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9726A - A water using display - Google Patents

A water using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9726A
KR20020049726A KR1020000078989A KR20000078989A KR20020049726A KR 20020049726 A KR20020049726 A KR 20020049726A KR 1020000078989 A KR1020000078989 A KR 1020000078989A KR 20000078989 A KR20000078989 A KR 20000078989A KR 20020049726 A KR20020049726 A KR 20020049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pper case
case
exhibi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97016B1 (en
Inventor
김송이
Original Assignee
김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이 filed Critical 김송이
Priority to KR10-2000-007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016B1/en
Publication of KR2002004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7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016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PURPOSE: An exhibit using water is provided to reduce the cost of management thereof, and to upgrade the appearance of the exhibit. CONSTITUTION: The exhibit using water is comprised of a transparent case(10) having an upper case(11) charged with water and attached with a pattern print film(17) and a lower case extended from the upper case; a light part(20) having a lamp(21) installed in the lower case, a polygonal filter(22) surrounding the lamp, and a motor(23) for rotating the filter; an air bubble generating part(30) having an air compressor(31) installed in the lower case, and an air bubble discharge tube(32) installed in the upper case with being connected with the air compressor; a water spreading part for spreading the water charged in the upper case by using a propeller(41)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42) adjacent to the air bubble discharge tube; and a plurality of mobiles floating in the upper case.

Description

물을 이용한 전시물{A water using display}A water using display

본 발명은 전시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을 이용한 전시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xhibits, and more particularly to exhibits using water.

일반적으로, 상호를 광고하는 간판은 야간에 미적으로 수려하게 보이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네온사인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네온사인은 전력 소모량이 크므로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neon signs are used to enhance the advertising effect by making the signs look beautiful at night. However, the neon sign has a problem in that the maintenance cost is high because the power consumption is larg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간판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온사인 대신에 저 전력이 소모되는 조명장치와 투명 케이스 및 공기 압축기가 적용된 물을 이용한 전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ignage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 power consumption lighting device and transparent case and air compressor applied to the neon sign instead of water To provide an exhibition using th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sing water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sing water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sing water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사시도, 및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sing water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사시도이다.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display using water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물을 이용한 전시물은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문양인쇄필름(17)이 전면에 부착되는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연장 형성된 하부 케이스(12)를 갖는 투명 케이스(10);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램프(21)와 상기 램프(21)를 둘러싸는 다각형 필터(22)와 상기 다각형 필터(22)를 회전시키는 모터(23)를 갖는 조명부(20);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3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압축기(31)에 연결되어 기포를 방출시키는 기포 방출관(32)을 갖는 기포 발생부(30); 상기 기포 발생부(30)의 기포 방출관(32)에 인접하게 설치된 회전축(42)에 연결된 프로펠러(41)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을 확산시키는 확산부(4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에 채워진 물 속에서 부유되는 다수의 모빌(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exhibition us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water therei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 and the upper case 11 to which the pattern printing film 17 is attached to the front. A transparent case 10 having a case 12; A lighting unit (20) having a lamp (21)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2), a polygonal filter (22) surrounding the lamp (21), and a motor (23) for rotating the polygonal filter (22); A bubble generator having an air compressor (31)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2) and a bubble discharge tube (32) installed under the upper case (11) and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31) to discharge bubbles; 30); A diffusion unit 40 for diffusing water in the upper case 11 by a propeller 41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42 installed adjacent to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30; And a plurality of mobiles 50 floating in the water filled in the upper case 11.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hibition using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100)은 투명 케이스(10), 조명부(20), 기포 발생부(30), 확산부(40) 및 모빌(5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display using wat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exhibit 100 using wat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case 10, an illumination unit 20, a bubble generator 30, a diffuser 40 and a mobile 50.

투명 케이스(10)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로 나뉘어진다. 상부 케이스(11)에는 물이 채워진다. 상부 케이스(11)의 상면 일측에는 물을 보충하기위한 보충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충공(13)은 마개(13a)로 덮여져 있다.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면 상부에는 배기관(15)이 밀봉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면 하부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공(16)은 마개(16a)로 덮여져 있다. 상부 케이스(11)는 전체가 밀봉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은 상부 케이스(11)에 거의 꽉 차게 채워지는데, 배기관(15)의 바로 아래까지 채워진다.The transparent case 10 is divided into an upper case 11 and a lower case 12. The upper case 11 is filled with water.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 is formed with a replenishment hole 13 for replenishing water, and the replenishment hole 13 is covered with a stopper 13a. The exhaust pipe 15 is sealed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case 11. A drain hole 16 for discharging water is formed in on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11, and the drain hole 16 is covered with a stopper 16a. The upper case 11 is formed in the whole sealing. Water is filled almost completely in the upper case 11, up to just below the exhaust pipe 15.

