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581A -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581A
KR20020054581A KR1020000083726A KR20000083726A KR20020054581A KR 20020054581 A KR20020054581 A KR 20020054581A KR 1020000083726 A KR1020000083726 A KR 1020000083726A KR 20000083726 A KR20000083726 A KR 20000083726A KR 20020054581 A KR20020054581 A KR 20020054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ms
user
received
determin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9741B1 (ko
Inventor
최창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741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741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신된 SMS 메시지를 일정시간이 지난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 또는 임시저장으로 분리하여 수신 처리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의 임시저장이 선택되면 메시지의 자동 삭제 타이머를 설정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자동 삭제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만료되면 해당 임시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3 과정으로 수행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RECEIVE SMS MESSAGE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된 SMS 메시지를 일정시간이 지난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통신서비스는 개인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음성 및 저속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저렴하고 보편적인 이동서비스인데, 현재의 유/무선통신망은 주로 음성통신위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근래에는 데이터 서비스 가입자의 꾸준한 증가로 인해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비음성분야의 서비스로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SMS(Short Message Service) 부가서비스는 SMS 기본 서비스에 부가의 정보를 실어 가입자에게 제공하거나 특별한 형식의 메시지를 통하여 기본적인 메시지 전달 이외의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이다.
다양한 SMS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부가서비스의 추가 또는 삭제가 용이하고, 가입자 기호에 맞는 서비스를 창출하여 가입자의 편리성을 도모해야 하는데, 여기서,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개인 통신 서비스망에서의 SMS 부가 서비스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입자가 부가서비스 요청을 송신하고 부가서비스 결과인 단문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101)와, 단말기(101)가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지국/기지국제어기(BSC/BTS)(102)와, 상기 기지국/기지국제어기(102)로부터의 부가 서비스 요청과 요청된 부가서비스의 결과인 단문 메시지를 중계/교환하기 위한 개인 통신 교환기/방문자 정보 처리시스템(PCX/VLR)(103)과, 교환기/방문자 정보 처리시스템(103)으로부터의 부가 서비스요청과 요청된 부가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전달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SMC)(105)과, 상기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SMC)(105)으로 부터 전송받은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모든 SMS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가입자 관리, 과금 관리 및 운용 관리등의 SMS 부가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는 부가 서비스 통합관리 시스템(VAS)(106)과, 부가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VAS)의 지시하에 요청된 부가서비스에 해당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한개 이상의 SMS부가 서비스장치(ESME)(107)와, 단문 메시지 처리를 위해 착신 단말기의 위치를 제공하고 착신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통보하기 위한 가입자 정보 처리 시스템(HLR)(104)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1) 및 SMS 부가 서비스장치(ESME)(107)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 및 수신하여 전달상황을 종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단말기(101)는 일반적인 호처리(Call Processing) 및 위치 등록 기능이외에 단문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단문 메시지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과 단문 메시지 알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개의 SMS 부가서비스는 한개의 ESME(107)내에서 구현되며, ESME (107)는부가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부가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VAS)(106)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SMC)(105)은 부가적으로 SMS 기본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고, 또한 단문 메시지 처리를 위한 게이트 웨이 기능을 수행하고, 교환기/방문자 정보 처리시스템(PCX/VLR)(103) 및 가입자 정보 처리 시스템 (HLR) (104)과의 연동을 위한 SMS MAP(Mobile Application Part)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 서비스 제공자와의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X.25) 정합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VMS(Voice Mail System) 통보 기능을 위한 VMS 접속 기능을 수행하고 E-mail 통보 기능을 위한 처리기능(X.400)도 수행한다.
