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235A -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235A
KR20020055235A KR1020000084648A KR20000084648A KR20020055235A KR 20020055235 A KR20020055235 A KR 20020055235A KR 1020000084648 A KR1020000084648 A KR 1020000084648A KR 20000084648 A KR20000084648 A KR 20000084648A KR 20020055235 A KR20020055235 A KR 20020055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ain
ttl
unit
du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8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235A/ko
Publication of KR2002005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2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TTL(Tower Top LNA) 실/탈장 및 동작여부에 따라 RF(Radio Frequency) 신호의 이득을 변환시켜 동작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에 TTL 실/탈장에 관계 없이 동일한 FEU(Front End Unit)를 사용함으로써, TTL의 장애 또는 실/탈장시 FEU를 교체시키지 안아도 되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FEU의 형상을 동일화시킴으로써 기지국의 형상관리 및 기지국 운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RECEIVER CAPABLE OF GAIN CONTROL IN MOBILE COMMUNICATION BTS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TL의 실/탈장 및 동작여부에 따라 RF 신호의 이득을 변환시켜 동작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RF(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함.)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의 이득을 복조가 가능한 기준값(40dB)으로 증폭시킨다. 그러기 위해서는 RF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는 증폭기를 기지국이 갖춰야 한다.
이 때, 기지국은 두 가지 형태의 증폭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형태는 TTL이 장착된 기지국의 수신부와 TTL(Tower Top LNA; 이하 "TTL"이라 칭함.)이 장착되지 않은 기지국의 수신부로 나뉜다. 그 중 TTL이 장착된 기지국의 수신부는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를 TTL에서 10dB 이득을 증폭시킨 후 출력하고 또 다시 FEU(Front End Unit; 이하 "FEU"라 칭함.)에서 10dB의 RF 신호를 30dB 증폭시켜 최종적으로는 40dB의 RF 신호를 RF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한편, TTL이 장착되지 않은 기지국의 수신부는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FEU에서 RF 신호를 40dB 만큼 증폭시켜 RF 수신단으로 전송하였다. 이 때, TTL내 장착된 LNA는 보통 10dB - 20dB의 이득을 갖는 LNA(Low Noise Amplifier; 이하 "LNA"라 칭함.)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TTL은 안테나 바로 아래 단에 설치되어 기지국의 수신감도, 및 앞에 링크와 뒤의 링크의 링크 벨런스를 맞춘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TTL과 상기 FEU로 구성된 이후, 상기 TTL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TTL을 탈장되면, 상기 FEU에서는 30dB의 RF 신호를 RF수신단으로 출력하게 되고, 이는 다운 컨버터의 초단 증폭기가 포하영역에 이르러 다운 컨버터의 기능이 다운되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에 TTL의 장애 또는 실/탈장시 FEU를 교체시키지 안아도 되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FEU의 형상을 동일화시킴으로써 기지국의 형상관리 및 기지국 운용을 편의하게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는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의 이득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켜 전송하는 TTL부, 상기 TTL부로부터 입력받은 RF 신호를 RF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듀플렉스, 및 상기 듀플렉스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소정의 레벨 만큼 증폭시켜 상기 RF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FEU로 구성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FEU는, 상기 듀플렉스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RF 신호의 이득을 소정 레벨 만큼 증폭시켜 전송하는 LNA;
상기 LNA로부터 소정의 레벨 만큼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과다 증폭된 RF 신호의 이득을 감쇄시켜 전송하는 이득 감쇄기; 및
상기 TTL부의 정상동작시 상기 이득 감쇄기로 스위칭되어 있다가, 상기 TTL부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TTL로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이득 감쇄 기능이 없는 라인을 통해 바이 패스시켜 상기 RF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리얼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TTL부 200 : 듀플렉스
300 : LNA 400 : 스위치
500 : 이득 감쇄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는 TTL부(100), 듀플렉스(200), LNA(300), 리얼 스위치(400), 및 이득 감쇄기(5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TTL부(100)는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의 이득을 10dB 증폭시켜 상기 듀플렉스(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TTL부(100)는 RF 신호를 10dB 증폭시켜 전송하는 LNA(300), 상기 LNA(300) 장애 발생시 바이 패스시킬 수 있는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듀플렉스(200)는 상기 TTL부(100)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를 상기 LNA(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LNA(300)는 상기 듀플렉스(200)로부터 10dB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RF 신호를 40dB 증폭시켜 상기 리얼 스위치(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득 감쇄기(500)는 상기 TTL부(100)가 정상 동작하면, 상기 리얼 스위치(400)로부터 소정의 레벨 만큼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과다 증폭된 RF 신호의 이득을 10dB 감쇄시켜 RF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리얼 스위치(400)는 상기 TTL부(100)가 정상 동작하면 상기 이득 감쇄기(500)로 스위칭되어 있다가, 상기 TTL부(100)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TTL부(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이득 감쇄 기능이 없는 라인을 통해 바이 패스시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TTL부(100)가 정상 동작하면,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TTL부(100)는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RF 신호의 이득을 10dB 증폭시켜 상기 듀플렉스(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듀플렉스(200)는 상기 TTL부(100)로부터 10dB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10dB RF 신호를 상기 LNA(3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LNA(300)는 상기 듀플렉스(200)로부터 10dB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40dB 증폭시켜 상기 리얼 스위치(4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리얼 스위치(400)는 상기 이득 감쇄기(500)로 스위칭함과 동시에 50dB RF 신호를 상기 이득 감쇄기(500)로 패스시킨다.