상부 케이스(11)의 전면에는 상호나 광고문안 또는 그림 등의 문양이 새겨진 문양인쇄필름(17)이 부착된다.The front of the upper case 11 is attached to the pattern printing film 17 is engraved with a pattern such as mutual or advertising text or picture.

도 1에서는 전시물의 상부 케이스(11)의 전면에만 문양인쇄필름(17)을 부착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부 케이스(11)의 후면에도 다른 글자나 그림의 문양인쇄필름(17)을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의 후면에는 단순히 전시물 후방이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불투명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In FIG. 1, the pattern printing film 17 is attached to only the front of the upper case 11 of the exhibit. However, the pattern printing film 17 of another letter or picture may b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upper case 11. In addition, an opaque film may b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upper case 11 so that the rear of the exhibit is simply invisible.

문양인쇄필름(17)은 내측필름과 외측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측필름은 조명부(20)로부터의 빛이 투과하지 않는 불투명필름이며, 외측필름은 조명부(20)로부터의 빛이 투과하는 투명필름이다. 투명필름에는 다양한 색깔이 함유될 수도 있다. 문양은 불투명필름에 새겨진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문양인쇄필름(17)의 문양을 양각으로 새긴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문양인쇄필름(17)의 문양은 음각으로 새겨질 수도 있다. 문양인쇄필름(17)의 문양을 양각으로 새기면 문양인쇄필름(17)을 상부 케이스(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하였을 때 문양 이외의 부분을 통해 상부 케이스(11)의 내부가 보이게 된다. 또한, 문양인쇄필름(17)의 문양을 음각으로 새기면 문양인쇄필름(17)을 상부 케이스(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하였을 때 문양 이외의 부분은 차단되고 문양을 통해서만 상부 케이스(11)의 내부가 보이게 된다.Glyph print film 17 is composed of an inner film and an outer film. The inner film is an opaque film through which the light from the lighting unit 20 does not transmit, and the outer film is a transparent film through which the light from the lighting unit 20 transmits. The transparent film may contain various colors. Glyphs are carved on opaque film. In FIG. 1, the pattern of the pattern printing film 17 is embossed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but the pattern of the pattern printing film 17 may be engraved in an intaglio. When the pattern of the pattern printing film 17 is embossed, when the pattern printing film 17 is attach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upper case 11, the inside of the upper case 11 is visible through portions other than the pattern. In addition, when the pattern of the pattern printing film 17 is engraved intaglio, when the pattern printing film 17 is attach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upper case 11, portions other than the pattern are blocked and only through the pattern of the upper case 11 The inside is visible.

하부 케이스(12)는 상부 케이스(11)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케이스(11)에 비해 크기가 상당히 작다.The lower case 12 extends below the upper case 11 and is considerably smaller in size than the upper case 11.

조명부(20)는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며, 램프(21), 다각형 필터(22) 및 모터(23)로 구성되어 있다. 다각형 필터(22)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모터(23)에 연결되어 있다. 다각형 필터(22)는 다각을 이루는 일측면이 각각 다른 색깔의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다각형 필터(22)의 개방된 일단으로 램프(21)가 삽입되며, 모터(23)의 회전에 의해 다각형 필터(22)가 램프(21)의 둘레를 회전한다. 이에 따라, 다색의 조명이 교번하면서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을 향해 조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부(20)를 하부 케이스(12)에 2개 설치한 것으로 하였지만, 조명부(20)를 1개만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조명부(20)의 램프(21)로서는 일반 형광등에 비해 밝으면서도 소비전력이 적은 소위 3파장 램프라고 불리는 피엘 램프(photoluminescence lamp)를 사용하였으며, 모터(23)도 또한 소비전력이 적은 소형 전기모터를 사용하였다.The lighting unit 20 is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2 and is composed of a lamp 21, a polygonal filter 22, and a motor 23. One end of the polygon filter 22 is ope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otor 23. The polygonal filter 22 is composed of filters of different colors on one side of the polygon. The lamp 21 is inserted into the open end of the polygonal filter 22, and the polygonal filter 22 rotates around the lamp 21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23. As a result, the multi-colored lights are alternately irradiated toward the water in the upper case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lighting units 20 are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2, but only one lighting unit 20 may be installed or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20 may be provided. As the lamp 21 of the lighting unit 20, a so-called three-wavelength lamp called a photoluminescence lamp, which is brighter than general fluorescent lamps and consumes less power, is used. The motor 23 also uses a small electric motor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ed.

