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9675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9675A
KR20020049675A KR1020000078890A KR20000078890A KR20020049675A KR 20020049675 A KR20020049675 A KR 20020049675A KR 1020000078890 A KR1020000078890 A KR 1020000078890A KR 20000078890 A KR20000078890 A KR 20000078890A KR 20020049675 A KR20020049675 A KR 20020049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de mobile
base station
video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1492B1 (ko
Inventor
진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492B1/ko
Priority to CNB01140387XA priority patent/CN1315313C/zh
Priority to US10/022,209 priority patent/US7242674B2/en
Publication of KR2002004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기지국에서 영상 호 서비스 옵션을 인지하는 단계와; 교환국에서 서비스 옵션과 상대방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을 통해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옵션이 영상 호임을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데이터를 처리시 인터워킹모듈이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거치지 않고, 기지국과 교환국만을 통해 영상 호를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ICTURE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특히 영상 호 연결 방식을 보다 간소화하기 위한 영상 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호 처리시 모뎀 애뮬레이션이나 패킷망 접속을 위해 IWF(Inter-Working Function) 혹은 PDSN(Public Data Switching Node)를 통해 호를 설정한다. 즉,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단말기의 호처리는 데이터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호 연결 방식을 나타내고, 도 2는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호 연결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는 통화 상태시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Radio Link Protocol)을 설정하고, IWF(PSDN 4)와 PPP(Point to Point Protocol)를 설정한다. 여기서, PPP를 설정하기 위해서 기지국(Base Station 2)과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3), 교환국(3)과 IWF(PSDN 4)간의 릴레이 계층(Relay Layer)이 설정된다. 그리고, 무선 링크 프로토콜은 무선 구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시에 발생하는 에러율(error rate)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따라 고안된 프로토콜로써 NAK based protocol이며, 현재 IS-95A를 위한 RLP1, IS-95B를 위한 RLP2, IS-2000을 위한 RLP3가 있다.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영상 단말기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기존 데이터 서비스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야 한다.
먼저, 종래 단말기의 비동기 옵션을 사용하는 방식은 한 단말기가 모뎀 응답 상태로 설정되어야 하며, 이후 다른 단말기가 상대방에 모뎀 접속을 하여 연결하는방식이다. 이 방식은 현재 14.4Kbps까지 가능하며, IWF 또는 PDSN을 거쳐야 하므로 지연과 시스템 부하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기의 패킷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IP가 지원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단순히 패킷망에 접속하므로 양방간 호 설정이 어렵다.
또한,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영상 호를 처리하기 위해 IWF 또는 PDSN을 반드시 거쳐야 하므로 지연과 시스템 부하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영상 단말기간의 호 설정시 데이터 IWF 또는 PDSN에서 PPP/TCP 스택을 거치므로 호 처리 시간 지연이나 호 연결 동안에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전송 지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전송 지연은 실시간성을 중요시하는 영상 단말기에 치명적이다. 또한, 영상 단말기가 일반화되었을 경우 동일망내의 영상 단말기가 불필요하게 IWF 또는 PDSN을 거쳐 접속하는 과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처리 시간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 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WF 또는 PDSN을 거치지 않고 영상 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호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호 연결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연결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연결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연결 응용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도면.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측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직접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호 서비스 옵션을 인지하는 단계와; 교환국에서 상기 영상 호 서비스 옵션과 착신측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있는 기지국을 통해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옵션을 통해 영상 호임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영상 호임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호 수신 여부를 결정한 후 응답하면, 상기 서비스 옵션에 의한 트래픽 채널을 개설한 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상기 기지국간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무선 링크 프로토콜이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 상위 응용 계층을 통해 영상과 음성을 전송하는 영상 통화를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연결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연결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접속을 위해 종래와 달리 IWF 또는 PDSN을 거치지 않고, 교환국 내부를 통해 영상 호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별도의 영상 호를 위한 서비스 옵션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서로 영상 호를 인식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영상 데이터 바이패스 서비스 옵션에 대해 무선 링크 프로토콜 셋업을 실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바이패스 서비스 옵션은 특정 교환국 혹은 IWF 또는 PDSN과의 링크 설정을 위한 릴레이 계층(Relay layer)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PCM상에서 전달되는 패킷은 교환국에서 바로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영상 호를 개시한다.(S1) 즉,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영상 호를 설정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호를 개시하며, 호 설정시 착신측 전화번호를 이용한다.
기지국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호 서비스 옵션을 인식하여 수락 여부를 판단한다.(S2)
기지국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영상 호 서비스 옵션을 수락하는 경우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연결한다.(S3)
그리고, 기지국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호 서비스 옵션을 수락하는 경우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 영상 호를 요청한다.(S4) 이때, 기지국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호 서비스 옵션을 인지한 후 교환국으로 이를 알린다. 그러면, 교환국은 이 서비스 옵션과 상대방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을 통해 영상 호를 설정한다. 그러면,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옵션을 통해 영상 호임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영상 호임을 알린다. 이때,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영상 호수신 여부를 확인한 후 응답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영상 호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
상기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영상 호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기지국은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연결한다.(S6)
그러면, 기지국은 영상 호 서비스 옵션에 의한 트래픽 채널 개설한 후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바이패스시킨다.(S7) 결과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 데이터는 IWF 또는 PDSN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위 응용 계층이 기동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
상기 상위 응용 계층이 기동되면,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영상 호가 설립된다.(S9) 즉, 무선 링크 프로토콜까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은 상위 응용 계층을 통해 영상과 음성을 전송하여 영상 통화를 유지한다.
이와 달리, 무선 링크 프로토콜까지 연결된 착발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용 계층이 기동되지 않으면,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영상 호는 실패처리된다.(S10)
한편, IS-95B나 IS-2000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양방향 영상 호를 개설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고정 비트 레이트를 설정한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영상 호를 회선 교환과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기지국에서 부가 채널을 일정 개수로 사전에 할당함으로써 데이터 양에 따른 채널의 가감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항상 일정 속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런 방식을 통해 응용 계층에 ITU-T 영상 단말 표준인 H.324 또는 3GPP 규격인 3G324M과 같은 영상 단말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링크 프로토콜의 상위 계층인 응용 계층으로 H.263/G.723 및 H.245와 H.223규격을 이용하므로써 ITU-T 영상 단말 표준인 H.324 또는 3GPP 규격인 3G324M과 같은 영상 단말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작은 지연으로 원활한 영상 통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WF 또는 PDSN을 거치지 않고 영상 호를 구현함으로써 지연과 부하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호 설정시 내부 프로토콜을 간소화함으로써 프로세싱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 음성 호와 유사한 방식으로써 전화의 기본 개념에 보다 충실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H.324와 같은 영상 단말기의 국제 표준을 사용할 경우 효과적으로 이에 대응할 수 있다.

