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1362A -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means of transportation - Google Patents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means of transpor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1362A
KR20020051362A KR1020000080203A KR20000080203A KR20020051362A KR 20020051362 A KR20020051362 A KR 20020051362A KR 1020000080203 A KR1020000080203 A KR 1020000080203A KR 20000080203 A KR20000080203 A KR 20000080203A KR 20020051362 A KR20020051362 A KR 20020051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p
terminal
location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1014B1 (en
Inventor
배기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014B1/en
Publication of KR2002005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014B1/en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ser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nable a terminal installed at each stop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path of an associated transport unit, the scheduled arrival time between each stop, the introduction of a relevant area, etc. CONSTITUTION: A system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service consists of a location signal transmitting part(110), a location confirmation part(120), a stop terminal(130), and a server network(140).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ing part(110) is installed in a transport unit. The location confirmation part(120) confirms the present location of the transport unit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ing part(110). The stop terminal(13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unit from the location confirmation part(120), and directly transmits this information to a user's terminal(200)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server network(140), constructing a database for the pres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unit, is linked with each stop terminal(130)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database can be transferred to each stop terminal(130).

Description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means of transportation}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means of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모바일 폰을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의 편의를 위한 각종 안내가 무인화된 상태로써 상기 승객의 모바일 폰을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various guides for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or subway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passenger's mobile phone in an unmann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대중 교통을 주로 이용하는 이용자라면 한번씩은 자신이 승차하고자하는 교통 수단의 도착 시간을 정확히 알고자 한다.In general, a user who mainly uses public transportation wants to know the arrival time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he / she wants to ride once.

특히, 버스 등의 경우에는 그 배차 간격에 따른 운행이 정확히 이루어져야만 상기 버스 이용자의 불만이 없겠지만 통상적인 도로 상황 및 각 정류장을 통과하는 과정 중 각종 승객의 승하차 시간에 따른 차이로 인해 상기 배차 간격에 따른 운행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에 따라 이용자의 불만이 있을 수 밖에 없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us or the like, there should be no complaints from the bus user only when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ispatch interval is made correctly, but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road situation and the various times of getting on and off the passengers during the passage through each stop, There was no user's complaint as the operation was not performed correctly.

이에 종래에는 지하철 승차장에 안내 단말기를 설치하여 현재 해당 역으로의지하철 도착 여부를 지하철 이용자에게 미리 통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불만을 줄이고자 하였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by installing a guide terminal in a subway boarding station to notify the subway user of the arrival of the subway to the current station in advance to reduce the user's complaints.

그러나 이의 방법이 해당 역의 이전 역에 지하철이 도착하거나 혹은 상기 해당 역에 도착하기 직전에 이 지하철 이용자에게 해당 내용을 통보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이용자의 불만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However, this method did not completely solve the user's complaints as the subway arrived at the previous station of the station or the subway user was notified immediately before arriving at the station.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7-032910(공개번호;10-1999-010212)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제시되고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1997-032910 (Publication No. 10-1999-010212) proposes a system and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이 특허 출원서에는 각 버스에 그 위치 정보 및 버스 식별정보가 송신될 수 있도록 구축하고, 각 버스 정류장에는 상기 각 버스의 위치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정류장 도착 시간을 산출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버스 정류장 단말기를 설치하며, 상기 버스 정류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각 버스들의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화하는 버스 안내 서비스 서버 및 네트웍을 통해 상기 버스 안내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정보들을 전송받는 사용자 시스템을 포함하는 버스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In this patent applic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b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constructed to be transmitted to each bus, and each bus stop is provided with a bus stop terminal for receiving and calculating the arrival time of the stop by receiving the loc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b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s guide service system including a bus guide service server for databaseing information on each bus transmitted from the bus stop terminal and a user system for rece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bus guide service server through a network.

즉, 각 버스에 전역 위치 시스템(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위치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각 버스 정류장의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각 이용자는 상기 각 버스 정류장의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버스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That is, by conver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on each bus into posi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to the terminal of each bus stop, each user can display the corresponding bus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of each bus stop. I was able to know the current location of.

그러나, 이와 같은 버스 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GP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정보를 각 버스 정류장의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을각 버스 내에 구축하여야만 하는 추가 설치 비용이 필요로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bus guidance service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an additional installation cost has to be established in each bus to convert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GPS and transmit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each bus stop. have.