기포 발생부(30)는 공기 압축기(31), 기포 방출관(32), 체크밸브(34)로 구성된다. 공기 압축기(31)는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되며, 공기를 압축하여 기포 방출관(32)으로 보낸다. 기포 방출관(32)은 일단부가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면을 밀봉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부 케이스(11)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 압축기(31)에 고무관(33)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가 막힌 형태이다. 기포 방출관(32)의 중간에는 다수의 방출공(32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 압축기(31)와 기포 방출관(32)의 사이에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압축기(31)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기포 방출관(32)에서 방출공(32a)을 통해 방출되어 물 속에 기포를 발생시킨다. 물 속으로 방출된 공기는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면 상부의 배기관(15)을 통해 배출된다.The bubble generator 30 is composed of an air compressor 31, a bubble discharge tube 32, and a check valve 34. The air compressor 31 is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2, and compresses air and sends the air to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11 with one end sealingly penetrating one side of the upper case 11 and is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31 by a rubber tube 33. The end is blocked. In the middle of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 check valve 34 is provided between the air compressor 31 and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to prevent backflow of air.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compressor 31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2a in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to generate bubbles in the water. The air discharged into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ipe 15 on one side of the upper case 11.

확산부(40)는 기포 발생부(30)의 기포 방출관(32)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확산부(40)는 프로펠러(41), 회전축(42) 및 모터(43)로 구성된다. 회전축(42)은 상부 케이스(11)의 하면을 밀봉적으로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12)에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42)에는 모터(43)가 연결되어 있다. 프로펠러(41)가 회전하면,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이 상승하면서 좌우방향으로 확산된다. 이에 따라, 기포 방출관(32)의 방출공(32a)을 통해 방출되는 기포는 상승되면서 좌우방향으로 확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부(40)를 3개 설치한 것으로 구성하였지만 확산부(40)의 개수는 원하는 대로 증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확산부(40)의 모터(43)로서는 소비전력이 적은 소형 전기모터를 사용하였다.The diffusion part 4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of the bubble generation part 30. The diffusion portion 40 is composed of a propeller 41, a rotation shaft 42, and a motor 43. The rotary shaft 42 seal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 and extends to the lower case 12, and the motor 43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42. When the propeller 41 rotates, the water in the upper case 11 rises and diffus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ly, the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s 32a of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rise while being diffu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diffusion units 40 are provided, bu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number of diffusion units 4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desired. As the motor 43 of the diffusion portion 40, a small electric motor with low power consumption was used.

램프(21), 모터(23), 공기 압축기(31) 및 모터(43)에는 각각 전선에 의해 전원이 연결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전선과 전원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The lamp 21, the motor 23, the air compressor 31, and the motor 43 are connected to power by wires, respectively, an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llustration of wires and power will be omitted.

상부 케이스(11)에 채워진 물에는 다양한 모양의 다수의 모빌(50)이 부유된다. 다수의 모빌(50)은 확산부(40)에 의해 상승하면서 좌우방향으로 확산된다.In the water filled in the upper case 11, a plurality of mobiles 50 of various shapes are suspended. The plurality of mobiles 50 are spread by the diffusion unit 40 and are sprea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 내에 채워진 물 속에서 기포 방출관(32)의 방출공(32a)을 통해 기포가 방출되고 모빌(50)이 부유하게 된다. 기포와 다수의 모빌(50)은 확산부(40)에 의해 상승되면서 좌우방향으로 확산됨과 동시에 하부 케이스(12)의 조명부(20)에 의해 상부 케이스(11)를 향해 다양한 색으로 조명이 비추어지면, 전시물을 미적으로 수려하게 보이게 하여 상부 케이스(11)의 전면에 부착된 문양인쇄필름(17)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As described above, bubbles are releas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2a of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in the water filled in the upper case 11, and the mobile unit 50 is suspended. When the bubbles and the plurality of mobiles 50 are lifted by the diffuser 40 and diffu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simultaneously illuminated with various colors toward the upper case 11 by the lighting unit 20 of the lower case 12, To make the exhibits look aesthetically beautiful, the print film 17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se 11 stands out more.

