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126A -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126A
KR20020061126A KR1020020038348A KR20020038348A KR20020061126A KR 20020061126 A KR20020061126 A KR 20020061126A KR 1020020038348 A KR1020020038348 A KR 1020020038348A KR 20020038348 A KR20020038348 A KR 20020038348A KR 20020061126 A KR20020061126 A KR 20020061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url address
channels
frequency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126A/ko
Publication of KR2002006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1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는 디지털 다채널 방송 수신이 가능한 DTV 또는 DTTV등의 디지털방송수신기에서 자동으로 사용 빈도수가 높은 채널들을 선정하여 프로그램가이드상에 구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기간단위로 수신 시청한 채널의 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저장된 각 채널번호에 대한 사용 빈도수를 체크하며 체크된 사용 빈도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 되는 채널들을 선정하여 선호채널(favorite channel)로 자동 설정하는 제어부, 및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가이드(EPG)의 최상위 위치에 설정된 선호채널들을 위치시켜 구분 표시되도록 하는 GUI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PC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PC의 경우 채널번호 대신 사용자가 자주 접속하는 웹주소인 URL주소를 저장하여 사용 빈도수가 높은 URL주소들을 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주 사용하는 채널이나 URL주소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Favorite channel auto-sett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항시 혹은 수시로 수신 시청하는 채널들을 선호채널(favorite channel)로 자동 설정하여 프로그램가이드상에 구분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TV방송의 프로그램정보는 신문, TV, 잡지등의 출판물로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디지털 다채널 방송에서는 프로그램으로 수십∼수백개의채널이 제공되므로 시청자의 선택의 여지가 많아지는 동시에 프로그램 선택이 더없이 복잡해진다. 이와 같은 디지털 다채널 방송에서는 데이터서비스의 하나로서 프로그램표나 각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정보등을 제공하는 전자프로그램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가 기본적인 서비스의 하나로 상정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다채널이면서 각 채널마다 다수의 프로그램을 담고 있는 디지털방송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는 디지털TV(digital television; DTV) 또는 유럽향 디지털TV(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DTTV)등의 디지털방송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채널수 및 프로그램수가 많아도 사용자가 항시 혹은 수시로 선택하여 보는 채널은 한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여러번의 키조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사용자가 자주 볼 채널을 미리 리스트(list)로 구현하여 그 리스트상에서 채널을 선택하기도 하는 데 이 역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자주 볼 채널을 설정(setting)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일정기간을 반복주기로 하여 사용자가 수신 시청하기 위해 선택한 채널의 빈도수를 체크하며, 체크된 빈도수가 높은 일정개의 채널들을 선호채널리스트로 자동 설정하여 프로그램가이드상에 구분 표시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을 구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채널 자동 설정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 장치의 선호채널 자동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채널부 12 : 제어부
13 : 메모리 14 : 모뎀
