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932A - Method for editing image for On-Screen-Display of Monit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editing image for On-Screen-Display of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932A
KR20020054932A KR1020000084218A KR20000084218A KR20020054932A KR 20020054932 A KR20020054932 A KR 20020054932A KR 1020000084218 A KR1020000084218 A KR 1020000084218A KR 20000084218 A KR20000084218 A KR 20000084218A KR 20020054932 A KR20020054932 A KR 20020054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monitor
os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2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재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8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4932A/en
Publication of KR2002005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93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editing an OSD(On Screen Display) screen of a monitor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dit the OSD screen of the monitor, thereby displaying desired text or graphics of the user. CONSTITUTION: A controller generates an input table including at least more than one item, and stores the input table as user information(10). The controller decides whether an edit-requesting signal of a user is generated from a key input unit(12). If the signal is inputted, the controller outputs the user information read from a storage to an OSD, and the OSD displays the input table to the user by using the user information(14). The controller generates new OSD information by using items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input table(16).

Description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Method for editing image for On-Screen-Display of Monitor}Method for editing image for On-Screen-Display of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monit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를 통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On Screen Display)되는 화면을 편집하는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editing method for an on-screen display of a monitor that edits a screen that is on-screen display (OSD) through the monitor.

기술이 발전하고 전자 기기들이 소형화, 집적화 및 다 기능화되면서, 개인용통신 서비스(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또는 개인용 디지탈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전자 기기들이 점점 개인화되어 가고 있다. 예컨데, 전자 기기의 사용자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전자 기기가 다른 사용자가 갖는 전자 기기와 차별화되기를 원하는 등, 전자 기기의 개성화 경향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이 갖고 있는 전자 기기에 특별한 알람 소리를 부여하고자 하든지 또는 자신의 이름 등과 같은 개인의 신상 정보를 저장시키고자 한다.As technology advances and electronic devices become smaller, more integrated, and more versati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CS) 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re becoming more personalized. For example, users of electronic devices have a tendency to personalize electronic devices, such as wanting to differentiate their electronic devices from those of other users. According to this tendency, for example, a user wants to give a special alarm sound to his or her electronic device or to stor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his name.

현재까지, 모니터는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들중에서 주변 장치로만 인식되어 왔고, 본체가 없이는 동작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최근에, 고립된(stand-alone) 형태로 동작하는 웹(web) 모니터등이 개시되고 있으나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개성화 경향에 편승하는 모니터의 요구가 향후 확산될 전망이다.To date, monitors have been recognized only as peripheral devices among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have a limitation in that they cannot operate without a main body. Recently, a web monitor or the like operating in a stand-alone form has been disclosed, but the situation is weak.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demand for a monitor that rides on the trend of personalization is expected to spread in the future.

이하, 일반적인 모니터에서 수행되는 종래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on-screen display method performed in a general moni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displayed by a conventional on-screen display method.

도 1에 도시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모니터의 제작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후, 최종적으로 모니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모니터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도 1에 도시된 화면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마이콤(미도시)에 저장된다. 따라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변경시키기위해서, 모니터의 사용자는 마이콤(미도시)에 저장된 OSD용 소프트웨어의 설정 상태를 원하는 대로 변경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OSD용 소프트웨어의 설정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모니터 제조자에 의존해야 한다.The on-screen displayed screen shown in FIG. 1 is predetermin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monitor and then unilaterally given to the user who uses the monitor. Here, the screen shown in FIG. 1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monitor is stored in a microcomputer (not shown) by software. Thus, in order to change the screen displayed on-screen, the user of the monitor has a problem that cannot change the setting state of the OSD software stored in the microcomputer (not shown) as desired. Therefore, it is conventionally required to rely on the monitor manufacturer to change the setting state of the software for the OSD.

결국, 종래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및/또는 그림을 스스로 부여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 기기의 개성화 경향에 모니터를 편승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As a result, the conventional on-screen display method does not allow the user to give a desired character and / or picture to the screen to be displayed on-screen by itself, so that the monitor cannot be piggybacked on the personalization tendency of th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니터를 통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사용자 스스로가 자유롭고 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screen editing method for an on-screen display of a monitor that allows a user to freely and easily edit a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a monitor.