또한, 조명장치(20)의 램프(21) 및 모터(23)와 확산부(40)의 모터(43)는 모두 소비전력이 적으므로 유지비용이 네온사인에 비해 저렴하다.In addition, since the lamp 21 and the motor 23 of the lighting device 20 and the motor 43 of the diffusion portion 40 all consume less power, the maintenance cost is lower than that of the neon sig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200)은 제1 실시예의 기포 방출관(32)을 사용하지 않고 상부 케이스(11)의 측면 중간부에 공기 노즐(232)을 밀봉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공기 압축기(31)에서 고무관(33)에 의해 공기 노즐(232)에 연결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의 좌측의 공기 노즐(232)로부터 우측으로 기포가 분사된다. 제2 실시예는 공기 노즐(232)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2, a display using water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In the exhibit 200 using water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air nozzle 232 is hermetically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case 11 without using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air compressor 31 is connected to the air nozzle 232 by the rubber tube 33, bubbles are injected from the air nozzle 232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case 11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nozzle 232.

제2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은 전시물의 좌에서 우로 기포가 세차게 분사되므로 미적으로 더욱 수려하게 보이게 한다.The exhibit using water of the second embodiment makes the aesthetic look more beautiful because bubbles are sprayed hard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exhibi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전시물(300)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기포 발생부(30) 대신에 물 분사부(330)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부 케이스(11)의 좌측면에는 펌프(3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케이스(11)의 상면 아래에는 물 분사관(332)을 설치한 구성이다. 펌프(331)는 지지대(310)에 의해 상부 케이스(11)의 측면에 지지되어 있다. 펌프(331)의 일단에는 물 분사관(332)이 연결되어 있으며, 펌프(331)의 타단에는 흡수관(333)이 연결되어 있다. 물 분사관(332)은 단부가 막힌 형태이며, 중간 부분에 다수의 분사공(332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 분사관(332)의 단부는 상부 케이스(11)의 우측면에 적절한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흡수관(333)은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에 잠기도록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펌프(331)는 흡수관(333)을 통해 상부 케이스(11) 아래의 물을 끌어 올려서 물 분사관(332)의 분사공(332a)을 통해 물을 아래로 분사시킨다. 물은 상부 케이스(11)의 아래 부분에만 채워지는데 대략 상부 케이스(11)의 1/3정도 채워진다.Referring to Fig. 3, a display using water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The exhibit 300 using water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water spray unit 330 is installed instead of the bubble generator 30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pump 331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case 11, and the water injection pipe 332 is install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 The pump 331 is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upper case 11 by the support 310. The water injection pipe 33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ump 331, and the absorption pipe 333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ump 331. The water injection pipe 332 has a closed end portion,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332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middle portion. The end of the water injection pipe 332 is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upper case 11 by appropriate means. The absorption tube 333 extends downwardly so as to be submerged in the water in the upper case 11. The pump 331 draws up the water under the upper case 11 through the absorption pipe 333 and injects water downward through the injection hole 332a of the water injection pipe 332. Water is filled only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se 11, which is approximately 1/3 of the upper case 11.

제3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은 전시물의 위에서 아래로 물을 분사하면 물방울이 떨어지는 느낌이 나므로 미적으로 더욱 수려하게 보이게 한다.The exhibit using water of the third embodiment makes aesthetically more beautiful because water droplets fall when spraying wa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exhibit.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의 외부에 액자프레임(110)을 끼운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프레임(110)은 전시물의 투명 케이스(10)의 둘레에 끼워지는데, 투명 케이스(10)의 하부 케이스(12)를 덮도록 끼워져서 조명장치(20)와 공기 압축기(31) 등이 내장된 하부 케이스(12)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한다. 도 4에서는 예를 들어, 도 1의 제1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100)에 액자프레임(110)을 끼운 것을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4, a display using water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frame frame 110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exhibit using water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More specifically, the frame frame 110 is fitted around the transparent case 10 of the exhibit, and is fitted to cover the lower case 12 of the transparent case 10 to illuminate the lighting device 20 and the air compressor 31. The lower case 12 having a built-in back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In FIG. 4, for example, the frame frame 110 is inserted into the exhibit 100 using w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이 도시되어 있다.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여러 개 설치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100)을 여러 개 설치한 것을 도시하였다. 전시물을 여러 개 설치하면 각각의 전시물에 서로 다른 상호나 광고문안 또는 그림을 부착할 수 있다.5 and 6, an exhibit using water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fifth embodiment, a plurality of exhibits using water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5 and 6 illustrate the installation of several exhibits 100 using water of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If you install multiple exhibits, you can attach different trade names, ad text or pictures to each exhibit.

