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608A -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608A
KR20020056608A KR1020000085996A KR20000085996A KR20020056608A KR 20020056608 A KR20020056608 A KR 20020056608A KR 1020000085996 A KR1020000085996 A KR 1020000085996A KR 20000085996 A KR20000085996 A KR 20000085996A KR 20020056608 A KR20020056608 A KR 20020056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closing device
motor
automati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2496B1 (ko
Inventor
이용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4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요 조작부를 보호하는 덮개를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소정부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요 조작부를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자동 개폐장치가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CELLULAR PHONE HAVING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덮개를 개폐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단말기는 장소의 제한 없이 사용자들이 상호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며, 초기의 바 형태(bar type)에서 덮개를 갖는 플립형(flip type) 및 폴더형(folder type)까지 개발되어오고 있다.
상기 플립형 및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힌지구조로 단말기 본체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동작을 보조하도록 상기 덮개외 본체의 결합부에는 일정 탄성부재 또는 탄성 구조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통화시에만 상기 덮개를 열어 단말기를 조작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덮개는 폐쇄되어 상기 주요 조작부, 즉 키 패드가 보호되며 오작동되지 않는다. 폴더형인 경우 상기 덮개가 정보 표시부까지 가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생활이 지켜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에는 통신 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사용시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많은 개발이 이루어져 오고 있으며, 이러한 개발 경향은 더욱 다양해져 가는 사용자의 요구 및 관련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경향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의 개폐가 편리하게 수행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계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자동계폐장치내의 유성기어열중 하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본체200 : 덮개
300 : 자동폐쇄장치310 : 모터
320 : 감속기어부321 : 링 기어
322 : 선 기어323 : 피니언
324 : 캐리어330 : 헤드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소정부위에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요 조작부를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자동 개폐장치가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개폐장치는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력을 필요한 토오크로 전환시키는 감속기어부; 그리고 상기 감속기어부의 출력축과 연결되며 상기 토오크를 전달하는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개폐장치중 감속 기어부는 링기어 및 피니언등을 갖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에 연결되어 일정 감속비로 회전하는 캐리어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토오크를 얻기 위하여 다수개의 상기 유성기어 및 캐리어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개폐장치중 상기 헤드는 전달되는 토오크를 단속할 수 있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따른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개폐장치를 보조하기 위하여 덮개 개폐인식 스위치와 모터부하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상기 덮개를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덮개(200)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본체(100)와 덮개(200)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자동개폐장치(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상기 단말기의 주요 부품을 탑재하며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키패드(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2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주요 조작부, 즉 상기 키 패드(110)를 오작동 및 파손으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단말기의 각종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명된 단말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이며, 다음에서는 상기 폴더형을 기준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은 플립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장치(300)는 상기 덮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시키며, 이를 위해 소정의 작동 기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중 상기 본체(100)와 덮개(200)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상기 자동개폐장치(3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동개폐장치(3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0), 상기 모터의 회전축(312)에 연결되는 감속기어부(320) 및 상기 감속기어부(320)의 출력축(324c)과연결되는 헤드(33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자동개폐장치(300)에 있어서, 상기 모터(3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상기 감속기어부(320)를 거쳐 최종적으로 상기 헤드(330)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자동개폐장치(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활한 동력전달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의 회전축과 일직선상에 배열되며 이에 따라 전동손실 또한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회전축내의 적은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자동개폐장치(300)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하게 나타나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동개폐장치의 구성중 상기 모터(310)는 상기 본체(100) 및 덮개(200)의 결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단말기에 부착된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감속기어부(320)는 소정의 감속기구에서 얻어지는 감속비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31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덮개(200)를 개폐하기에 충분한 토오크로 전환시킨다. 이와 같은 감속기어부(320)는 소정의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에 연결되는 캐리어(3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로서 유성기어가 사용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링 기어(ring gear)(321), 상기 링 기어(321)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선 기어(sun gear)(322), 상기 링 기어(321)와 선 기어(322)사이에 위치되는 피니언들(3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선 기어(322)가 외부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들(323)은 각각 상기 자체적으로 자전하면서 상기 선 기어(322) 및 링 기어(321)사이에서 공전한다.
이러한 유성 기어와 연동할 있도록,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감속부(320)에서 상기 모터축(311)은 베어링(31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선 기어(322)와 결합되며, 상기 캐리어(324)는 상기 피니언들(323)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는 소정의 감속비로 회전하며 증가된 토오크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감속기어부(320)는 상기 덮개(200)를 개폐하기에 충분한 토오크를 얻기 위하여 다수개의 상기 유성기어 및 캐리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는 3개의 유성기어(321,322a-322c,323a-323c)와 캐리어(324a -324c)의 조합이 도시되나 필요에 따라 상기 감속 기어부(320)는 추가적으로 상기 유성기어 및 캐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캐리어(324a-324c)는 인접한 유성기어 조합에 입력축으로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상기 캐리어(324a)는 인접한 유성기어의 선 기어(322b)와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헤드(330)는 베어링(325)에 지지되는 출력축(324c)과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생성된 토오크로 상기 덮개(200)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헤드(330)에는 상기 단말기와 결합되는 키(key)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330)에는 덮개(200)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즉 덮개(200)가 작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경우 전달되는 토오크를 단속할 수 있는 클러치가 부착되어, 상기 모터(310) 및 감속 기어부(320)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해당 위치에 상기 자동개폐장치의 작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덮개 개폐인식 스위치와 모터부하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용 단말기는 덮개의 개폐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의 덮개(10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서 단말기에 부착된 동작버튼을 누르게 된다(S10).
