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220A -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가입자의 망접속시 정적 아이피와 동적 아이피 식별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가입자의 망접속시 정적 아이피와 동적 아이피 식별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220A
KR20020054220A KR1020000083253A KR20000083253A KR20020054220A KR 20020054220 A KR20020054220 A KR 20020054220A KR 1020000083253 A KR1020000083253 A KR 1020000083253A KR 20000083253 A KR20000083253 A KR 20000083253A KR 20020054220 A KR20020054220 A KR 20020054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p
network
packet
mobile
dyn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9938B1 (ko
Inventor
박정현
김영진
이윤주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2000-008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9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세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패킷망에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이동 가입자의 이동서비스 지원을 위한 ISP 이동 가입자의 동적 IP 주소(Dynamic IP) 할당 혹은 정적 IP 주소(Static IP)의 식별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유.무선 통신망은 모든 이동 가입자에게 언제 어디서든지 이동통신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핵심 기술개발과 통합 이동 통신 기반망 구축을 통해 발전되고 있다. 특히, 세계 통신시장의 반을 넘게 점유하는 유럽 기반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망도 유럽의 자체 패킷망인 GPRS망과 통합하여 이동 가입자에게 회선과 패킷 이동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망이 구축되고 있다. 여기에 ISP 가입자들에 대한 이동 패킷 서비스를 지원을 위해 3세대 GPRS망에서는 IP를 기초한 ISP망 가입자의 이동 통신 서비스 지원 및 PPP(Point to Point)를 기초한 ISP망 가입자의 이동통신서비스 지원을 가능하도록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라 부르는 GSM 기반의 통합 이동통신망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ISP망 이동 가입자가 GPRS망 접속을 통해 이동패킷 서비스를 받기 위해 요구되는 ISP 이동 가입자의 동적 IP 주소 할당과 정적 IP 주소에 대한 식별 방법, 그리고 이에 대한 GPRS망에서의 처리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ISP망 가입자가 GPRS망 접속을 통해 ISP망을 접속을 시도할 때 요구되는 ISP 이동 가입자의 IP 주소에 대한 식별을 위해, IPCP(Internet Packet Control Protocol)패킷구조를 개선시키는 방법과 GPRS 망 내의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내 End User Information Element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현재 정의된 IPCP 패킷과 PDP 컨텍스트로 ISP 이동 가입자의 IP 주소 식별과 처리에 다소 무리한 구조로 되어 있기에 이를 보다 편리한 구조로 개선 정의한 것이다. 또한 현재 정의된 패킷 구조로 GPRS망을 통해 이동 ISP망 가입자가 자신의 ISP 망 접속시 GPRS 망에서 ISP 이동 가입자의 IP주소 식별과 할당을 위한 처리 방법에 있어서도 패킷내 사용 정보의 처리에 있어 매우 부족하고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GPRS망에서 ISP 이동 가입자의 IP 주소 식별방법과 처리에 관한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가입자의 망 접속시 정적 아이피와 동적 아이피 식별 및 처리방법 { Identification & Transfer Method of Static IP and Dynamic IP for Network Accessing of ISP Mobile Subscriber in 3rd Generation GPRS Network }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의 접속과 이에 따른 ISP 이동가입자의IP 식별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3세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패킷망에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이동가입자의 이동서비스 지원을 위한 ISP 이동가입자의 동적 IP(Dynamic Internet Protocol) 주소 혹은 정적 IP(Static IP) 주소 식별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유.무선 통신망은 모든 이동 가입자에게 언제 어디서든지 이동통신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핵심기술 개발과 통합 이동통신 기반망 구축을 통해 발전되고 있다. 특히, 세계 통신시장의 반을 넘게 점유하는 유럽 기반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망도 유럽의 자체 패킷망인 GPRS망과 통합하여 이동 가입자에게 회선과 패킷 이동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망이 구축되고 있다. 