또한, 상기 버스의 도착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단순히 해당 정류장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 해당 버스의 도착 예정 여부만을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상기 버스가 소정 범위 이외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즉, 해당 버스 정류장으로부터 다수의 정류장만큼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해당 버스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음에 따라 각 이용자는 해당 버스의 도착 직전에만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checking whether the bus arrives is configured to display only whether the corresponding bu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corresponding stop is to be displayed. If the distance from the stop as many stops do not display the location of the bus, each user has a problem that can only check the information just before the arrival of the bus.

그리고, 각 버스 정류장의 단말기는 단순히 각 버스의 도착 예정 여부만을 디스플레이할 뿐 그 이외의 작용을 수행하지 않음으로 인해 고가의 장비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필요 정보(해당 버스의 도착 예정)를 확인할 수 없고 순서대로 한명씩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유발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of each bus stop simply displays whether or not the arrival of each bus, and does not perform any other action,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wasting expensive equipment, and simultaneously requiring a large number of users. The arrival schedule of the bus) cannot be confirmed and causes inconvenience to use one by one in ord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각 정류장에 설치되는 단말기가 해당 교통 수단의 운행 경로와 각 정류장 간의 도착 예정시간 및 해당 지역의 소개 등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 정보의 제공 방법이 각 이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직접 전송될 수 있도록 한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rminal installed in each stop to prov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route of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between each stop and the introduction of the region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so tha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hrough each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 장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설치에 따른경비를 저감하고, 이용자는 별도의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정보의 취득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터넷 접속에 따른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configuration for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services and by using each of the equipment that is commonly used to reduce the cost of the installa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access the Internet even if the desired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is to enable the acquisition of cost savings due to the Internet connection.

도 1 은 본 발명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영 과정 중 서버 네트워크의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erver network dur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영 과정 중 각 정류장 단말기의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each stop terminal dur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영 과정 중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필요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necessary information by a user through his terminal dur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른 제1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인 구성도5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other form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s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system;

도 6 은 본 발명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영 과정 중 각 버스 네트워크의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each bus network dur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위치 신호 송신부 120. 위치 확인부110. Posi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120. Position checking unit

130. 정류장 단말기 131. 검색부130. Terminal 131. Search Department

132, 151, 201.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132, 151, 201. Short-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140. 서버 네트워크 150. 버스 네트워크140. Server Network 150. Bus Network

200. 이용자 단말기200. User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각 교통 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위치 확인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위치 신호 송신부; 상기 위치 신호 송신부를 통해 특정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상기 교통 수단의 각 정류장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위치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현재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며, 이용자의 요청시 상기 취득한 정보를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해 근거리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축된 정류장 단말기; 상기 정류장 단말기를 통해 해당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근거리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성된 이용자의 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posi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positioning to be able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 positioning unit for checking a current position of a specific means of transportation through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Installed at each stop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means of transportation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checking unit, and enabling short-rang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transfer the acquired information to the user's terminal upon request of the user; A constructed stop terminal; Provides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comprising a user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short-range data so as to receive and display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transportation means through the stop terminal.

그리고, 상기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운영 방법으로 해당 정류장을 경유하여 각 목적지로 운행되는 각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은 상태로써 가장 근접된 곳에 위치되어 있는 각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각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각 교통 수단이 가장 근접되어 위치된 정류장 정보를 각각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각 정류장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전술한 각 단계를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한 각 단계가 반복되어 진행되는 도중 이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특정 목적지로 운행되는 교통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요청된 내용과 일치하는 교통 수단 및 상기 교통 수단이 위치된 정류장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각 정보를 데이타화하여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로 직접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And, b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ystem described above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to each destination via the corresponding stop, each transportation means located in the nearest plac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rresponding stop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ecking stop information of each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closest to each other based on the acquired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Storing the identified stop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repeating the aforementioned steps to continuously update the identified stop information; When the above steps are repeated, if there is a request for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raveling to a specific destin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vehicle and the stop information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are searched according to the requested contents. Making; It provides a method of operating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data to each of the retrieved information sent directly to the terminal of the user.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방법에 따른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우선, 도시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First,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는 각 교통 수단에 구비되는 위치 신호 송신부(110)와, 이 위치 신호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해당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120)와, 상기 위치 확인부로부터 해당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취득함과 더불어 이용자의 요청시 상기 취득한 정보를 이용자의 단말기(200)로 직접 전송하는 정류장 단말기(130)와, 현재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화함과 더불어 이 데이타 베이스화된 정보가 인터넷 망 혹은, 무선 통신 망을 통해 각 정류장 단말기(13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정류장 단말기와 연계되는 서버 네트워크(140)로 크게 구성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 signal transmitter 110 provided in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and a position confirmation for confirm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means of transportation throug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r are provided. A stop terminal 130 for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from the position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acquired information directly to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at the request of the user; In addition to the databa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the informa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server network 140 associated with each terminal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each terminal 130 via the Internet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그리고, 상기에서 위치 신호 송신부(110)는 해당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위치 확인을 위한 신호(통상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위치 확인부(120)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교통 수단의 위치를 확인하는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을 이용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110 transmits a signal for confirming a location (normally a pilot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can be determined, and the position determiner 120 transmits the signal. It uses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and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이 때, 상기 위치 신호 송신부는 그 설치상의 비용을 최대한 저감하기 위하여 각 운전자가 가지는(혹은, 각 운전자에게 지급되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를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u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ach driver has (or is paid to each driver) in order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cost.