상기 개인통신 교환기/방문자 처리 시스템(PBX/VLR)(103)은 기지국/기지국제어기(102) 및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SMC)(105)과 접속되어 있으며, 루팅 (Routing)을 수행하여 단문 메시지를 중계/교환하고, 단문 메시지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2는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기상태시 수시로 메시지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제1 과정(210),(211)과; 상기 제1 과정의 판단결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메시지를 소정 처리한후 저장하는 제2 과정(212)과;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확인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 과정(213),(214)과; 상기 제3 과정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메세지 내용 확인 키가 입력되면, 그 메시지의 삭제 처리여부를 판단하는 제4 과정(214),(215)과; 상기 제4 과정의 판단결과, 사용자에의해 삭제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고, 메시지 저장이 선택되면 메시지 수신을 종료하는 제5과정(216),(217)과; 상기 제1 과정의 판단결과, 메시지 수신이 없으면,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보기 위한 SMS키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제6 과정(220)과; 상기 제6 과정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7 과정(222),(223)과; 상기 제7 과정의 판단결과,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과거에 수신된 메시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3과정으로 궤환하는 제8 과정(224),(225)으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을 첨부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상태로 있으면서 메시지 수신여부를 판단하고 (210),(211), 그 판단결과, 소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메시지를 소정 처리하여 저장한후(212), 그 수신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한다(213).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확인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213),(214), 그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메세지 내용 확인 키가 입력되면 그 메시지의 삭제 처리여부를 판단한다(214),(215).
만약, 사용자에 의해 삭제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고, 메시지 저장이 선택되면 메시지 수신을 종료한다(216),(217).
한편, 대기 상태시 메시지 수신이 없으면,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보기 위한 SMS키 입력 유무를 판단하고(220), 그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222) ,(223).
상기 판단결과,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110)를 표시하고, 만약 단문메시지 내용을 보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저장된 메시지 리스트(120)를 보여주고, 상기 메시지 리스트(120)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225) 해당 수신메시지(130)를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확인키가 눌려지면(214), 메시지저장/삭제메뉴(140)를 표시하고, 이때 메시지 삭제(142)를 선택하면 삭제처리를 수행한후(216) 대기상태로 전환되며, 메시지 저장(141)을 선택하면 바로 대기상태(217)로 전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SMS메시지를 수신한후, 사용자가 필요없는 메시지의 삭제를 원하는 경우에 매번 삭제 메뉴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삭제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저장을 원하는 메시지와 삭제를 원하는 메시지가 통합 관리되므로 수신된 메시지 관리에 착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본 발명은 수신된 SMS 메시지를 일정시간이 지난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개인 통신 서비스망에서의 SMS 부가 서비스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
도3은 도2에 있어서, 수신 SMS메뉴 구조를 보인 실시예도.
도4는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수신처리의 동작흐름도.
도5는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메시지 자동 삭제 타이머 설정의 동작흐름도.
도6은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임시 메시지 삭제과정의 동작흐름도.
도7은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임시 수신함의 삭제처리과정을 보인 동작흐름도.
도8은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있어서의 SMS메뉴구조를 보인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 또는 임시저장으로 분리하여 수신 처리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의 임시저장이 선택되면 메시지의 자동 삭제 타이머를 설정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자동 삭제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만료되면 해당 임시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3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처리과정은 대기상태시 수시로 메시지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메시지를 소정 처리한후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확인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메세지 내용 확인 키가 입력되면, 그 메시지의 삭제 처리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삭제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고, 메시지 저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의 저장 플래그를 셋트시키며, 메시지 임시저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 타이머를 셋트시키는 제5 단계와; 대기상태로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보기 위한 SMS키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6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7 단계의 판단결과,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과거에 수신된 메시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3 단계로 궤환하는 제8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타이머 설정과정은 대기상태로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보기 위한 SMS키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판단결과,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를 표시한후, 수신 타이머 기능 설정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수신 타이머 기능 설정모드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메시지의 타이머값을 저장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임시 메시지 삭제과정은 대기상태에서 자동 타이머 설정된 메시지의 설정시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자동 타이머 설정시간이 만료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한후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수신처리의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기상태시 수시로 메시지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410),(411)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메시지를 소정 처리한후 저장하는 제2 단계(412)와;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확인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413),(414)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메세지 내용 확인 키가 입력되면, 그 메시지의 삭제 처리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414),(415)와; 상기 제4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삭제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고, 메시지 저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의 저장 플래그를 셋트시키며, 메시지 임시저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 타이머를 셋트시키는 제5 단계(416),(417),(418)와; 대기상태로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보기 위한 SMS키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제6 단계(420)와; 상기 제6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7 단계(422),(423)과; 상기 제7 단계의 판단결과,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과거에 수신된 메시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3단계로 궤환하는 제8 단계(424),(425)로 이루어진다.