여기에 ISP 가입자들에 대한 이동 패킷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3세대 GPRS망에서는 IP를 기초한 ISP망 이동 가입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 및 PPP(Point to Point)를 기초한 ISP망 가입자의 패킷 이동 서비스 지원을 가능하도록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라 부르는 GSM 기반의 통합 이동통신망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기존 유선통신망에서는 PPP를 이용하여 ISP 접속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종래는 유선 ISP 가입자가 주어진 한정된 영역 내에서 자신의 ISP망을 PPP 접속을 통해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받는데 이때 ISP 가입자의 링크 설정시 이용되는 인증 기술이 바로 PAP(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 혹은 CHAP(Challenge Handshake Access Protocol)와 같은 인증 기술과IP 처리를 위한 IPCP 패킷 구조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 IPCP내 ISP 가입자에 대한 IP 처리 부분은 기존의 유선통신망을 대상을 정의되어 있으며 IP가 동적 희망 IP인지, 정적 IP 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 따라서, 이동통신망 환경에서 ISP 이동 가입자의 IP 식별과 이를 전달 처리하는 부분이 요구되며, 이는 ISP망 이동 가입자의 이동 패킷 서비스 지원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망에서도 ISP망 가입자의 접속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현재 이를 위한 방안은 각자의 패킷 이동통신망과 ISP망간 사전 협약으로 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기술적이고 표준화된 대책이 아니다. 또한 이를 위한 형태는 기존의 유선통신망 환경에서 PPP 기반의 ISP 가입자의 접속 환경에서만 정의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유럽의 패킷 이동통신망 환경과 ISP망간의 PPP를 근간으로 ISP 이동 가입자의 망 접속시 IP 식별과 처리를 위한 부분은 아직 이동 패킷 서비스를 위한 패킷 이동통신망(GPRS)에서의 준비도 부족하고 ISP망측에서도 준비가 안된 실정이라 하겠다. 더욱이 현재 패킷 이동통신망과 기존의 유선통신망 및 인터넷망과의 연계가 가속화되고 있어 패킷 이동 통신망에서 ISP 이동 가입자의 이동 패킷 서비스를 위한 IP 식별 방법과 이의 처리방법은 꼭 필요하다 하겠다.
다시 말하면, ISP망 가입자는 자신이 현재 위치한 홈 ISP 접속망을 통하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ISP망의 접속을 통해 인터넷과 이동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ISP 가입자의 접속망은 이동통신망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ISP 가입자가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 및 이동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으려면, 이동 통신망의 접속을 순조롭게 해야 하고, 이어서 ISP망의 접속 진행을 처리해야 한다. 이때, ISP 이동 가입자는 자신의 ID와 IP 정보를 현재의 이동 통신망에 알려주어야 하고 이어 이 정보는 자신의 ISP망에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그런데 현재의 PPP IPCP 패킷 구조와 유럽 제 3세대 패킷 이동통신망인 GPRS망에서는 이들 ISP 이동 가입자에 대한 ID와 IP 정보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타내어 GPRS망에서는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가 않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PPP IPCP 패킷에 ISP 이동가입자의 IP에 대한 플래그 필드를 추가로 정의하여 IP가 동적 IP인지 정적 IP인지를 나타내게 하고, ISP에 대한 식별자 필드를 두어 ISP 이동 가입자 처리를 GPRS망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3세대 GPRS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망 접속시 정적 IP와 동적 IP 식별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GPRS망의 이동 단말에서 최종 사용자 정보 (TE) 엘리멘트를 변형하여 이들 정보를 쉽게 ISP망의 게이트웨이 노드까지 전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ISP 가입자의 이동통신망 접속시 요구되는 IP 처리 정보와 ISP ID 정보를 추가하여 ISP 이동가입자의 IP가 동적 IP인지 정적 IP인 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3세대 유럽의 이동 패킷통신망에서 이들 정보의 처리를 보다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3세대 GPRS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망 접속시 정적 IP와 동적 IP 식별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3세대 GPRS 망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3세대 GPRS 망의 프로토콜 스택.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P 이동 가입자 PPP/IPCP 메시지 구조.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선된 IPCP 메시지 구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선된 PDP 컨텍스트 중 최종 사용자 정보 엘리멘트 구조.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GPRS망에서 TE와 MT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동작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망