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파일럿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별도의 파일럿 신호 송신기를 각 교통 수단에 설치함으로써 위치 신호 송신부(110)로 사용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eparate pilot signal transmitter that continuously transmits a specific pilot signal may be used as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r 110 by installing each transport means.

그리고, 각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단말기(130)는 서버 네트워크(140)로부터 상기 정류장 단말기(130)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된 특정 교통 수단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검색하는 검색부(131)와, 상기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정보를 이용자의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근거리 데이타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132)가 포함되어 구축된다.In addition, the stop terminal 130 installed at each stop includes a search unit 131 for continuously searching for a location of a specific transportation means located closest to the stop terminal 130 from the server network 140, and the search. A short 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132 for short-rang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included to transmit information retrieved through the unit to the user's terminal 200.

이 때,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200)에도 상기 정류장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132)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별도의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201)가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a separate short 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201 should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to receiv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132 of the station terminal.

그리고, 상기와 같은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132)(201)는 통상적인 블루투스(BlueThooth) 기술을 이용하기 위한 트랜시버 칩(transceiver chip)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상기 트랜시버 칩을 사용한 것을 그 실시예로 한다.The short-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132 and 201 may be a transceiver chip for using a conventional Bluetooth technology, a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transceiver chip. Shall be.

즉,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각 교통 수단을 사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기(200)로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에 의해 필요 정보의 취득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user who wants to use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does not access the Internet through his or her terminal 200,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short-rang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의 각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each embodiment of the service method using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시한 도 2 내지 도 4의 순서도는 본 발명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영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2 to 4 illustrate an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제1실시예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 구성을 최소화한 상태로써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혹은 필요로할 경우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each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 corresponding service is minimized,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simultaneously or correspondingly receive the corresponding service through their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운영 방법을 도시한 도 2 내지 도 4의 순서도를 참과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Hereinafter, the flowcharts of FIGS. 2 to 4 illustrating a servic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각 교통 수단의 위치 신호 송신을 위한 식별 정보를 서버 네트워크(140)에 등록하여야 한다.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location signal transmission of each transportation means must be registered in the server network 140.

이를 위해 상기 교통 수단(버스를 그 실시예로 함)의 운전자는 해당 버스의 시발(始發) 정류장에서 자신의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서버 네트워크(140)에 등록한다.To this end, the driver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 bus as an embodiment thereof) registers information on his terminal in the server network 140 at the start of the bus.

이 때, 상기 단말기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위치 신호 송신부(110)가 되고,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정보의 입력이라 함은 해당 단말기의 위치 및 이 단말기를 가지는 운전자가 운전하는 버스의 식별 정보가 확인될 수 있도록 등록하는 과정을 일컫는다.At this time, the terminal is a position signal transmitter 11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of information on the terminal means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driving the driver having the terminal is confirmed. The process of registering so that we can register.

즉, 운전자는 자신의 단말기 전화번호와 자신이 운전하려고 하는 버스의 식별 번호를 서버 네트워크(140)에 등록한다.That is, the driver registers his terminal phone number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us he intends to drive to the server network 140.

이와 같은 과정이 이루어지면 서버 네트워크(140)는 해당 이동 통신 업체에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위치 조회를 요청함으로써 해당 버스는 위치 확인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When such a process is performed, the server network 140 requests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to look up the location of the telephone number of the driver terminal, thereby enabling the bus to be located.

즉, 상기 이동 통신업체는 각 기지국을 통해 해당 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시작하게 됨과 더불어 이 확인된 정보를 서버 네트워크(14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 네트워크는 계속적인 해당 버스의 위치 추적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tarts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rough each base station and transmits the confirmed information to the server network 140, thereby enabling the server network to continuously track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bus.

