로에 대하여, 안정 영역과 불안정 영역 사이에 동작점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것은 인가된 아날로그 파형의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잠시 도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N형 전달함수를 갖는 회로는 인가된 아날로그 파형의 크기를 변화시켜 동작함을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회로의 원형을 조립하고 시험하여 전술한 원리를 확인하였다. 여기서, 임의 아날로그 신호는 1kHz 삼각파(802)이다. 파형의 크기는 250mV이다. Rf=1㏀, R1=10Ω, 그리고 R2=100Ω이며, 10nF의 커패시터를 사용한다. 연산증폭기는 Vcc=1.5V에 바이어스된다. 도 8은 연산증폭기의 출력(804)의 시간 응답 그래프에 중첩하는 임의 신호(Va)를 포함한다. 보는 바와 같이, 연산증폭기의 출력은 예를 들어, 시간(t1) 동안 임의 아날로그 신호(Va)의 기울기(dVa/dt)가 양인 경우에 비진동이다. 예상한 바와 같이, 다른 시간(t0)에는 dVa/dt가 음인 경우에는 진동이 발생한다.
이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임의 아날로그 파형이 N형 전달함수 곡선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어떻게 사용하는지 설명한다. 출력에서 진동 또는 비진동 특성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전술한 전달함수를 갖는 회로에 임의 아날로그 파형을 인가할 수 있는지 돌이켜보자. 임의 파형(여기서는 정현파)을 고려한다. 논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설명의 목적으로 시간은 수직축에 도시하며, 이는 전달함수(902)에 전압축을 나란하게 배치한다.
이러한 회로에서, 인가된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크기는 회로의 동작점을 안정 영역(904, 908)과 불안정 영역(906)으로 이동시키는 "강제(forcing)" 요인이다.시간(0 < t < t1) 동안, 파형(920)의 크기는 회로의 동작점을 불안정 영역(906)으로 강제 이동시킨다. 특히, 동작점은 영역(906)에 위치한 전달함수(902)의 동작점을 따라 위치한다. 시간(t0< t < t1) 동안, 파형은 회로의 출력이 이 경우 비진동인 영역(904)에 있는 그 지점으로 동작점을 "강제 이동"시킨다. 하지만, 파형(902)은 동작점을 영역(908)으로 이동시키도록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파형(920)이 영역(910)에 있는 동안에 일정한 수의 진동이 발생한다. 이 진동은 셀 수 있다. 펄스 계수는 관련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방법을 계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 교차(zero-crossing)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수는 정보를 나타내어, 영역(910)은 파형(920)의 제1 정보 영역이라 부를 수 있다. 파형의 영역(912)은 협약으로 한 파형의 정보 영역(910)과 다음의 파형의 정보 영역을 분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역(912)은 제2 정보 영역으로 부를 수 있다. 제2 정보 영역(912)은 파형의 정보 영역(910)을 앞서도록 파형(920)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제1 지속시간 동안의 전달함수(902)의 불안정 영역(906)과 제2 지속시간 동안의 전달함수의 안정 영역(904, 906) 중 하나 사이에서 교번한다는 것이다.
전달함수의 불안정 영역의 특성은 동작점이 그 영역에 머무는 시간에 따라 진동수가 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동작점이 불안정 영역에 머무는 시간이 길수록 진동수가 증가한다. 불안정 영역의 또 다른 특성은 동작점이 전달함수의 불안정 영역에 있는 위치에 따라 진동수가 변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진동수는 불안정 영역에서의 시간과 위치의 함수가 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파형의 정보 영역(910)은 시간(Δt)이나 형상(914), 또는 둘 다를 조절하여 소정 진동수를 발생시키도록 적절하게 "형상화(shaped)"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서, 삼각파(1002)는 적절하게 변조되어 3개의 피크값[A1(사이클 c1), A2(사이클 c2), A3(사이클 c3)] 중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각각의 피크는 대응하는 진동수(n1, n2, n3)를 발생시킨다. 보는 바와 같이, 이는 3개의 기호 알파벳에 대한 기초를 형성한다. 정보는 각각이 적절한 피크값을 갖는 복수의 사이클의 삼각파를 발생시킴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펄스형 파(1102)가 변조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 파형의 시간은 원하는 진동수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클(c1)에서, 정보 영역(1111)은 제1 진동수(n1)를 발생시키는 시간(d1)을 갖는다. 사이클(c2)에서, 정보 영역(1112)은 d2< d1을 가지며 따라서 제2 진동수(n2≠n1)를 발생시킨다. 마지막으로, 사이클(c3)에서, 정보 영역(1113)은 시간(d3< d2)을 가져 제3 진동수를 발생시킨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에 있어서, 파형의 종류는 한 사이클에서 다음 사이클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이클에서 파형은 정현파일 수 있다. 다음 파형은구형파일 수 있다. 이 구성을 도 12에 도시한다. 사이클(1)에서, 파형(1202)은 소정 진동수를 관련시키는 정현파를 포함한다. 진동수는 파형의 정보 영역의 크기와 인자에 의존하며, 불안정 영역에서 전달함수에 따른 동작점의 위치 및/또는 정보 영역의 지속시간을 나타내고, 동작점이 불안정 영역에 머무는 시간을 나타낸다. 사이클(2)에서, 파형(1202)은 램프(ramp) 형태를 취하며, 사이클(3)에서 다른 정현파가 뒤따른다. 도 13은 대응하여 변화하는 진동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정현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14는 정현 아날로그 파형의 주파수 및 크기 모두를 변화시키는 구성을 나타낸다.
