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0488A -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0488A
KR20020050488A KR1020000079645A KR20000079645A KR20020050488A KR 20020050488 A KR20020050488 A KR 20020050488A KR 1020000079645 A KR1020000079645 A KR 1020000079645A KR 20000079645 A KR20000079645 A KR 20000079645A KR 20020050488 A KR20020050488 A KR 2002005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secondary coil
load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049B1 (ko
Inventor
주상근
Original Assignee
주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근 filed Critical 주상근
Priority to KR10-2000-007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04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2Auto-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1Preventing or reducing no-load losses or reactive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4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having two or more secondary windings, each supplying a separate load, e.g. for radio set power supp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형 자동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차 코일을 복권으로 만들어 2차 코일의 부하량을 검출하는 홀센서를 구비하고, 1차 코일의 공급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다단계로 구분동작을 하는 접점 및 스위칭부를 실장하며, 2차 코일에서 검출되는 전력량에 따라 1차 코일 복권의 공급전류를 변동시켜 무부하 때에도 전력손실을 방지하는 1차 코일 복권 결선에 의한 절전형 자동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복권으로 분류시켜 2차 코일에 흐르는 부하량을 검출하여 다단계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1차 코일의 고정적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하며, 무부하 때에도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용량이 자동 변경되므로, 가정, 공장 등에서 효율적으로 전력을 관리할 수 있고,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saving auto potential transformer}
본 발명은 절전형 자동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1차 코일을 복권으로 만들어 2차 코일의 부하량을 검출하는 홀센서를 구비하고, 1차 코일의 공급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다단계로 구분동작을 하는 접점 및 스위칭부를 실장하며, 2차 코일에서 검출되는 전력량에 따라 1차 코일 복권의 공급전류를 변동시켜 무부하 때에도 전력손실을 방지하는 1차 코일 복권 결선에 의한 절전형 자동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연속적인 운동 부분을 갖지 않고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서 전압을 변성하는 장치로, 변압기의 기전력은 유도 기전력 중 도체가 정지하고 자속쇄교수의 시간적 변화에 따라 생기는 전력을 의미한다.
종래의 절전형 변압기의 구성은 1차 입력 전압을 차단하기 위해 1차 코일 외에 별도의 작은 전력 전원장치를 통하여 부가적인 회로를 구성하여 주 전원을 단속시키는 방식으로, 기본적인 부하량에 대한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고 단순히 전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끄거나 전기를 사용할 때는 전원을 켜는 기능을 갖게 되어 항상 전원을 소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비전력에 대응한 효과적인 용량 대응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변압기는 단선 1차 코일이 대부분이며, 절전을 위한 대부분의 기술은 인버터 스위칭에 의하여 출력의 부하에 따라서 전류를 통제하도록 하는 방식이어서 가격이 매우 비싸며, 2중 트랜스 사용방법은 1KW 용량 변압기의 경우 구동을 위한 부가적인 소요량의 구동용 트랜스를 사용하여 1KW를 구동 및 차단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2차측의 전원을 사용하면 동작시키고 사용을 않하면 주 전원을 차단시키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부하에 상관없이 일정한 용량만큼 사용할 수 있으며, 부하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예로 리모콘에 의하여 전원을 동작 및 차단시키는 방식으로 리모콘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작은 용량의 전원을 사용하도록 설계하는 방식으로 오디오, 라디오, TV만을 구동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오디오, 냉장고, 전등 등의 혼합된 전기기구의 사용에 의하여 용량이 변하는 전원 사용에 대해서는 전력소비에 대응하여 다단계의 용량변화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지만 효율적으로 부하에 따라 공급 전력을 제어할 수 없어서, 2차 코일의 부하에 상관없이 1차 코일에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므로, 부하가 없어도 1차 코일에 의하여 손실되는 고정 소비 전력을 절약 및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1차 코일에서 흐르는 전류의 양을 다선의 복권으로 분류시켜 2차 코일에서 소비되는 부하량을 홀센서로 검출하여 2차 코일의 부하량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다단계로제어하여 접점 및 스위칭부를 동작시켜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1차 코일의 고정적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1차 코일 복권 결선에 의한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및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자동변압기의 개략도.
도2는 1차 코일을 3선 복권 권선 하여 입력을 3분할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3은 1차 코일을 4선 복권 권선 하여 입력을 4분할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4는 3선 복권으로 권선된 트랜스를 이용한 절전형 자동 변압기의 개략도.