이 때, 상기 단말기에 대한 위치 추적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120)이 확인하여 이를 위치 정보로 변환하고, 이렇게 변환된 정보를 서버 네트워크(140)로 전송함으로써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location tracking for the terminal can be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firms the pilo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converts it into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network 140. .

그리고, 상기 서버 네트워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 정보를 토대로 각 버스의 위치에 대한 데이타 베이스를 구축한다.The server network builds a database of locations of each bus based on the above location information.

상기에서 데이타 베이스에는 각 버스 번호(노선 번호)별 현재 운행되고 있는 버스 및 이 버스에 대한 현재 위치정보, 해당 버스의 운행 경로 상에 설치된 각 정류장 단말기(130)의 정보가 각각 대응된 상태로써 분류되어 저장된다.In the above database, the bus currently operating by each bus number (line numb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n the bus, and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130 installed on the bus route are classified as corresponding states. And stored.

이 때, 상기 각 정류장 단말기(130)에 대한 정보라 함은 상기 버스가 위치되어 있는 지역의 정류장 이름, 도착 예정 정류장(다음 정류장)의 이름, 해당 정류장이 속한 지역, 해당 정류장이 속한 지역의 특징적인 사항 및 이의 소개, 해당 정류장의 현재 도로 상황, 해당 정류장으로의 각 버스 도착 예정 시간, 각 버스의 운행경로 등과 같은 정보 중 최소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이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each of the stop terminal 130 is the name of the stop of the area where the bus is located, the name of the expected arrival (next stop), the area to which the stop belong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o which the stop belongs Information tha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on the site, its introduction, current road conditions at the stop,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each bus to the stop, and route of each bus.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정 주기(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한번씩 상기 각 버스에 대한 위치 확인을 재수행하고, 이에 따라 확인된 각 버스의 위치는 서버 네트워크(140)에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된다.In this state, the location of the respective buses is re-performed once every predetermined period (set time period), and the locations of the identified buses are continuously updated and stored in the server network 140.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각 버스 정류장의 정류장 단말기(130)를 구성하는 검색부(131)는 상기 서버 네트워크(140)에 계속적으로 연계된 상태에서 데이타 베이스화된 각 정보 중 해당 정보에 대한 변경이 있음을 검색하여 상기 정보에 대한 변경이 있을 경우 이 변경된 내용을 전송받아 저장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process, the search unit 131 constituting the bus terminal 130 of each bus stop is continuously changed in connection with the server network 140 to chang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mong the database information. If there is a change to the information, the received change is received and stored.

이 때, 상기 각 정류장 단말기의 검색부(131)는 상기 서버 네트워크(140)로부터 해당 정류장을 경유하여 각 목적지로 운행되는 각 버스의 정보를 검색하되 해당 정류장을 통과하지 않은 상태로써 가장 근접된 곳에 위치되어 있는 버스를 검색한다.At this time, the search unit 131 of each stop terminal retrieves the information of each bus running to each destination from the server network 140 via the corresponding stop, but does not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stop, the nearest place Search for a bus that is located.

이후, 상기 검색된 버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 네트워크(140)로부터 전송받아 해당 정류장 단말기(130)에 각각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버스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각 버스가 가장 근접되어 위치된 정류장의 정보를 각각 확인한다.Subsequent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trieved bus is received from the server network 140 an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stop terminal 130, and each bus is located closest to each othe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do.

그러나, 굳이 상기 정류장 단말기(130)에 구축된 검색부(131)의 검색을 통해 해당 업데이트 정보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서버 네트워크(140)가 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음을 자체 파악함과 더불어 이 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을 경우 그 자체적으로 해당 정보를 해당 정류장 단말기(130)로 송신하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being able to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update information through the search of the search unit 131 built in the stop terminal 130, the server network 140 was updated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elf-identification and if this information is updated, the method may be use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stop terminal 130 by itself.

전술한 각 과정에 의해 각 정류장 단말기(130)는 상기와 같이 확인된 정보를 통해 해당 버스가 현재 어느 정류장에 도착하고 있는지, 혹은 어느 정류장을 지났는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게 된다.By each process described above, each stop terminal 130, through the information identified as described above to grasp the information on which stop the bus is currently arriving or which stop has passed.

이 때, 해당 버스가 특정 정류장을 통과하였을 경우 이 정류장에 저장되어 있던 해당 버스에 대한 정보는 삭제함으로써 그 혼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bus has passed through a particular stop, it is preferable to delete the information on the bus stored at this stop to prevent the confusion.

이후, 상기와 같이 파악된 정보는 별도로 데이타 베이스화하여 근거리 무선 송수신기를 통한 데이타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준비된다.Thereafter, the information identified as described above is prepared as a separate database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transceiver.