전술한 논의로부터 추정하면, 임의의 파형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 영역과 불안정 영역을 갖는 대응 회로만이 필요하며, 불안정 영역과 안정 영역 사이에 그 동작점을 선택적으로 강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제로, 적절한 채널 최적화 파형을 선택하여 전송용 기호를 나타낼 수 있다. 수신단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의 입력으로 다시 보낸다. 전송된 정보는 회로의 진동 및 비진동 특성으로부터 결과를 추출할 수 있다. 정보를 나타내는 임의 아날로그 파형의 소정의 임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정보는 종래의 방법으로 전송에 적절한 파형을 선택하여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유무선과 같은 종래 전송 매체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는 다른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을 한정할 수 없다.

Claims (18)

  1. 아날로그 파형으로부터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서,
    가변 동작점(variable operating point)과, 제1 안정 영역 및 제2 안정 영역과 경계를 이루는 불안정 동작 영역으로 특정되는 전달 함수를 구비한 회로를,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을 구비한 임의의 아날로그 파형으로 여기시키는(exciting) 단계,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동작점의 변화율보다 큰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상기 불안정 영역에서 상기 회로가 동작을 시작하도록 상기 가변 동작점을 변화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감지함에 따라, 과도응답 없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진동을 중단시키도록 상기 안정 동작 영역 중 하나로 상기 가변 동작점을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시작 및 중단은 서로 교번하는(alternate) 펄스 발생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아날로그 파형은 주기적인(cyclical) 펄스 발생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아날로그 파형은 정현파, 램프(ramp), 비대칭, 톱니파, 구형 및 채널 최적화 기호(channel-optimized symbol)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펄스 발생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아날로그 파형은 주기적이며 상기 주기(cycle)는 시변 채널 최적화 기호를 포함한 상이한 파형 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펄스 발생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은 비진동에 비하여 적어도 0에서 최대값에 이르는 피크간(peak-to-peak) 크기를 갖는 펄스 발생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회로는 음의 임피던스 소자(negative impedance element)를 포함하며, 상기 불안정 동작 영역은 음의 임피던스 영역이고, 시변 입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동작점을 상기 불안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펄스 발생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회로는 커패시터를 통한 직렬 입력을 갖는 피드백(feedback) 연산증폭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불안정 동작 영역은 음의 저항 영역이고, 상기 동작점을상기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시켜 상기 불안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펄스 발생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회로는 음의 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고 인덕터를 통한 직렬 입력을 가지며, 상기 불안정 동작 영역은 음의 임피던스 영역이고, 상기 동작점을 상기 인덕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변경시켜 상기 불안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펄스 발생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회로는 터널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고 인덕터를 통한 직렬 입력을 가지며, 상기 불안정 동작 영역은 음의 임피던스 영역이고, 상기 동작점을 상기 인덕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변경시켜 상기 불안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펄스 발생 방법.
  10. 아날로그 파형으로부터 펄스를 발생시키는 디코딩 시스템(decoding system)으로서,
    각각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을 갖는 임의의 아날로그 파형을 수신하는 수단, 그리고
    가변 동작점을 갖고, 제1 안정 동작 영역 및 제2 안정 동작 영역과 경계를 이루는 불안정 동작 영역으로 특정되는 전달 함수를 구비한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동작점의 변화율보다 큰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상기 불안정 영역에서 상기 회로가 동작을 시작하도록 상기 가변 동작점을 변화시키며,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감지함에 따라, 과도응답 없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진동을 중단시키도록 상기 안정 동작 영역 중 하나로 상기 가변 동작점을 이동시키고, 상기 시작 및 중단은 서로 교번하는 디코딩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아날로그 파형은 주기적인 디코딩 시스템.