도5는 4선 복권으로 권선된 트랜스를 이용한 절전형 자동 변압기의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자동 변압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44, 45, 54, 55, 56 : 접점 및 스위칭부,
2 : 솔레노이드 코일부(solenoid coil),
3 : 코일 및 홀센서부, 4 : 전류검출센서 및 신호변환부,
40, 50 : 트랜스(1차 코일), 41, 51 : 2차 코일,
42, 52 : 홀센서, 43, 53 :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입력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스와, 전류를 소비하는 2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의 부하량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입력 전류를 스위칭 하는 접점 및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스를 A로 설정하는 과정과; 2차 코일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을 검출하는 과정과;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단계를 변환하는 과정과; 접점 및 스위칭부가 동작하는 과정과; 트랜스를 B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1차 코일을 4선 복권으로 권선하여 입력을 4분할하여 1차 코일의 고정적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구성은 접점 및 스위칭부(1), 솔레노이드 코일부(solenoid coil)(2), 코일 및 홀센서부(3), 전류검출센서 및 신호변환부(4)로 이루어진다.
접점 및 스위칭부(1)는 복권의 코일을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연결 또는 차단하며 다단계로 구분되어 공급전류 단자를 온, 오프 하며, 솔레노이드 코일부(2)는 저전류 구동부, 중전류 구동부, 고전류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접점 및 스위칭부(1)에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시키며, 코일 및 홀센서부(3)는 2차 코일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을 검출하는 기능을 하며, 전류검출센서 및 신호변환부(4)는 코일 및 홀센서부(3)에서 검출하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전류량의 변화에 따라 단계적으로 1차 코일의 공급 전류를 제어한다.
먼저, 1차 코일의 L1에 스위칭 하여 전류가 흐르고 있어 가장 작은 부하량으로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다가 2차 코일에 L1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이 코일 및 홀센서부(3)에서 검출되면, 전류검출센서 및 신호변환부(4)는 최대부하량을 인지하여 L2로 1차 코일의 전류량 증가를 위한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 코일부(2)로 송신하고, 솔레노이드 코일부(2)는 입력된 구동신호로 접점 및 스위칭부(1)를 제어하여 1차 코일의 전류를 L2로 스위칭 시켜 공급 전류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2차 코일에서 흐르는 전류가 L2로 공급전류 단자를 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이 코일 및 홀센서부(3)에서 검출되면, 전류검출센서 및 신호변환부(4)는 최대부하량을 인지하여 다음 단계인 L3으로 1차 코일의 전류량 변환을 위한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 코일부(2)로 송신하고, 솔레노이드 코일부(2)는 입력된 구동신호로 접점 및 스위칭부(1)를 제어하여 1차 코일의 전류를 L3으로 스위칭 하여 공급 전류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2차 코일에서 흐르는 전류가 L3으로 공급전류 단자를 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을 코일 및 홀센서부(3)에서 검출되면, 전류검출센서 및 신호변환부(4)는 최대부하량을 인지하여 다음 단계인 L4로 1차 코일의 전류량 변환을 위한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 코일부(2)로 송신하고, 솔레노이드 코일부(2)는 입력된 구동신호로 접점 및 스위칭부(1)를 제어하여 1차 코일의 전류를 L4로 스위칭 하여 공급 전류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2차 코일에서 흐르는 전류가 L4로 공급전류 단자를 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에서 감소하여 1차 코일을 L3으로 연결하여도 공급되는 전류량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로 변환된 경우, 코일 및 홀센서부(3)에서 검출되는 전류량을 전류검출센서 및 신호변환부(4)에서 감지하여 감소 단계인 L3으로 1차 코일의 전류량 변환을 위한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 코일부(2)로 송신하고, 솔레노이드 코일부(2)는 입력된 구동신호로 접점 및 스위칭부(1)를 제어하여 1차 코일의 전류를 L3으로 스위칭 하여 공급 전류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2차 코일에서 흐르는 전류가 L3으로 공급전류 단자를 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에서 감소하여 1차 코일을 L2로 연결하여도 공급되는 전류량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로 변환된 경우, 코일 및 홀센서부(3)에서 검출되는 전류량을 전류검출센서 및 신호변환부(4)에서 감지하여 감소 단계인 L2로 1차 코일의 전류량 변환을 위한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 코일부(2)로 송신하고, 솔레노이드 코일부(2)는 입력된 구동신호로 접점 및 스위칭부(1)를 제어하여 1차 코일의 전류를 L2로 스위칭 하여 공급 전류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2차 코일에서 흐르는 전류가 L2로 공급전류 단자를 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에서 감소하여 1차 코일을 L1로 연결하여도 공급되는 전류량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로 변환된 경우, 코일 및 홀센서부(3)에서 검출되는 전류량을 전류검출센서 및 신호변환부(4)에서 감지하여 감소 단계인 L1로 1차 코일의 전류량 변환을 위한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 코일부(2)로 송신하고, 솔레노이드 코일부(2)는 입력된 구동신호로 접점 및 스위칭부(1)를 제어하여 1차 코일의 전류를 L1로 스위칭 하여 공급 전류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1차 코일에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2차 코일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을 검출하여, 2차 코일에서 사용되는 전류가 증가할 경우는 단계적으로 1차 코일의 전류량을 L2, L3, L4로 증가시켜 2차 코일에 입력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며, 2차 코일에서 사용되는 전류가 감소할 경우에도 단계적으로 1차 코일의 전류량을 L2, L3, L4로 감소시켜 2차 코일에 입력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2차 코일의 부하량에 따라 1차코일의 입력을 증감시키는 것이다. 이 때 접점에 의한 채터링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전달을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 되며 가변단계의 오동작을 방지시켜야 한다.