그리고, 이와 같은 각 정류장 단말기(130) 역시 서버 네트워크(140)와 같이 계속적인 정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each stop terminal 130 as described above also performs a continuous update of information, such as the server network 140.

상기한 각 단계가 반복되어 진행되는 도중 특정 버스를 이용코자 하는 이용자가 현재 위치된 정류장으로 운행되고 있는 해당 버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순히 자신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정류장 단말기(130)로부터 해당 정보를 전송받으면 된다.If the user wants to use a particular bus while the above steps are repeated, and wants to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us being operated to the stop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simply use the terminal 200 of the bus terminal.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130.

즉,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기(200)를 해당 정류장 단말기(130)로부터 근접된 곳에 위치 시킨 상태에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정류장 단말기(130)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 데이타를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a state where his terminal 200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orresponding stop terminal 130, the stop terminal 130 continuously updates the information data of the user's terminal ( 200).

이 때, 상호간의 데이타 송수신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132)(201)를 통해 수행된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each other is performed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132, 201 using Bluetooth technology.

따라서, 상기 이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로 전송된 각종 정보로부터 필요로하는 노선의 버스 목록을 선택하여 해당 노선의 버스 중 해당 정류장으로 운행중인 가장 근접 위치의 버스 및 이 버스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해당 정류장으로의 예정 도착 시간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selects a bus list of a required route from various information transmitted to his terminal, and information on the bus of the nearest position being operated to the corresponding stop among the buses of the corresponding route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us, You will see the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stop in real time.

이 때, 상기 정류장의 단말기가 각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지거나 혹은, 이 정보의 제공을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다면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와, 이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해당 버스의 정류장 도착 예상 시간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terminal of the stop has information on each road situation or is connected to a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th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road situation is calculated to the user and calculated using this information. You can also provide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the bus stop.

그리고, 상기에서 이용자의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데이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정류장 단말기(130)에 저장되어 있던 각 노선의 버스에 대한 모든 정보가 될 수 있고, 혹은 해당 정보의 수신전 이용자가 별도 지정하는 노선의 버스에 대한 정보가 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mitted to the user's terminal 200 may be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buses of the respective lines stored in the stop terminal 130, or the user before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information may be about a bus of a designated route.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 서버 네트워크는 반드시 별도로 구축하여야만 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server network must be separately constructed.

즉, 도시한 도 5와 같이 각 정류장 단말기(130)가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인 위치 확인부(120)으로부터 해당 버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이 전달받은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화할 수 있도록 구축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5, each stop terminal 13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bus from the positioning unit 120, which is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o make the received information into a database. It is.

물론, 운전자가 해당 버스의 식별을 위해 자신의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이 상기 각 정류장 단말기(130)에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지만 이의 문제점은 해당 버스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신호가 항상 동일하고, 이동일한 신호에 대한 정보가 각 정류장 단말기(130)에 미리 등록이 되어있으면 아무런 상관이 없다.Of cour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r must register the terminal inform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bus to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in each of the stop terminal 130, but the problem is that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us is always the same And, if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ing signal is registered in advance in each stop terminal 130, it does not matter anyth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는 버스 내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자에게 현재 해당 버스의 위치(현재 정류장 이름, 다음 정류장 이름 등), 이 버스가 위치된 지역에 대한 각종 관광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ser boarding on the bus can provid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bus (current stop name, next stop name, etc.), various tourist information about the area where the bus is located Present what you have done.

즉, 특정 버스가 어느 한 정류장을 통과할 경우 상기 버스 내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자는 이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단말기를 통해 전술한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when a particular bus passes through any one stop, the user who is in the bus can acquire the above-mentioned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stop terminal installed at this stop.

이는, 상기 버스 내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해당 정류장 단말기(130)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타 수신을 수행함으로써 가능하다.This is possible by the user who is boarding the bus using the terminal 200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data reception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130.

그리고, 각 정류장 단말기(130)는 해당 지역에 대한 각종 관광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해당 정보를 가지는 기관 등에 유/무선 네트워크로써 연결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stop terminal 13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agency having the information in a wired / wireless network, etc. to obtain various tourist information for the area.

그러나, 상기한 서비스 방법은 버스가 어느 한 정류장과 다른 정류장 사이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버스 내에 탑승하고 있는 각 이용자에게 해당 정보의 제공에 따른 곤란함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service method has a difficulty in provid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each user in the bus when the bus is located between one stop and the other stop.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서는 버스가 어느 한 정류장과 다른 정류장 사이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버스 내에 탑승하고 있는 각 이용자에게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한다.Accordingly,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provided to each user aboarding the bus even if the bus is located between one stop and the other stop.