도 5는 전시물을 수평방향으로 3개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압축기(31)는 제1 전시물(100a)에만 설치되어 있고, 제2 전시물(100b)과 제3 전시물(100c)에는 공기 압축기(31)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2 전시물(100b)의 기포 방출관(32)은 고무관(33)을 통해 제1 전시물(100a)의 배기관(15)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전시물(100c)의 기포 방출관(32)은 고무관(33)을 통해 제2 전시물(100b)의 배기관(15)에 연결되어 있다.Figure 5 shows the installation of three exhibi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the air compressor 31 is installed only in the first exhibit 100a, and the air compressor 31 is not installed in the second exhibit 100b and the third exhibit 100c.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of the second exhibit 100b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15 of the first exhibit 100a through the rubber tube 33, and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of the third exhibit 100c is The rubber pipe 33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15 of the second exhibit 100b.

제1 전시물(100a)의 기포 발생부(30)에서 발생된 공기는 제1 전시물(100a) 내의 물을 거쳐 제1 전시물(100a)의 상부의 배기관(15)을 통해 고무관(33)에 의해 제2 전시물(100b)의 기포 방출관(32)으로 공급되며, 마찬가지로 제2 전시물(100b)에서 제3 전시물(100c)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5 실시예는 제1 전시물(100a)의 공기 압축기(31)에서 발생된 공기를 제2 및 제3 전시물(100b, 100c)에서도 계속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ir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or 30 of the first exhibit 100a is formed by the rubber tube 33 through the exhaust pipe 15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xhibit 100a via water in the first exhibit 100a. 2 is supplied to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of the exhibit (100b), and is similarly supplied to the third exhibit (100c) from the second exhibit (100b). Thus, the fifth embodiment is configured to continue to use the air generated by the air compressor 31 of the first exhibit 100a in the second and third exhibits 100b and 100c.

도 6은 전시물을 수직방향으로 3개 설치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전시물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프레임(110)을 끼울 수 있으며, 액자프레임(110)의 디자인을 서로 다르게 하여 전시물마다 서로 다른 분위기를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Figure 6 is to install three exhibits in the vertical direction. 5 and 6, the frame frame 110 may be fitted as shown in FIG. 4, and the design of the frame frame 1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resulting in a different atmosphere for each exhibit.

본 발명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constituting its main features. Accordingly, the above examples an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물을 이용한 전시물에 의하면, 유지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미적으로 수려하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xhibition using the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the maintenance cost cheap and aesthetically beautiful.