1차 코일의 권선을 상시 사용 소비전력과 비상시 소비전력으로 크게 구분하며, 비상시 소비전력을 다단계로 구분하여 복권으로 만들어 제어량과 동작의 유연성을 부하량에 따라 효율적으로 동작시킨다.
도2는 1차 코일(20)의 입력을 3선 복권으로 권선하여 3분할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2차 코일에서의 부하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L1, L2, L3으로 변환이 가능한것으로, 2차 코일의 부하량이 작은 경우는 L1로 동작하다가 2차 코일의 부하량이 증가하면, L2, L3으로 1차 코일(20)의 공급전류를 증가시키며, 반대로 2차 코일의 부하량이 감소할 경우에는 L3, L2, L1로 1차 코일(20)의 공급전류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2차코일의 부하량에 따라 1차 코일(20)의 공급전류를 3단계로 나누어 입력하는 것이다.
도3은 1차 코일(30)의 입력을 4선 복권으로 권선하여 4분할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2차 코일에서의 부하량이 증가하면 단계적으로 L1, L2, L3, L4로 변환이 가능하며, 반대로 2차 코일의 부하량이 감소하면 L4, L3, L2, L1로 1차 코일(30)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4는 1차 코일의 입력을 3선 복권으로 권선된 트랜스(40)를 이용하여 홀센서(42)와 마이크로 프로세서(43)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절전형 자동변압기를 도시한 것으로, 2차 코일(41)의 전류량과 접점 및 스위칭부(44, 45)의 조절을 마이크로 프로세서(43)로 제어하는 것으로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3선 복권으로 권선된 트랜스(40)에 L1 크기의 공급전류가 흐르고 있어 가장 작은 부하량으로 2차 코일(41)에 전류가 흐르다가 2차 코일(41)에서 사용하는 부하량이 증가하여 L1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이 홀센서(42)에서 검출되면 L2로 트랜스(40)의 전류량 변환을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43)는 신호를 접점 및 스위칭부(44, 45)로 송신하며, 접점 및 스위칭부(44, 45)는 L2로 스위칭 시켜 공급 전류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2차 코일(41)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이 증가하여 L2로 공급전류 단자를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이 홀센서(42)에서 검출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3)는 L3으로 트랜스(40)의 공급 전류량 변환 신호를 접점 및 스위칭부(44, 45)로 송신하고, 접점 및 스위칭부(44, 45)는 L3으로 트랜스(40)를 연결시켜 공급 전류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2차 코일(41)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이 L3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에서 감소하여 홀센서(42)에서 감지하여 1차 코일의 공급전류를 L2로 연결하여도 공급되는 전류량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에 이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3)는 전류량 변환 신호를 접점 및 스위칭부(44, 45)로 송신하며, 접점 및 스위칭부(44, 45)는 L2로 트랜스(40)를 연결시켜 공급 전류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2차 코일(41)에서 소모되는 부하량이 L2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에서 감소하여 홀센서(42)에서 감지하여 트랜스(40)를 L1로 연결하여도 공급되는 전류량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에 이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3)에서 L1로 트랜스(40)의 전류량 변환 신호를 접점 및 스위칭부(44, 45)로 송신하며, 접점 및 스위칭부(44, 45)는 L1로 트랜스(40)를 연결시켜 공급 전류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2차 코일(41)에서 사용되는 전류 부하량에 따라 1차 코일의 공급전류를 홀센서(42)와 마이크로 프로세서(43)로 제어하여 접점 및 스위칭부(44, 45)로 3선 복권으로 권선된 트랜스(4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공급전류의 용량을 변환할 때에 접점 및 스위칭부(44, 45)의 불안정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2차 코일(41)의 전류 검출을 동작시기와 비동작 시기로 간격을 두어서 잦은 공급전류의 변환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한다.