111: TE (Terminal Equipment)
112: MT (Mobile Terminal)
113: UTRAN (Universal Terminal Radio Access Network)
114: SGSN (Supporting GPRS Service Node)
115: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120: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망
121: RADIUS (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
122: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130: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회선망
131: ME (Mobile Equipment)
132: RAN (Radio Access Network)
133: MSC (Mobile Switch Center)/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134: HLR (Home Location Register)/AS (Authentication Server)
135: GMSC (Gateway Mobile Switch Center)
140: 기존통신망
150: 인터넷
160: TE/MT GGSN ISP간 제어 평면상에서의 논리적 정합 프로토콜 스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ISP 이동가입자가 터미널소자(TE)와 이동터미널(MT)을 이용하여 패킷 이동통신망을 통해 ISP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3세대 GPRS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망 접속시 정적 IP와 동적 IP 식별하고 이통통신망 내에서 이를 처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IP 식별 메시지 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IP 식별 메시지는, 상기 터미널소자(TE)에서 상기 이동터미널(MT)에 전달되는 IPCP 메시지에, IP 식별 정보(정적/동적)를 구분하기 위한 IP 플래그 필드와, 상기 ISP 망 접속을 위한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필드, 및 가입자의 IP 주소를 저장하기 위한 IP 주소 필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SP 이동가입자가 터미널소자와 이동터미널을 이용하여 패킷 이동통신망을 통해 ISP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3세대 GPRS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패킷 이동통신망 접속시 정적 IP와 동적 IP 식별 및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3세대 GPRS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패킷 이동통신망 접속시 정적 IP와 동적 IP 식별 및 처리방법은, 상기 터미널소자(TE)가, 사용자 이름과 사용자 패스워드를 상기 이동터미널(MT)에 제시하면서 상기 패킷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 1-1 단계와; 상기 IPCP 메시지에, IP 식별자(정적/동적)를 구분하기 위한 IP 플래그 필드와, 상기 ISP 망 접속을 위한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필드, 및 가입자의 IP 주소를 저장하기 위한 IP 주소 필드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터미널에 전송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ISP 망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터미널을 통해 PDP 세션 응답과 IP가 전달되면 세션을 시작하고 인터넷 서비스와 무선 패킷 서비스를 진행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3세대 GPRS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패킷 이동통신망 접속시 정적 IP와 동적 IP 식별 및 처리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ISP 이동 가입자가 패킷 이동 통신망을 통해 자신의 ISP망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패킷 이동 통신망에서의 ISP 이동 가입자의 IP 식별과 ISP망 식별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PPP 기반의 ISP 이동 가입자가 패킷 이동통신망을 통해 자신의 ISP망을 접속하는 경우, PPP TE와 MT간에서 주고받는 IPCP 메시지 내에 MN의 IPflag와 ISP ID를 정의하고 MT에서 이의 정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PDP내 최종 사용자 정보 (TE) 엘리멘트를 변경하여 정의하므로 패킷 이동통신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해준다. 현재 이에 관한 구체적인 제시 내용은 국내.외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상태며 기존의 PPP 기반의 IPCP 메시지 내에서는 IP필드만을 정의해 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방안은 TE쪽에서 IPCP 메시지 내에 IPflag 필드를 두어 ISP망 이동 가입자의 IP 요구가 정적IP인지 동적 IP(Wished IP 포함)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써, 이를 위해 기존의 IPCP 패킷을 변경 정의하는 방법과 새로운 IPCP 패킷을 정의하여 처리하는 방법이다. 둘째 방안은 MT의 PDP 메시지내 최종 사용자 정보 (TE) 엘리멘트내 서비스 타입에 대한 옵션에서 PPP 및 IP 인 경우 TE(MN) ID와 IPflag 필드를 새로이 정의하는 방안이다.