15 : GUI 16 : 신호처리블록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은, 자주 접속하는 웹주소인 URL주소를 선호채널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일정기간단위동안로 그 기간동안 접속하는 URL주소에 대한 사용채널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2) 기록된 사용채널정보를 분석하여 각 URL주소별 접속 빈도수를 구하는 단계와, (3) 구한 각 URL주소별 접속빈도수에 따라 접속빈도수가 높은 일정개의 URL주소를 선정하는 단계, 및 (4) 선정된 일정개의 URL주소를 선호채널로 자동 설정하여 리스트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호채널 자동 설정장치는, 각종 정보를 수신 검색하여 볼 수 있는 단말기에 있어서, 일정기간단위로 그 기간동안 수신 검색하는 정보의 URL주소에 대한 사용채널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일정기간마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채널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많이 사용된 일정개의 URL주소를 선호채널로 자동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선호채널을 화면에 리스트로 구현하는 GUI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방송수신기에 채용된 선호채널 자동 설정장치를 보여준다. 도 1의 장치는 원하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채널부(11)와, 미리 정해진 기간단위로 수신 시청한 채널의 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13)를 구비한다. 도 1 장치는 또한, 수신받을 방송신호의 채널을 설정하며 저장된 채널번호의 빈도수를 체크하여 기설정된 횟수 이상의 빈도수를 가지는 채널들을 선호채널로 자동 설정하는 제어부(12)와, 설정된 선호채널을 프로그램가이드(EPG)의 최상위 위치에 배치하거나 프로그램가이드상의 다른채널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GUI(15)를 구비한다. 한편, 도 1 장치는 통신수단인 모뎀(14)과, 수신받은 방송신호를 사용자가 시청가능토록 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블록(16)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1 장치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사용자 입력을 받는 제어부(12)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받도록 채널부(11)에 수신채널을 설정한다. 채널부(11)는 제어부(12)에 의해 설정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를 수신받는다. 여기서 수신받은 방송신호는 신호처리블록(16)에서 처리되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 제어부(12)는 미리 정해진 기간 즉, 1주일 혹은 1개월을 단위로 하여 그 기간동안 이와 같이 수신 시청되는 채널의 이력을 메모리(13)에 기록한다(단계 201). 즉, 메모리(13)는 제어부(12)로부터 수신 채널의 번호를 입력받아 신규한 채널번호에 대해서는 저장하고, 기저장된 채널번호이면 사용횟수를 "1"씩 증가시켜 채널번호에 대응되게 사용횟수를 저장한다. 여기서는 채널번호를 저장하지만, 프로그램식별자인 서비스명(service name)이나 프로그램명(program name)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미리 정해진 기간인 1주일 혹은 1개월을 주기로 하여 메모리(13)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내어 분석한다(단계 202). 제어부(12)는 저장된 채널번호들과그에 대응하는 사용횟수로부터 각 채널들의 사용 빈도수를 알아낸다. 제어부(12)는 저장된 채널번호들에 대해, 각 채널 빈도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지를 체크한다(단계 203). 여기서, 기설정된 횟수는 분석주기가 1주일이면 10회로, 1개월이면 50회로 한다. 단계 203에서 기설정된 횟수 이상의 빈도수로 체크되는 채널들에 대해, 제어부(12)는 가장 많이 사용한 순서대로 자동으로 선호채널리스트에 추가 등록한다(단계 204). 제어부(12)는 기설정된 횟수 이상의 빈도수를 가지는 채널들을 모두 등록하지 않고 빈도수가 가장 높은 10개 혹은 20개등 일정개의 채널만을 선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GUI(15)를 통해 해당 세트에서 수신 가능한 유효 채널들의 채널정보(채널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방송국명, 각 채널에 들어있는 프로그램명, 각 프로그램의 방송시간, …)를 담고 있는 프로그램가이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킬 때, 단계 204에 의해 등록된 선호채널들을 그 프로그램가이드의 최상위에 위치시켜 다른 채널들과 구분되도록 한다(단계 205). GUI(15)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가이드상에서 선호채널과 다른채널을 색으로 서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며, 선호채널리스트를 사용자가 한번의 키조작만으로 선택하여 볼 수 있는 선택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가이드상에서 구분되는 선호채널리스트를 통해 쉽게 자주 보는 채널을 선택한다.
한편, 제어부(12)는 모뎀(14)을 통해 수신 시청하는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국이나 서비스공급자측에 마련된 모뎀과 상호 통신을 수행하여 메모리(13)에 저장된 사용채널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수신받는 방송국이나 서비스공급자측에서는 수신받은 사용채널정보를 이용하여 방송통계 혹은 소비자호응도(시청률)를 인지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사용채널정보를 통해 자신이나 가족들이 자주 보는 채널을 인지하게 된다.