이를 위한 본 발명 제3실시예의 구성은 도시한 도 6과 같이 전술한 본 발명 제1실시예 혹은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각 버스의 내부에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151)를 가지는 버스 네트워크(150)를 더 구비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 bus network having a short 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151 inside each bu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50).

이 때, 상기 버스 네트워크(150)는 최소한 각 정류장 단말기(130)로부터 각종 정보 데이타를 수신받아 임시 저장하고, 그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200)로 해당 정보 데이타를 송신할 수 있는 역할만 수행하도록 구성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bus network 150 receives at least a variety of information data from each terminal terminal 130, and temporarily stores, and at the request of the user boarding therei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It only needs to be configured to play the role of sending data.

이하, 상기한 본 발명 제3실시예의 구성을 이용한 각종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 7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ure 7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us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detail.

우선, 각 버스에 구축된 버스 네트워크(150)는 상기 버스가 각 정류장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151)를 이용하여 해당 정류장의 단말기(130)로부터 이 지역에 대한 특징적인 사항, 현재 경유하는 정류장의 이름 및 다음 도착 예정인 정류장의 이름, 도착 예정 정류장의 도착 예정 시간, 해당 교통 수단의 운행 경로 중 최소 어느 하나의 사항에 대한 정보 데이타를 수신받는다.First, the bus network 150 constructed in each bus uses the short 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151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bus through each station, and then, the terminal 130 of the corresponding station, Receive information data on at least one of the name of the stop and the name of the next scheduled stop,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the scheduled stop, and the route of transport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이 때, 상기 버스가 통과하는 지역의 특징적인 사항이라 함은 해당 지역내의 유적지(遺跡地), 박물관, 특산물, 특정 유락지(遊樂地) 및 유원지(遊園地), 건물 등과 같은 각종 관광 정보이다.At this time, the characteristic matters of the area through which the bus passes are various tourist information such as historic sites, museums, special products, specific amusement and amusement parks, buildings, and the like. .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송받은 각 정보 데이타는 버스 네트워크(150) 상에 데이트 베이스화되어 저장되며, 이 상태에서 버스 내부에 탑승하고 있던 이용자가 자신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현재 경유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경우 버스 네트워크(150)는 저장되어 있던 각 정보중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151)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된다.Each of th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a data base based on the bus network 150. In this state, the user who is boarded inside the bus is currently using the terminal 200 for the current route. When requesting the information, the bus network 150 transmits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by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151.

이에 상기 이용자는 자신의 단말기(200)를 통해 현재 위치된 지역에 대한 각종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현재 자신이 어느 정류장을 지나고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eck various information on the area where he is currently located through his terminal 200, and can easily grasp which stop he is currently passing through.

이 때, 상기 이용자가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지역의 정보에는 특정 건물 혹은, 관광지를 선택할 경우 이 위치로 가기위한 방법도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by providing a method for going to the locatio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building or a sightseeing spot in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g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200.

일 예로써 이용자가 A라는 극장에 가기위해 해당 버스를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A극장이 있는 정류장에 도달하기 전에 해당 버스 내에 있는 버스 네트워크(150)에 상기 A극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For example, the user requests the information about the theater A from the bus network 150 in the bus before the user arrives at the stop where the theater A is located, while the user boards the bus to go to the theater A.

이 경우 상기 버스 네트워크(150)는 해당 정류장으로부터 취득한 상기 A극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이의 정보를 이용자의 단말기(200)로 데이타화하여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bus network 150 confirms the information about the theater A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st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of the user.

상기에서 버스 네트워크(150)는 각 정류장에 대한 각종 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수행하거나, 혹은 해당 정류장 및 상기 정류장의 이전 정류장으로부터 해당 정보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도록 운영함으로써 전술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bus network 150 performs a continual update while receiving and stor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each stop in advance, or operates to temporarily stor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stop and the previous stop of the stop. One service can be provided.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상기 이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로 전송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정류장을 기준으로 상기 A극장의 위치, 거리 등을 알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heck the location, distance, etc. of the theater A based on the corresponding stop by confirm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his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각 정류장에 설치되는 단말기가 각 이용자의 단말기로 해당 교통 수단의 운행 경로와 각 정류장 간의 도착 예정시간 혹은, 해당 지역의 소개 등에 따른 정보를 직접 전송함에 따라 다수의 이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대한 확인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각 이용자의 사용상에 대한 만족감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First, as the terminal installed at each stop directly transmit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route of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between each stop or the introduction of the region to the terminal of each user, A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confirmation on each user, the satisfaction on the use of each user is improved.

