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811A - 온라인상에서의 유언장(遺言狀) 종합관리 방법(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상에서의 유언장(遺言狀) 종합관리 방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811A
KR20020056811A KR1020010044323A KR20010044323A KR20020056811A KR 20020056811 A KR20020056811 A KR 20020056811A KR 1020010044323 A KR1020010044323 A KR 1020010044323A KR 20010044323 A KR20010044323 A KR 20010044323A KR 20020056811 A KR20020056811 A KR 20020056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ament
recording
call
information
te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규
김상준
Original Assignee
강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규 filed Critical 강민규
Publication of KR2002005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금까지 오프라인 상에서 존재하던 유언(遣言)을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유언을 하는 사람)가 유언의 접수를 위한 직원의 출장 뿐 만 아니라 인터넷 또는 전화와 같은 On-Line매체를 통하여 유언을 남기면, 이를 접수하여 Data Base화하여 보관 관리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신의 유언에 대한 수정, 삭제 등의 변경사항을 DB에 반영해 주고 사용자의 사망시점에 유언을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간과 장소, 수취인에게 전달해주는 일체의 사업내용을 말한다.

Description

온라인상에서의 유언장(遺言狀) 종합관리 방법(시스템).{Will managing system in On-line}
본 발명은 사람이 죽기 전에 남기는 유언(遣言)을 온라인으로까지 확대하여 법적 효력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유언에 대한 관리는 개인적으로 유언하는 사람 본인, 혹은 그의 가족 등에 의해서 이루어졌거나 개인 변호사 등을 통하여 관리되어 왔다. 이런 기존의 유언방식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유언에 관한 관리자가 본인일 경우 본인이 사망하면 유언서의 존재여부가 불명확해진다는 것과 둘째, 유언자의 혈족 등 가족들은 유언자의 유언에 대하여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입장에 있으므로 공정한 관리가 힘들다는 것 셋째, 변호사 등 전문인력을 이용할 경우 유언을 하는데 있어 과다한 비용이 지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법률상 유언의 법적 효력 요건이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쉽게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던 부분을, 주위에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전화나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하여 법적 효력을 가지도록 도와주며 유언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화, 컴퓨터, 화상카메라, 비디오 등으로 유언을 녹음(녹화)하고, 녹음된 내용을 웹서버나 유언관리서버를 통해 유언내용을 청취하거나 수정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동시통화방식(아날로그방식의 녹음장치와 디지털방식의 녹음장치로 동시통화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통해, 아날로그 파일과 디지털화일을 동시에 생성함으로써 법적인 효력발생과 동시에 관리(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중통화방식(혹은 다자간통화방식)을 통해 유언의 과정에 증인(혹은 공증인)을 참석시킴으로써, 법적인 효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유언자가 사망했을 경우 유언 내용의 전달을 보다 수월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언자가 사망했을 경우, 유언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사업이 포함하는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2는 유언관리 서버 운영에 관한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3은 유언장 서버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유언의 전달 통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5는 인터넷을 통한 유언 웹사이트 접속시의 예시이다.
도 6은 유언을 남길 때 공증인 확보를 위한 다중통화 방식의 예시이다.
도 7은 무선인터넷으로 웹사이트 접속시의 예시이다.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유언이 성립되기 위한 법률적 요건에 해당되는 ㉮자필증서, ㉯녹음, ㉰공정증서, ㉱비밀증서와 ㉲구수 증서의 5가지 요건 중, ㉯녹음에 의한 방식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녹음에 의한 방식은, 사용자(유언을 하려는 자)가 1.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의 마이크를 통해 유언을 녹음/녹화하는 방식과 2. 전화를 통해 녹음하는 방식, 3. 오프라인상태에서의 녹음/녹화 방식을 포함한다.
1. 컴퓨터를 이용한 방법은 인터넷과 연결된 PC의 화상카메라를 통해 유언을 녹음/녹화하는 방식으로, 기본적인 서비스를 위한 파일과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기술절차에는 기존의 웹서비스 운영을 위한 HTML 기술과 유언관련 파일을 저장할 DB서버를 이용한 DB구현기술이 필요하다. 이 역시 기존의 테이블과 레코드로 구성되는 DB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부가적으로 유언관련 개인정보의 외부누출을 방지할 Fire Wall과 같은 DB보호기술이 존재한다.