위의 실시예는 TV의 경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넷(internet)등 정보검색에 사용하는 컴퓨터(PC)나 주문형 비디오서버(VOD server)등에도 확장시켜 적용할 수 있다. PC의 경우에는 채널번호 대신 일정기간동안 사용되는 URL주소를 기록한다. URL(uniform resourcelocator)은 웹(WEB) 주소의 하나로, 프로토콜, 호스트이름, 포트, 디렉토리, 파일이름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사용된 URL주소별 빈도수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자동으로 리스트를 구현하고, 구현된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URL주소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는, 수신 가능한 유효채널들중 사용자가 수시로 수신 검색하는 채널들을 일정기간을 주기로 하여 그 사용 빈도수를 체크하고, 그중 빈도수가 높은 채널들을 선호채널로 자동 설정하여 리스트상에 다른채널과 구분하여 표시해주므로써, 사용자가 자주 검색할 채널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각 채널별 사용 빈도수를 통신을 통해 방송사 혹은 서비스공급자측에 제공하여 별도의 인력을 통한 조사를 하지 않고도 쉽게 방송통계나 시청(검색)률을 알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자주 접속하는 웹주소인 URL주소를 선호채널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일정기간단위동안로 그 기간동안 접속하는 URL주소에 대한 사용채널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2) 기록된 사용채널정보를 분석하여 각 URL주소별 접속 빈도수를 구하는 단계;
    (3) 구한 각 URL주소별 접속빈도수에 따라 접속빈도수가 높은 일정개의 URL주소를 선정하는 단계; 및
    (4) 선정된 일정개의 URL주소를 선호채널로 자동 설정하여 리스트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각 URL주소별 접속빈도수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일정개의 채널들을 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구현된 리스트상에서 설정된 URL주소와 다른 URL주소를 서로 구분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4. 각종 정보를 수신 검색하여 볼 수 있는 단말기에 있어서,
    일정기간단위로 그 기간동안 수신 검색하는 정보의 URL주소에 대한 사용채널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일정기간마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채널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많이 사용된 일정개의 URL주소를 선호채널로 자동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설정된 선호채널을 화면에 리스트로 구현하는 GUI을 포함하는 선호채널 자동 설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각종 정보 제공자측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채널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모뎀을 더 포함하는 선호채널 자동 설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기간단위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채널정보로부터 각 URL주소별 사용빈도수를 구하고, 구한 URL주소별 사용빈도수를 기설정된 횟수와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선호채널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자동 설정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리스트상에서 선호채널로 설정된 URL주소와 다른 URL주소를 구분시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호채널 자동 설정장치.
KR1020020038348A 2002-07-03 2002-07-03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 KR20020061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348A KR20020061126A (ko) 2002-07-03 2002-07-03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348A KR20020061126A (ko) 2002-07-03 2002-07-03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774A Division KR100358402B1 (ko) 1998-12-17 1998-12-17 선호채널자동설정방법및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126A true KR20020061126A (ko) 2002-07-22

Family

ID=2772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348A KR20020061126A (ko) 2002-07-03 2002-07-03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12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206A (ko) * 2003-06-30 2005-0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이피지를 이용한 사용자 관심 프로그램 추출방법
KR100494168B1 (ko) * 2002-10-23 200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편집 제어방법
KR100713377B1 (ko) * 2005-02-24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표시방법과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
KR100818348B1 (ko) * 2006-04-18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디지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07194A (ko) * 2010-07-14 201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호 채널 리스트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US8302125B2 (en) 2004-06-12 2012-10-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PG, and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EPG
US9973824B2 (en) 2015-12-22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canning channels in electronic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168B1 (ko) * 2002-10-23 200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편집 제어방법
KR20050003206A (ko) * 2003-06-30 2005-0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이피지를 이용한 사용자 관심 프로그램 추출방법
US8302125B2 (en) 2004-06-12 2012-10-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PG, and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EPG
KR100713377B1 (ko) * 2005-02-24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표시방법과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
KR100818348B1 (ko) * 2006-04-18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디지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의 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07194A (ko) * 2010-07-14 201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호 채널 리스트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US9973824B2 (en) 2015-12-22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canning channels in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8402B1 (ko) 선호채널자동설정방법및장치
US7065777B2 (en) Program guiding apparatus and method
US86215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signals
US9084029B2 (en) On-screen program guide with interactive programming recommendations
USRE44495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trieving, and using data guide information supplied in a digital vestigial sideband signal
US8225351B2 (en) Mobile terminal, and broadcast channel and broadcast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thereof
US200201522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recommendation guide for use with an EPG
KR20050026312A (ko) 디지털 셋톱 박스를 이용한 추천 프로그램 공유 장치 및방법
US20050166228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90131292A (ko) 사용자 개인화된 모바일 비디오 프로그램 리스트 파퓰레이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80244646A1 (en) Channel Switching Device and Channel Switching Method
KR20020061126A (ko) 선호채널 자동 설정방법 및 장치
KR101527385B1 (ko) 영상처리장치 및 이의 영상처리방법
US91728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at received broadcasting signals from different input ports are the same content
KR100680754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로 제공되는 데이터의 처리방법
US20160007086A1 (en) Method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Television Programs Transmit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WO2008063022A1 (en) Method for outputting channel list and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EP13700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ctions related to programming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KR20110127441A (ko) 방송 서비스를 위한 채널 가이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1342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100346396B1 (ko) 인접 네트워크 접근 방법 및 장치
EP1248463A2 (en) Television system
KR20010051648A (ko) 디지털 방송 신호의 다중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된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110699A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정보 다운로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