이와 동시에, 상기 단말기는 소정의 덮개 개폐인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덮개(200)의 개폐여부를 확인한다(S20). 여기서 상기 개폐인식 스위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접점의 단락여부에 따라 상기 덮개(200)의 개폐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확인단계(S20)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급되는 소정의 전원에 의해 상기 모터(310)는 상기 덮개(200)를 개방하도록 정방향으로 회전한다(S30a).
만일 상기 덮개(200)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모터(310)는 상기 덮개(200)를 폐쇄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한다(S30b).
이러한 모터작동단계(S30a,S30b)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먼저 상기 모터 회전축(311)과 결합된 선 기어(322a)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323a)들은 자전 및 공전한다. 이 후 상기 피니언(323a)의 공전에 의해 이에 결합된 상기 캐리어(324a)는 상기 소정의 감속비로 회전하며, 다시 인접한 선 기어(322b)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캐리어, 즉 출력축(324c)으로 충분한 토오크가 출력되며, 상기 출력축(324c)과 결합된 헤드(330)에 의해 상기 덮개(200)가 상기 모터(310)의 회전방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된다.
한편, 상기 모터 동작단계(S30a,S30b)도중 상기 단말기는 모터부하 검출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모터(310)의 과부하 여부를 확인한다(S40). 이러한 과부하 상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덮개(200)가 작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발생된다.
상기 확인 단계(S40)에서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모터(31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60). 여기서 상기 모터(310) 및 감속 기어부(320)의 손상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며, 상기 모터(310)는 상기 작동지시단계(S10)가 수행되기 전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과부하가 걸리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덮개(200)의 개폐여부에 따라 기능정지 또는 작동 개시한다(S50). 즉, 상기 덮개(200)가 폐쇄된 경우 상기 단말기는 내장 부품에 대한 전원공급을 중단하며, 상기 덮개(200)가 개방된 경우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는 활성화된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S10-S60)를 통하여 사용자는 단순한 버튼작동에 의해 상기 덮개를 개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상술된 본 명세서에서 단지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본 발명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자동개폐장치에 의해 덮개는 자유롭고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가 상기 덮개의 회전축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므로 자동개폐장치는 동력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적은 공간에 설치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는 덮개를 갖는 어떤 형태의 단말기에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6)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소정부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요 조작부를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자동 개폐장치가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장치가: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력을 필요한 토오크로 전환시키는 감속기어부; 그리고
    상기 감속기어부의 출력축과 연결되며 상기 토오크를 전달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어부가 링기어 및 피니언등을 갖는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에 연결되어 일정 감속비로 회전하는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부가 소정의 토오크를 얻기 위하여 다수개의 상기 유성기어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 전달되는 토오크를 단속할 수 있는 클러치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장치를 보조하기 위하여 덮개 개폐인식 스위치와 모터부하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KR10-2000-0085996A 2000-12-29 2000-12-29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KR10038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996A KR100382496B1 (ko) 2000-12-29 2000-12-29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996A KR100382496B1 (ko) 2000-12-29 2000-12-29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608A true KR20020056608A (ko) 2002-07-10
KR100382496B1 KR100382496B1 (ko) 2003-05-09

Family

ID=2768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996A KR100382496B1 (ko) 2000-12-29 2000-12-29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214B1 (ko) * 2001-06-27 2004-06-0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485345B1 (ko) * 2002-08-22 2005-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개폐 속도 가변형 오토 폴더형 휴대전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66Y1 (ko) * 1999-09-29 2000-03-15 주식회사슈버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214B1 (ko) * 2001-06-27 2004-06-0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485345B1 (ko) * 2002-08-22 2005-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개폐 속도 가변형 오토 폴더형 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2496B1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8974B1 (en) Folder operat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KR100663572B1 (ko) 자동 접이형 휴대용 단말기
KR100469361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200174766Y1 (ko)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20010045785A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382496B1 (ko)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KR100318830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332715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405214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359077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318831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733206B1 (ko) 이중 탄성부재를 이용한 힌지장치
KR100326771B1 (ko)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100630090B1 (ko) 휴대폰의 표시부 위치 전환장치
KR100337087B1 (ko) 휴대전화기의 자동폴더 안전장치
KR100342418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485346B1 (ko) 오토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361839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위상차보정 장치
KR100688084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자동 개폐 모듈
KR100466076B1 (ko)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KR20040038304A (ko)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100422041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422035B1 (ko) 폴더형 휴대 전화기
KR100616627B1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