도 1은 종래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displayed by a conventional on-screen display metho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creen editing method for an on-screen display of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모니터의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 performing the method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을 위해 생성한 입력 테이블의 예시적인 도면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nput table generated for screen editing for an on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사용자가 편집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for an on-screen display edited by a user.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모니터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은, 조합으로 문자나 그래픽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입력 테이블을 생성하여 사용자용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OSD되는 화면을 편집하기를 원하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OSD되는 화면을 편집하기를 원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테이블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된 상기 입력 테이블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아이템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OSD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새로운 OSD용 정보는 사용자에게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creen editing method for the on-screen display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llows the user to edit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the at least one item that can represent a character or graphic information in combination Generating an input table including the above information and storing it as user information; continuousl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ants to edit the OSD screen; and if the user wants to edit the OSD screen. And generating new OSD information by using the item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on-screen displayed input table, wherein the new OSD information is displayed on-screen to the user. .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모니터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a screen editing method for an on-screen display of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monitor performing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입력 테이블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제10 ∼ 제16 단계들)로 이루어진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editing method for an on-screen display of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generating new on-screen display information using items selected by a user from an input table (10th to 16th) Steps).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모니터의 블럭도로서, 키 입력부(20), 제어부(22), 저장부(24)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26)로 구성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 for performing the method shown in FIG. 2 and includes a key input unit 20, a control unit 22, a storage unit 24, and an on-screen display unit 26.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을 위해 생성한 입력 테이블의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입력 테이블은 각종 아이템들(A∼Z, SPACE BAR, EXIT, SAVE, DELETE 및 각종 국기들)을 표시하고 있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nput table generated for screen editing for an on-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put table includes various items (A to Z, SPACE BAR, EXIT, SAVE, DELETE, and various flags). It is displaying.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조합으로 문자나 그래픽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입력 테이블을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하여 사용자용 정보로서 저장한다(제10 단계). 이를 위해, 제어부(22)는 입력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단자 IN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하여 입력 테이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테이블을 저장부(24)에 사용자용 정보로서 저장시킨다.여기서, 저장부(24)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한 OSD용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screen editing method for the on-screen display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4, an input table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items capable of representing text or graphic information in combination is generated. It stores as user information (step 10). To this end, the controller 22 generates an input table by inputting information necessary to generate the input table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 and stores the generated input table in the storage unit 24 as user information. Here, the storage unit 24 stores OSD information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제10 단계후에, 사용자가 OSD되는 화면을 편집하기를 원하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제12 단계). 이를 위해, 제어부(22)는 사용자가 OSD되는 화면을 편집하기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편집 요구 신호가 키 입력부(20)로부터 발생되는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OSD되는 화면을 편집하기를 원하는 경우 키 입력부(20)를 조작하고, 키 입력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편집 요구 신호를 제어부(22)로 출력한다.After the tenth step, it is continuously determined whether the user wants to edit the screen on which the OSD is displayed (step 12). To this end, the controller 22 determines whether an edit request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requests to edit the OSD screen is generated from the key input unit 20. The user manipulates the key input unit 20 when the user wants to edit the OSD screen, and the key input unit 20 is operated by the user to output an edit request signal to the control unit 22.

만일, 사용자가 OSD되는 화면을 편집하기를 원하면, 사용자에게 입력 테이블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시킨다(제14 단계). 이를 위해, 키 입력부(20)로부터 편집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2)는 저장부(24)로부터 읽어들인 사용자용 정보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26)로 출력하고,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26)는 제어부(22)로부터 입력한 사용자용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테이블을 사용자에게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시켜 준다.If the user wants to edit the screen on which the OSD is displayed, the user is allowed to display the input table on screen (step 14). To this end, when the edit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0, the control unit 22 outputs user information read from the storage unit 24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26, the on-screen display unit 26 ) Displays the input table to the user on-screen by using the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 unit 22.

제14 단계후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된 입력 테이블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OSD용 정보를 생성한다(제16 단계). 예컨데, 사용자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16)를 통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부터 그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해당하는 아이템들 예를 들면, 문자 및/또는 그래픽을 선택한다. 이 때,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16)는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들을 제어부(22)로 출력하고, 제어부(22)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16)로부터 입력한 아이템들을조합하고, 조합한 결과를 이용하여 새로운 OSD용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새로운 OSD용 정보를 저장부(24)에 저장시킨다.After step 14, new OSD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item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on-screen displayed input table (step 16). For example, the user selects items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text and / or graphics, from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on-screen display unit 16. In this case, the on-screen display unit 16 outputs the items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22, and the control unit 22 combines the items input from the on-screen display unit 16 and uses the combined result. The new OSD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new OS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

한편, 사용자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위해서 키 입력부(20)를 조작하면, 키 입력부(20)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요구 신호를 제어부(22)로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22)는 키 입력부(20)로부터 출력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저장부(24)에 저장된 새로운 OSD용 정보를 읽어들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16)로 출력한다.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16)는 제어부(22)로부터 입력한 새로운 OSD용 정보를 사용자에게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편집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key input unit 20 for the on-screen display, the key input unit 20 outputs the on-screen display request signal to the control unit 22.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2 outputs the new OS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16 in response to the on-screen display request signal output from the key input unit 20. The on-screen display unit 16 displays new OSD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 unit 22 to the user on-screen display. Therefore, the user can se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which he edited.