2. 전화를 이용한 녹음방식은, 전화상담원이나 ARS(자동응답시스템), 혹은 Web To Phone서비스(전화와 인터넷의 호환시스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신상정보획득 및 유언녹음 등을 통해, 녹음된 유언내용을 관리하는 업체에서 아날로그방식의 녹음과 디지털방식의 녹음을 병행하여 관리하는 방식이다. 디지털방식으로 Data Base화시킬 경우, 녹음된 내용을 테이프로 관리할 수도 있고, 녹음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컴퓨터 File로 저장관리 할 수도 있다.
3. 오프라인에서 행하여진 유언의 경우, 이를테면 자필증서나 카세트 녹음, 비디오 녹화 등의 방법으로 유언이 집행되어진 경우, 원본(유언)은 별도로 보관하고 '유언의 전체내용'이나 혹은 '고객의 신상정보만'를 디지털DB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컴퓨터와 전화를 통해 유언을 실시간으로 녹음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언의 청취/수정/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언의 녹음 및 저장 방법을 [도면1]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1]은 유언의 전체 시스템 및 유언이 저장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는 유언을 하려는 고객을 나타낸 것으로, 고객은 인터넷전화, 일반 휴대폰, 유선전화 등 음성 방식과, 인터넷화상카메라 및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한 녹화를 통한 방식 혹은, 기타 오프라인 방식(자필증서 등)으로 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는 이동통신망 또는 PSTN을 나타낸 것으로, 일반 한국통신망이나 이동통신사업자 또는 웹투폰 기능을 수행하게 해주는 사업자망을 말한다.
㉰는 국설교환기로서, PSTN(공중전화망)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통신이나 이동통신사업자의 교환기를 의미하며, ㉱는 사설교환기로서, 본 유언관리업체에서 별도로 운영하는 교환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교환기는 교환기의 본연의 기능인 콜분배나 콜전환의 기능뿐아니라, 여기서는 고객이 전화를 걸어오면 아날로그 녹음장치와 유언관리서버로 2개의 회선이 다중통화방식(여러사람이 같이 통화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동시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본 특허에서는 유언관리서버에서 동시통화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굳이 유언관리서버에서 동시통화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교환기의 기능중의 하나인 동시통화(다중통화)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 있음을 밝히는 바 이다.
㉲는 유언관리 서버를 의미하며 디지털 파일녹음이나 아날로그 형태의 녹음 및 수정, 신원확인, 다중통화지원, 동시통화지원, 고객정보 등 기타 유언장 관리를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는 아날로그 녹음장치로, 사용자의 유언이 자기테이프 등 법적 효력을 지닐 수 있는 형식으로 유언을 녹음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는 디지털 형식으로 유언내용이 녹음되고 저장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는 웹서버로 유언자가 유언내용을 청취하거나 수정(본 발명에서의 유언의 수정(혹은 변경)은, 원래의 유언내용은 그대로 보관된 상태에서, 전(前)에 했던 유언에 이어서 녹음되는 것을 말한다. 참고로, 법적인 효력은 나중에 한 유언에 있기 때문에 유언내용의 수정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하거나, 혹은 유언자의 신상정보(거주지정보, 유언 녹음 사실 여부를 통보해줄 사람)의 변경이나 추가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면2]와 [도면3]을 참조하여 [도면1]에 도시된 유언관리서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언관리서버는 유언자가 유언관리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아날로그방식녹음장치(311-2)와 디지털방식의녹음장치(311-1)로 동시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동시통화지원부(307)와, 본 서버의 사용방법이나 안내를 음성으로 안내하게 되는 ARS처리부(301)와, 유언자의 신원확인 및 보안을 위해 주민등록번호(혹은비밀번호, 음성인식 등) 등을 입력하는 신원확인부(310)와, 유언자가 증인(혹은 공증인)의 참석을 희망할 경우 추가로 다른 사람을 호출하여 다중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다중통화지원부(306)와, 디지털 파일형태로 저장될 경우 파일을 압축하는 파일압축부(302)와 디지털파일형태로 저장될 경우 디지털DB(303)에 유언자의 신상정보(전화번호, 거주지정보, E-mail 등)를 담은 고객정보부(303-1)와 유언의 본 내용을 담은 유언내용부(303-2)와, 아날로그로 녹음된 내용을 디지털화일로 변환시켜주는 변조/복조부(305)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내용을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312)와, 디지털DB(303)에 저장된 유언내용이나 고객신상정보를 웹서버와 연동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웹서버연동부(308)와, 각 부에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309) 등을 포함한다.