여기서 첫째 방안은 기존의 유선통신망에서 PPP를 통해 ISP 접속을 이루어 인터넷 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았던 TE가 패킷 이동통신망을 통해 ISP망을 접속을 할 경우 TE에서 IPCP 패킷내 별도의 TE IPflag를 두어 IP 식별과 전달 처리를 쉽게 하도록 하는 것이며, 둘째 방안은 MT 쪽에서 패킷 이동통신망을 접속하는 ISP망 이동 가입자의 IP 식별과 이의 전달 처리 방법을 용이하게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렇게 하므로 ISP망 가입자는 기존 유선통신망을 통하든 패킷 이동통신망을 통하든 언제 어디서든지 PPP 접속을 통해 자신의 ISP망의 접속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인터넷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제시 방안에 대해 필요한 패킷 구조와 이를 고려한 전제적인 동작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 이동통신망(GPRS)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패킷 이동통신망(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GPRS)(110)과,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nternet Service Provider : ISP)망(120), GPRS 세션 관리(GPRS Session Management : GSM) 회선망(130), 기존 통신망(140), 및 인터넷(150)으로구성된다. 패킷 이동통신망(GPRS망)(110)은 TE(Terminal Equipment)(111)와, MT(Mobile Terminal)(112), UTRAN(Universal Terminal Radio Access Network)(113), SGSN(Supporting GPRS Service Node)(114),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115)을 포함한다.
또한, ISP망(120)은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121)과,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122)로 이루어지며, GSM 회선망(130)은 ME(Mobile Equipment)(131)와, RAN(Radio Access Network)(132), MSC(Mobile Switch Cen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133), HLR(Home Location Register)/AS(Authentication Server)(134), 및 GMSC(Gateway Mobile Switch Center)(13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GPRS망(110)에서 TE(111)의 ISP망(120) 접속에 필요한 망 구성요소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E/MT GGSN ISP간 제어 평면상에서의 논리적 정합 프로토콜 스택(160)으로 표현된다. TE(111)와 MT(112)간은 PPP 접속을 통해 LCP 설정과 PPP CHAP 인증이 이루어지며, MT(112)와 GGSN(115) 사이에는 GTP-C를 통해 프로토콜 Configuration Option이 전달되며, GGSN(115)에서는 이 정보를 통해 RADIUS 클라이언트 정보를 구성해 ISP망(120)의 RADIUS(121)와의 인증 및 접속을 수행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PPP CHAP Challenge의 처리이며, 이를 통해 PPP 인증과 RADIUS 인증의 연계를 이룰 수 있다. CHAP Challenge의 처리로 인해 PPP CHAP와 RADIUS 인증 연계를 이룰 수 있는데 이렇게 하므로 ISP TE는 GPRS 망을 통해 ISP 망 접속을 이루며 이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PPP 접속시 TE에서 MT로 보내는 PPP 패킷 구조(21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메시지 내에서 주고받는 211은 LCP 패킷 구조이며 212는 LCP Configuration Packet 구조이고, 213은 LCP Configuration Packet내 포함되어서 MT에서 TE로 보내는 CHAP 챌린지 패킷 구조이고, 214는 TE에서 MT로 보내는 IPCP IP-Address 패킷 구조이다. 또한 220은 MT에서 GGSN으로 보내는 Protocol Configuration Option(PCO) 패킷 구조이다.