Claims (3)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측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직접 영상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호 서비스 옵션을 인지하는 단계와;
    교환국에서 상기 영상 호 서비스 옵션과 착신측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을 통해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옵션을 통해 영상 호임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영상 호임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영상 호에 대한 응답이 있으면, 상기 서비스 옵션에 의한 트래픽 채널을 개설한 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상기 기지국간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무선 링크 프로토콜이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 상위 응용 계층을 통해 영상과 음성을 전송하는 영상 통화를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부가 채널을 일정한 개수로 사전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응용 계층을 통해 영상 단말 규격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KR1020000078890A 2000-12-20 2000-12-2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KR100361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890A KR100361492B1 (ko) 2000-12-20 2000-12-2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CNB01140387XA CN1315313C (zh) 2000-12-20 2001-12-20 在移动通信系统中控制多媒体呼叫的系统和方法
US10/022,209 US7242674B2 (en) 2000-12-20 2001-12-20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multimedia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890A KR100361492B1 (ko) 2000-12-20 2000-12-2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675A true KR20020049675A (ko) 2002-06-26
KR100361492B1 KR100361492B1 (ko) 2002-11-22

Family

ID=2768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890A KR100361492B1 (ko) 2000-12-20 2000-12-2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428B1 (ko) * 2000-12-29 2005-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통화 연결시의 통화 접속 제어방법
KR100653014B1 (ko) * 2003-10-28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이동국들 간 패킷 데이터 호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787B1 (ko) * 2001-12-06 2003-10-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화상전화 서비스를 위한 호 설정 방법
KR100993970B1 (ko) 2003-08-22 2010-1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데이터 전송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428B1 (ko) * 2000-12-29 2005-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통화 연결시의 통화 접속 제어방법
KR100653014B1 (ko) * 2003-10-28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이동국들 간 패킷 데이터 호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492B1 (ko) 200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568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voice over IP calls
US7675906B2 (en) Media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apparatus and signal conversion apparatus in said system
EP1325618B1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voice over wireless packet-switched networks
AU2002356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voice over IP calls
JP4133258B2 (ja) 公衆無線通信網及び私設有無線通信網サービス装置とその方法
AU4539100A (en) Processing of mobile originated calls in packet switched protocol based communication networks
JP3650800B2 (ja) 異なるネットワークのターミナル間のスピーチ送信
KR10036149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KR100414921B1 (ko) 올 아이피 망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US69040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transfer in packet switched local area networks
KR10024985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호 제어방법
KR2005001368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233850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KR10063210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데이타 호 처리 중 음성 호 처리 방법
KR20010046159A (ko) 패킷 기반의 이동전화 구내 교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US7158507B1 (en) Call setup method
KR100545812B1 (ko) 패킷 기반의 구내 기지국 장치 및 그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100287802B1 (ko) 디지털이동통신망에서무선데이터통신연동장치의팩스발신호제어방법
KR101102696B1 (ko) 화상 전화 서비스의 불완료 호 개선 방법
KR101172821B1 (ko) 화상 전화 서비스의 불완료 호 개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