[도면5]와 [도면7]은 인터넷으로 웹서버에 접속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언자가 웹서버로 유언을 남길 경우 웹사이트의 폼태그 형식으로 제작된 질의어(신청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신상정보와 유언자의 사망시 유언장에 대한 수취인, 배송지의 주소, 사망일로부터의 배송일까지의 기간 등이 포함된다.)를 사용자가 채우고, PC 마이크나 인터넷화상전화, 인터넷전화 등를 통해 유언을 녹음(녹화)를 통해 유언을 남기면 이는 바로 유언관리DB(303)에 질의어로 작성한 부분은 고객정보부(303-1)에, 녹음(녹화)한 부분은 유언내용부(303-2)에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게 된다. 또한, 웹서버로 접속했을 경우에도 다중통화기능과 동시통화기능을 사용되여 유언을 할 수 있으며, 유언내용의 청취나 유언자의 인적사항 등 개인정보변경이나, 유언내용의 수정(앞에서 설명한 추가녹음 개념)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질의어에, 유언내용을 통보받을 사람의 E-mail이나 휴대폰전화번호를 입력했을 경우, 유언의 녹음이 완료되면, ' 유언녹음 사실을 통보 ' 받을 사람에게 '유언을 남겼다'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달되게 된다.
[도면6]은 유언자가 증인(혹은 공중인)의 참석을 원할 경우 네트워크상에서의 증인의 참석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식을 설명한 것으로, 이런 다중통화방법(여러 사람이 동시에 전화통화하는 것)을 통해 유언에 대한 증인(혹은 공증인)을 참석시킴으로써, 증인을 수반한 유언장 녹음 및 관리가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다자간 통화를 위해서는 ①한국통신이나 이동통신회사 등에서 제공하는 다중통화(혹은 다자간통화라고도 함)서비스를 이용해서 유언장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②유언자가 다자간 통화가 가능한 전화기기를 통해 유언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③유언자가 유언관리서버에 접속한 후, 유언장 서버에서 유언자가 지정하는 특정인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다자간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도면4]는 상기 유언관리서버에서 녹음 및 저장된 유언의 내용이, 주변 친인척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flow로서, 우선 유언자가 유언관리서버에 접속(401)하여, 유언자가 ARS나 상담원의 지시에 따라 유언내용을 녹음(402)한 후, 유언자가 유언녹음사실을 통보해줄 사람의 전화번호, E-mail, 주소지정보, 혹은 다자간 통화자의 정보를 입력(403)하게 되면, 유언관리서버나 웹서버 혹은 상담원이 유언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로 문자메세지 발송이나 전화통화, 혹은 E-mail이나 우편으로 유언자가 본 유언관리서버에 유언을 남겼다는 정보를 통보해주고(404), 유언자가 사망(405)했을 경우, 404에서 유언을 남겼다는 통보를 받은 사람이 유언관리서버(혹은 업체)에 사망사실을 통보해 오게 되면(406), 유언서비스사업자는 유언자의 사망사실여부를 행정전산망이나 동사무소에 전화/방문 등을 통해 유언자의 사망여부를 확인(407)한 후, 유언자가 요구한 기간에 요구한 수취인, 발송지로 유언자의 유언 본내용을 전달해 줌(408)으로써 유언서비스를 완료하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은 유언관리의 다양한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을 통하여 기존의 유언에 관한 새로운 방식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서 유언자 본인이 유언을 직접 관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유언의 누출, 분실 등의 위험성과 여기서 기인하는 유언자의 불안감 등을 해소 할 수 있고, 또한 유언자의 주변인이 유언을 관리할 경우 통상 유언자의 유언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임에서 기인하는 유언에 대한 조작, 고의파기 등의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법적으로 멀게 느껴졌던 유언을 전문 법조인 등 사람을 거치지 않고 전화나 인터넷 등 우리 주변의 매체를 통하여 손쉽게 작성하고 안전하게 보관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변호사 사용에 대한 비용도 절감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유언관습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事故), 예컨대 유언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언자가 사망한 이후에 이러한 사실이 밝혀지지 않거나 뒤늦게 밝혀져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정리하면 온라인 유언관리 시스템을 통해, 보다 손쉽고 저렴한 방법으로 유언을 접수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이를 관리하고 정확하게 수취인에게 전달함으로서 유언에 관한 공정하고 정확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비즈니스방법이다.