도 4는 TE에서 MT로 PPP 접속시 보내는 IPCP IP 메시지 구조(310)이다. 도면에서 311은 ISP망 이동 가입자의 IP 식별을 위해 수정된 IPCP IP 패킷 구조이고, 312는 ISP망 이동 가입자의 IP 식별을 위해 새로 정의된 IPCP IP 패킷 구조이며, 313은 ISP망 이동 가입자의 IP 식별과 ISP 식별을 위해 새로 정의된 IPCP IP 패킷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T에서 사용자 정보를 구성하는 패킷 구조(410)와, GPRS망에서 정의된 PDP 컨텍스트 Packet 구조(420)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411은 GPRS망에서 IP 식별을 위해 최종 사용자 정보 엘리멘트(End User Information Element) 구조 내에 정의된 PDP Type Organization Field이며, 412는 GPRS망에서 IP 식별을 위해 최종 사용자 정보 엘리멘트(End UserInformation Element) 구조 내에 추가 정의된 사용자 식별자 필드와 IP 플래그 필드(IPflag Field)이며, 413은 GPRS망에서 IP 식별을 위해 최종 사용자 정보 엘리멘트(End User Information Element) 구조 내에 추가 정의된 PDP Type Number Field와 사용자 식별자 Field와 IPflag Field이다.
420은 GPRS망에서 정의된 PDP 컨텍스트 Packet 구조이고, 421는 GPRS망에서 IP 식별을 위해 변경된 PDP 컨텍스트 Packet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위의 도 3의 ISP망 이동 가입자의 IP 식별을 위해 개선된 IPCP IP 메시지 구조와 개선된 최종 사용자 정보 엘리멘트 메시지를 근간하여 TE를 패킷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과정과 동작 절차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PPP 클라이언트 혹은 ISP망 이동가입자인 TE는, 초기상태(510)에서 사용자 ID(Identity)와 사용자 패스워드(User Password) 혹은 비밀키(Secret Key)를 입력하여, 패킷 이동통신망 접속 및 등록을 시도한다(511). 이때, TE는 MT와 LCP/CHAP/IPCP 협상을 진행한(512) 후, MT는 최종 사용자 정보 엘리멘트를 근간으로 PDP 컨텍스트 메시지를 생성하며(513), 생성된 PDP 컨텍스트를 네트워크를 출력하여 세션 시작을 요구한다(514). 패킷 이동통신망에서는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ISP망 접속 시도를 진행하고(515), 이의 응답으로 ISP망 이동가입자의 IP를 할당받는다. 할당받은 IP를 포함한 PDP 세션 응답 메시지를 MT를 통해 TE로 전달한다(516). ISP TE에서는 할당 IP를 이용해 패킷 이동통신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며(517), 이후 세션의 재 시작 여부를 결정한다(518).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킷 이동통신 환경에서 ISP망 이동가입자가 유선통신망 및 패킷 이동통신망, 특별히 3세대 유럽의 패킷통신망인 GPRS망에서 자신의 ISP망의 접속을 시도할 때 접속 패킷 이동통신망에서 ISP망 이동 가입자의 IP 식별을 용이하게 하며 이의 정확한 전달 처리를 통한 ISP망에서의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의 PPP 접속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ISP망 가입자에게 이동통신망 환경 특별히 GPRS망에서도 PPP 접속을 통해 동일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ISP 망 가입자에게 로밍 서비스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PP 기반 ISP망 이동 가입자가 패킷 이동통신망 접속시 TE와 패킷 이동통신망 MT간의 IP 식별 정보와 ISP ID 정보를 IPCP IP 패킷에 포함하고 있어 패킷 이동통신망에서 이에 대한 처리를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둘째, IPCP IP 패킷 구조내 IP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패킷 이동통신망에서 ISP 망 이동 가입자에 대한 망 접속 서비스를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셋째, MT에서 PDP 콘택스트내 최종 사용자 정보 (TE) 엘리멘트 필드에서 ISP망 이동가입자의 ID(망 접속 사용자 ID)와 IP 식별자 정보를 정의하므로 패킷 이동통신망의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ISP망 접속과 이에 따른 사용자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넷째, 기존 PPP 접속을 통한 ISP망 가입자에게 패킷 이동통신망을 통한 ISP 망의 접속을 가능케 하며 이를 통해 인터넷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한다. 다섯째, 기존 PPP 접속을 통한 ISP망 가입자에게 유럽의 패킷 이동통신망인 GPRS망을 통해 자신의 ISP 망 접속을 가능케 하며 이를 통해 인터넷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여섯째, 궁극적으로 패킷 이동통신망과 ISP망의 연동과 ISP망 가입자의 로밍 서비스 지원도 가능케 한다.