그러면, 상기 이득 감쇄기(500)는 상기 리얼 스위치(400)로부터 50dB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10dB 이득을 감쇄시켜 40dB RF 신호를 RF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TTL부(100)에 장애가 발생하면,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TTL부(100)는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RF 신호를 바이 패스시켜 상기 듀플렉스(2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TTL부(100)내 LNA에 장애가 발생하면 TTL부(100)내 라인으로 바이패스 되는 한편, 상기 LNA에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됨에 따라 그 전위차를 상기 리얼 스위치(4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듀플렉스(200)는 상기 TTL부(100)로부터 바이패스된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바이패스된 RF 신호를 상기 LNA(3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LNA(300)는 상기 듀플렉스(200)로부터 바이패스된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40dB 증폭시켜 상기 리얼 스위치(4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리얼 스위치(400)는 상기 TTL부(100)로 공급되는 전위차가 변함에 따라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동시에 바이패스시켜 RF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반면에, 상기 TTL부(100)를 탈장시키면, 상기 듀플렉스(200)는 상기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LNA(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LNA(300)는 상기 듀플렉스(200)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40dB 증폭시켜 상기 리얼 스위치(4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리얼 스위치(400)는 상기 TTL부(100)가 탈장됨에 따라 바이패스 라인으로 스위칭하는 동시에 상기 LNA(300)로부터 40dB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RF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에 의하면, TTL 실/탈장시 기지국의 FEU를 교체가 불필요하며 FEU의 형상을 동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지국의 형상관리 및 기지국 운용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RF 신호의 이득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시켜 전송하는 TTL부, 상기 TTL부로부터 입력받은 RF 신호를 RF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듀플렉스, 및 상기 듀플렉스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소정의 레벨 만큼 증폭시켜 상기 RF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FEU로 구성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FEU는, 상기 듀플렉스로부터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RF 신호의 이득을 소정 레벨 만큼 증폭시켜 전송하는 LNA;
    상기 LNA로부터 소정의 레벨 만큼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받은 후 과다 증폭된 RF 신호의 이득을 감쇄시켜 전송하는 이득 감쇄기; 및
    상기 TTL부의 정상동작시 상기 이득 감쇄기로 스위칭되어 있다가, 상기 TTL부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TTL로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이득 감쇄 기능이 없는 라인을 통해 바이 패스시켜 상기 RF 수신단으로 전송하는 리얼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 장치.
KR1020000084648A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장치 KR20020055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648A KR20020055235A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648A KR20020055235A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235A true KR20020055235A (ko) 2002-07-08

Family

ID=2768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648A KR20020055235A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52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6644C (en) Processor-controlled variable gain cellular network amplifier
US20060209997A1 (en) Amplifiers with cutoff circuit to avoid overloading cellular network sites
KR100259843B1 (ko) 고출력 증폭기와 광 안테나의 정합 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성 옥외용 기지국
US67416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eturn loss of an antenna
US7024231B2 (en) Booster system in a cellular phone base station
JP3423608B2 (ja) 無線中継増幅装置及び同装置の利得設定方法
KR100336714B1 (ko) 노이즈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 중계기
KR20020055235A (ko)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이득 조절이 가능한 수신장치
KR200346327Y1 (ko) 양방향 안테나 내장형 구조를 갖는 무선 중계기
JP3717599B2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100537412B1 (ko) 시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저출력 스위치를 이용한무선 송수신 스위칭 회로
US20220070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king up bda
GB2258586A (en) Radio signal enhancer
KR20040016665A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100290924B1 (ko) 고층건물의상위층의무선통신장치및방법
US668749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261959A (ja) 無線基地局装置
KR200430832Y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KR20050009002A (ko) 송수신용 전력 증폭기 및 저잡음 증폭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KR100782922B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JPH0993174A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100281627B1 (ko) 무선통신 중계기의 노이즈 감소 회로
CN113746554A (zh) 一种光纤射频信号拉远装置
JP3394126B2 (ja) 多重無線送受信装置の構成方式
KR20030046838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기지국 중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