Claims (16)

  1. 통상의 유언방법을 네트워크상에서 구현함에 있어서, 유언자가 단말기(유무선전화, 화상채팅, 인터넷과 연결된 인터넷전화기 등)를 이용하여 유언관리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유언관리서버의 접속단계에서, 유언관리서버의 동시통화기능을 통해 '아날로그식 녹음장치'와 '디지털식 녹음장치'간의 동시통화가 이루어지면서, 유언의 내용이 법적인 효력을 발생시키는 아날로그방식(자기테이프, 비디오테이프, 카세트테이프 등)과 디지털방식(동영상화일, 음악화일, 텍스트화일)으로 분리되어 동시에 녹음되는 과정(이때 디지털방식의 녹음의 경우, '유언의 내용부'와 '유언자의 고객정보부'가 분리되어 저장 됨)과,
    또한, 상기 유언관리서버의 접속단계에서 주민등록번호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유언관리서버에서, 다자간 통화(혹은 다중통화, 여러사람이 동시에 통화하는 방식)방식을 통해 증인(혹은 공증인)을 참석시키고자 할 경우, 유언관리서버에서 증인(혹은 공증인, 친인척 등)이 될 사람을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유언자가 유언관리서버에 내장된 자동응답시스템(ARS; Auto Response System)이나 상담원의 지시에 따라 자신의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유언의 법적인 요건을 충족시켜주기 위해 유언의 본 내용과 함께, 자신의 주소지정보 등의 고객정보, 그리고 증인(혹은 공증인)있을 경우 증인에 대한 정보나 증인의참석여부 확인 등을 ARS(혹은 상담원)와 문답하는 내용 등을 음성으로 실시간으로 녹음하는 과정과,
    유언의 녹음이 끝나면, 유언녹음사실을 통보해줄 사람들의 e-mail주소 혹은 거주지정보 등의 기타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과정과,
    유언자가 유언을 끝마치게 되면, 유언의 내용은 아날로그 파일과 디지털파일로(디지털파일은 다시 유언자의 고객정보부와 유언 내용부로 분리되어 DB에 저장 됨) 각각 2부가 저장되는 과정과,
    이러한 절차가 완료되면 신청인은 본 서비스의 등록 고객이 됨과 동시에 유언에 따른 유언내용이나 이용안내, 신상정보 등의 내용이 휴대폰 단문메세지, 우편등기, 보안메일 등의 방식으로 알려주게 되며, 자신의 유언관련 등록사항을 열람 및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며, '웹서버'나 '유언관리서버'에서 유언녹음(저장)사실을 통보해줄 사람(친인척)의 e-mail이나 우편, 전화, 단문메세지 등으로 유언자가 유언을 남겼다는 정도의 개략적인 정보를 사람들에게 통보하는 과정과,
    차후에 유언자가 '유언내용의 변경이나 주소지변경' 혹은 '유언녹음사실을 추가로 다른 사람에게 알리기' 위해, '웹서버 혹은 유언관리서버'에 유언녹음시 입력한 비밀번호를 통해 접속한 후, 녹음된 유언내용을 청취하거나 관련 사항을 수정하는 과정(유언내용의 변경의 경우, 전에 녹음된 내용에 이어서 추가로 유언이 녹음됨)과,
    유언자가 사망하게 되면, 유언관리서비스업체는 '유언녹음사실을 통보받은 사람'의 연락이나 관공서DB로부터 사망사실을 통보받게 되고, 유언관리서비스업체는 유언자의 사망여부를 동사무소 방문이나 행정전산망 접속, 혹은 전화통화 등의 확인절차를 거친 후, 유언자가 요구한 기간에 요구한 수취인, 발송지로 유언내용을 배송하게 되는 온라인상에서의 유언장(遣言將) 종합관리 시스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유언장을 인터넷 음성 및 동영상파일 형태 또는 전화를 통해 녹음한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함께 DB화 하는 기술, 특히 유언자가 입력한 인적사항과 같은 부수적인 정보를 담은 '고객정보부DB'와 유언의 본내용을 담은 '유언내용부DB'를 분리함으로써 고객정보부DB의 일부내용을 공개(인터넷에서 유언자가 유언을 남겼다는 정도의 정보를 주민등록번호를 치면 알려주는 서비스, 혹은 유언자가 지정한 특정인의 주소지로 유언자가 유언을 남겼음을 통보해 주는 서비스)하기 쉽게 함으로써, 유언자의 정보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유언내용부DB'는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또한 유언자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유언자의 유언이 친인척에게 전달되지 못하는 상황을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언장 관리 시스템(방법).