Claims (6)

  1. ISP 이동가입자가 터미널소자(TE)와 이동터미널(MT)을 이용하여 패킷 이동통신망을 통해 ISP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3세대 GPRS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패킷 이동통신망 접속시 정적 IP와 동적 IP 식별 및 처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IP 식별 메시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소자(TE)에서 상기 이동터미널(MT)에 전달되는 IPCP 메시지에, IP 식별 정보(정적/동적)를 구분하기 위한 IP 플래그 필드와, 상기 ISP 망 접속을 위한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필드, 및 가입자의 IP 주소를 저장하기 위한 IP 주소 필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식별 메시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P 식별 정보가 동적 IP이면, 동적 IP 유효 할당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IP-Lease Time 필드, 및 할당 IP 사용연장 종료 구분여부를 저장하기 위한 IP-Lease Time 플래그 필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식별 메시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SP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한 ISP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IP 식별 메시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터미널(MT)에서 상기 ISP망에 전달되는 PDP 메시지의 최종사용자 주소 정보 (TE) 엘리멘트 필드 내에, 상기 터미널소자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TE 식별자 필드와, IP 식별 정보(정적/동적)를 저장하기 위한 IP 플래그 필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식별 메시지 구조.
  5. ISP 이동가입자가 터미널소자(TE)와 이동터미널(MT)을 이용하여 패킷 이동통신망을 통해 ISP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3세대 GPRS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패킷 이동통신망 접속시 정적 IP와 동적 IP 식별 및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소자(TE)는,
    사용자 이름과 사용자 패스워드를 상기 이동터미널(MT)에 제시하면서 상기 패킷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 1-1 단계와,
    상기 IPCP 메시지에, IP 식별자(정적/동적)를 구분하기 위한 IP 플래그 필드와, 상기 ISP 망 접속을 위한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필드, 및 가입자의 IP 주소를 저장하기 위한 IP 주소 필드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터미널에 전송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ISP 망에 접속되어 상기 이동터미널을 통해 PDP 세션 응답과 IP가 전달되면 세션을 시작하고 인터넷 서비스와 무선 패킷 서비스를 진행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세대 GPRS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패킷 이동통신망 접속시 정적 IP와 동적 IP 식별 및 처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터미널(MT)은,
    상기 터미널소자(TE)로 부터 IP 플래그 필드와 사용자 식별자 필드 및 IP 주소 필드가 포함된 상기 IPCP 메시지가 전송되면, 터미널소자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TE 식별자 필드와 IP 식별 정보(정적/동적)를 저장하기 위한 IP 플래그 필드를 포함한 PDP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패킷 이동통신망에 전송하여 PDP 세션 생성을 요구하는 제 2-1 단계와;
    상기 ISP 망에 접속되어 상기 패킷 이동통신망으로부터 PDP 세션 응답과 IP가 전달되면 상기 PDP 세션 응답과 IP를 상기 터미널소자에 전달하는 제 2-2 단계; 및 상기 터미널소자(TE)가 상기 세션을 시작하여 인터넷 서비스와 무선 패킷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 2-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세대 GPRS망에서 ISP 이동가입자의 패킷 이동통신망 접속시 정적 IP와 동적 IP 식별 및 처리방법.