도5는 1차 코일을 4선 복권으로 권선된 트랜스(50)를 이용한 홀센서(52)와 마이크로 프로세서(53)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절전형 자동변압기를 도시한 것으로, 2차 코일(51)의 전류량과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의 조절을 마이크로 프로세서(53)로 제어하는 것으로 동작은 다음과 같다.
2차 코일(50)에서 사용되는 부하 전류량과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의 조절을 마이크로 프로세서(53)로 제어하며 동작은 다음과 같다.
4선 복권으로 권선된 트랜스(50)에 L1 크기의 공급전류가 흐르고 있어 가장 작은 부하량으로 2차 코일(51)에 전류가 흐르다가 2차 코일(51)에서 사용하는 부하량이 증가하여 L1에 의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이 홀센서(52)에서 검출되면 L2로 트랜스(50)의 전류량 변환을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53)는 신호를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로 송신하며,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는 L2로 스위칭 하여 공급 전류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2차 코일(51)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이 증가하여 L2로 공급전류 단자를 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이 홀센서(52)에서 검출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3)는 L3으로 트랜스(50)의 공급 전류량 변환 신호를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로 송신하며,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는 L3으로 트랜스(50)를 연결시켜 공급 전류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2차 코일(51)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이 증가하여 L3으로 공급전류 단자를 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 부하량이 홀센서(52)에서 검출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3)는 L4로 트랜스(50)의 공급 전류량 변환 신호를 접점 및 스위칭부(54, 55,56)로 송신하며,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는 L4로 트랜스(50)를 연결시켜 공급 전류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2차 코일(51)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이 L4에 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에서 감소하여 홀센서(52)에서 감지되어 1차 코일(50)의 공급전류를 L3으로 연결하여도 공급되는 전류량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에 이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3)는 전류량 변환 신호를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로 송신하며,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는 L3으로 트랜스(50)를 연결시켜 공급 전류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2차 코일에서 소모되는 부하량이 L3에 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에서 감소하여 홀센서(52)에서 감지되어 트랜스(50)를 L2로 연결하여도 공급되는 전류량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에 이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3)에서 L2로 트랜스(50)의 전류량 변환 신호를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로 송신하며,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는 L2로 트랜스(50)를 연결시켜 공급 전류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2차 코일(51)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이 L2에 스위칭 하여 공급될 수 있는 최대부하량에서 감소하여 홀센서(52)에서 감지되어 1차 코일(50)의 공급전류를 L1로 연결하여도 공급되는 전류량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에 이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3)는 전류량 변환 신호를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로 송신하며,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는 L1로 트랜스(50)를 연결시켜 공급 전류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한편, 공급전류의 용량을 변환할 때에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의 불안정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2차 코일의 전류 검출을 동작시기와 비동작 시기로 간격을 두어서 잦은 공급전류의 변환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한다.
도6은 자동변압기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전형 자동 변압기에 전원을 넣으면, 입력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스는 A로 설정되어 작동한다(스텝 S60, S61). 2차 코일의 부하량의 증가 또는 감소를 홀센서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감지하며(스텝 S62, S63),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2차 코일의 부하량에 대응하여 공급전류를 변환시키는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64). 접점 및 스위칭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공급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스위칭 변환 동작을 실시하여 트랜스는 B로 변환시킨다(스텝 S65, S66). 한편 트랜스의 변환 단계는 2차 코일의 부하량의 변화에 따라 다단계로 구분되어 있어서 적응적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트랜스는 B로 변환되어 다시 스텝 S62로 궤환되어서 동작을 한다(스텝 S67). 동작을 종료하고 자동 변압기의 전원을 차단하면 종료한다(스텝 S68).