둘째, 상기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 장비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그 설치에 따른 경비가 저감된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configuration for providing the above service is made to use each equipment that is commonly used, the cost of the installation is reduced.

셋째,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용자는 별도의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지 않고,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에 따른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Third, the user for receiving the servic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the Internet connection using the terminal by acquiring desired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Internet connection.

Claims (12)

각 교통 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위치 확인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위치 신호 송신부;A position signal transmitter provided in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to transmit a signal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상기 위치 신호 송신부를 통해 특정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A positioning unit for checking a current position of a specific means of transportation through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r; 상기 교통 수단의 각 정류장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위치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현재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며, 이용자의 요청시 상기 취득한 정보를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해 근거리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축된 정류장 단말기;Installed at each stop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means of transportation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checking unit, and enabling short-rang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transfer the acquired information to the user's terminal upon request of the user; A constructed stop terminal; 상기 정류장 단말기를 통해 해당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근거리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성된 이용자의 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And a user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short-range data to receive and display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transportation means through the stop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위치 신호 송신부는 각 교통 수단의 운전자가 가지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이고, 위치 확인부는 상기 운전자의 이동 통신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를 확인하는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The loc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of each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is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receives a pilo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driver and checks a corresponding lo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위치 신호 송신부는 해당 교통 수단의 식별이 가능한 파일럿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하도록 각 교통 수단에 별도 설치한 파일럿 신호 송신기이고, 위치 확인부는 상기 파일럿 신호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를 확인하는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r is a pilot signal transmitter separately installed in each means of transport so as to continuously transmit a pilot signal that can identify the relevant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location checker receives the pilo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ilot signal transmitter to confirm the corresponding position.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st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위치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현재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화하고, 이 데이타 베이스화된 정보가 인터넷 망 혹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 정류장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정류장 단말기와 연계된 별도의 서버 네트워크를 추가로 구축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A separate server network associated with each stop terminal may be databased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means of transportation identified through the location checking unit is databased, and the databas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each stop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urther build.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각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단말기는 서버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정류장 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된 특정 교통 수단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정보를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근거리 데이타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가 포함되어 구축되고,A stop terminal installed at each stop includes a search unit for continuously searching for a location of a specific transportation means located closest to the stop terminal from a server network, and short-range data so that information retrieved through the search unit can be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Built-in short-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이용자의 단말기에는 상기 정류장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별도의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And a separate short 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to receiv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of the st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 교통 수단에는Each means of transportation 각 정류장 단말기를 통해 현재 위치된 지역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전달받음과 더불어 이 전달받은 정보를 그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를 가지는 정보 전달부가 더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In addition to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each terminal terminal,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user in the interior is further included. A traff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해당 정류장을 경유하여 각 목적지로 운행되는 각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은 상태로써 가장 근접된 곳에 위치되어 있는 각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running to each destination via the corresponding stop and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located closest to each other without a stop; 상기 취득된 각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각 교통 수단이 가장 근접되어 위치된 정류장 정보를 각각 확인하는 단계;Checking stop information of each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closest to each other based on the acquired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상기 확인된 각 정류장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전술한 각 단계를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Storing the identified stop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repeating the aforementioned steps to continuously update the identified stop information; 상기한 각 단계가 반복되어 진행되는 도중 이용자 단말기로부터의 특정 목적지로 운행되는 교통 수단의 위치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요청된 내용과 일치하는 교통 수단 및 상기 교통 수단이 위치된 정류장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When the above steps are repeated, if there is a request for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raveling to a specific destin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vehicle and the stop information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are searched according to the requested contents. Making; 상기 검색된 각 정보를 데이타화하여 상기 이용자의 단말기로 직접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And transmitting the retrieved information directly to the terminal of the user.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is processe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각 교통 수단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How to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transportation 각 교통 수단의 위치 신호 송신부로부터 발신되는 위치 신호를 해당 통신망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lo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location signal transmitter of each transportation means through a base station of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수신된 위치 신호를 위치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the received position signal into position information; 상기 변환된 위치 정보를 해당 정류장의 정류장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The step of transmitting the conver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top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stop: operating method of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gress is made sequentially.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변환된 위치 정보를 해당 정류장의 정류장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해To send the conver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top terminal of the stop 위치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network on the Internet; 상기 전송받은 각 교통 수단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교통 수단과 관련된 각 정류장의 정류장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데이타 베이스화하는 단계;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transport means and the information on the stop terminal of each stop associated with the transport means to make a database; 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정보를 해당 정류장 단말기로 각각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When the information is updated,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updated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respectively: operating method of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ou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각 교통 수단이 가장 근접되어 있는 정류장의 정보라 함은The information of the nearest stop of each transportation means 해당 정류장의 이름, 다음 정류장의 이름, 해당 정류장이 속한 지역, 해당 정류장이 속한 지역의 특징적인 사항 및 이의 소개, 해당 정류장에의 도로 상황, 해당 정류장으로의 각 교통 수단 도착 예상 시간, 각 교통 수단의 운행 경로 중 최소 하나 이상의 내역이 포함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The name of the stop, the name of the next stop, the area the stop belong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 stop belongs to and its introduction, the road situation to the stop,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for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to the stop,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Method of operating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details of the route of the servic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교통 수단에 구축된 근거리 무선 데이타 송수신기가 각 정류장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해당 정류장이 위치된 지역의 특징적인 사항, 현재 경유하는 정류장의 이름 및 현재 도착 예정인 정류장의 이름, 도착 예정 정류장의 도착 예상 시간, 해당 교통 수단의 운행 경로 중 최소 어느 하나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As the short-range wireless data transceiver built into the transport passes through each stop,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stop is located, the name of the stop currently passing through and the name of the stop that is currently arriving,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the scheduled stop, Acquir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item of a driving route of the transportation means; 상기 취득된 해당 지역에 대한 정보를 그 내부에 탑승한 이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And transmitting the acquired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area to a terminal of a user who rides therein.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교통 수단이 통과하는 지역의 특징적인 사항이라 함은Characteristic of the area through which transportation is passed 해당 지역내의 유적지(遺跡地), 박물관, 특산물, 특정 유락지(遊樂地) 및 유원지(遊園地), 건물 등과 같은 각종 관광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A method of operating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variety of tourist information such as historic sites, museums, specialties, specific amusement and amusement parks, and buildings in the area.
KR1020000080203A 2000-12-22 2000-12-22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means of transportation KR100731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203A KR100731014B1 (en) 2000-12-22 2000-12-22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means of transpor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203A KR100731014B1 (en) 2000-12-22 2000-12-22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means of transpor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362A true KR20020051362A (en) 2002-06-29
KR100731014B1 KR100731014B1 (en) 2007-06-22