  3. 제 1항과 제12항에 있어서,
    유언자의 유언 뿐만 아니라 미래의 특정시점 혹은 특정사건(예를 들면, '회사가 부도나면...', '여자친구와 헤어지면...', '여자친구와 100일이 되면...') 발생시 고객이 원하는 수취인, 장소에 녹음한 음성, 동영상 데이터(컴퓨터 파일이나자기테이프 등 기타 저장 매체)나 문서서류 등을 고객이 요구한 특정 사건 발생 여부(혹은 특정시점)에 대한 상기와 같은 확인 절차를 거쳐 수취인에게 배달되는 시스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유언의 모든 과정이 유언관리서버 접속단계에서부터 유언관리서버 종료단계까지 '실시간'으로 '아날로그방식(자기테이프, 카세트테이프 등)'과 '디지털 방식'으로 다자간통화방식에 의해 동시에 녹음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언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유언관리서버에 내장된 동시통화기능(전화가 걸려오면 신호를 2개로 분리하여 통화연결 시키는 기능)을 이용하여 '아날로그식 녹음장치'와 '디지털식 녹음장치'간의 동시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언관리서버 시스템
  6. 제 1항과 제 5항에 있어서,
    청구항 제5항에서는 유언관리서버에서 동시통화 및 다자간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사설교환기의 기능 중 하나인 '전화가 걸려오면 2개이상의 전화기에 동시에 신호를 보내 동시통화 가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을 활용하게 되면, 본 발명의 주요 특징중의 하나인 '아날로그방식'과 '디지털방식'의 동시녹음을유언관리서버에서의 동시통화기능의 사용 없이도 가능하게 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언자가 접속할 경우 사설교환기에서 동시통화기능 및 다자간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유언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7. 제 1항에 있어서,
    유언의 과정에 증인을 참석시키기 위한 다자간 통화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런 다자간 통화를 위해서는 ①이동통신(한국통신)회사 등에서 제공하는 다자간 통화 서비스를 이용해서 유언장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방법과, ②유언자가 다자간 통화가 가능한 전화기를 통해 유언장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방법, ③유언자가 유언관리시스템에 있는 다자간 통화기능을 이용하여 다자간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이런 다자간통화방식을 통해 유언을 할 경우 ARS(혹은 상담원, 공증인)가 증인(공증인을 다자간통화에 참여 시킬 수 있음)에 대한 인적사항이나 존재여부과 같은 정보를 질의 응답한 내용을 녹음함으로써 법적인 증거물로 사용할 수 있고, 그때 다자간통화에 참가한 사람이 증인(혹은 공증인)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언장 관리 시스템(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유언자가 '유언내용의 변경이나 주소지변경' 혹은 '유언녹음사실을 추가로 다른 사람에게 알리기' 위해, '웹서버 혹은 유언관리서버'에 유언녹음시 입력한 비밀번호를 통해 접속한 후, 녹음된 유언내용을 다시 청취하거나 관련 사항을 수정하는 과정,