이상과 같이, 2차 코일(51)에서 사용되는 전류 부하량에 따라 1차 코일(50)의 공급전류를 홀센서(52)와 마이크로 프로세서(53)로 제어하여 접점 및 스위칭부(54, 55, 56)를 동작시켜 복권으로 권선된 트랜스에 흐르는 전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차 코일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에 따라 전류를 공급하는 복권 권선 트랜스를 홀센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접점 및 스위칭부로 자동 제어하는 것으로, 2차 코일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이 증가하면 홀센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하여 접점 및 스위칭부를 동작시켜 공급전류를 증가시키며, 2차 코일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이 감소되면 공급전류를 홀센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제어하여 접점 및 스위칭부를 동작시켜 공급전류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다수의 복권으로 분류시켜 2차 코일에 흐르는 부하량을 홀센서로 검출하여 다단계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1차 코일의 고정적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하며, 무부하 때에도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용량이 자동 변경되어 전력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가정, 공장 등에서 효율적으로 전력을 관리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며,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입력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스와, 전류를 소비하는 2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의 부하량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입력 전류를 스위칭 하는 접점 및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다선 복권으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2차 코일의 부하량을 판단하여 입력전류의 증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2차 코일의 부하량을 소정의 간격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및 스위칭부는 다수의 단계로 구분되어 공급전류 단자를 스위칭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6.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스를 A로 설정하는 과정과;
    2차 코일에서 사용되는 부하량을 검출하는 과정과;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단계를 변환하는 과정과;
    접점 및 스위칭부가 동작하는 과정과;
    상기 트랜스를 B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자동 변압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다선으로 복권 권선되어 상기 2차 코일의 부하량에 대응하여다수의 단계로 구분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자동 변압기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의 부하량은 소정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센서로 감지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자동 변압기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부하량에 대응하여 다수의 단계로 구분되어 공급전류의 증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자동 변압기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및 스위칭부는 다수의 단계로 구분되어 공급전류 단자를 스위칭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자동 변압기 방법.
KR10-2000-0079645A 2000-12-21 2000-12-21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및 방법 KR100388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645A KR100388049B1 (ko) 2000-12-21 2000-12-21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645A KR100388049B1 (ko) 2000-12-21 2000-12-21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956U Division KR200225205Y1 (ko) 2000-12-21 2000-12-21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488A true KR20020050488A (ko) 2002-06-27
KR100388049B1 KR100388049B1 (ko) 2003-06-19

Family

ID=27684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645A KR100388049B1 (ko) 2000-12-21 2000-12-21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604A2 (ko) * 2009-03-25 2010-09-30 주식회사 피엠디네트웍스 전력 조절기 및 원격 전력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021B1 (ko) * 2002-11-15 2005-10-19 주식회사 보성이테크 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482Y1 (en) * 1983-01-20 1984-08-14 Kwon O Kun Placing tool of hair dryer
KR850006241A (ko) * 1984-02-25 1985-12-02 오흥기, (외 1) 에너지 절약형 변압기
JPH09312223A (ja) * 1996-05-21 1997-12-02 Kawamura Electric Inc 節電装置
JPH1092661A (ja) * 1996-09-11 1998-04-10 Kawamura Electric Inc 節電装置
JPH10135051A (ja) * 1996-10-25 1998-05-22 Taisei:Kk 単巻変圧器の降圧比制御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604A2 (ko) * 2009-03-25 2010-09-30 주식회사 피엠디네트웍스 전력 조절기 및 원격 전력 제어 장치
WO2010110604A3 (ko) * 2009-03-25 2010-12-23 주식회사 피엠디네트웍스 전력 조절기 및 원격 전력 제어 장치
GB2480421A (en) * 2009-03-25 2011-11-16 Pmd Networks Inc Power regulator and remote power control apparatus
GB2480421B (en) * 2009-03-25 2012-04-18 Pmd Networks Inc Power regulator and remote power control device
US8471489B2 (en) 2009-03-25 2013-06-25 Pmd Networks Inc. Power regulator and remote power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049B1 (ko) 200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668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切換運転回路
US5397926A (en) Power demand control
KR20000023100A (ko) 전기 기기의 전원 회로
US201000580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s
CN102257701A (zh) 电力调整器及远程电力控制装置
US6463543B1 (en) Serial bus communications system
CA2312016A1 (en) Excitation controller and excitation control method for stabilizing voltage in electric power system
KR100405523B1 (ko)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어뎁터
US5760491A (en) Method and circuit for disconnecting a transformer in dependence on whether a load connected thereto requires power, or not
KR19980048784A (ko) 교류 전력 제어장치
KR100388049B1 (ko)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및 방법
KR100919866B1 (ko) 거리정보를 이용한 절전방법 및 장치
KR200225205Y1 (ko) 절전형 자동 변압기 장치
KR101782723B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래치형 전자접촉기 회로 시스템 및 구동방법
EP0749199A1 (en) Power supply for an appliance having an operating mode and a stand-by mode
KR102545957B1 (ko) 자동 연동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장치
JPH092364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914012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10090240A (ko) 대기전원을 이용한 대기상태 초절전 회로
CN210780205U (zh) 双电源供电控制系统
JP2002125371A (ja) 多出力電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166386B1 (ko) 대기전력 절감을 위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318706Y1 (ko) 멀티탭 장치
KR100385615B1 (ko) 전력 계수 정정 방식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CN2263822Y (zh) 带输出馈电方式转换的自耦变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