Family

ID=2768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203A KR100731014B1 (en) 2000-12-22 2000-12-22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means of transpor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0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71B1 (en) * 2005-12-28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bus guide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881B1 (en) * 2015-12-23 2023-05-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720A (en) * 1997-06-23 1999-01-15 윤종용 How to configure the initialization file of TMS manager / administrator system
KR100207731B1 (en) * 1997-07-15 1999-07-15 윤종용 Bu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9990061958A (en) * 1997-12-31 1999-07-26 윤학범 Bus announcement system using two-way communication
KR19990079877A (en) * 1998-04-10 1999-11-05 이동률 Station guide device for regular operation vehicle
KR20000072447A (en) * 2000-09-04 2000-12-05 이강만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visitor guide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 mobile terminal and Blue-tooth technolog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71B1 (en) * 2005-12-28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bus guid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014B1 (en)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8507B2 (en) Navigation system
KR100494525B1 (en) System For Process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8335648B2 (en) Route searching system, route searching server and route searching method
US7315780B2 (en) Guide system, guide apparatus, and radio apparatus which communicates with guide apparatus
EP2031570B1 (en) Route search system, route search server, terminal, and route search method
JP2005085187A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tilizing radio lan system
KR101917316B1 (e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ar stop using augmented reality
JP2004516708A (en) Method for supplying movement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3317191A (en) Taxi allocation accepting method
JP2000082199A (en) Vehicle dispatch system
JP2002340571A (en) System and terminal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vehicle terminal, terminal and apparatus for dispatch
JP2007210507A (en) Navigation system and route searching method, and route searching server and navigation terminal device
JP2006276940A (en) Boarding guidance system, get-off guidance device, and guidance terminal device
KR102078177B1 (en) Integrated path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path selection method
JP2005100023A (en) Traffic expen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its program
JP2004138569A (en) Portable navigation system and portable navigation terminal
KR20110129733A (en) Taxi call service system usg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JPH10170288A (en) Board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2001285332A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KR20030096115A (en) Method and system of guiding for bus
KR1012084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242215A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 mobile body
KR100731014B1 (e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means of transportation
JP4461184B2 (en)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route guidance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1006277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Optimum Transfer Rout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