  12. 제10항에서,
    상기 아날로그 파형은 정현파, 램프, 비대칭, 톱니파, 구형 및 채널 최적화 기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코딩 시스템.
  13. 제10항에서,
    상기 아날로그 파형은 주기적이며 상기 주기는 시변 채널 최적화 기호를 포함하는 상이한 파형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디코딩 시스템.
  14. 제10항에서,
    상기 아날로그 파형은 주기적이며 상기 주기는 시변 채널 최적화 기호를 포함한 상이한 파형 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디코딩 시스템.
  15. 제10항에서,
    상기 회로는 음의 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불안정 동작 영역은 음의 임피던스 영역이고, 시변 입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동작점을 상기 불안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디코딩 시스템.
  16. 제10항에서,
    상기 회로는 커패시터를 통한 직렬 입력을 갖는 피드백 연산증폭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불안정 동작 영역은 음의 저항 영역이고, 상기 동작점을 상기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시켜 상기 불안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시스템.
  17. 제10항에서,
    상기 회로는 음의 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고 인덕터를 통한 직렬 입력을 가지며, 상기 불안정 동작 영역은 음의 임피던스 영역이고, 상기 동작점을 상기 인덕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변경시켜 상기 불안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시스템.
  18. 제10항에서,
    상기 회로는 터널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고 인덕터를 통한 직렬 입력을 가지며, 상기 불안정 동작 영역은 음의 임피던스 영역이고, 상기 동작점을 상기 인덕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변경시켜 상기 불안정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디코딩 시스템.
KR1020027005216A 1999-10-28 1999-10-28 아날로그 파형으로부터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200616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1999/001801 WO2001031784A1 (en) 1999-10-28 1999-10-28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ulses from analog wavefor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609A true KR20020061609A (ko) 2002-07-24

Family

ID=6940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216A KR20020061609A (ko) 1999-10-28 1999-10-28 아날로그 파형으로부터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6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6338U1 (ru) * 2021-06-17 2021-09-06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ниверситет Иннополис» Центра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ритмов для генерации сигналов управления походкой шагающего робота
RU2761132C1 (ru) * 2021-06-17 2021-12-06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ниверситет Иннополис» Центра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ритмов для генерации сигналов управления походкой шагающего робот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6338U1 (ru) * 2021-06-17 2021-09-06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ниверситет Иннополис» Центра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ритмов для генерации сигналов управления походкой шагающего робота
RU2761132C1 (ru) * 2021-06-17 2021-12-06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ниверситет Иннополис» Центра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ритмов для генерации сигналов управления походкой шагающего робот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3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ulses from analog waveforms
AU621893B2 (en) Current source for variable load
KR20020061609A (ko) 아날로그 파형으로부터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S63134965A (ja) 電気的振動回路の測定方法
US4541288A (en) Operating circuit for magnetoelastic force/pressure sensors
JP2004527958A (ja) 複数の受信器を用いるパルス復号通信システムの方法および装置
US64562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ulses from analog waveforms
EP0231292A1 (en) Detector device
JPH05207749A (ja) インバータ装置
US64985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ulses using dynamic transfer function characteristics
US6483356B2 (en) Sinusoidal signal generating circuit providing small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reference signal and apparatus for driving oscillating element with circuit
US6486819B2 (en) Circuitry with resistive input impedance for generating pulses from analog waveforms
US64767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ulses from analog waveforms
RU2002113740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ации импульсов из аналогового сигнала различных форм
Basu et al. A symmetric triangle-square waveform generator using a single constant current source
SU960886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углового перемещени в частоту
JPS6314496Y2 (ko)
CN113162552A (zh) 一种电容接近开关及其扩展频谱脉冲驱动电路
JP2598653B2 (ja) 周波数−電圧変換回路
JP2002079180A (ja) 圧電素子ドライバ
EP1371136A1 (en) Circuitry with resistive input impedance for generating pulses from analog waveforms
JPH073753B2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
JP2001221837A (ja) 磁界センサ
JPH0233983A (ja) 光送信回路
JPH02149124A (ja) ドライブ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