    특히, 유언내용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홍길동에게 500만원을 준다"는 내용을 "홍길동에게 100만원을 준다"는 내용으로 수정하고자 할때에는 녹음시에 입력했던, "유언자의 신상정보를 말한후, 홍길동에게 500만원이 아니라 100만원을 지급한다"는 내용의 유언을 녹음(수정)하게되면, 예전에 녹음한 내용은 그대로 보전되고, 새롭게 녹음한 내용이 예전 녹음에 '이어서' 녹음되는 방법으로, 법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중에 입력한 내용이 법적인 효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언장 녹음내용의 청취 및 수정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유언자 혹은 증인(공증인)이 음성으로 말하는 내용을 음성인식기능을 통해 파일로 변환(예를들면, '나는 누구를 위해..........'라는 말을 음성으로 말하면, 음성인식시스템에서 '나는 누구를 위해…'하는 내용으로 인식하여 문서(TXT)파일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시스템)됨으로써, 유언자나 유언녹음사실여부를 통보받은 사람들에게 문서형식으로 e-mail이나 우편으로 유언 녹음 사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유언의 녹음시 전화번호를 누를 필요없이 비밀번호나 주민등록번호 등을 입력하고 통지해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언관리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유언자가 인터넷으로 유언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키보드나 인터넷전화, 화상전화, 문자입력기와 같은 디지털신호로 자신의 유언을 남길 경우, 해당 유언자가 본인임을 입증할 수 있는 전자서명이나, 지문인식, 망막인식, 음성인식 등의 방법을 통해 유언을 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언관리서버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유언의 경우 보안이 생명이라고 할만큼 중요한데 이런 보안 유지를 위해서, '유언관리서버와 웹서버'에 방화벽을 설치한 후, 유언관리서버에서 ARS(자동응답시스템)를 통해 유언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는 과정(오프라인상에서 유언을 받을(서류 혹은 녹음/녹화 테잎)때 유언자에게 비밀번호를 물어보는 과정)을 통해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보안메일이나, 휴대폰 문자메세지와 같은 보안 시스템과 결합하여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유언자에게 제공해주는 유언장 관리 시스템(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유언뿐 아니라, 상기 동시통화 및 다중통화방식에 의해 증인 혹은 공증인이 참석하고, 참석한 사람들의 통화내용이 동시통화 및 다중통화 방식에 의해 녹음되어지고 저장되는 음성관리 시스템(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유언자가 ARS나 상담원의 지시에 따라 유언내용을 녹음한 후, 유언자가 유언녹음 사실을 통보해줄 사람의 전화번호, E-mail, 주소지정보 등를 입력하게 되면,유언관리서버(혹은 웹서버, 상담원)에서 유언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로 문자메세지를 발송이나 전화통화, 혹은 E-mail, 우편으로, 상기 유언자가 본 유언관리서버에 유언을 남겼다는 정보를 통보해주고, 유언자가 사망했을 경우, 유언을 남겼다는 통보를 받은 사람이 유언관리서버(혹은 업체)에 사망사실을 통보해 오게 되면, 유언서비스사업자는 유언자의 사망사실여부를 행정전산망이나 동사무소에 전화/방문 등을 통해 유언자의 사망여부를 확인한 후, 유언자가 생전에 유언의 발송지로 지정한 곳(혹은 사람)으로 유언자의 유언 본내용을 전달해 줌으로서, 녹음된 유언이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상에서의 유언의 전달방법 및 시스템.