KR10-2000-0083253A 2000-12-27 2000-12-27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가입자의 망접속시 정적 아이피와 동적 아이피 식별 및 처리방법 KR10036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253A KR100369938B1 (ko) 2000-12-27 2000-12-27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가입자의 망접속시 정적 아이피와 동적 아이피 식별 및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253A KR100369938B1 (ko) 2000-12-27 2000-12-27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가입자의 망접속시 정적 아이피와 동적 아이피 식별 및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220A true KR20020054220A (ko) 2002-07-06
KR100369938B1 KR100369938B1 (ko) 2003-02-05

Family

ID=2768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253A KR100369938B1 (ko) 2000-12-27 2000-12-27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가입자의 망접속시 정적 아이피와 동적 아이피 식별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9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561A (ko) * 2001-02-28 2002-09-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패킷망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제공방법
KR100428720B1 (ko) * 2001-12-14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에스지에스엔의 로컬 타이머 메시지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565293B1 (ko) * 2003-09-30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피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974686B1 (ko) * 2003-04-15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알람 모드 설정 방법
KR101001413B1 (ko) * 2003-10-01 2010-12-14 주식회사 케이티 적응적 동적 ip 주소 할당 시스템 및 할당 방법
US7873003B2 (en) 2006-11-08 2011-01-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IP address to mobil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89469B1 (ko) * 2005-12-10 2013-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p 관리 메시지를 위한 연결 설정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561A (ko) * 2001-02-28 2002-09-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패킷망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제공방법
KR100428720B1 (ko) * 2001-12-14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에스지에스엔의 로컬 타이머 메시지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974686B1 (ko) * 2003-04-15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알람 모드 설정 방법
KR100565293B1 (ko) * 2003-09-30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피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001413B1 (ko) * 2003-10-01 2010-12-14 주식회사 케이티 적응적 동적 ip 주소 할당 시스템 및 할당 방법
KR101289469B1 (ko) * 2005-12-10 2013-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p 관리 메시지를 위한 연결 설정방법 및 그 장치
US7873003B2 (en) 2006-11-08 2011-01-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IP address to mobil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9938B1 (ko)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4257B2 (ja) モバイルip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真のローミングを行うことにより、シンプルip移動ノードにシームレスに操作させ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0776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via an access network
TWI309937B (en) Provisioning a mobile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017677B (zh) 通过非3gpp接入网的接入
US7644163B2 (en) Plug and play mobile services
JP4638539B2 (ja) 通信デバイスを設定する方法
CN101305543B (zh) 允许不支持chap认证的节点在代理移动ip情况下的网络接入的方法和设备
RU2349057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оуминга cdma2000/gprs
CN107006052A (zh) 使用ott服务的基于基础设施的d2d连接建立
WO2014183260A1 (zh) 漫游场景下的数据业务处理方法、装置和系统
JP2015525992A (ja) 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100369938B1 (ko)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가입자의 망접속시 정적 아이피와 동적 아이피 식별 및 처리방법
CN101330453A (zh) 用于无线网络的家乡代理地址获取方法
CN102611712A (zh) 一种数字家庭网络接入与认证方法
KR100399576B1 (ko) 차세대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단순한 아이피와 이동성 아이피 서비스 지원시스템 및 방법
US7173905B1 (en) PDSN fast tunnel lookup
CN101447976B (zh) 动态ip会话接入的方法、系统及装置
EP1219080A1 (en) Transfer of packet data from a network server to a mobile station over a digital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N102781093B (zh) 一种用户信息的通知方法及系统
CN103634221A (zh) 一种环保科技服务网络的接入控制方法
EP2477429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home agent obtaining mobile node-home agent key in 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
EP30463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N101998380B (zh) 实现移动电话号码传递的方法
KR100396923B1 (ko)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가입자의 아이피주소 할당과 인증처리를 위해 필요한 게이트웨이 노드와아이에스피망 사이의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KR100388062B1 (ko) 3세대 지피알에스망에서 아이에스피 이동 가입자의 망접속시 씨에이치에이피 인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