도 5는 사용자가 편집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의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편집할 수 있는 공간(40)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니터에서 화면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공간(42)으로 구성된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for an on-screen display edited by a user,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40 in which a user can edit a screen to be displayed on-screen and in a conventional monitor as shown in FIG. The screen consists of a space 42 on which the screen is displayed.

제16 단계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아이템들중에서 원하는 아이템들 A, H, N, SPACE BAR, J, A, E, SPACE BAR, W, O, N 및 왼쪽으로부터 두번째 국기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때, 제어부(22)는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들을 조합하여 도 4에 도시된 편집된 화면(40)을 갖는 새로운 OSD용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24)에 저장시키고, 키 입력부(20)로부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 저장부(24)에 저장된 새로운 OSD용 정보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16)로 출력시킨다. 결국,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16)에 의해 모니터상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화면(40)을 갖는 영상(40 및 42)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된다.In a sixteenth step, for example, the user wants items A, H, N, SPACE BAR, J, A, E, SPACE BAR, W, O, N and the second flag from the left, among the items shown in FIG. Assume that is select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2 combines the items selected by the user, generates new OSD information having the edited screen 40 shown in FIG. 4, and stores the new OSD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4. When the on-screen display request signal is input, new OSD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 is output to the on-screen display unit 16. As a result, the images 40 and 42 having the screen 40 edi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5 are displayed on the monitor by the on-screen display unit 16.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은 모니터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사용자 자신이 스스로 편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친화적이고 대화적인 사용자 지향형 모니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니터를 개인화 경향에 편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editing method for the on-screen display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edit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user himself to display the text and / or graphics desired by the user on the screen. In addition to providing a user-friendly and interactive user-oriented monitor, it has the effect of piggybacking the monitor on personalization trends.

Claims (1)

모니터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되는 화면을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에 있어서,In the screen editing method for the on-screen display of the monitor that allows the user to edit the screen that is on-screen display (OSD) on the monitor, 조합으로 문자나 그래픽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 입력 테이블을 생성하여 사용자용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Generating an input table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items capable of representing text or graphic information in a combination, and storing the input table as user information; 사용자가 상기 OSD되는 화면을 편집하기를 원하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Continuously determining whether a user wants to edit the OSD screen; 상기 OSD되는 화면을 편집하기를 원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 테이블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및If desired to edit the OSD screen, displaying the input table on screen by a user; And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된 상기 입력 테이블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아이템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OSD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Generating new OSD information using the item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on-screen displayed input table, 상기 새로운 OSD용 정보는 사용자에게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면 편집 방법.And the new OSD information is displayed on-screen to a user.
KR1020000084218A 2000-12-28 2000-12-28 Method for editing image for On-Screen-Display of Monitor KR200200549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218A KR20020054932A (en) 2000-12-28 2000-12-28 Method for editing image for On-Screen-Display of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218A KR20020054932A (en) 2000-12-28 2000-12-28 Method for editing image for On-Screen-Display of Mon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932A true KR20020054932A (en) 2002-07-08

Family

ID=2768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218A KR20020054932A (en) 2000-12-28 2000-12-28 Method for editing image for On-Screen-Display of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493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231B1 (en) * 2005-10-28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231B1 (en) * 2005-10-28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982B2 (en) Web browser capable of navigation between hypertext objects by remote control device
KR1008712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enu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2000339130A (en) Display controller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display control program
KR20030097310A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image size of display apparatus and recording media for computer program therefor
WO2004079709A1 (en) Scroll display control
MY137677A (en) A graphical menu for a televsion receiver
US20030201972A1 (en) Terminal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for such terminal apparatus
US20070011706A1 (en) Video browsing system and method
JP2010054550A (en) Image display device, projector,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070285387A1 (en) Output property adjusting apparatus and output property adjusting method
JP2007047989A (en)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JP2007114402A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KR20020054932A (en) Method for editing image for On-Screen-Display of Monitor
US20060058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istance in ultrasound equipment
KR20070063981A (en) Network display apparatus, compu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79649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a preview function in the same
JP2004096451A (en) Image data generat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generating program, image display program, image data generating method,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03060931A (en) Data broadcast receiver, data broadcast reception program, and contents generating method
KR9700641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Menu of Video Equipment
KR100195092B1 (en) Video cassette player and method for displaying messages
EP0930558A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0315131B1 (e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plural images
KR100325805B1 (en) Display system
KR200211451Y1 (en) PDA system having scroll function
JPH10260918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