도5는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메시지 자동 삭제 타이머 설정의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기상태로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보기 위한 SMS키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제1 단계(510),(511)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512),(513)와; 상기 제2 단계의 판단결과,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를 표시한후, 수신 타이머 기능 설정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514),(515)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수신 타이머 기능 설정모드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메시지의 타이머값을 저장하는 제4 단계(516)로 이루어진다.
도6은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임시 메시지 삭제과정의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임시 메시지 삭제과정은 대기상태에서 자동 타이머 설정된 메시지의 설정시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610),(611)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자동 타이머 설정시간이 만료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한후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2 단계(612)로 이루어진다.
도7은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SMS 메시지 관리방법에 대한 임시 수신함의 삭제처리과정을 보인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기상태로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 표시하는 제1 단계 (710) ,(711) ,(712)와;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임시 수신함 비우기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713),(714),(715)와; 상기 제2 단계의 판단결과, 임신수신함 비우기가 선택되면 저장플래그가 셋트된 메시지를 제외한 모든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3 단계(716)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본 발명은 첨부한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352) 또는 임시저장 (351)으로 분리하여 수신 처리한다.
즉, 대기상태시 수시로 메시지 수신여부를 판단하고(410),(411), 상기 판단결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메시지를 소정 처리한후 저장한다(412).
이후,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340)을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확인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413),(414), 사용자에 의해 메세지 내용 확인 키가 입력되면, 그 메시지의 삭제 처리여부를 판단한다(414),(415).
만약, 사용자에 의해 삭제기능(353)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고, 메시지 저장(352)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의 저장 플래그를 셋트시키며, 메시지 임시저장(351)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 타이머를 셋트시킨다(416),(417),(418).
한편, 대기상태로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보기 위한 SMS키 입력 유무를 판단하여(420),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310)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422) ,(423)
만약,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320)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과거에 수신된 메시지(340)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340)을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확인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413) ,(414), 사용자에 의해 메세지 내용 확인 키가 입력되면, 그 메시지의 삭제 처리여부를 판단하여 상술한 동작을 반복수행한다.(414),(415).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의 임시저장이 선택되면 메시지의 자동 삭제 타이머를 설정한다.
즉, 대기상태로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보기 위한 SMS키 입력 유무를 판단하고(510),(511), 그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310)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512),(513)
상기 판단결과,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를 표시한후, 수신메시지 자동 삭제 타이머 기능 설정모드(315)인지를 판단하고(514),(515), 수신메시지 자동 타이머 기능 설정모드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메시지의 타이머값을 저장한다.
이후, 상기 자동 삭제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만료되면 해당 임시 메시지를 삭제한다.