  14. 제 1항과, 제 13항에 있어,
    유언자가 유언을 남긴후, 실제유언내용이 아닌, 유언을 남겼다는 '유언의 존재여부'의 내용만을 사람들에게 발송함으로써, 유언내용을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유언자의 사망후에 사람들에게 유언의 실제내용이 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언의 공개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언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말기는 유선전화기, 무선전화기, 인터넷전화기, 이동통신단말기, 인터넷전화, 컴퓨터화상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유언관리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자필증서나 카세트 녹음, 비디오 녹하 등의 오프라인상태에서 행하여진 유언의 경우, 원본(유언)은 별도로 보관하고 '유언의 전체내용'이나 혹은 '고객의 신상정보만'를 디지털DB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본 유언의 청취 및 수정 및 전달방법을 가능하게 한 오프라인상태에서 행하여진 유언의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20010044323A 2000-12-29 2001-07-23 온라인상에서의 유언장(遺言狀) 종합관리 방법(시스템). KR20020056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86467 2000-12-29
KR1020000086467 2000-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811A true KR20020056811A (ko) 2002-07-10

Family

ID=2768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323A KR20020056811A (ko) 2000-12-29 2001-07-23 온라인상에서의 유언장(遺言狀) 종합관리 방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681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94B1 (ko) * 2002-08-23 2005-10-31 강규원 윌박스 운영방법
KR100588607B1 (ko) * 2005-11-14 2006-06-14 배은숙 개인 유언관리 자산신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3062163A1 (ko) * 2011-10-28 2013-05-02 Chung Bo Ram 유언 및 메세지 전달 방법
KR101360933B1 (ko) * 2012-05-02 2014-02-14 박여림 상조 서비스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57316A (ko) * 2018-11-16 2020-05-26 김재호 유언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05653B1 (ko) * 2022-05-16 2023-11-23 김회원 사후 감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594A (ja) * 1996-10-15 1998-06-30 Pfu Ltd 遺言情報管理公開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9990016683A (ko) * 1997-08-19 1999-03-15 윤용식 유언 및 유서 내용정보 저장 시스템
KR20000050260A (ko) * 2000-05-31 2000-08-05 고영환 인터넷에서 비밀싸이트
KR20010000584A (ko) * 2000-10-07 2001-01-05 이호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언장 관리방법
KR20010086938A (ko) * 2000-03-04 2001-09-15 이준문 웹사이트를 통한 유언 전달 관리체계 구성 방법
KR20010095620A (ko) * 2000-04-11 2001-11-07 성득제 유언 자동 발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594A (ja) * 1996-10-15 1998-06-30 Pfu Ltd 遺言情報管理公開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9990016683A (ko) * 1997-08-19 1999-03-15 윤용식 유언 및 유서 내용정보 저장 시스템
KR20010086938A (ko) * 2000-03-04 2001-09-15 이준문 웹사이트를 통한 유언 전달 관리체계 구성 방법
KR20010095620A (ko) * 2000-04-11 2001-11-07 성득제 유언 자동 발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0260A (ko) * 2000-05-31 2000-08-05 고영환 인터넷에서 비밀싸이트
KR20010000584A (ko) * 2000-10-07 2001-01-05 이호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언장 관리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94B1 (ko) * 2002-08-23 2005-10-31 강규원 윌박스 운영방법
KR100588607B1 (ko) * 2005-11-14 2006-06-14 배은숙 개인 유언관리 자산신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3062163A1 (ko) * 2011-10-28 2013-05-02 Chung Bo Ram 유언 및 메세지 전달 방법
US8495158B2 (en) 2011-10-28 2013-07-23 Bo Ram CHUNG Method for delivering wills and messages
KR101360933B1 (ko) * 2012-05-02 2014-02-14 박여림 상조 서비스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57316A (ko) * 2018-11-16 2020-05-26 김재호 유언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05653B1 (ko) * 2022-05-16 2023-11-23 김회원 사후 감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6651B1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capability to convert between voice and text message
US20170310826A1 (en) Method and Systems for Providing Conferencing Services
US9462120B2 (en) Caller ID memo system
US8666035B2 (en) Technique for assisting a user with information services at an information/call center
US76642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onymous telephone communication
JP2604467B2 (ja) 匿名情報交換電話通信方法及び装置
US5528670A (en) Voice message-based administration system
US20110287748A1 (en) Consent, Signature and Recording Retention in a Certified Communications System
US20070081640A1 (en) Presence and preference enabled voice response system and method
US8953759B2 (en) Interjurisdictional recording mechanism
JPH10117212A (ja) 蓄積・検索メッセージシステムのプライバシーを保護する方法
US20160165047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context aware announcements
US200702975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mmunication recording audit trails
US9025751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conference calls through the use of filtered lists of participants
KR20020056811A (ko) 온라인상에서의 유언장(遺言狀) 종합관리 방법(시스템).
US8626523B1 (en) Patient voice check-in system
US5703937A (en) Voice dictation consulting system and method
KR20120130242A (ko) 전화 통신 콘텐츠들의 합법적 유효 파일보관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sco Glossary
Cisco Glossary
WO2011146553A1 (en) Certified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Cisco About Subscriber Accounts
JP2009038708A (ja) 故人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00137331A (ko) 원격전화회의참석을 위한 다단계 인증시스템
KR100934190B1 (ko) 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