Claims (5)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문양인쇄필름(17)이 전면에 부착되는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연장 형성된 하부 케이스(12)를 갖는 투명 케이스(10);A transparent case 10 having an upper case 11 having a water filled therein and a pattern printing film 17 attached to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lower case 12 extending to the upper case 11;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램프(21)와 상기 램프(21)를 둘러싸는 다각형 필터(22)와 상기 다각형 필터(22)를 회전시키는 모터(23)를 갖는 조명부(20);A lighting unit (20) having a lamp (21)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2), a polygonal filter (22) surrounding the lamp (21), and a motor (23) for rotating the polygonal filter (22);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3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압축기(31)에 연결되어 기포를 방출시키는 기포 방출관(32)을 갖는 기포 발생부(30);A bubble generator having an air compressor (31)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2) and a bubble discharge tube (32) installed under the upper case (11) and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31) to discharge bubbles; 30); 상기 기포 발생부(30)의 기포 방출관(32)에 인접하게 설치된 회전축(42)에 연결된 프로펠러(41)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을 확산시키는 확산부(40); 및A diffusion unit 40 for diffusing water in the upper case 11 by a propeller 41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42 installed adjacent to the bubble discharge tube 32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30; And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에 채워진 물 속에서 부유되는 다수의 모빌(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전시물.The exhibition using 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mobile (50) floating in the water filled in the upper case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발생부(30)는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3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압축기(31)에 연결되어 기포를 방출시키는 공기 노즐(23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전시물.According to claim 1, The bubble generating unit 3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air compressor 31 and the upper case 11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2 and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31 to bubble An exhibition using water, characterized by having an air nozzle (232) for ejecting. 내부에 물이 채워지고 전면에 문양인쇄필름(17)이 부착되는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연장 형성된 하부 케이스(12)를 갖는 투명 케이스(10);A transparent case 10 having an upper case 11 filled with water therein and a pattern printing film 17 attached to the front thereof, and a lower case 12 extending to the upper case 11; 상기 하부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램프(21)와 상기 램프(21)를 둘러싸는 다각형 필터(22)와 상기 다각형 필터(22)를 회전시키는 모터(23)를 갖는 조명부(20);A lighting unit (20) having a lamp (21) installed in the lower case (12), a polygonal filter (22) surrounding the lamp (21), and a motor (23) for rotating the polygonal filter (22);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의 물을 끌어올리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측면에 설치된 펌프(33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331)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관(332)을 갖는 물 분사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전시물.The pump 331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upper case 11 and the upper case 11 is connected to the pump 331 so as to draw up the water in the upper case 11 to spray the water Exhibit using 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jet unit 330 having a water jet tube (33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케이스(10)의 둘레에는 액자프레임(110)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전시물.The display using wa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frame frame (110) is fitted around the transparent case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면 상부에는 배기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관(15)으로부터 나온 공기를 다른 하나의 전시물의 기포발생부에 연결하여 전시물을 여러 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전시물.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xhaust pipe 1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case 11, the air generated from the exhaust pipe 15 is bubbled to another exhibit An exhibition using wat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exhibits ar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department.
KR10-2000-0078989A 2000-12-20 2000-12-20 A water using display KR1003970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989A KR100397016B1 (en) 2000-12-20 2000-12-20 A water us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989A KR100397016B1 (en) 2000-12-20 2000-12-20 A water using displa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715U Division KR200223777Y1 (en) 2000-12-20 2000-12-20 A water using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726A true KR20020049726A (en) 2002-06-26
KR100397016B1 KR100397016B1 (en) 2003-09-02

Family

ID=2768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989A KR100397016B1 (en) 2000-12-20 2000-12-20 A water using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01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556B1 (en) * 2006-08-07 2007-11-20 정태석 Embodiment apparatus of a solid figure with a time difference of watwr dropping
KR101252537B1 (en) * 2013-01-07 2013-04-08 장현실 A advertisement fence having water spray function
KR20180074992A (en) * 2016-12-26 2018-07-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LED light window for implementation of 3D ima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556B1 (en) * 2006-08-07 2007-11-20 정태석 Embodiment apparatus of a solid figure with a time difference of watwr dropping
KR101252537B1 (en) * 2013-01-07 2013-04-08 장현실 A advertisement fence having water spray function
KR20180074992A (en) * 2016-12-26 2018-07-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LED light window for implementation of 3D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016B1 (en)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119333B1 (en) Lighted panel device adapted to be mounted on posts
KR100397016B1 (en) A water using display
KR200223777Y1 (en) A water using display
KR101096648B1 (en) Banner with improved visibility
KR100542916B1 (en) a sign board
KR20110008784U (en) electronic board
KR860002047Y1 (en) A signboard for adversting
KR200199158Y1 (en) Indoor and outdoor sine board
KR200394336Y1 (en) Display device utilizing led lamp
KR200301846Y1 (en) a shine board system
KR200364225Y1 (en) Multi-display advertizement
KR200176856Y1 (en) An adverting baloon with illuminating means at night
KR200374158Y1 (en) sign board of outdoor advertisement
KR200291662Y1 (en) Light emitting device using l.e.d
KR200312959Y1 (en) Light diffusion film and advertising signboard
KR100498165B1 (en) Advertisement panel frame of lighting way
KR200450549Y1 (en) Display device using glass with low iron content
RU27878U1 (en) MEANS OF PREVIOUSLY OUTDOOR ADVERTISING (OPTIONS)
KR20240036883A (en) Signboard with dynamic light gradation
CN2619334Y (en) Luminous character
KR200168364Y1 (en) Sign board with lamp
KR200487069Y1 (en) Led sign baord with multi color
KR20100050668A (en) Indirect illumination advertisement board
JP2009036953A (en) Lighting device for sign
JP2004117891A (en) Afterglow type multiple-purpose design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