즉, 대기상태에서 자동 타이머 설정된 메시지의 설정시간이 만료되었는지를판단하여(610),(611), 자동 타이머 설정시간이 만료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한후 대기상태로 전환한다.(612)
만약,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임시수신함 비우기가 선택되면 수신된 메시지의 저장 또는 임시 저장에 상태에 따라 구분하여 메시지를 삭제 처리하는데, 즉 대기상태로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 표시하고 (710) ,(711),(712), 다시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310)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임시 수신함 비우기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713) ,(714),(715).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임신수신함 비우기가 선택되면 저장플래그가 셋트된 메시지를 제외한 모든 메시지를 삭제한후(716), 다시 대기상태로 궤환하거나 SMS수신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자동 삭제 타이머가 설정된 메시지는 그 메시지의 자동 삭제 타이머값이 초기화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오랫동안 저장을 원하지 않고 임시로 저장하기를 원하는 메시지와 오랫동안 저장하기를 원하는 메시지를 구분하여, 임시 저장한 메시지는 일정 시일이 지난후 자동으로 삭제되게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신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 또는 임시저장으로 분리하여 수신 처리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의 임시저장이 선택되면 메시지의 자동 삭제 타이머를 설정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자동 삭제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만료되면 해당 임시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3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저장 또는 임시 저장에 상태에 따라 구분하여 메시지를 삭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삭제처리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 표시하는 제1 단계와;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임시 수신함 비우기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판단결과, 임신수신함 비우기가 선택되면 저장플래그가 셋트된 메시지를 제외한 모든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3 단계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자동 삭제 타이머가 설정된 메시지의 타이머값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수신처리과정은 대기상태시 수시로 메시지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메시지를 소정 처리한후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확인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메세지 내용 확인 키가 입력되면, 그 메시지의 삭제 처리여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삭제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고, 메시지 저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의 저장 플래그를 셋트시키며, 메시지 임시저장이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 타이머를 셋트시키는 제5 단계와;
    대기상태로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보기 위한 SMS키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제6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제7 단계의 판단결과,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과거에 수신된 메시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3 단계로 궤환하는 제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관리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자동타이머 설정과정은 대기상태로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보기 위한 SMS키 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SMS키 입력이 있으면, SMS메뉴를 표시한후 사용자에 의해 SMS수신모드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판단결과, SMS수신모드가 선택되면 SMS수신메뉴를 표시한후, 수신 메시지 자동 삭제 타이머 기능 설정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수신메시지 자동 삭제 타이머 기능 설정모드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메시지의 타이머값을 저장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KR1020000083726A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KR100749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726A KR100749741B1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726A KR100749741B1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581A true KR20020054581A (ko) 2002-07-08
KR100749741B1 KR100749741B1 (ko) 2007-08-17

Family

ID=2768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726A KR100749741B1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7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67B1 (ko) * 2001-10-29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sm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KR100613979B1 (ko) * 2005-07-05 2006-08-22 주식회사 팬택 통신망 내 일시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방법과 그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91244B1 (ko) * 2005-12-16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메시지의 선택적 표시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721A (ko) * 1999-03-08 2000-10-05 이가형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 처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67B1 (ko) * 2001-10-29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sm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KR100613979B1 (ko) * 2005-07-05 2006-08-22 주식회사 팬택 통신망 내 일시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방법과 그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91244B1 (ko) * 2005-12-16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메시지의 선택적 표시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741B1 (ko) 200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3331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とマルチメディア通信可能な携帯無線通信端末及び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US7620408B2 (en) Intelligent messaging
US86606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ssaging across cellular networks and a public data network
EP1255414B1 (en) Automatic SMS handling
KR10069112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불능 대처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US20050013419A1 (en) Network speech-to-text conversion and store
EP1701569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with enhanced handling of call establishment
EP0910223A2 (en) Mobile radio terminal with SMS function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11146011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及び電子メールサーバ及び通信端末
JPH09331352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
US7035382B1 (en) Voice mailbox management method using short message service in voice mail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JPH10257201A (ja) 電子メール端末及び電子メール配送システム
US20030074412A1 (en)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for the same
KR100521033B1 (ko) 메시지 릴레이 전송 방법
KR200200856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KR10074974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sms 메시지 관리방법
KR20040048751A (ko) 발신자 정보 전송 기능을 가지는 이동단말기 및 이를이용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20030020530A (ko)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저장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EP20813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ting group transmitting of short-message
KR100617288B1 (ko)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6724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방법
KR10040055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자동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68640B1 (ko) 주문형 정보서비스를 위한 전송메시지 최소화 방법
KR20030021771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채팅방법
KR2004007636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